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203Y1 - 액자 - Google Patents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203Y1
KR200284203Y1 KR2020020013921U KR20020013921U KR200284203Y1 KR 200284203 Y1 KR200284203 Y1 KR 200284203Y1 KR 2020020013921 U KR2020020013921 U KR 2020020013921U KR 20020013921 U KR20020013921 U KR 20020013921U KR 200284203 Y1 KR200284203 Y1 KR 200284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cture
plate
attached
accommod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덕환
Original Assignee
최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덕환 filed Critical 최덕환
Priority to KR2020020013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2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203Y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방, 또는 거실 등에 제공되는 출입문에 액자를 배치하여 심미감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키는 액자를 개시한다. 이러한 액자는 일정한 면을 가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수용되어 자성의 성질을 가지는 자성체,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상기 자성체에 밀착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에 수용되는 또 다른 자성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액자 프레임을 문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통하여 액자가 적용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 실내 장식의 기능을 가지는 액자를 활용하여 좁은 실내 공간에서도 다양한 액자를 실내에 설치할 수 있어 실내 인테리어를 위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액자 프레임을 자석 등을 이용하여 별도의 플레이트에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통하여 사진 또는 그림의 분리가 용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자{A Picture frame}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 또는 거실에 심미감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키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중앙부에 사진 또는 그림 등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제공된 공간에 사진 또는 그림 등이 끼워지며, 상기 사진 또는 그림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백보드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백보드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마련된다. 이러한 종래의 액자는 통상적으로 장식장에 올려놓거나 또는 벽에 걸어 장식미를 갖게 한다. 이러한 액자는 방, 거실 또는 사무실 등에서 제한된 공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미적인 감각을 살리고, 인테리어적인 개념을 도입하기 위하여 실내를 꾸미기 위한 액자의 사용이 제한적인 문제점을 가진다. 다른 한편으로, 종래의 액자는 사진 또는 그림 등을 바꾸어 끼워 넣을 때 통상의 고정 수단을 조작하여 백보드를 프레임에서 분리하고, 다시 사진 또는 그림을 프레임에서 분리한 후 상기 사진 또는 그림을 교체하여 프레임에 제공된 공간에 삽입한 후 백보드로 상기 사진 또는 그림을 지지하도록 배치하고, 고정수단으로 백보드를 조이는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진 또는 그림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의 공간을 최대환 활용함과 아울러 실내 내부의 인테리어적인 요소를 증대시킬 수 있는 액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액자에 수용되는 사진 또는 그림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액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한 면을 가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수용되어 자성의 성질을 가지는 자성체;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상기 자성체에 밀착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에 수용되는 또 다른 자성체를 포함하는 액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일정한 면을 가지며 정면 방향으로 개구(開口)를 이루는 끼움 홈이 제공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제공된 끼움 홈에 끼움 결합되며,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을 포함하는 액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관통 구멍을 구비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제공된 관통 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적어도 일측에 끼움 결합되며, 사진 또는 액자가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을 포함하는 액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일정한 면을 가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밸크로 패스너;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상기 밸크로 패스너에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의 배면에 부착되는 또 다른 밸크로 패스너를 포함하는 액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일정한 면을 가지며 자성체가 부착될 수 있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상기 금속판에 밀착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에 수용되는 또 다른 자성체를 포함하는 액자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액자 프레임에 사진 또는 그림을 수용하여 필요에 따라 사진 또는 그림을 보호하기 위한 투명부재를 개재하고, 자석 또는 밸크로 패스너 또는 끼움 결합에 의하여 플레이트에 고정한다. 따라서 본원 고안의 구조를 통하여 매우 간단하게 사진 또는 그림을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액자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어(1, door)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상기 도어(1) 결합되는 액자 프레임(3)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어(1)에는 자성체(5)가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된다.
상기 도어(1)는 통상적인 도어 틀에 경첩 등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방문, 거실문, 화장실 문, 현관 문 등으로 다양한 형태의 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액자 프레임(3)은 하부를 이루는 로워부재, 상기 로워부재와 결합되며 좌, 우측을 이루는 제1, 2 사이드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2 사이드 부재에 결합되는 어퍼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자 프레임(3)은 중앙부에 공간이 제공되며, 이 공간에는 사진(P, 도 4에 도시하고 있음) 또는 그림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사진 또는 그림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유리 또는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지는 투명부재(7)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자 프레임(3)에는 상술한 도어(1)에 제공된 자성체(5)와 대응하는 위치에 또 다른 자성체(9)가 결합된다.
상기 자성체(5, 9)들은 서로 반대 극성을 가지도록 배치하여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자 프레임(3)은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단지 통상의 액자에 적용되어 사진 또는 그림을 지지하기 위한 백보드가 생략된다.
상기 액자 프레임(3)은 상술한 형태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액자는 액자 프레임(3)에 사진 또는 그림을 수용한 후, 단지 액자 프레임(3)에 결합된 자성체(9)가 도어(1)에 결합된 자성체(5)에 근접시키는 것으로 액자 프레임(3)이 도어(1)에 결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용이하게 사진 또는 그림을 교체하여 도어(1)에 제공되는 액자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인테리어 요소를 가지는 액자를 도어에 적용하여 실내 장식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액자가 단지 장식장 위에 놓여지는 경우에 비하여 인테리어 요소로 도어를 이용하면서도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자의 사시도로, 도어(1)에 액자 프레임(3)이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끼움 홈(1a)이 제공되고, 상기 끼움 홈(1a)에 끼워지는 액자 프레임(3)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끼움 홈(1a)은 액자 프레임(1a) 전체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끼움 홈(1a)에 의하여 도어(1)는 돌출면(1b)을 가지게 된다. 상기 돌출면(1b)은 상기 액자 프레임(3)이 상기 끼움 홈(1a)에 끼움 결합될 때 사진 또는 그림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액자 프레임(3)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액자 프레임(3)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치한다. 단지 도면에서는 상기 사진 또는 그림이 돌출면(1b)에 결합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지 액자 프레임(3)에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2 실시예의 액자는 단지 액자 프레임(3)에 사진 또는 그림 등을 배치한 후 액자 프레임(3)을 끼움 홈(1a)에 끼움 결합하는 것으로 도어(1)에 제공된 액자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1)의 특성상 여닫이문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제1 실시예에서 적용한 자성체(5, 9)를 도어 프레임(3) 및 도어(1)의 끼움 홈(1a)에 결합할 수 있다(도시생략). 이러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효과는 동일하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측면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로, 일면을 관통 구멍(1c)이 제공된 도어(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관통 구멍(1c)에는 고정부재 (1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부재(11)는 상기 관통 구멍(1c)의 두께 (T1)보다 더 두꺼운 두께(T)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부재(11)가 상기 도어(1)의 관통 구멍(1c)에 끼움 결합되는 경우 도어(1)의 양면으로 일정한두께(T2)가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1)는 상기 관통 구멍(1c)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서는 사각형의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 액자 프레임(3)은 상기 고정부재(11)에 끼워지는 면이 동일한 형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액자 프레임(3)은 상술한 고정부재(11)에 돌출되는 두께(T2)에 끼워질 수 있도록 배면에 공간이 제공된다. 물론 상기 액자 프레임(1)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치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어(1)에 밸크로 패스너(13)가 결합되고, 상기 밸크로 패스너(13)에 대응하는 액자 프레임(3)의 배면에 결합된 또 다른 밸크로 패스너(15)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작용 효과는 유사하나, 제1 실시예에서 도어(1)와 액자 프레임(3)을 결합하는 자성체(5, 9) 대신에 밸크로 패스너(13, 15)로 이루어지는 점이 다르다. 이러한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다른 응용 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기존의 도어(1)를 그대로 활용하는 상태에서 도어에 액자를 구현하는 것으로 제1 실시예들에 비하여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액자를 도시한 도면으로, 일정한 면을 구비한 다수의 액자 프레임 배치부재(17)인 플레이트가 서로 힌지 결합되어 연결된 상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자 프레임 배치부재(17)에 자성체(5)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5)와 대응하도록 액자 프레임(3)의 배면에 또 다른 자성체(9)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제5 실시예의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치한다. 다만, 제1 실시예에서 플레이트가 도어(1)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제5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가 단지 액자 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배치부재(17)로 이루어지는 점이 다르다. 상기 액자 프레임 배치부재(17)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개가 서로 인접하여 힌지 구조로 연결되는 경우에 탁상용 액자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실시예는 단지 액자 프레임(3) 내부에 배치되는 사진 또는 그림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액자를 복수로 구성하여 사진 또는 그림 등의 교체를 편리하게 하면서 심미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연출이 가능한 것이다. 특히, 제5 실시예는 본 고안의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함과 아울러 다양한 형태로 액자에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액자를 도시한 도면으로, 자성체가 붙을 수 있는 금속판(19)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에 자성체(9)가 배면에 결합되어 있는 액자 프레임(3)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액자 프레임(3)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나 다만, 일측을 연장한 연장부(1d)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d)에는 일면에 메모지(M) 등을 고정할 수 있도록 집게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21)가 결합된다. 이러한 제6 실시예는 본 고안을 액자 기능 및 메모지(M)를 보관할 수 있는 형태로 응용할 수 있어 일상 생활에서 사용상을 편리함을 더욱 배가시킨다.
특히, 상기 제6 실시예는 플레이트가 자성체가 붙을 수 있는 금속판(19)으로이루어지는 예를 통하여 냉장고 또는 금속문 등에도 액자를 구현할 수 있어 간단한 구성을 통하여 실내 장식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철문으로 이루어진 현관의 내, 외측면 등을 장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은 필요에 따라 각각 실시예의 조합으로 적용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자 프레임(3)은 하나의 사진 또는 그림만을 수용할 수 있는 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액자 프레임(3)의 중앙부를 분리(도시생략)하는 등의 간단한 구성의 추가를 통하여 복수의 사진 또는 그림 등을 넣을 수 있는 예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액자 프레임을 문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통하여 액자가 적용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 실내 장식의 기능을 가지는 액자를 활용하여 좁은 실내 공간에서도 다양한 액자를 실내에 설치할 수 있어 실내 인테리어를 위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액자 프레임을 자석 등을 이용하여 별도의 플레이트에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통하여 사진 또는 그림의 분리가 용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일정한 면을 가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수용되어 자성의 성질을 가지는 자성체;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상기 자성체에 밀착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에 수용되는 또 다른 자성체;
    를 포함하는 액자.
  2. 일정한 면을 가지며 정면으로 개구를 이루는 끼움 홈이 제공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제공된 끼움 홈에 끼움 결합되며,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을 포함하는 액자.
  3. 관통 구멍을 구비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제공된 관통 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적어도 일측에 끼움 결합되며, 사진 또는 액자가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을 포함하는 액자.
  4. 일정한 면을 가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밸크로 패스너;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상기 밸크로 패스너에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의 배면에 부착되는 또 다른 밸크로 패스너;
    를 포함하는 액자.
  5. 일정한 면을 가지며 자성체가 부착될 수 있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상기 금속판에 밀착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에 결합되는 자성체;
    를 포함하는 액자.
  6. 일정한 면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제공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제공된 고정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배면에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를 포함하는 액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도어로이루어지는 액자.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인접하는 부분이 힌지 결합되는 액자.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 프레임은 일측을 연장한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에 메모지 등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가 결합된 액자.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 프레임에는 그림 또는 사진을 보호하기 위한 투명부재가 수용되는 액자.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 프레임은
    아래부분을 이루는 로워부재;
    상기 로워부재에 결합되며, 좌, 우 측면을 이루는 제1, 2 사이드 부재;
    상기 제1, 2 사이드 부재에 결합되며, 위부분을 이루는 어퍼부재;
    를 포함하는 액자.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에 제공된 관통 구멍의 두께에 비하여 두께가 더 크게 이루어지는 액자.
  13. 사진 또는 그림이 수용될 수 있는 액자 프레임;
    자성체가 부착될 수 있는 금속판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에 결합되는 자성체;
    를 포함하는 액자.
KR2020020013921U 2002-05-07 2002-05-07 액자 KR2002842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921U KR200284203Y1 (ko) 2002-05-07 2002-05-07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921U KR200284203Y1 (ko) 2002-05-07 2002-05-07 액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048 Division 2002-05-07 2002-05-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203Y1 true KR200284203Y1 (ko) 2002-07-31

Family

ID=73122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921U KR200284203Y1 (ko) 2002-05-07 2002-05-07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2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22771S1 (en) Cabinet
USD539228S1 (en) Vertical cable manager
USD547887S1 (en) String light set
USD537173S1 (en) Patio door panel sash extrusion with weatherstripping
USD501106S1 (en) Door caddy
KR200284203Y1 (ko) 액자
KR200284209Y1 (ko) 액자 및 탈, 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
USD530193S1 (en) Corner bracket for a frame
KR200397758Y1 (ko) 가구용 문짝
USD530099S1 (en) Adhesive tape roller
USD469986S1 (en) Display cabinet
USD493687S1 (en) Door pull
USD459618S1 (en) Cabinet
KR200206228Y1 (ko) 장식무늬의 교체가 자유로운 문짝
KR200236345Y1 (ko) 다용도 조립식 가구
USD472070S1 (en) Entertainment cabinet
KR200222800Y1 (ko) 양면서랍
USD488637S1 (en) Bar cabinet
USD538441S1 (en) Door face panel
KR200188098Y1 (ko) 장신구의 부착이 용이한 장롱 문짝의 구조
USD514352S1 (en) Cabinet
USD613422S1 (en) Gate panel frame
USD459617S1 (en) Cabinet
KR200188097Y1 (ko) 모양 변화가 가능한 장롱 문짝의 구조
KR200238246Y1 (ko) 문짝의 장식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