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628Y1 - 액자 - Google Patents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628Y1
KR200235628Y1 KR2020000036020U KR20000036020U KR200235628Y1 KR 200235628 Y1 KR200235628 Y1 KR 200235628Y1 KR 2020000036020 U KR2020000036020 U KR 2020000036020U KR 20000036020 U KR20000036020 U KR 20000036020U KR 200235628 Y1 KR200235628 Y1 KR 2002356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walls
sides
pho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수
Original Assignee
정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수 filed Critical 정정수
Priority to KR2020000036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6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6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628Y1/ko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원인의 선 출원 고안을 개량하여 원근감과 입체감을 더욱 깊이있게 하고, 액자를 보다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한 액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선출원 고안은 액자의 테두리부재 전체가 원호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에 따라 테두리부재와 사진과의 거리가 짧아져 사진의 입체감이 절감되고, 액자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으며, 불가피하게 두장의 사진을 동시에 전시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틀(1)과 그 중심부에 형성된 사진끼움부(2)로된 것에 있어서, 사진끼움부(2)에는 창(21)과, 창(21)의 네변에 설치된 벽체(22)로 구성되고, 창의 네변에 설치된 벽체(22) 중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벽체(221)는 그 외단을 원호형의 굴곡부(222)로 형성시키며, 창의 네변에 설치된 벽체(22) 중 다른 한쌍의 벽체(223)에 배면판(3)을 설치하되, 배면판(3)을 벽체(221)의 외단 굴곡부(222)에 대응하는 굴곡면(30)으로 형성시켜 구성함으로써, 전시되는 사진을 보다 원근감이 있고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음은 물론 액자를 보다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액자{a picture frame}
본 고안은 전시되는 사진을 원근감이 있고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게 한 액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의 선 출원 고안을 개량하여 원근감과 입체감을 더욱 깊이 있게 하고, 액자를 보다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한 액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선출원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테두리부재(100)의 좌단(101)과 우단(103) 및 중앙부(102)를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시키고, 좌단(101)과 우단(103) 및 중앙부(102) 사이에 곡면부(104)를 형성시키며, 곡면부(104)내에 투시창(110)을 형성시켜 액자의 형상이 책을 펼쳐 놓은 것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출원 고안은 액자의 테두리부재 전체가 원호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에 따라 테두리부재와 사진과의 거리가 짧아져 사진의 입체감이 절감되는 단점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선 출원 액자는 책을 펼쳐 놓은 형상으로 양쪽의 페이지부분에 사진을 수납 전시시키는 것인바, 이와 같은 형상의 액자는 그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불가피하게 두장의 사진을 동시에 전시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전시되는 사진을 보다 원근감이 있고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액자를 보다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한 액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틀과 그 중심부에 형성된 사진끼움부로된 것에 있어서, 사진끼움부에는 창과, 창의 네변에 설치된 벽체로 구성되고, 창의 네변에 설치된 벽체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벽체는 그 외단을 원호형의 굴곡부로 형성시키며, 창의 네변에 설치된 벽체 중 다른 한쌍의 벽체에 배면판을 설치하되, 배면판을 벽체의 외단 굴곡부에 대응하는 굴곡면으로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에 있어서의 액자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 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틀 2. 사진끼움부
3. 배면판 22. 벽체
30.굴곡면 222. 굴곡부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2 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3 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이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틀(1)과 그 중심부에 형성되는 사진끼움부(2)로 된 것에 있어서, 사진끼움부(2)에는 창(21)과, 창(21)의 네변에 설치된 벽체(22)로 구성되고, 창의 네변에 설치된 벽체(22) 중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벽체(221)는 그 외단을 원호형의 굴곡부(222)로 형성시키며, 창의 네변에 설치된 벽체(22) 중 다른 한쌍의 벽체(223)에 배면판(3)을 설치하되, 배면판(3)을 벽체(221)의 외단 굴곡부(222)에 대응하는 굴곡면(30)으로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5는 창내에 설치되는 투명창이고, 4는 액자에 삽입 전시되는 사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전시하고자하는 사진(4)을 배면판(3)의 굴곡면(30)에 밀착시킨후 사진(4)의 양측단부를 한쌍의 벽체(221) 외단에 형성된 굴곡부(222)에 접촉하도록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사진끼움부(2)에 삽입된 사진(4)은 배면판(3)의 굴곡면(30)과 한쌍의 벽체(221) 외단에 형성된 굴곡부(222)에 의해 오목한 원호형으로 삽입 설치되어 보는 이로 하여금 원근감과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이어 사진의 전면에 투명창(5)을 사진(4)과 동일한 방법으로 삽입 설치시키며, 이때 투명창은 유연한 합성수지재질로 형성시킴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액자를 재치시키기 위하여는 틀(1)의 각면에 형성된 홈(6)의 내부로 지지대(7)를 선택적으로 삽입시켜 액자를 지지하게 함으로서 액자를 탁자등에 재치시킬 수 있으며, 액자를 벽면에 걸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홈(6)의 내부로 벽면에 설치된 고리를 삽입시켜 액자를 벽면에 걸어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전시되는 사진을 보다 원근감이 있고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음은 물론 액자를 보다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틀(1)과 그 중심부에 형성된 사진끼움부(2)로된 것에 있어서, 사진끼움부(2)에는 창(21)과, 창(21)의 네변에 설치된 벽체(22)로 구성되고, 창의 네변에 설치된 벽체(22) 중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벽체(221)는 그 외단을 원호형의 굴곡부(222)로 형성시키며, 창의 네변에 설치된 벽체(22) 중 다른 한쌍의 벽체(223)에 배면판(3)을 설치하되, 배면판(3)을 벽체(221)의 외단 굴곡부(222)에 대응하는 굴곡면(30)으로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KR2020000036020U 2000-12-21 2000-12-21 액자 KR2002356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020U KR200235628Y1 (ko) 2000-12-21 2000-12-21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020U KR200235628Y1 (ko) 2000-12-21 2000-12-21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628Y1 true KR200235628Y1 (ko) 2001-09-25

Family

ID=73061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020U KR200235628Y1 (ko) 2000-12-21 2000-12-21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6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73723A (en) Interconnected hanging picture frames
US5787627A (en) Soft, pliable picture frame and method of framing a picture
US20020174580A1 (en) Movement effect visual display
CN216084163U (zh) 一种可实现裸眼观看立体画面的led显示屏
US5617663A (en) Three-dimensional photograph stand
KR200235628Y1 (ko) 액자
KR200270217Y1 (ko) 사진교환이 간편한 자석부착식 액자
KR200216448Y1 (ko) 액자
US6550166B1 (en) License plate frame and method of use
USD431374S (en) Autographed picture frame
KR200425200Y1 (ko) 벽걸이형 액자
JPH0558079U (ja) 立体写真立て
JP3086282U (ja) 写真立て
KR200345474Y1 (ko) 장식용 액자
KR200198773Y1 (ko) 부착용 사진틀
KR200229905Y1 (ko) 렌티큘러를 이용한 액자형 광고간판
KR200185094Y1 (ko) 사진액자
CN214341447U (zh) 一种立体相框
JPS6129347Y2 (ko)
KR200244049Y1 (ko) 벽걸이용 태극기
CN209950909U (zh) 一种圆形铝合金框
JP3104117U (ja) 立体表示シート鑑賞立て
CN211059760U (zh) 一种支撑组件
KR19990033272U (ko) 사진 액자
JP3013272U (ja) 紙片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