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893Y1 - 육면체 액자의 구조 - Google Patents

육면체 액자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893Y1
KR200225893Y1 KR2020000029434U KR20000029434U KR200225893Y1 KR 200225893 Y1 KR200225893 Y1 KR 200225893Y1 KR 2020000029434 U KR2020000029434 U KR 2020000029434U KR 20000029434 U KR20000029434 U KR 20000029434U KR 200225893 Y1 KR200225893 Y1 KR 200225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body
wall
picture frame
picture
sli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수
Original Assignee
조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수 filed Critical 조성수
Priority to KR2020000029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8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893Y1/ko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진 등을 수납하여 보관하여주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 육면체로 외관이 형성되어 상부면이 통공됨과 더불어 내벽 상부측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홈(11)이 형성된 외부몸체(10)와; 외부몸체(10)의 내부공간에 슬라이딩식으로 수용됨과 더불어 외부몸체의 바닥면과 내벽사이로 수납공간(21,22,23,24,25)을 형성하는 내부몸체(20) 및; 외부몸체(10)의 슬라이딩홈(11)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됨과 더불어 내부몸체상면과의 사이로 수납공간(31)을 형성하는 상판(30)으로 이루어져, 육면체액자의 상/하부면과 네 개의 벽면으로 사진이 수납되므로, 액자 한개로 다수개의 사진을 수납하게 되어 사진관리에 따른 제반부대 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액자의 외관이 향상되어 캐릭터상품으로도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육면체 액자의 구조 {Structure of hexahedron picture frame}
본 고안은 사진이나 그림 등을 수납하여 벽면으로 걸기 위한 틀로 이용되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자의 외관을 육면체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진의 수납개수를 증대시킴은 물론 캐릭터상품으로도 이용시킬 수 있도록 된 육면체 액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그림이나 글 또는 사진 등을 수납하여 고정시킨 다음 벽면이나 탁자 등을 장식하는 데에 이용되는 장식틀재로서, 이러한 액자는 사각형상의 외관을 이루는 외곽틀과, 이 외곽틀의 몸체에 장착되는 투명유리와, 외곽틀의 후방측에 고리를 통해 걸려 고정되는 후방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액자용 외곽틀의 후면 즉, 투명유리의 후방측에 수납하고자하는 사진 등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투명유리의 후방측에 후방판을 맞대고 사진을 고정시킨 다음, 액자의 후방측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있던 벽걸이용 고리를 이용하여 벽면으로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액자는, 통상 한면에만 사진이 수납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액자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경우 외관이 양호하지만, 탁자 등에 올려놓은 경우에는 그 후면을 이루는 후방판이 그대로 노출된 상태가 되므로, 외관을 해지게 됨은 물론 사진의 수납작업이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액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20-0191934호)에서와 같이, 액자를 양면으로 제작하여 두장의 사진을 수납하므로써, 액자의 후방측 외관을 향상시킴은 물론, 사진의 수납작업에 따른 작업과정을 단순화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실용신안공보에 의하면, 두장의 사진을 양면으로 수납하여 탁자에 올려놓을 수 있는 장점이 포함되어 있지만, 액자를 탁자에 세워서 지지할만한 마땅한 지지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그 실효성에 의문점이 있으며, 특히 벽면에 걸기 위한 작업과정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액자의 외관을 육면체형상으로 형성하여 각 벽면으로 사진을 수납하므로써 사진의 수납공간을 최대화함은 물론 캐릭터상품으로도 이용시킬 수 있도록 된 육면체 액자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육면체로 외관이 형성되어 상부면이 통공됨과 더불어 내벽상부측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외부몸체와; 외부몸체의 내부공간에 슬라이딩식으로 수용됨과 더불어 외부몸체의 바닥면과 내벽사이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의 슬라이딩홈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됨과 더불어 내부몸체상면과의 사이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육면체 액자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육면체 액자가 조립된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부몸체 11 : 슬라이딩홈
20 : 내부몸체 21,22,23,24,25 : 수납공간
30 : 상판 31 : 수납공간
40 : 걸림돌기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육면체 액자가 조립되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육면체 액자가 조립된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육면체로 외관이 형성되어 상부면이 통공됨과 더불어 내벽상부측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홈(11)이 형성된 외부몸체(10)과; 외부몸체(10)의 내부공간에 슬라이딩식으로 수용됨과 더불어 외부몸체의 바닥면과 내벽사이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몸체(20) 및; 외부몸체(10)의 슬라이딩홈(11)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됨과 더불어 내부몸체상면과의 사이로 수납공간(31)을 형성하는 상판 (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요소 중, 외부몸체(10)과 내부몸체(20)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판(30)은 판재형상으로 형성됨은 물론, 특히 내/외부몸체 (10,20)와 상판(30)은, 아크릴과 같이 투명하여 내부가 비추어짐은 물론 견고한 재질로 성형되어 있음을 첨언한다.
그리고, 외부몸체(10)는, 하우징전체를 지지하여주는 사각형상의 바닥면과과, 이 바닥면의 각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부착되는 네 개의 벽체로 구성되되, 벽체 중 어느하나의 벽체는 그 높이가 약간 낮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외부몸체(10)의 외관을 이루는 네 개의 벽체 중에서 높이가 낮은 한 개의 벽체는,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상판(30)의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만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외부몸체(10)의 내벽양측 즉, 네 개의 벽체 중 높이가 낮은 벽체를 중심으로하여 그 양측과 후면을 이루는 벽체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슬라이딩홈(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몸체(20)는, 외부몸체(10)의 외관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다만 크기만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으되, 그 바닥면에 둘레면을 따라 걸림돌기(40)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물론, 걸림돌기(40)는 사진의 두께에 상당하는 크기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외부몸체(10)와 내부몸체(20)의 사이공간에 사진수납공간을 형성시키게 된다.
또한, 내부몸체(20)는, 하우징을 지지하여주는 사각형상의 바닥면과, 이 바닥면의 각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부착되어진 네 개의 벽체와, 이 벽체의 상부측에 부착되어진 상부면으로 구성되며, 특히, 내부몸체(20)와 외부몸체(10)의 사이공간에는, 사진이 수납되는 수납공간(22,23,24,2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판(30)은, 외부몸체(10)의 슬라이딩홈(11)으로 삽입되는 판형상의 부재로서, 내부몸체(20)와의 사이로 수납공간(31)을 형성한다. 물론, 상판(30)의 양측단부에는, 도 2의 부분확대도에서와 같이, 슬라이딩홈(11)으로 끼워지는 끼움부(h1)와 외부몸체(10)의 내벽으로 밀착되는 밀착부(h2)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육면체액자에 사진 등의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해서는, 외부몸체(1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진 즉, 외부몸체(10)의 바닥면을 이루는 수납공간(21)에 사진을 뒤집어 안착시킨 다음, 외부몸체(10)의 내부공간에 내부몸체(20)를 삽입하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즉, 외부몸체(10)에 내부몸체(20)를 삽입시키게 되면, 내부몸체(20)의 바닥면을 따라 돌출되어진 걸림돌기(40)에 의해, 외부몸체(10)와 내부몸체(20)의 사이로 사진두께에 해당하는 수납공간(22,23,24,25)이 형성된다.
물론, 외부몸체(10)와 내부몸체(20)의 사이를 이루는 수납공간(22,23,24,25)에, 외부방향을 향하도록 각각의 사진을 삽입시키게 되면, 육면체액자의 내벽 각면으로 사진이 수납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내부몸체(20)의 상부면에 사진을 정상상태로 안착시키고, 상판 (30)을 외부몸체(10)의 슬라이딩홈(11)으로 삽입시키면, 도 2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몸체(20)와 상판(30)의 사이에 수납공간(31)이 형성되므로, 내부몸체(20)의 상면에 사진이 위치되는 것이다.
물론, 상판(30)의 양측부를 이루는 끼움부(h1)가 슬라이딩홈(11)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밀착부(h2)가 외부몸체(10)의 내벽으로 밀착되므로써, 외부몸체(10)의 상단부와 상판(30)의 상부면에 동일높이로 위치되어, 육면체액자의 외관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육면체액자의 구조에 의하면, 육면체액자용 외부몸체내에 내부몸체를 장착한 다음 내부몸체의 상부측으로 상판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되면, 육면체액자의 상/하부면과 네 개의 벽면으로 사진이 수납되므로, 액자 한개로 다수개의 사진을 수납하게 되어 사진관리에 따른 제반부대 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액자의 외관이 향상되어 캐릭터상품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육면체로 외관이 형성되어 상부면이 통공됨과 더불어 내벽상부측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홈(11)이 형성된 외부몸체(10)와; 외부몸체(10)의 내부공간에 슬라이딩식으로 수용됨과 더불어 외부몸체의 바닥면과 내벽사이로 수납공간(21,22,23, 24,25)을 형성하는 내부몸체(20) 및; 외부몸체(10)의 슬라이딩홈(11)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됨과 더불어 내부몸체 상면과의 사이로 수납공간(31)을 형성하는 상판(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면체 액자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내부몸체(20)의 바닥면에, 그 둘레면을 따라 외부몸체(10)와 내부몸체(20)의 사이공간으로 사진의 두께에 상당하는 크기의 수납공간을 형성하여주는 걸림돌기(4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면체 액자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판(30)의 양측단부에, 슬라이딩홈(11)으로 끼워지는 끼움부(h1)와 외부몸체(10)의 내벽으로 밀착되는 밀착부(h2)가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면체 액자의 구조.
KR2020000029434U 2000-10-23 2000-10-23 육면체 액자의 구조 KR200225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434U KR200225893Y1 (ko) 2000-10-23 2000-10-23 육면체 액자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434U KR200225893Y1 (ko) 2000-10-23 2000-10-23 육면체 액자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893Y1 true KR200225893Y1 (ko) 2001-06-01

Family

ID=7305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434U KR200225893Y1 (ko) 2000-10-23 2000-10-23 육면체 액자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8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269Y1 (ko) 2008-09-25 2010-12-06 김문영 입체형 사진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269Y1 (ko) 2008-09-25 2010-12-06 김문영 입체형 사진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0172A (en) Picture frame
US5607135A (en) Tablet stand
US6256914B1 (en) Transparent cube having picture displaying function
US5421111A (en) Storage and framing unit for a variety of photographic sizes
US5581925A (en) Soft, pliable picture frame and method of framing a picture
KR200225893Y1 (ko) 육면체 액자의 구조
KR200270217Y1 (ko) 사진교환이 간편한 자석부착식 액자
US20060202595A1 (en) Storage chest having interchangeable display/storage panels and means for storing such panels
CN210008805U (zh) 一种用于装饰的卡通相框
US5040394A (en) Key chain with decorative function
JPH0747328Y2 (ja) 収納容器
JP2561553Y2 (ja) 額 縁
CN211106664U (zh) 一种拼装式多功能立体摆件
JP4227669B2 (ja) ジグソーパズル用額縁
KR930002913Y1 (ko) 액자겸용 조립식 독서대
KR100622072B1 (ko) 장식물 케이스
KR200345474Y1 (ko) 장식용 액자
JPH0446958Y2 (ko)
KR200241983Y1 (ko) 액자
JP3136971U (ja) 額縁
JPS6337862Y2 (ko)
JP3006530U (ja) コンパクトディスク等の収納立て
KR200228629Y1 (ko) 거실장의 구조
KR200184962Y1 (ko) 잡지수납대
KR200216048Y1 (ko) 다용도 조립식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