KR100452929B1 - 액자 및 탈, 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 - Google Patents

액자 및 탈, 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929B1
KR100452929B1 KR10-2002-0025636A KR20020025636A KR100452929B1 KR 100452929 B1 KR100452929 B1 KR 100452929B1 KR 20020025636 A KR20020025636 A KR 20020025636A KR 100452929 B1 KR100452929 B1 KR 100452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cture
plate
attach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421A (ko
Inventor
최덕환
Original Assignee
최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덕환 filed Critical 최덕환
Publication of KR20030087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방, 또는 거실 등에 제공되는 출입문에 액자를 배치하여 심미감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키는 액자 및 탈, 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을 개시한다. 이러한 액자 및 액자 프레임은 일정한 면을 가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수용되어 자성의 성질을 가지는 자성체,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상기 자성체에 밀착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에 수용되는 또 다른 자성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자 프레임을 문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통하여 액자가 적용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 실내 장식의 기능을 가지는 액자를 활용하여 좁은 실내 공간에서도 다양한 액자를 실내에 설치할 수 있어 실내 인테리어를 위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자 프레임을 자석 등을 이용하여 별도의 플레이트에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통하여 사진 또는 그림의 분리가 용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자 및 탈, 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A Picture frame for sticking and removing}
본 발명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 또는 거실에 심미감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키는 액자 및 탈,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중앙부에 사진 또는 그림 등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제공된 공간에 사진 또는 그림 등이 끼워지며, 상기 사진 또는 그림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백보드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백보드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마련된다. 이러한 종래의 액자는 통상적으로 장식장에 올려놓거나 또는 벽에 걸어 장식미를 갖게 한다. 이러한 액자는 방, 거실 또는 사무실 등에서 제한된 공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미적인 감각을 살리고, 인테리어적인 개념을 도입하기 위하여 실내를 꾸미기 위한 액자의 사용이 제한적인 문제점을 가진다. 다른 한편으로, 종래의 액자는 사진 또는 그림 등을 바꾸어 끼워 넣을 때 통상의 고정 수단을 조작하여 백보드를 프레임에서 분리하고, 다시 사진 또는 그림을 프레임에서 분리한 후 상기 사진 또는 그림을 교체하여 프레임에 제공된 공간에 삽입한 후 백보드로 상기 사진 또는 그림을 지지하도록 배치하고, 고정수단으로 백보드를 조이는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진 또는 그림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의 공간을 최대환 활용함과 아울러 실내 내부의 인테리어적인 요소를 증대시킬 수 있는 액자 및 액자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자에 수용되는 사진 또는 그림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액자 및 액자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면을 가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수용되어 자성의 성질을 가지는 자성체;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상기 자성체에 밀착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에 수용되는 또 다른 자성체를 포함하는 액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한 면을 가지며 정면 방향으로 개구(開口)를 이루는 끼움 홈이 제공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제공된 끼움 홈에 끼움 결합되며,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을 포함하는 액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통 구멍을 구비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제공된 관통 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적어도 일측에 끼움 결합되며, 사진 또는 액자가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을 포함하는 액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한 면을 가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밸크로 패스너;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상기 밸크로 패스너에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의 배면에 부착되는 또 다른 밸크로 패스너를 포함하는 액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한 면을 가지며 자성체가 부착될 수 있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상기 금속판에 밀착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에 수용되는 또 다른 자성체를 포함하는 액자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액자 프레임에 사진 또는 그림을 수용하여 필요에 따라 사진 또는 그림을 보호하기 위한 투명부재를 개재하고, 자석 또는 밸크로 패스너 또는 끼움 결합에 의하여 플레이트에 고정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구조를 통하여 매우 간단하게 사진 또는 그림을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9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0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액자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어(1, door)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상기 도어(1) 결합되는 액자 프레임(3)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어(1)에는 자성체(5)가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된다.
상기 도어(1)는 통상적인 도어 틀에 경첩 등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방문, 거실문, 화장실 문, 현관 문 등으로 다양한 형태의 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액자 프레임(3)은 하부를 이루는 로워부재, 상기 로워부재와 결합되며 좌, 우측을 이루는 제1, 2 사이드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2 사이드 부재에 결합되는 어퍼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자 프레임(3)은 중앙부에 공간이 제공되며, 이 공간에는 사진(P, 도 4에 도시하고 있음) 또는 그림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사진 또는 그림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유리 또는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지는 투명부재(7)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자 프레임(3)에는 상술한 도어(1)에 제공된 자성체(5)와 대응하는 위치에 또 다른 자성체(9)가 결합된다.
상기 자성체(5, 9)들은 서로 반대 극성을 가지도록 배치하여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자 프레임(3)은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단지 통상의 액자에 적용되어 사진 또는 그림을 지지하기 위한 백보드가 생략된다.
상기 액자 프레임(3)은 상술한 형태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액자는 액자 프레임(3)에 사진 또는 그림을 수용한 후, 단지 액자 프레임(3)에 결합된 자성체(9)가 도어(1)에 결합된 자성체(5)에 근접시키는 것으로 액자 프레임(3)이 도어(1)에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이하게 사진 또는 그림을 교체하여 도어(1)에 제공되는 액자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인테리어 요소를 가지는 액자를 도어에 적용하여 실내 장식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자가 단지 장식장 위에 놓여지는 경우에 비하여 인테리어 요소로 도어를 이용하면서도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의 사시도로, 도어 (1)에 액자 프레임(3)이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끼움 홈(1a)이 제공되고, 상기 끼움 홈(1a)에 끼워지는 액자 프레임(3)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끼움 홈(1a)은 액자 프레임(1a) 전체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끼움 홈(1a)에 의하여 도어(1)는 돌출면(1b)을 가지게 된다. 상기 돌출면(1b)은 상기 액자 프레임(3)이 상기 끼움 홈(1a)에 끼움 결합될 때 사진 또는 그림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액자 프레임(3)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액자 프레임(3)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치한다. 단지 도면에서는 상기 사진 또는 그림이 돌출면(1b)에 결합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지 액자 프레임(3)에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2 실시예의 액자는 단지 액자 프레임(3)에 사진 또는 그림 등을 배치한 후 액자 프레임(3)을 끼움 홈(1a)에 끼움 결합하는 것으로 도어(1)에 제공된 액자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1)의 특성상 여닫이문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제1 실시예에서 적용한 자성체(5, 9)를 도어 프레임(3) 및 도어(1)의 끼움 홈(1a)에 결합할 수 있다(도시생략).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효과는 동일하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측면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로, 일면을 관통 구멍(1c)이 제공된 도어(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관통 구멍(1c)에는 고정부재 (1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부재(11)는 상기 관통 구멍(1c)의 두께(T1)보다 더 두꺼운 두께(T)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부재 (11)가 상기 도어(1)의 관통 구멍(1c)에 끼움 결합되는 경우 도어(1)의 양면으로 일정한 두께(T2)가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1)는 상기 관통 구멍(1c)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서는 사각형의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 액자 프레임(3)은 상기 고정부재(11)에 끼워지는 면이 동일한 형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액자 프레임(3)은 상술한 고정부재(11)에 돌출되는 두께(T2)에 끼워질 수 있도록 배면에 공간이 제공된다. 물론 상기 액자 프레임(1)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치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어(1)에 밸크로 패스너(13)가 결합되고, 상기 밸크로 패스너(13)에 대응하는 액자 프레임(3)의 배면에 결합된 또 다른 밸크로 패스너(15)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작용 효과는 유사하나, 제1 실시예에서 도어(1)와 액자 프레임(3)을 결합하는 자성체(5, 9) 대신에 밸크로 패스너(13, 15)로 이루어지는 점이 다르다. 이러한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다른 응용 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기존의 도어(1)를 그대로 활용하는 상태에서 도어에 액자를 구현하는 것으로 제1 실시예들에 비하여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액자를 도시한 도면으로, 일정한 면을 구비한 다수의 액자 프레임 배치부재(17)인 플레이트가 서로 힌지 결합되어 연결된 상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자 프레임 배치부재(17)에 자성체(5)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5)와 대응하도록 액자 프레임(3)의 배면에 또 다른 자성체(9)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제5 실시예의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치한다. 다만, 제1 실시예에서 플레이트가 도어(1)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제5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가 단지 액자 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배치부재(17)로 이루어지는 점이 다르다. 상기 액자 프레임 배치부재(17)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개가 서로 인접하여 힌지 구조로 연결되는 경우에 탁상용 액자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실시예는 단지 액자 프레임(3) 내부에 배치되는 사진 또는 그림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액자를 복수로 구성하여 사진 또는 그림 등의 교체를 편리하게 하면서 심미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연출이 가능한 것이다. 특히, 제5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함과 아울러 다양한 형태로 액자에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액자를 도시한 도면으로, 자성체가 붙을 수 있는 금속판(19)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에 자성체(9)가 배면에 결합되어 있는 액자 프레임(3)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액자 프레임(3)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나 다만, 일측을 연장한 연장부(1d)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d)에는 일면에 메모지(M) 등을 고정할 수 있도록 집게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21)가 결합된다. 이러한 제6 실시예는 본 발명을 액자 기능 및 메모지(M)를 보관할 수 있는 형태로 응용할 수 있어 일상 생활에서 사용상을 편리함을 더욱 배가시킨다.
특히, 상기 제6 실시예는 플레이트가 자성체가 붙을 수 있는 금속판(19)으로 이루어지는 예를 통하여 냉장고 또는 금속문 등에도 액자를 구현할 수 있어 간단한 구성을 통하여 실내 장식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철문으로 이루어진 현관의 내, 외측면 등을 장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으로, 자성체(9)가 액자 프레임(3)의 배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액자 프레임(3)의 내측에는 유리, 사진, 그림 또는 달력 등을 배치할 때 앞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턱(3a)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제7 실시예는 단지 액자 프레임(3)이 별도의 사진 등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구비하지 않는 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다. 즉 상기 액자 프레임(3)이 단품을 이루어 제조 및 판매가 이루어질 때 상기 액자 프레임(3)이 부착되는 별도의 플레이트에 관계없이 판매가 가능한 형태로 제작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제7 실시예와 같은 경우에는 냉장고 등 금속판에만 액자 프레임(3)이 부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으로, 밸크로 패스너(15)가 액자 프레임(3)의 배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밸크로 패스너(15)가 액자 프레임(3)에 결합된 경우에는 또 다른 밸크로 패스너(13)가 결합되어 하나의 단품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는 밸크로 패스너(13)에 붙어 있는 보호커버(12)를 제거하고 벽면 등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제8 실시예는 액자 프레임(3)이 금속판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벽면이라도 부착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9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으로, 액자 프레임(3)의 배면에 자성체(9) 및 밸크로 패스너(15)가 동시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9 실시예는 제7 및 제8 실시예의 특징을 모두 구비하는 것으로 냉장고 등과 같은 금속판에 액자 프레임(3)을 부착하거나 또는 일반 벽면에 부착하는 것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0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으로, 액자 프레임(3) 배면에 밸크로 패스너(15)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3b)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홈(3b)은 밸크로 패스너(15)가 어느 정도 두께를 가지는 경우 액자 프레임(3)과 결합되는 벽면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최소할 할 수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기타 제10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는 제8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으로, 액자 프레임(3)의 배면에 자성체(9)가 결합되고, 동시에 밸크로 패스너(15)가 삽입될 수 있는 홈(3a)이 제공됨과 아울러 상기 홈(3a)에 밸크로 패스너(15)가 배치되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는 제9, 10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양면 접착 테이프(도시생략)가 액자 프레임(3)의 배면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제7, 8, 9, 10, 11 실시예들은 액자 프레임(3)이 플레이트에 탈, 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가정주부들이 필요한 벽면 등에 못을 박지 않고도 용이하게 액자를 붙여 사용이 편리하며, 장식적인 요소를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은 필요에 따라 각각 실시예의 조합으로 적용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자 프레임(3)은 하나의 사진 또는 그림만을 수용할 수 있는 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액자 프레임(3)의 중앙부를 분리(도시생략)하는 등의 간단한 구성의 추가를 통하여 복수의 사진 또는 그림 등을 넣을 수 있는 예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액자 프레임을 문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통하여 액자가 적용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 실내 장식의 기능을 가지는 액자를 활용하여 좁은 실내 공간에서도 다양한 액자를 실내에 설치할 수 있어 실내 인테리어를 위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자 프레임을 자석 등을 이용하여 별도의 플레이트에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통하여 사진 또는 그림의 분리가 용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일정한 면을 가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수용되어 자성의 성질을 가지는 자성체;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상기 자성체에 밀착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에 수용되는 또 다른 자성체;
    를 포함하는 액자.
  2. 일정한 면을 가지며 정면으로 개구를 이루는 끼움 홈이 제공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제공된 끼움 홈에 끼움 결합되며,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을 포함하는 액자.
  3. 관통 구멍을 구비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제공된 관통 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끼움 결합되며, 사진 또는 액자가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을 포함하는 액자.
  4. 일정한 면을 가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밸크로 패스너;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상기 밸크로 패스너에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의 배면에 부착되는 또 다른 밸크로 패스너;
    를 포함하는 액자.
  5. 일정한 면을 가지며 자성체가 부착될 수 있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상기 금속판에 밀착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에 결합되는 자성체;
    를 포함하는 액자.
  6. 일정한 면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제공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제공된 고정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배면에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를 포함하는 액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도어로 이루어지는 액자.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인접하는 부분이 힌지 결합되는 액자.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 프레임은 일측을 연장한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에 메모지 등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가 결합된 액자.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 프레임에는 그림 또는 사진을 보호하기 위한 투명부재가 수용되는 액자.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 프레임은
    아래부분을 이루는 로워부재;
    상기 로워부재에 결합되며, 좌, 우 측면을 이루는 제1, 2 사이드 부재;
    상기 제1, 2 사이드 부재에 결합되며, 위부분을 이루는 어퍼부재;
    를 포함하는 액자.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에 제공된 관통 구멍의 두께에 비하여 두께가 더 크게 이루어지는 액자.
  13.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자성체가 부착될 수 있는 금속판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에 결합되는 자성체;
    를 포함하는 액자.
  14. 금속판에 부착될 수 있는 자성체가 배면에 결합되고,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자성체에 의하여 금속판에 탈, 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
  15. 벽면 등에 부착될 수 있는 밸크로 패스너가 배면에 결합되고,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밸크로 패스너에 의하여 벽면 등에 탈, 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
  16. 금속판에 부착될 수 있는 자성체 및 벽면 등에 부착될 수 있는 밸크로 패스너가 배면에 결합되고,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자성체 또는 밸크로 패스너에 의하여 금속판 또는 벽면에 탈, 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
  17. 벽면 등에 부착될 수 있는 양면 접착 테이프가 배면에 결합되고,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하여 벽면에 탈, 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
KR10-2002-0025636A 2002-05-07 2002-05-09 액자 및 탈, 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 KR100452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048 2002-05-07
KR1020020025048 2002-05-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231U Division KR200284209Y1 (ko) 2002-05-07 2002-05-09 액자 및 탈, 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421A KR20030087421A (ko) 2003-11-14
KR100452929B1 true KR100452929B1 (ko) 2004-10-14

Family

ID=323818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636A KR100452929B1 (ko) 2002-05-07 2002-05-09 액자 및 탈, 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
KR2020020014231U KR200284209Y1 (ko) 2002-05-07 2002-05-09 액자 및 탈, 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231U KR200284209Y1 (ko) 2002-05-07 2002-05-09 액자 및 탈, 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4529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227U (ko) 2015-06-01 2016-12-09 박성환 발광 액자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0814A (en) * 1979-02-27 1980-09-17 Uppstroem Leif Ragnar Inseting of picture into frame
JPS601360U (ja) * 1983-06-16 1985-01-08 東プラ株式会社 額の構造
JPS60120655U (ja) * 1983-06-20 1985-08-14 藤田 茂作 簡便な額縁
JPS60191264U (ja) * 1984-05-29 1985-12-18 柳瀬 清 はめこみ額縁
JPS6259282U (ko) * 1985-09-30 1987-04-13
JPH0337280A (ja) * 1989-07-03 1991-02-18 Mitsubishi Pencil Co Ltd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
KR200214219Y1 (ko) * 2000-02-23 2001-02-15 우한별 액 자
KR200233441Y1 (ko) * 2000-12-05 2001-09-25 김종선 탁상용 기념액자
KR200270140Y1 (ko) * 2001-12-20 2002-04-03 임병춘 점착 벨크로 파스너(Self-Adhesive Velcro fastener)를접착한 액자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0814A (en) * 1979-02-27 1980-09-17 Uppstroem Leif Ragnar Inseting of picture into frame
JPS601360U (ja) * 1983-06-16 1985-01-08 東プラ株式会社 額の構造
JPS60120655U (ja) * 1983-06-20 1985-08-14 藤田 茂作 簡便な額縁
JPS60191264U (ja) * 1984-05-29 1985-12-18 柳瀬 清 はめこみ額縁
JPS6259282U (ko) * 1985-09-30 1987-04-13
JPH0337280A (ja) * 1989-07-03 1991-02-18 Mitsubishi Pencil Co Ltd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
KR200214219Y1 (ko) * 2000-02-23 2001-02-15 우한별 액 자
KR200233441Y1 (ko) * 2000-12-05 2001-09-25 김종선 탁상용 기념액자
KR200270140Y1 (ko) * 2001-12-20 2002-04-03 임병춘 점착 벨크로 파스너(Self-Adhesive Velcro fastener)를접착한 액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227U (ko) 2015-06-01 2016-12-09 박성환 발광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421A (ko) 2003-11-14
KR200284209Y1 (ko) 200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43501S1 (en) Solar panel
USD547887S1 (en) String light set
USD488392S1 (en) Wrist watch
USD475868S1 (en) Cabinet
USD487202S1 (en) China cabinet and buffet
USD518661S1 (en) Watch sales counter
USD501106S1 (en) Door caddy
KR100452929B1 (ko) 액자 및 탈, 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
KR200284203Y1 (ko) 액자
USD533744S1 (en) Display for watches
USD534376S1 (en) Display rack
USD495331S1 (en) Display panel
USD530099S1 (en) Adhesive tape roller
USD478496S1 (en) Fastening device for watch display
USD548856S1 (en) Door light
USD508345S1 (en) Display case for watches and jewelry
KR200419946Y1 (ko) 액자형 문짝
KR200206228Y1 (ko) 장식무늬의 교체가 자유로운 문짝
USD503331S1 (en) Display bracket
USD469632S1 (en) Display cabinet
KR200312541Y1 (ko) 투명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
USD480429S1 (en) Publication vending cabinet
KR200241763Y1 (ko) 조립식 시계겸용 액자
USD536553S1 (en) Watch display stand
USD527624S1 (en) Display case for w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