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773Y1 - 부착용 사진틀 - Google Patents

부착용 사진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773Y1
KR200198773Y1 KR2020000008082U KR20000008082U KR200198773Y1 KR 200198773 Y1 KR200198773 Y1 KR 200198773Y1 KR 2020000008082 U KR2020000008082 U KR 2020000008082U KR 20000008082 U KR20000008082 U KR 20000008082U KR 200198773 Y1 KR200198773 Y1 KR 2001987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late
plate
photo frame
steel pane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환
Original Assignee
김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환 filed Critical 김상환
Priority to KR2020000008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7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7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착용 사진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종래 금형을 몸체에서 이탈시키고자 할 때 그 이탈작업이 쉽지않아 작업성이 저하되고, 몸체에 밀착판 결합시 몸체에 삽입된 사진이 밀착판에 의해 몸체의 외부로 밀리게 되며, 몸체와 밀착판 결합시 서로 맞닿게 되어 몸체에 흠집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 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투명판으로 형성되고 상·하단부에는 배면으로 일체로 절형된 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의 내측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다수의 걸림턱이 돌출형성된 몸체와; 상기 걸림턱에 결합될 수 있게 상·하단부에 전면으로 경사진 끼움부가 형성되고, 배면에는 철제판넬에 부착될 수 있게 다수의 자석이 구비된 밀착판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은 사진틀을 이루는 몸체와 밀착판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사진틀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리하고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금형을 몸체의 배면으로 직접 이탈시킴으로써 몸체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밀착판이 몸체의 배면에 직접 끼워지므로써 몸체의 배면에 삽입된 사진이 밀착판에 의해 몸체의 외부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더러 몸체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부착용 사진틀{A PICTURE FRAME FOR ADHESION}
본 고안은 부착용 사진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진틀의 구조를 변경하여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사진이 외부로 밀리지 않도록 하며, 편리하고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부착용 사진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념사진을 오랫동안 원상태로 보관하면서도 항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액자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액자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틀체에 투명체의 덮개를 끼운 후 공간부에 사진을 끼운 다음 두꺼운 판재등으로 고정하는 사진틀이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진틀은 벽에 걸어 사용하거나 탁상등에 세워 사용하므로 장식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30401호에 개시된 장식용 사진틀 액자에 의해 해소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진틀은 대략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틀(100)은 투명판으로 형성되고 상·하단부 배면에는 가이드부(113)가 형성되도록 일측에 경사부(111a)를 갖는 결합편(111)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경사부(111a)에 대응되는 역 경사면(122)이 상·하단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배면에는 다수의 자석(124)이 설치된 밀착판(1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진틀(100)이 자석(124)에 의해 전면에 부착되고 배면은 벽면(W)에 설치되는 철재판넬(13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배면과 밀착판(120)의 전면 사이에는 사진(140)이 삽입될 수 있게 삽지부(S)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몸체(110)와 밀착판(120)을 조립하여 사진틀(100)을 형성 한다. 즉, 몸체(110)의 배면에 사진(140)의 전면이 향하도록 삽입한 후 상기 밀착판(120)을 몸체(110)에 결합시키되, 상기 밀착판(120)의 경사면(122)을 몸체(110)의 가이드부(113)로 위치시킨 다음 좌측 또는 우측으로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밀착판(120)의 경사면(122)이 몸체(110)의 경사부(111a)로 슬라이드 되면서 삽입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사진틀(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철제판넬(130)을 벽면(W)에 걸릴 수 있게 설치하고, 상기 철제판넬(130)의 전면에 사진틀(100)을 부착시켜 사용하였고, 사용자의 취향에 맞도록 사진틀(100)을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어 시각적 효과와 상품적 가치를 극대화 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사진틀(100)은 몸체(110)를 금형으로 사출 성형하게 되는데, 금형을 몸체에서 이탈하고자 할 경우 금형을 몸체(110)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결합편(111)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탈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몸체(110)의 일측 또는 타측의 크기는 서로 미세하게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금형을 이탈시 비교적 크기가 큰 부위로 금형을 이탈시켜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었을 뿐더러 대량생산에 부적합하였으며, 또한 몸체(110)에 밀착판(120)을 결합시 밀착판(12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삽입해야 하므로써 몸체(110)의 배면에 삽입된 사진(140)이 밀착판(120)에 의해 몸체(110)의 외부로 밀려 이탈될 뿐만 아니라 몸체(110)에 흠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사진틀의 구조를 변경하여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사진이 외부로 밀리지 않도록 하며, 편리하고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벽면에 설치된 철제판넬에 부착되는 부착용 사진틀에 있어서, 투명판으로 형성되고 상·하단부에는 배면으로 일체로 절형된 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의 내측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다수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몸체; 상기 걸림턱에 결합될 수 있게 상·하단부에 전면으로 경사진 끼움부가 형성되고, 배면에는 상기 철제판넬에 부착될 수 있게 다수의 자석이 구비된 밀착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용 사진틀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도 1은 종래 부착용 사진틀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부착용 사진틀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이 철제판넬에 모자이크 형식으로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진틀 20 : 몸체
21 : 결합편 23 : 걸림턱
30 : 밀착판 31 : 끼움부
33 : 자석 40 : 철제판넬
W : 벽면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부착용 사진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써, 본 고안은 사진틀(10), 철재판넬(40)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사진틀(10)은 사진(50)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몸체(20)와, 상기 몸체(20)에 결합되는 밀착판(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20)는 사각형상으로 투명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하단부에는 배면으로 절형된 결합편(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편(21)의 내측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다수의 걸림턱(23)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23)은 상기 결합편(21)의 일측 단부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구배진 제 1가이드부(23a)와, 상기 제 1가이드부(23a)의 끝단부에서 결합편(21)의 타측으로 구배진 제 2가이드부(23b)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착판(30)은 상기 걸림턱(23)에 결합될 수 있게 상·하단부에 전면으로 경사진 끼움부(31)가 형성되어 있고, 배면에는 철제판넬(40)에 부착될 수 있게 다수의 자석(33)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밀착판(30)은 몸체(20)와 동일하게 투명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20)의 배면과 밀착판(30)의 전면 사이에는 사진(50)이 삽입될 수 있게 삽지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철제판넬(40)은 상기 사진틀(10)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배면에는 벽면(W)에 설치될 수 있게 각 가장자리부가 절곡되어 공간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몸체(20)와 밀착판(30)을 결합시키되, 그 전에 몸체(20)의 배면에 사진(50)의 전면이 향하도록 장착시킨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몸체(20)의 배면에 사진(50)을 안착시키되, 사진(50)의 전면이 배면을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상기한 몸체(20)에 사진(50)이 설치되면 상기 밀착판(30)을 몸체(20)의 배면에 설치한다. 즉, 몸체(20)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23)에 밀착판(30)의 하단부에 형성된 끼움부(31)를 위치시킨 후 밀착판(30)의 상단부에 형성된 끼움부(31)는 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23)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밀착판(30)을 몸체(20)에 결합시키면 사진틀(10)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밀착판(30)의 끼움부(31)는 걸림턱(23)의 제 1가이드부(23a)와 제 2가이드부(23b)를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밀착판(30)이 몸체(20)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결합편(21) 사이에 끼워지게 되어 몸체(20)와 밀착판(30)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사진(50)은 몸체(20)의 배면과 밀착판(30)의 전면 사이에 형성된 삽지부(12)에 위치하면서 움직이지 않은 상태로 밀착 고정되는데, 이는 종래와 같이 밀착판이 몸체의 배면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삽입하는 방식이 아니라 밀착판(30)이 몸체(20)의 배면에 직접 결합되어 지는 것으로, 사진(50)이 몸체(20)의 외부로 밀리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고, 밀착판(30)에 의해 몸체(20)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진틀(10)이 형성되면 상기 벽면(W)에 철재판넬(40)을 설치하되 상기 철재판넬(40)의 배면에 형성된 공간부(42)가 벽면(W)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철재판넬(40)이 벽면(W)에 설치되면 사진틀(10)을 철제판넬(40)의 전면에 부착시키면 된다. 이때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사진틀(10)을 철재판넬(40)에 부착시키면 시각적인 효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 사진틀이 철재판넬에 다양하게 설치된 도면으로써, 도 4a는 벽면(W)에 설치된 철제판넬(40)이 사각 형상으로 설치된 것으로, 철제판넬(40)의 전면에 각각 다른 사진(50)이 설치된 사진틀(10)을 일정 간격으로 부착한 것이고, 도 4b는 철제판넬(40)의 전면에 각각 다른 사진(50)이 설치된 사진틀(10)을 각도를 주어 부착한 것이다.
그리고, 도 4c는 벽면(W)에 설치되는 철제판넬(40)을 마름모 형상으로 설치한 것으로, 사진틀(10)의 부착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도 5는 철제판넬(40)에 부착되는 사진틀(10)을 모자이크 형식으로 구현한 것이다. 즉, 하나의 사진(50)이 연출 될 수 있도록 사진틀(10)에 사진(50)을 끼운 다음 사진틀(10)을 서로 맞닿도록 배열 설치한 것으로, 시각적 효과 뿐만 아니라 사진틀(10)에 끼워진 사진(50)의 전체 형상을 입체감 있게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진틀(10)이 부착되는 철제판넬(40)을 3개 또는 다수개가 하나의 셋트로 하여 벽면(W)에 설치하면 보다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부착용 사진틀에 따르면 투명판으로 형성되고 상·하단부에는 배면으로 일체로 절형된 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의 내측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다수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몸체와; 상기 걸림턱에 결합될 수 있게 상·하단부에 전면으로 경사진 끼움부가 형성되고, 배면에는 철제판넬에 부착될 수 있게 다수의 자석이 구비된 밀착판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진틀을 이루는 몸체와 밀착판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사진틀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리하고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금형을 몸체의 배면 방향으로 직접 이탈시킴으로써 몸체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밀착판이 몸체의 배면에 직접 끼워지므로써 몸체의 배면에 삽입된 사진이 밀착판에 의해 몸체의 외부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더러 몸체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벽면(W)에 설치된 철제판넬(40)에 부착되는 부착용 사진틀에 있어서,
    투명판으로 형성되고 상·하단부에는 배면으로 일체로 절형된 결합편(2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21)의 내측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다수의 걸림턱(23)이 돌출 형성된 몸체(20);
    상기 걸림턱(23)에 결합될 수 있게 상·하단부에 전면으로 경사진 끼움부(31)가 형성되고, 배면에는 상기 철제판넬(40)에 부착될 수 있게 다수의 자석(33)이 구비된 밀착판(3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용 사진틀.
KR2020000008082U 2000-03-22 2000-03-22 부착용 사진틀 KR2001987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082U KR200198773Y1 (ko) 2000-03-22 2000-03-22 부착용 사진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082U KR200198773Y1 (ko) 2000-03-22 2000-03-22 부착용 사진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773Y1 true KR200198773Y1 (ko) 2000-10-02

Family

ID=1964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082U KR200198773Y1 (ko) 2000-03-22 2000-03-22 부착용 사진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7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6470A (en) Quick change picture frame
US5174054A (en) Picture frame
JP2016528978A (ja) 装飾フレーム
KR200198773Y1 (ko) 부착용 사진틀
CN209235562U (zh) 相框
KR200453604Y1 (ko) 배면 덮개부가 용이하게 분리되는 액자
US20040261307A1 (en) Shadow box having multiple display surfaces and shadow box kit
GB2079598A (en) Picture frame
WO2012059712A1 (en) A wall frame
USD431374S (en) Autographed picture frame
KR101226238B1 (ko) 액자 및 그 제조방법
USD453422S1 (en) Photograph display frame
KR200216448Y1 (ko) 액자
KR200265766Y1 (ko) 아크릴 판 액자
KR200226861Y1 (ko) 자석 액자
KR200412654Y1 (ko) 이중 액자
KR200242025Y1 (ko) 뒷판이 일체로 형성된 액자
KR200408732Y1 (ko) 자석액자
KR19990033272U (ko) 사진 액자
KR200345474Y1 (ko) 장식용 액자
KR200484227Y1 (ko) 탄성 고정체가 구비되는 액자
KR200358837Y1 (ko) 유리액자
KR100776323B1 (ko) 벽걸이 액자
KR20220040018A (ko) 자석을 이용한 부착식 액자
KR200274872Y1 (ko)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