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954A -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 - Google Patents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954A
KR20180074954A KR1020160178762A KR20160178762A KR20180074954A KR 20180074954 A KR20180074954 A KR 20180074954A KR 1020160178762 A KR1020160178762 A KR 1020160178762A KR 20160178762 A KR20160178762 A KR 20160178762A KR 20180074954 A KR20180074954 A KR 20180074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cture
floating
photograph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재명
Original Assignee
차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재명 filed Critical 차재명
Priority to KR1020160178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4954A/ko
Publication of KR2018007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38Frameless pictur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66Frontloading 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88Picture frames where the picture is inserted through a slit in one of the fram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94Picture frames comprising means allowing the frame to be supported on a horizontal surface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을 없앤 사진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자를 구성하고 있는 플로팅 프레임과, 그 플로팅 프레임에 결합 되는 커버를 효율적인 구조와 투명한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우선 액자의 폭이 사진의 폭보다 약 2mm정도밖에 크지 않고, 해당 부분도 투명하게 구성하고 벽과 액자가 결합하는 데 필요한 구조물은 사진 뒤로 숨도록 구조를 구성하여, 상기 액자가 장착되는 장소의 뒷 배경 색상 및 그림이 액자를 통해 투과로 인하여 액자가 외부에 보여지지 않기 때문에 사진을 감상함에 있어서 액자에 먼저 눈길이 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액자에 결합 된 사진이 공중에 떠 있는 느낌을 연출할 수 있으며, 사진이 결합 되는 플로팅 프레임에는 일측이 개구 된 삽입홈을 형성하고, 그 삽입홈의 내측으로 사진을 이동시키는 이동홈을 상기 플로팅 프레임의 후면에 장 방향으로 형성하여 사진을 플로팅 프레임의 삽입홈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쉽게 사진을 교체할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이러한 프레임이 없는 액자에 더하여 끼움홈이 구비된 추가 액자 프레임을 사진이 결합 된 플로팅 프레임의 외부 끼움홈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할 경우 기존의 액자와 같은 시각적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 { A Frameless Floating Picture Frames }
본 발명은 프레임을 없앤 사진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자를 구성하고 있는 플로팅 프레임과, 그 플로팅 프레임에 결합 되는 커버를 효율적인 구조와 투명한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우선 액자의 폭이 사진의 폭보다 약 2mm정도밖에 크지 않고, 해당 부분도 투명하게 구성하고 벽과 액자가 결합하는 데 필요한 구조물은 사진 뒤로 숨도록 구조를 구성하여, 상기 액자가 장착되는 장소의 뒷 배경 색상 및 그림이 액자를 통해 투과로 인하여 액자가 외부에 보여지지 않기 때문에 사진을 감상함에 있어서 액자에 먼저 눈길이 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액자에 결합 된 사진이 공중에 떠 있는 느낌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란 사진 또는 그림 등이 손상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시로 볼 수 있게 벽 등에 걸어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사진 내지 그림을 벽 등에 걸어 놓고 사용하는 액자는 사각 모양으로 형성되는 액자 프레임과, 상기 액자 프레임에 사진을 결합할 수 있는 후면판넬로 대별된다.
상기 액자 프레임은 사각 모양으로 나무 또는 금속 또는 불투명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면판넬로 인해 액자 프레임에 결합 된 사진이 상기 액자 프레임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의 전면 중앙에 차단부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사진을 먼저 차단부의 후면에 밀착되게 액자 프레임에 가 결합한 상태에서 후면판넬을 상기 액자 프레임에 결합하여 상기 사진을 액자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진이 결합 된 액자의 후면판넬에는 별도의 와이어를 결합하여 사진이 결합 된 액자를 벽면 등에 걸어놓거나 상기 후면판넬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밀착부를 결합하여 유리 등에 액자를 부착한다
그러나 종래의 액자의 문제점은 사진이 결합 되는 액자의 액자 프레임이 나무나 기타 소재로 폭이 두껍게 형성이 되고, 후면판넬은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기 액자를 벽면 등에 걸어놓을 시 사진보다 먼저 액자에 시선을 뺏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사진이 결합 되는 액자 프레임과 그 액자 프레임에 사진을 고정하는 후면판넬을 각각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제조 공정상의 복잡성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서 제작 비용이 증가하였다.
또한 기존의 액자 구조에서는 프레임이 필요함에 따라서 액자 프레임의 폭 만큼 사진보다 폭이 크게 증가하여 좁은 장소에 많은 사진 액자를 효율적으로 배치하기가 어려웠다.
◈ 선행 기술 문헌 ◈
한국 공개 실용신안 제 2011-0007180 호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액자를 구성하고 있는 플로팅 프레임과, 그 플로팅 프레임에 결합 되는 커버를 효율적인 구조와 투명한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우선 액자의 폭이 사진의 폭보다 약 2mm정도밖에 크지 않고, 해당 부분도 투명하게 구성하고 벽과 액자가 결합하는 데 필요한 구조물은 사진 뒤로 숨도록 구조를 구성하여, 상기 액자가 장착되는 장소의 뒷 배경 색상 및 그림이 액자를 통해 투과로 인하여 액자가 외부에 보여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액자에 결합 된 사진이 공중에 떠 있는 시각적인 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사진이 결합 되는 플로팅 프레임에는 일측이 개구 된 삽입홈을 형성하고, 그 삽입홈의 내측으로 사진을 이동시키는 이동홈을 상기 플로팅 프레임의 후면에 장 방향으로 형성하여 사진을 플로팅 프레임의 삽입홈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매우 용이하게 사진을 교체할 수 있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이러한 프레임이 없는 액자에 더하여 끼움홈이 구비된 액자 프레임을 사진이 결합 된 플로팅 프레임의 외부 끼움홈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할 경우 기존의 액자와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한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사진을 벽면 등에 걸어 놓을 수 있는 액자(10)를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투명한 사진 액자에 있어서,
액자는,
사진이 안착 되는 안착홈이 중앙에 구비된 플로팅 프레임과;
액자몸체의 전면에 결합 되는 커버;로 구성하되,
상기 플로팅 프레임과 커버는,
투명한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액자에 삽입된 사진이 공중에 떠 있는 듯한 느낌이 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플로팅 프레임과, 그 플로팅 프레임에 결합 되는 커버를 효율적인 구조로 투명한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우선 액자의 폭이 사진의 폭보다 불과 2mm정도밖에 크지 않고, 상기 액자가 장착되는 장소의 뒷 배경 색상 및 그림이 액자를 통해 투과로 인하여 액자가 외부에 보여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액자에 결합 된 사진이 공중에 떠 있는 느낌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액자의 구조가 매우 단순하고 제조 공정이 단순화 되므로, 이로 인하여 액자 제작 비용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진이 결합 되는 플로팅 프레임에는 일측이 개구 된 삽입홈을 형성하고, 그 삽입홈의 내측으로 사진을 이동시키는 이동홈을 상기 플로팅 프레임의 후면에 장 방향으로 형성하여 사진을 플로팅 프레임의 삽입홈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언제든지 쉽게 사진을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이러한 프레임이 없는 액자에 더하여 끼움홈이 구비된 추가 액자 프레임을 사진이 결합 된 플로팅 프레임의 외부 끼움홈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할 경우 기존의 액자와 같은 시각적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를 도시한 제1 실시 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의 후면을 도시한 제1 실시 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를 도시한 제1 실시 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의 제1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의 제2 실시 예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의 제2 실시 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의 제2 실시 예의 밀착부가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의 제2 실시 예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의 제2 실시 예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의 제3 실시 예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의 제3 실시 예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의 액자 프레임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사진이 결합 되는 액자(10)를 투명한 합성 수지 재질로 제작하여 사진을 벽면 등에 걸어 놓았을 때 상기 액자(10)를 통해 벽면에 있는 색상 내지 그림 등이 투과되면서 상기 액자(10)에 결합 된 사진이 공중에 떠 있는 것을 연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사진이 공중에 떠 있는 상태를 연출하는 액자(10)는 도면을 이용하여 제1 실시 예 내지 제 3 실시 예로 대별되게 설명하기로 한다
◈ 제1 실시 예 ◈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액자(10)는 투명한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플로팅 프레임(70)을 형성하고, 사진을 플로팅 프레임(70)의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일측면이 개구된 삽입홈(80)을 도 1과 같이 플로팅 프레임(70)에 형성한다.
상기 삽입홈(80)이 형성된 플로팅 프레임(70)의 후면 상,하부에는 이동홈(90)을 삽입홈(80)과 연통 되게 형성하는 데, 상기 이동홈(90)은 사진이 끼워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다.
그리고 사진이 결합 된 플로팅 프레임(70)을 대상물인 벽면 등에 걸어 놓을 수 있는 고리(120)를 도 2와 같이 플로팅 프레임(70)의 후면 상부 및 일측단에 형성하고,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끼움부(121)를 플로팅 프레임(70)의 후면에 형성한다.
상기 플로팅 프레임(70)의 후면에 구비된 끼움부(121)에는 도 2와 같이 밀착부(130)를 결합 구성하여 표면이 매끄러운 유리 등에 사진이 삽입된 플로팅 프레임(70)을 밀착부(130)를 이용하여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끼움부(121)에는 도 4의 (c)와 같이 받침부(140)를 결합 구성하여 사진이 결합 된 플로팅 프레임(70)을 상부로 상향 경사지게 세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끼움부(121)에 결합 되는 밀착부(130)는 도 2와 같이 끼움부(121)의 내측에 끼워지는 밀착몸체(131)를 형성하고, 상기 밀착몸체(131)의 후면에는 밀착판(132)을 형성한다.
상기 받침부(140)는 도 4의 (c)와 같이 끼움부(121)의 내측에 끼워지는 받침몸체(141)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몸체(141)의 후면에는 힌지부(142)를 형성하며, 힌지부(142)에는 사진이 결합 된 플로팅 프레임(70)을 상향 경사지게 세울 수 있는 받침대(143)를 전,후로 회동되게 힌지 결합한다.
이때, 플로팅 프레임(70)의 후면에 형성되는 고리(120) 및 끼움부(121)는 사진을 플로팅 프레임(70)의 삽입홈(80) 내측에 결합 시 가려지는 위치에 형성됨을 밝히는 바이다.
그리고 삽입홈(80)을 통해 사진을 플로팅 프레임(70)의 내부로 삽입 시 사진의 폭과 플로팅 프레임(70)의 폭의 차이는 2㎜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의 (a)와 같이 삽입홈(80)에 구비된 개구단을 통해 사진의 일측이 이동홈(90)에 노출되게 끼워 결합한다.
그리고 사진의 후면에 손가락이 접촉되게 도 3의 (b)와 같이 이동홈(90)에 끼운 상태에서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손가락을 이동시켜 플로팅 프레임(70)에 구비된 삽입홈(80)에 사진을 완전히 삽입한다.
사진이 삽입홈(80)에 삽입되면, 상기 플로팅 프레임(70)이 후면에 구비된 고리(120)에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와이어를 결합하여 도 4의 (a)와 같이 사진이 결합 된 플로팅 프레임(70)을 장착 대상물인 벽면 등에 장착하거나 도 4의 (c)와 같이 받침대(143)가 구비된 받침부(140)를 결합하여 사진이 삽입된 플로팅 프레임(70)을 독자적으로 세울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사진이 내측으로 삽입된 플로팅 프레임(70)을 도 4의 (a)와 같이 벽면 등에 걸어놓을 시 상기 벽면에 있는 색상 및 그림이 플로팅 프레임(70)을 통해 전면으로 투과되기 때문에 사진이 공중에 떠 있는 느낌을 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투명한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플로팅 프레임(70)의 삽입홈(80)에 사진을 삽입한 상태에서 그 플로팅 프레임(70)을 장착 대상물인 벽면 등에 걸어 놓을 시 사진을 제외한 플로팅 프레임(70)의 나머지 부분을 통해 벽면 등에 있는 색상 및 그림 등이 투과되므로, 액자(10)가 장착되는 대상물인 벽면과 액자(10) 사이로 경계면이 외부로 보이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사진이 공중에 떠 있는 느낌을 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진을 투명한 합성 수지 재질의 플로팅 프레임(70)에 결합한 후에 사진을 전시하게 되면, 플로팅 프레임(70)을 통해 전면으로 투과되는 대상물의 색상 및 그림으로 인해 전시물을 보러 온 관람객들은 액자(10)를 보지 않기 때문에 전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플로팅 프레임(70)의 삽입홈(80)에 사진을 끼워 결합 시 사진의 폭과 액자(10)의 플로팅 프레임(70)의 폭 차이는 2㎜ 이므로, 도 4의 (b)와 같이 사진이 결합 된 액자(10)의 플로팅 프레임(70)을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플로팅 프레임(70)의 삽입홈(80)과 연통 되는 이동홈(90)을 도 2와 같이 장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이동홈(90)을 통해 사진을 삽입홈(80)의 내측에 완전히 결합할 수 있어 플로팅 프레임(70)에 사진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사진이 결합 되는 플로팅 프레임(70)은 투명한 합성 수지 재질 이외에 유리 등과 같이 투명한 재질의 이루어진 것으로 제작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 제2 실시 예 ◈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하여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실시 예의 액자(10)는 도 5와 같이 사진이 결합 되는 플로팅 프레임(20)과 상기 플로팅 프레임(20)이 결합 되는 커버(40)로 구성된다.
상기 플로팅 프레임(20)의 전면 중앙에는 사진이 억지로 끼워져 안착 되는 안착홈(30)을 형성하고, 안착홈(3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고정부(31)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31)의 후면에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상기 관통홀(32)을 도 5와 같이 형성하여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관통홀(32)에 와이어를 결합하거나 또는 벽면에 결합 된 못 등을 관통시켜 사진이 결합 된 액자(10)를 벽면 등에 걸어 놓는다.
그리고 고정부(31)의 후면 중앙으로부터 대칭되게 걸림홈(34)이 상,하로 길게 구비된 고정홀(33)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홀(33)에 관통되게 밀착부(130)를 결합한다.
상기 걸림홈(34)이 구비된 고정홀(33)이 밀착부(130)가 결합 되는 과정을 도 7의 (a), (b)를 이용하여 설명을 하게 되면, 먼저, 도 7의 (a)와 같이 고정홀(33)에 관통되게 밀착부(130)의 밀착몸체(131)를 결합한 상태에서 도 7의 (b)와 같이 고정홀(33)에 관통된 밀착몸체(131)를 상부로 이동시켜 밀착부(130)를 플로팅 프레임(20)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고정홀(33)에는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제1 실시 예와 같이 받침대(143)가 구비된 받침부(140)를 결합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사진이 안착 된 플로팅 프레임(20)의 전면에는 도 1과 같이 투명한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40)를 결합한다.
이때, 사진이 안착 되는 플로팅 프레임(20) 및 커버(40)는 투명한 합성 수지 재질 이외에 투명한 재질인 유리 등으로 이루어짐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커버(40)는 커버몸체(50)의 후면 상,하부에는 'ㄱ' 자 모양의 가이드부(51)를 대칭되게 형성하여 사진이 결합 된 플로팅 프레임(20)을 커버몸체(50)의 후면에 슬라이딩 결합한다.
이와 같이 사진이 결합 된 플로팅 프레임(20)을 커버몸체(50)의 후면 상,하단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51)를 이용하여 커버(40)에 상기 플로팅 프레임(20)을 슬라이딩 결합하기 때문에 사진이 결합 된 플로팅 프레임(2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진이 결합 되는 플로팅 프레임(20)과 커버(40)는 투명한 합성 수지 재질로 제작하기 때문에 사진이 결합 된 액자(10)를 벽면 등에 설치 시 상기 액자(10)가 결합 된 벽면의 색상 및 그림 등이 액자(10)를 통해 투과되기 때문에 액자(10)에 결합 된 사진이 공중에 떠 있는 느낌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액자(10)를 제작하는 작업자는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색상을 가진 액자(10)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어 액자(10)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액자(10)를 선택하는 사용자는 집안의 벽면 색상 내지 그림 등과 어울리는 액자(10)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커버(40)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동일 구성 요소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하여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40)는 플로팅 프레임(20)의 양측단에 결합 되는 결합부(61)를 커버몸체(60)의 후면에 돌출 형성하고, 상기 커버몸체(60)의 일측단에 구비된 결합부(61)의 하단을 연결부(62)로 연결한다.
따라서, 도 9의 (a)와 같이 연결부(62)를 중심으로 커버몸체(60)를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플로팅 프레임(20)의 안착홈(30)에 사진을 결합하고, 외측 방향으로 회전된 커버몸체(60)를 연결부(62)를 이용하여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플로팅 프레임(20)에 결합하므로, 상기 플로팅 프레임(20)에 결합 된 사진을 교치하고자 할 때에는 액자(10)를 벽면 등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커버(40)만을 내,외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진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진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 제3 실시 예 ◈
도 10과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하여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진이 결합 된 플로팅 프레임(20)(70)을 도 12와 같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액자 프레임(100)에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플로팅 프레임(20)(70)이 결합 되도록 액자 프레임(100)의 중앙에 도 11과 같이 끼움홈(101)을 형성한다.
그리고 끼움홈(101)에 끼워진 플로팅 프레임(20)(70)이 전면을 통해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단(102)을 상기 끼움홈(101)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한다.
이와 같이 플로팅 프레임(20)(70)이 결합 되는 액자 프레임(100)은 투명한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다양한 색상으로 액자 프레임(100)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진이 결합 된 플로팅 프레임(20)(70)을 액자 프레임(100)의 끼움홈(101)에 결합하므로, 기존 액자와 같은 시각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플로팅 프레임((20)(70)의 외주면에 다양한 색상 또는 무늬가 새겨진 액자 프레임(100)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결합하여 사용하여 기존과 같은 액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10: 액자, 20, 70: 플로팅 프레임,
30: 안착홈, 31: 고정부,
32: 관통홀, 33: 고정홀,
34: 걸림홈, 40: 커버,
50, 60: 커버 몸체, 51: 가이드부,
61: 결합부, 62: 연결부,
80: 삽입홈, 90: 이동홈,
100: 액자 프레임, 101: 끼움홈,
102: 걸림단, 120: 고리,
121: 끼움부, 130: 밀착부,
131: 밀착몸체, 132: 밀착판,
140: 받침부, 141: 받침몸체,
142: 힌지부, 143: 받침대,

Claims (5)

  1. 사진을 벽면 등에 걸어 놓을 수 있는 액자(10)를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에 있어서,
    액자(10)는,
    사진이 안착 되는 안착홈(20)이 중앙에 구비된 플로팅 프레임(20)과;
    액자몸체(20)의 전면에 결합 되는 커버(40);로 구성하되,
    상기 플로팅 프레임(20)과 커버(40)는,
    투명한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액자(10)에 삽입된 사진이 공중에 떠 있는 듯한 느낌이 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커버(40)는,
    플로팅 프레임(20)이 슬라이딩 결합 되도록 가이드부(51)를 커버몸체(50)의 후면 상,하단에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
  3.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커버(40)는,
    플로팅 프레임(20)의 양측면에 결합 되는 결합부(61)를 커버몸체(60) 양측면에 형성하되,
    커버몸체(60)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부(61)의 하단 내측에 액자몸체(20)와 연결되는 연결부(62)를 더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62)를 중심으로 커버(40)가 내,외측으로 회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
  4. 사진을 벽면 등에 걸어 놓을 수 있는 액자(10)를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투명한 사진 액자에 있어서,
    액자(10)는,
    사진이 삽입되도록 일측면에 개구 된 삽입홈(80)을 플로팅 프레임(70)의 내부에 형성하고,
    삽입홈(80)과 연통 되는 한 쌍의 이동홈(90)을 플로팅 프레임(70)의 후면에 장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80)의 내부에 사진의 일측을 끼운 상태에서 이동홈(90)을 이용하여 사진을 삽입홈(80) 내측에 삽입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플로팅 프레임(70)은, 투명한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액자(10)에 삽입된 사진이 공중에 떠 있는 느낌이 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
  5. 청구항 1 항 또는 청구항 4 항에 있어서,
    액자(10)가 끼워지는 끼움홈(101)이 중앙에 구비된 액자 프레임(100)을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하되,
    액자 프레임(100)은 투명한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거나 또는
    다양한 색상의 액자 프레임(100)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
KR1020160178762A 2016-12-26 2016-12-26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 KR20180074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762A KR20180074954A (ko) 2016-12-26 2016-12-26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762A KR20180074954A (ko) 2016-12-26 2016-12-26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954A true KR20180074954A (ko) 2018-07-04

Family

ID=6291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762A KR20180074954A (ko) 2016-12-26 2016-12-26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49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1259A (zh) * 2022-07-07 2022-11-25 绍兴壹叁玖文化传媒有限公司 沉浸式文化墙及其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1259A (zh) * 2022-07-07 2022-11-25 绍兴壹叁玖文化传媒有限公司 沉浸式文化墙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173B1 (ko) 베젤면이 노출되지 않는 광고대
KR20180074954A (ko)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
CN209235562U (zh) 相框
US20040261307A1 (en) Shadow box having multiple display surfaces and shadow box kit
KR200464550Y1 (ko) 양면 분리형 액자
KR20120013855A (ko) 자력착탈식 액자
JP2012105933A (ja) 接着・照明機能を備えた額縁・箱物
KR20150097900A (ko) 액자
KR200173658Y1 (ko) 부착식 액자
KR200360921Y1 (ko) 액자형 벽걸이 시계
CN210540394U (zh) 一种四面展示组合框
KR200185092Y1 (ko) 개폐식 액자
KR200412654Y1 (ko) 이중 액자
KR200481017Y1 (ko) 돌출형 액자
KR101239467B1 (ko) 베젤면을 구비하면서 조립라인이 없는 플라스틱 사출액자
KR200392452Y1 (ko) 전시용 액자
JP6888185B2 (ja) 建具
KR200334905Y1 (ko) 액자에 사용하기 위하여 자석을 구비하는 연결구
KR200304696Y1 (ko) 책상형 전시용 진열장의 개폐구조
TW412714B (en) Shaping material
KR200216048Y1 (ko) 다용도 조립식 액자
KR200317252Y1 (ko) 거울 내장형 액자
JP2004183318A (ja) 開戸付き疑似窓装置
KR19990033272U (ko) 사진 액자
KR100622072B1 (ko) 장식물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