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498Y1 - 장식용 사진틀 액자 - Google Patents

장식용 사진틀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498Y1
KR200188498Y1 KR2019990030401U KR19990030401U KR200188498Y1 KR 200188498 Y1 KR200188498 Y1 KR 200188498Y1 KR 2019990030401 U KR2019990030401 U KR 2019990030401U KR 19990030401 U KR19990030401 U KR 19990030401U KR 200188498 Y1 KR200188498 Y1 KR 200188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frame
photo
frame
presen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4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환
Original Assignee
김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환 filed Critical 김상환
Priority to KR20199900304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4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4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for decorative plat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사진틀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종래기술에 의한 몸체의 전면 중앙부에 창이 형성되어 있어 사진의 형상을 전부 표현 할 수 없고, 사진틀이 냉장고나 철재가구에 직접 부착되어져 사용자의 욕구에 맞는 시각적 효과를 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 된 것이다. 본 고안은 투명판으로 형성되고 상,하단부 가장자리 배면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도록 일측에 경사부를 갖는 결합편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 상기 경사부에 대응되는 역 경사면이 상,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결합시 상기 몸체의 배면과 전면 사이에 사진이 삽입될 수 있는 삽지부가 형성되며, 배면에는 자석이 다수개 설치된 밀착판으로 이루어진 사진틀; 상기 사진틀이 자석에 의해 전면에 부착되고 배면은 벽면에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게 각 가장자리부가 절곡되어 공간부가 형성된 철재판넬로 구성한 것으로 몸체와 밀착판 사이에 삽입된 사진의 전체 형상을 보다 입체감 있게 나타낼 수 있고, 벽면에 부착되는 철제판넬의 전면에 사진틀을 사용자의 욕구에 맞게 연출할 수 있어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제판넬을 여러 형태로 벽면에 설치할 수 있어 상품적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장식용 사진틀 액자{PHOTO FLAME FOR DISPLAY}
본 고안은 장식용 사진틀 액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진틀에 삽입된 사진의 전체 형상을 입체감 있게 나타내고, 사진틀을 사용자의 욕구에 맞도록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어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식용 사진틀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사진틀은 내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사각틀체에 투명체의 덮개를 끼우고 덮개의 이면에 사진을 끼운 다음 두꺼운 판재등으로 고정하는 사진틀이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진틀은 벽에 걸어 사용하거나 탁상등에 세워 사용하므로 장식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틀(100)은 사진(130)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배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몸체(110)의 전면 중앙은 사진(130)의 형상을 볼 수 있도록 개방된 창(112)이 형성되어 있고, 배면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삽지부(114a)가 구비된 결합편(1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결합편(114)의 삽지부(114a)에 양측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배면에는 자석(12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20)의 전면과 몸체(110)의 배면 사이에는 사진(130)이 끼워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을 사용기 위해서는 먼저, 몸체(110)의 배면에 사진(130)을 삽입한 다음 상기 몸체(110)의 결합편(114)에 형성된 삽지부(114a)에 고정부재(120)의 양측 가장자리를 결합시키되, 상기 고정부재(120)는 자석(126)이 설치된 배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냉장고나 철재가구등에 사진틀(100)을 부착시키면 사진틀(100)은 고정부재(120)의 배면에 설치된 자석(126)의 자력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창(112)을 통하여 사진(130)의 형상을 볼 수 있으나 몸체(110)의 전면 중앙부에만 창(112)이 형성되어 있어 냉장고나 철재가구에 사진틀(100)을 부착시 장식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사진(130)의 형상을 전부 표현 할 수 없었고, 또한 사진틀(100)이 냉장고나 철재가구에 직접 부착되어지므로 사용자의 욕구에 맞는 시각적 효과를 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사진틀에 삽입된 사진의 전체 형상을 표현하고, 사용자의 욕구에 맞게 시각적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장식용 사진틀 액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사진을 보관할 수 있는 장식용 사진틀 액자에 있어서, 투명판으로 형성되고 상,하단부 가장자리 배면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도록 일측에 경사부를 갖는 결합편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 상기 경사부에 대응되는 역 경사면이 상,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결합시 상기 몸체의 배면과 전면 사이에 상기 사진이 삽입될 수 있는 삽지부가 형성되며, 배면에는 자석이 다수개 설치된 밀착판으로 이루어진 사진틀; 상기 사진틀이 자석에 의해 전면에 부착되고 배면은 벽면에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게 각 가장자리부가 절곡되어 공간부가 형성된 철재판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사진틀 액자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장식용 사진틀 액자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사진틀 액자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진틀 20 : 몸체
21 : 결합편 21a : 경사부
23 : 가이드부 30 : 밀착판
32 : 경사면 34 : 자석
36 : 삽지부 40 : 철제판넬
42 : 공간부 50 : 사진
W : 벽면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사진틀 액자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써, 본 고안은 사진틀(10)과, 철재판넬(40)로 구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사진틀(10)은 사진(50)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몸체(20)와, 상기 몸체(20)에 결합되는 밀착판(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몸체(20)는 사각형상으로 투명판으로 형성되고 상,하단부 가장자리 배면에는 가이드부(23)가 형성되도록 일측에 경사부(21a)를 갖는 결합편(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밀착판(30)은 상기 경사부(21a)에 대응되는 역 경사면(32)이 상,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20)에 결합시 상기 몸체(20)의 배면과 전면 사이에 사진(5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지부(36)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자석(34)이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밀착판(30)은 상기 몸체(20)와 동일하게 투명판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 철재판넬(40)은 사진틀(10)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배면에는 벽면(W)에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게 각 가장자리부가 절곡되어 공간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몸체(20)와 밀착판(30)을 결합시켜 사진틀(10)을 형성한다. 즉, 상기 몸체(20)의 배면에 사진(50)을 전면이 향하도록 위치시켜 삽입한다. 이때 사진(50)의 크기는 몸체(20)의 배면 내부에 대응될 수 있도록 형성시켜 가이드부(23)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밀착판(30)을 몸체(20)의 배면에 결합시키되, 자석(34)이 설치된 배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밀착판(30)을 몸체(20)의 상,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가이드부(23)로 위치시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삽입시킨다. 이 과정에서 밀착판(30)의 경사면(32)이 상기 몸체(20)의 경사부(21a)로 슬라이드 되어 자연스럽게 삽입되면서 결합되고, 사진(50)은 몸체(20)의 배면과 밀착판(30)의 전면에 의해 유동되지 않은 상태로 밀착 고정되는데, 이는 상기 몸체(20)의 배면과 밀착판(30)의 전면 사이에 사진(50)이 삽입될 수 있는 두께의 삽지부(36)가 형성되어 있어 사진(50)이 몸체(20)의 배면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사진틀(10)이 형성되면, 상기 철재판넬(40)을 벽면(W)에 설치하되, 상기 철재판넬(40)의 배면에 형성된 공간부(42)가 벽면(W)에 걸릴 수 있게 설치한다.
이와 같이 벽면(W)에 철재판넬(40)이 설치되면, 상기 철제판넬(40)의 전면에 사진틀(10)을 부착시키면 된다. 즉 사진(50)이 장착된 사진틀(10)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철제판넬(40)의 전면에 부착시키면 사진틀(10)을 통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사진틀(10)은 자석(34)의 자력에 의해 철제판넬(40)에 고정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써, 도 5a는 벽면(W)에 철제판넬(40)이 사각형상으로 설치된 것으로, 상기 철제판넬(40)의 전면에 각각 다른 여러개의 사진틀(10)을 서로 맞닿게 배열하여 설치한 것이고, 도 5b는 철제판넬(40)의 전면에 각각 다른 여러개의 사진틀(10)을 일정 간격을 주어 설치된 것이며, 도 5c는 철제판넬(40)의 전면에 각각 다른 여러개의 사진틀(10)을 각도를 주어 부착한 것으로, 이밖에도 사진틀(10)을 다양하게 철제판넬(40)에 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d는 벽면(W)에 설치되는 철제판넬(40)을 마름모 형상으로 설치된 것으로, 마름모 형상으로 설치된 철제판넬(40)에 사진틀(10)을 부착시 그 사용예는 도 5a, 도 5b, 도 5c와 같다.
이와 같이 벽면(W)에 설치되는 철제판넬(40)과 상기 철제판넬(40)의 전면에 부착되는 사진틀(10)을 사용자의 욕구에 맞도록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어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고, 사진틀(10)에 끼워진 사진(50)의 전체 형상을 표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철제판넬(40)을 사각형상으로 제작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원형 및 다각형으로 제작된 철제판넬(40)을 사용할 수 도 있고, 철제판넬(40)을 3개가 하나의 셋트로 구성하여 벽면(W)에 설치하면 보다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진틀(10)에 사진(50) 뿐만 아니라 달력, 메모지등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장식용 사진틀 액자에 따르면 투명판으로 형성되고 상,하단부 가장자리 배면에 결합편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배면에 사진과 같이 결합되는 밀착판으로 이루어진 사진틀과, 상기 사진틀이 전면에 부착되고 배면은 벽면에 설치될 수 있게 각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형성된 공간부를 갖는 철제판넬로 구성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를 테두리없이 전부 투명판으로 형성함으로써, 몸체와 밀착판 사이에 삽입된 사진의 전체 형상을 보다 입체감 있게 나타낼 수 있고, 벽면에 부착되는 철제판넬의 전면에 사진틀을 사용자의 욕구에 맞도록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어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제판넬을 여러 형태로 벽면에 설치할 수 있어 상품적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 고안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사진(50)을 보관할 수 있는 장식용 사진틀 액자에 있어서,
    투명판으로 형성되고 상,하단부 가장자리 배면에는 가이드부(23)가 형성되도록 일측에 경사부(21a)를 갖는 결합편(21)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20);
    상기 경사부(21a)에 대응되는 역 경사면(32)이 상,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20)에 결합시 상기 몸체(20)의 배면과 전면 사이에 상기 사진(5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지부(36)가 형성되며, 배면에는 자석(34)이 다수개 설치된 밀착판(30)으로 이루어진 사진틀(10);
    상기 사진틀(10)이 자석(34)에 의해 전면에 부착되고 배면은 벽면(W)에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게 각 가장자리부가 절곡되어 공간부(42)가 형성된 철재판넬(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사진틀 액자.
KR2019990030401U 1999-12-30 1999-12-30 장식용 사진틀 액자 KR200188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401U KR200188498Y1 (ko) 1999-12-30 1999-12-30 장식용 사진틀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401U KR200188498Y1 (ko) 1999-12-30 1999-12-30 장식용 사진틀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498Y1 true KR200188498Y1 (ko) 2000-07-15

Family

ID=19604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401U KR200188498Y1 (ko) 1999-12-30 1999-12-30 장식용 사진틀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4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3563A2 (en) * 2007-11-29 2009-06-11 Collagewall Inc. System for hanging multiple pictures in a collage using a grid of supports
KR200457851Y1 (ko) 2009-03-04 2012-01-05 박봉재 자력 접착 타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3563A2 (en) * 2007-11-29 2009-06-11 Collagewall Inc. System for hanging multiple pictures in a collage using a grid of supports
WO2009073563A3 (en) * 2007-11-29 2009-09-24 Collagewall Inc. System for hanging multiple pictures in a collage using a grid of supports
US8333026B2 (en) 2007-11-29 2012-12-18 CollageWall, Inc. System for hanging multiple pictures in a collage using a grid of supports
KR200457851Y1 (ko) 2009-03-04 2012-01-05 박봉재 자력 접착 타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74840S1 (en) Display panel with a user interface
US20060162213A1 (en) Changeable artwork display apparatus
US20070193096A1 (en) Clear display item frame
US5167085A (en) Picture frame assembly
KR200188498Y1 (ko) 장식용 사진틀 액자
KR200270217Y1 (ko) 사진교환이 간편한 자석부착식 액자
US20040261307A1 (en) Shadow box having multiple display surfaces and shadow box kit
KR20120013855A (ko) 자력착탈식 액자
JPS6125007Y2 (ko)
KR200191934Y1 (ko) 양면 액자
KR200216448Y1 (ko) 액자
USD418543S (en) Magnetically mounted clipboard
CN216494617U (zh) 一种置物镜
US11229303B2 (en) Modular, multi-function frame system
JP3153828U (ja) 差し込み式額縁
KR100632875B1 (ko) 후레임과 장식고정판을 갖는 다보액자
KR20150145494A (ko) 윈도우리스형 사진 액자 및 이에 착탈되는 사진판
CN211155507U (zh) 一种可组装式手纸盒
KR200198773Y1 (ko) 부착용 사진틀
USD495538S1 (en) Airliner tray table with an advertisement window
JP3064630U (ja) 記念写真用アルバム
JPH0414785Y2 (ko)
JP3104117U (ja) 立体表示シート鑑賞立て
KR200235628Y1 (ko) 액자
US20050172531A1 (en) Display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