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766Y1 - 아크릴 판 액자 - Google Patents

아크릴 판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766Y1
KR200265766Y1 KR2020010036774U KR20010036774U KR200265766Y1 KR 200265766 Y1 KR200265766 Y1 KR 200265766Y1 KR 2020010036774 U KR2020010036774 U KR 2020010036774U KR 20010036774 U KR20010036774 U KR 20010036774U KR 200265766 Y1 KR200265766 Y1 KR 2002657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sides
picture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환
Original Assignee
김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환 filed Critical 김상환
Priority to KR2020010036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7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766Y1/ko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진이나 그림 등의 개재 대상물의 교환이 쉽고 액자의 전면과 배면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가려짐 없이 개재 대상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액자는 사진 등의 대상물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형성된 체결부재를 해제하거나 결합용 고정핀을 회동시켜 후면판과 전면판의 압착을 해제하고 사진이나 그림 등의 대상물을 교체한 후 재차 체결부재 또는 고정핀을 회동시켜 주어야 함으로서 대상물의 교환이 곤란하고 번거로우며 액자의 전면으로만 대상물이 노출되어 관람이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대체적으로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임의의 마주보는 두 변과 상기 두 변에 교차되는 두 변에 각각 걸림턱이 형성된 전면판과 후면판을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결합편이 마련된 수용부를 가지는 액자용 틀에 결합토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액자.

Description

아크릴 판 액자{A acril frame}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크릴 판을 이용하여 서로 중첩토록 함으로서 표현되어진 사진이나 그림 등이 가려짐이 없이 관람할 수 있으면서 개재 대상물의 교환이 쉽고 액자의 전면과 배면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가려짐 없이 개재 대상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된 액자틀의 내면에 사진이나 그림 등의 개재 대상물을 끼우고 전면에는 유리나 아크릴 등의 투명체로 이루어진 전면판이 위치토록 하고 배면으로는 후면판을 위치시켜 전면판과 후면판을 가압 고정함으로서 사이에 개재된 대상물을 훼손되지 않도록 보관하면서 항상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액자는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로 개재된 대상물의 고정을 위하여 고정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거나 액자틀에 부착되어 회동되는 고정핀을 이용하여 압착되어지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액자는 사진 등의 대상물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형성된 체결부재를 해제하거나 고정핀을 회동시켜 후면판과 전면판의 압착을 해제하고 대상물을 교체한 후 재차 체결부재 또는 고정핀을 회동시켜 주어야 함으로서 대상물의 교환이 곤란하고 번거로우며 액자의 전면으로만 대상물이 노출되어 관람이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리나 아크릴 등의 투명체로 이루어진 액자의 전면판과 후면판을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지 않고도 압착된 상태로 액자틀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대체적으로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임의의 마주보는 두 변과 상기 두 변에 교차되는 두 변에 각각 걸림턱이 형성된 전면판과 후면판을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결합편이 형성된 수용부를 가지는 액자용 틀에 결합토록 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사용 상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전면판 12: 걸림턱
20: 후면판 22: 걸림턱
30: 수용부 32: 결합편
100: 틀 200: 대상물
300: 받침대 400: 부착부재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액자는, 소정의 규격을 갖는 전면판(10)과 상기 전면판(10)에 당접하는 후면판(20) 및 상기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내삽 되어지도록 수용부(30)가 마련된 소정의 두께와 규격을 갖는 틀(100)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틀(100)의 내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이나 그림 등의 대상물(200)이 개재되어지도록 수용부(30)가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30)의 내측으로는 임의의 마주하는 두 변의 전면과 후면으로는 변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결합편(32)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내삽되는 전면판(10)과 후면판(20)을 지지토록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편(3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용부(30)의 마주하는 두 변의 전면과 상기 두 변과 교차하고 단부에 이웃하는 두 변의 후면으로 각각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틀(100)은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삽착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약간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를 채택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편(32)은 변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형성함으로서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자유롭게 내삽 되어지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 전면판(10) 및 후면판(20)은 아크릴 등과 같이 투명한 소재로 구성됨으로서 개재되어지는 대상물(200)이 보여질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때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마주보는 양변에는 연장되게 형성된 결합편(32)에 치합토록 걸림턱(12)(22)을 돌출되게 형성하면 내삽후에 견고한 결합을 이루도록 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면판(10)으로는 양측변에 걸림턱(12)이 형성토록 하고, 당접되는 후면판(20)에는 상변과 하변에 걸림턱(22)이 형성되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전면판(10)의 상변과 하변에 걸림턱(12)을 형성하고 후면판(20)의 좌우 양변에 걸림턱(22)이 형성되도록 하여도 또한 같은 것이다.
특히 전면판(10)에 형성되는 걸림턱(12)은 후면쪽으로 치우치도록 형성하고 후면판(20)에 형성되는 걸림턱(22)은 전면쪽으로 치우치도록 형성함으로서 전면판(10)과 후면판(20)을 당접시킬 때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외주면으로는 걸림턱(12)(22)이 엇갈리면서 둘러질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액자에 사진이나 그림 등의 대상물(200)을 개재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면판(10)과 후면판(20) 사이로 대상물을 끼운 뒤 틀(100)의 수용부(30)에 삽착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때, 틀(100)을 가압하여 약간 만곡되어지도록 형성하고 당접된 전면판(10)과 후면판(20)을 일방으로 밀어넣으면 삽착을 쉽게 이룰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의 방법으로 삽착되어진 전면판(10)의 걸림턱(12)은 대응되는 틀(100)의 걸림편(32)에 교합되고 후면판(20)의 걸림턱(22)은 대응하는 걸림편(32)에 교합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의 액자는 대상물(200)이 끼워진 상태에서 틀(100)을 지지하는 받침대(300)에 끼워서 책상 위에 올려놓거나 흡착판이나 자석 등의 부착부재(400)를 이용하여 적당한 곳에 부착시켜 사용토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액자에 따르면, 사진이나 그림 등의 대상물이 훼손됨이 없이 간편하게 교환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전면 및 후면에 복수의 대상물을 개재시켜 관람의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새로운 미감을 표출시켜 책상 등에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틀(100)에 절개 형성된 수용부(30)의 내측으로 임의의 마주하는 두 변의 전면과 후면으로는 변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결합편(32)이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32) 사이로는 사진 등의 대상물(200)이 개재되어진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중첩되어 끼워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판 액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32)은 마주하는 두 변의 전면과 상기 두 변과교차하고 단부에 이웃하는 두 변의 후면으로 각각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판 액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 및 후면판(20)이 결합편(32)에 대응하는 양변에는 결합편(32)에 치합토록 걸림턱(12)(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판 액자.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20)의 배면으로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부착부재(40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판 액자.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틀(100)을 지지하는 받침대(300)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판 액자.
KR2020010036774U 2001-11-29 2001-11-29 아크릴 판 액자 KR200265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774U KR200265766Y1 (ko) 2001-11-29 2001-11-29 아크릴 판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774U KR200265766Y1 (ko) 2001-11-29 2001-11-29 아크릴 판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766Y1 true KR200265766Y1 (ko) 2002-02-25

Family

ID=7311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774U KR200265766Y1 (ko) 2001-11-29 2001-11-29 아크릴 판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7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09817B (zh) 光源装置和显示装置
KR200265766Y1 (ko) 아크릴 판 액자
KR200453604Y1 (ko) 배면 덮개부가 용이하게 분리되는 액자
CN209281803U (zh) 一种无前框组装结构
JPS5847171B2 (ja) 一体構成の額縁
USD479920S1 (en) Bench
USD431374S (en) Autographed picture frame
KR200198773Y1 (ko) 부착용 사진틀
US6639805B1 (en) Casing for a PC cartridge
KR19990033272U (ko) 사진 액자
CN200980518Y (zh) 相片框架结构
USD521042S1 (en) Digital camera
KR200258068Y1 (ko) 사진의 결합이 용이한 액자
KR200201404Y1 (ko) 볼록 액자
CN212624702U (zh) 简易灯箱壳及包括该简易灯箱壳的灯箱
CN215265496U (zh) 一种形象墙
JP2561553Y2 (ja) 額 縁
KR200377111Y1 (ko) 다방향으로 새워둠이 용이한 액자
USD956854S1 (en) Display viewer for camera
USD489909S1 (en) Glider
KR200242025Y1 (ko) 뒷판이 일체로 형성된 액자
JPS6129347Y2 (ko)
KR200216448Y1 (ko) 액자
TW200841072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225893Y1 (ko) 육면체 액자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