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618Y1 - 물품 보관구 - Google Patents

물품 보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618Y1
KR200405618Y1 KR2020050028470U KR20050028470U KR200405618Y1 KR 200405618 Y1 KR200405618 Y1 KR 200405618Y1 KR 2020050028470 U KR2020050028470 U KR 2020050028470U KR 20050028470 U KR20050028470 U KR 20050028470U KR 200405618 Y1 KR200405618 Y1 KR 200405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rticle
opening
spac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덕환
Original Assignee
최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덕환 filed Critical 최덕환
Priority to KR2020050028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6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6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로 직교하는 종,횡방향 또는 사방에서 물품을 인출 및 수납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물품 보관구에 관한 것이다.
그 물품 보관구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사각 박스 형태로 구성되고 그 정면과 일측면 또는 사방의 외주면에 공간부내와 연통되는 개폐구가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의 개폐구를 통해 슬라이딩 인출가능하도록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공간부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물품의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수납함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하나의 물품 보관구로 여러 사람이 개별적으로 물품을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키며 비용을 절감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물품 보관구{ARTICLE RECEIVING STRUCTURE}
도1은 본 고안 물품 보관구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제 1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 물품 보관구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고안 제 2실시예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고안 제 2실시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고안 물품 보관구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고안 제 3실시예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8은 본 고안 물품 보관구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9는 도8의 사용상태를 평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10은 본 고안 제 4실시예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11은 도10의 사용상태를 평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12는 본 고안의 받침대가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13은 도12의 사용상태를 평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14는 본 고안의 받침대가 프레임의 좌,우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15는 도14의 사용상태를 평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16은 본 고안 물품 보관구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7은 도16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18은 본 고안 제 5실시예의 다른 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19는 본 고안 스톱퍼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20은 본 고안 물품 보관구의 제 6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21은 본 고안 제 6실시예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22a,22b,22c,22d는 본 고안 물품 보관구의 프레임에 평면형 물품이 결합된 사용상태를 각각 나타낸 정면도.
도23은 본 고안 수납함이 적용된 물품 보관구가 벽체의 코너부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24는 본 고안 받침대가 적용된 물품 보관구가 벽체의 코너부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25는 본 고안 물품 보관구의 제 7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물품 보관구 110 : 프레임
112 : 개폐구 112a : 가이드 돌기
120 : 공간부 200 : 수납함
202 : 수납공간 205 : 손잡이
210 : 가이드 홈 250 : 받침대
252 : 통공 255 : 보호턱
310 : 고정바 G : 물품
본 고안은 물품 보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교되는 종,횡 방향 또는 사방에서 물품을 수납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물품 보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의 보관을 위한 도구로는 그 보관되는 물품의 형태 및 성격에 따라 수납장, 장식장, 진열장, 서랍장, 선반, 거치대, 꽂이, 포장 상자등의 여러 종류가 있으며, 이러한 물품 보관구는 통상적으로 물품을 일방향으로만 수납 또는 인출하도록 된 것이 통상적이다.
그런데, 기존의 물품 보관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한 사람일 경우에는 일방향 개폐기능으로도 충분하지만, 여러 사람이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각 별도로 구매하여 개별적으로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제품 구매에 따른 비용상의 부담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각각의 물품 보관구의 부피로 인해 실내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의 물품 보관구는 물품의 보관 기능을 공통적으로 갖고 있으나, 다른 별도의 기능을 갖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광고가 기재되거나 소물품등이 수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별도의 공간이 구비되지 못하는 단점 및 외관상의 평 범한 이미지를 부여하므로 소비자의 구매욕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간 활용성 증대 및 원가 비용의 절감을 위해 물품의 보관방향이 직각으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보관되거나 혹은 사방으로 보관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물품 보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고 그 상면과 하면 사이의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정면과 일측 방향으로 상기 공간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각각의 개폐구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개폐구들에 결합수단에 의해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며 내부에 물품의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복수의 수납함;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 상면과 하면을 가지고 그 상면과 하면 사이의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사방으로 상기 공간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각각의 개폐구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개폐구들에 결합수단에 의해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며 내부에 물품의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복수의 수납함;들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 상면과 하면 사이에 적어도 일면 테두리를 갖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주면 테두리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개폐구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공간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개폐구를 통해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측면에 물품이 안착되는 복수의 받침대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수납함들의 양측면에 가이드 홈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공간부 내주면에 상기 가이드 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구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들이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부를 구획하거나, 서로 다른 높이 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각 실시예에서의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기재함과 아울러 그 도면 부호를 차용하기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물품 보관구의 제 1실시예는,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이 내부에 공간부(120)가 형성되는 사각 박스 형태로 구성되고 그 정면과 일측면에 공간부(120)내와 연통되는 개폐구(112)가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110)과, 그 프레임(110)의 개폐구(112)를 통해 슬라이딩 인출가능하도록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공간부(120)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물품(G)의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202)이 마련되는 수납함(200)으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프레임(110)은 상면과 하면이 폐쇄된 형태의 사각 박스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 수납함(200)이 수용되도록 공간부(120)가 형성된 구 조를 갖는다.
그 결합수단은 수납함(200)들의 양 외측면에 가이드 홈(210)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공간부(120)를 구성하는 프레임(110)의 내주면에 가이드 홈(2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12a)로 구성된다.
또한, 그 수납함(200)은 상부가 개구되는 사각 박스 형태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전면에 손잡이(205)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수납함(200)들이 프레임(110)의 전면과 일측면에 각각 슬라이딩 동작으로 외부로 인출되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개폐구(112)는 각각의 수납함(200)이 인출될 때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높이 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150"는 프레임의 내주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수납함(200)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구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 제 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물품 보관구는, 직각방향을 이루는 정면과 일측면 양 방향에서 사용자가 2명일 경우에 각각 개인 물품(G)을 수납함(200)들의 내부에 수납한 후에,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주로 사용하는 방향과 자리 배치를 고려하여 그 프레임(110)의 전면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납함(200)의 인출동작은 사용자가 손잡이(205)를 파지한 상태에서 수납함(200)을 당기면, 공간부(120)를 구성하는 수납함(200)의 양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210)이 프레임(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12a)를 따라 슬라 이딩 동작되어 수납함(200)이 개폐구(112)를 통해 외측으로 인출되는 동작과정을 갖는다.
제 2실시예
본 고안 물품 보관구의 제 2실시예는 도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 1실시예와는 달리, 내부에 공간부(120)가 형성되는 사각 박스 형태로 구성되고 그 정면과 배면 및 양측면의 사방에서 공간부(120)의 내부와 연통되는 개폐구(112)가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110)과, 그 프레임(110)의 개폐구(112)를 통해 슬라이딩 인출가능하도록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공간부(120)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물품(G)의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202)이 마련되는 수납함(200)으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결합수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내주면에 각각 수납함(200)의 인출방향과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가이드 돌기(112a)가 돌출 형성되고, 수납함(200)의 양 외측면에 가이드 홈(210)이 함몰되게 형성된 것이다.
이때, 프레임(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12a)와 수납함(200)의 가이드 홈(210)은 상반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프레임(110)의 내주면에 가이드 홈(210)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수납함(200)의 양 외측면에 가이드 돌기(112a)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프레임(110)의 개폐구(112)는 사방에서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갖도록 형 성되어 수납함(200)의 인출동작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된 것이다.
한편, 본 고안 제 2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 1실시예와는 달리 수납함(200)들이 프레임(110)의 사방에서 슬라이딩 인출동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프레임(110)의 전면 위치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그 인출동작은 앞서 설명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4는 본 고안 제 2실시예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프레임(110)의 형상이 사각 박스 형태가 아니라, 원통형 구조로 된 것이며, 그 원통형 프레임(110)의 개폐구(112)에 원호 형태의 수납함(200)이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사방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도5는 본 고안 제 2실시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복수의 개폐구(112)가 프레임(110)의 정면에 형성되어 수납함(200)들이 복층 구조로 마련되고, 일측면 또는 타측 혹은 배면에 복수의 수납함(200)들이 정면에 위치한 수납함(200)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프레임(110)의 나머지 부위에 복층 구조로 마련된 것이다.
이는, 수납함(200)의 구성이 지그재그형 종,횡방향 개폐형태가 아닌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제 3실시예
본 고안 물품 보관구의 제 3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 실시예와 달리 수납함(200)이 아니라 물품(G)을 안착시키기 위한 받침대(250)가 마련된 것으로, 그 구성이 상면과 하면 사이 내부에 공간부(120)가 형성되고 외주면 테두리에 공간부(120)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개폐구(112)가 형성되는 프레임(110)과, 그 프레임(110)의 공간부(12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서로 다른 높낮이를 갖도록 형성된 개폐구(112)를 통해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측면에 물품(G)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받침대(250)로 구성된 것이다.
그 받침대(250)는 상측면에 액자, 꽃병, 필기도구, 시계, 거울등의 소물품이나 비교적 작은 부피의 개인물품들을 진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 제 3실시예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프레임(110)의 양측에 개폐구(112)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그 개폐구(112)를 통해 받침대(250)가 외부로 인출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제 4실시예
도8 및 도9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그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개폐구와는 달리, 개폐구(112)의 높이가 수납함(200)이 내부에 수용되는 프레임(110)의 공간부(120)에서 그 수납함(200)들의 인출동작시 서로 간섭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공간부(120)를 구획하여 동일 높이선상에 위치한 것이다.
또한, 프레임(110)의 형태가 육각형이고 개폐구(112)의 높이가 동일할 경우, 도 10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세 방향에서 받침대가 120°의 각도로 프레임(110)의 내부를 분할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는, 앞서 설명한 수납함(200)이나 받침대(250)가 프레임(110)의 공간부(120)를 서로 구획하여 도12 및 도13에서와 같이 전방,후방으로 분할되거나, 혹은 도14 및 도15와 같이 좌,우 양측으로 분할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위의 실시예에서 수납함(200) 또는 받침대(25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10)이 프레임(110)의 가이드돌기(112a)를 따라 슬라이딩 되어 개폐구(112)를 통해 인출되는 구조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 5실시예
도16과 도17은 본 고안의 제 5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앞의 실시예와는 달리 받침대(250)가 개폐구(112)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수단이 더 구비된 것으로, 그 스톱퍼수단은 프레임(110)의 공간부(12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받침대(250)의 일측 부위에 상,하 관통되도록 통공(252)이 형성되고, 그 공간부(12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받침대(250)의 통공(252)에 수직으로 관통 결합되어 받침대(250)의 슬라이딩 동작시 연동되는 고정바(310)로 구성된다.
또한, 그 고정바(310)의 끼움 결합을 위해 프레임(110)의 공간부(12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프레임(110)의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그 개구된 상단부에 뚜껑 형태의 상판(115)이 안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고정바(310)는 받침대(250)의 통공(252)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하나의 받침대(250)에 하나의 고정바(31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18에서와 같이, 하나의 고정바(310)로 복수의 받침대(250)에 같이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하나의 고정바(310)가 복수의 받침대(250)에 끼워진 경우에는, 받침대(250) 하나가 인출될 때에 나머지 받침대(250)도 같이 인출되는 연동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받침대(250)의 인출동작시 고정바(310)가 프레임(110)의 내주면과 접촉됨에 따라 받침대(250)의 외부 인출동작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도19는 본 고안 스톱퍼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 그 스톱퍼수단은 받침대(250)의 일측에 통공(252)이 형성되고, 그 통공(252)에 삽입 가능한 고정바(310)가 프레임(110)의 외측면에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홈(114)이 각각 형성된 것이다.
그 끼움홈(114)은 테두리에 "ㄷ" 형태로 요입 형성되고 그 개폐구(112)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 그 고정바(310)는 끼움홈(114)에 슬라이딩 되도록 사각 바 형태로 구성되며, 통공(252)의 내부로 관통 결합되어 받침대(25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제 6실시예
도20은 본 고안의 제 6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프레임(110)의 상,하부 직경이 서로 동일한 것이 아니라, 높이에 따라 직경이 다른 피라미드 형태인 것을 나타낸 것이며, 그 직경이 다른 외측면에 각각 수납함(200) 또는 받침대(250)가 개폐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이는, 프레임(110)의 형태가 도면에 도시된 피라미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태로도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도21은 본 고안 제 6실시예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프레임(110)의 형상이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자 형상을 갖도록 된 것이며, 공간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프레임(110)의 각 면에 개폐구(112)가 형성되어 각각의 내부로 받침대(250)가 인출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이는 프레임(110)의 형상이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 원형, 삼각형, 다각형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그 프레임(110)의 형상에 제한을 받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22a,22b,22c,2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수납함(200)이 위치하지 않는 프레임(110)의 외주면 표면에 광고물이 인쇄되거나, 거울 또는 시계등의 평면형 물품(G)이 별도로 결합될 수 있다.
제 7실시예
도 25는 본 고안 물품 보관구의 제 7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그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받침대(250)의 외측면 테두리 상단부위에 상측으로 보호턱(255)이 연장 형성되고 개폐구(112)가 보호턱(255)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 구조로 된 것이며, 그 보호턱(255)은 받침대(250)의 상측면에 안착된 물품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도면에는 받침대(250)를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자 형상을 갖도록 양측단 테두리 상단부에 보호턱(255)이 각각 연장 형성된 것이지만, 일측단 테두리 또는 타측단 테두리에만 형성되거나, 일측이나 타측테두리 및 정면 테두리의 상단부위에 각각 연장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3과 도 24는 본 고안의 수납함(200)과 받침대(250)가 각각 벽체(W)의 코너(C) 부위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미도시되어 있지만, 수납함(200)과 받침대(250)를 공지된 별도의 결합재(고리,볼트,스크류등)를 이용하여 벽체(W)에 걸어서 벽걸이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받침대(250)를 채용한 경우에, 그 받침대(250)들이 각각 프레임(110)의 공간부 내측과 외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출몰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되므로, 만약 길이나 폭이 다른 물품보다 더 큰 물품일 경우에는 물품을 보관하지 않은 다른 받침대(250)를 프레임(110)의 공간부내로 수용시킴으로써, 프레임(110)의 외측에 물품이 거치될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그 받침대(250)의 상측에 안착되는 물품(G)의 높이에 상관없이 다양한 부피의 물품을 안착시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물품 보관구는 프레임의 외측면중에 복수면이 쌍방향 혹은 직교하는 양방향 또는 사방에서 인출 가능하므로 책, 씨디케이스등의 진열용 소물품을 더 많이 수납 및 진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는 나머지 면에는 광고 또는 거울등의 물품을 일체로 부착하여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겸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 물품 보관구는 서로 직교하는 종,횡방향 또는 사방에서 물품을 인출 및 수납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하나의 물품 보관구로 여러 사람이 개별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키며 비용을 절감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그 수납함이 위치하지 않은 나머지 부위에 해당하는 프레임의 외주면에 광고물을 인쇄 및 부착하거나, 거울, 시계등의 평면형 물품을 부착하여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진열장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진열용 소물품을 프레임의 일면이 아닌 복수의 면을 이용하여 진열할 수 있으므로, 더 많은 양의 물품을 수납 및 진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상면과 하면을 가지고 그 상면과 하면 사이의 내부에 공간부(120)를 가지며 정면과 일측 방향으로 상기 공간부(120)와 연통 가능하도록 각각의 개폐구(112)가 형성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개폐구(112)들에 결합수단에 의해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며 내부에 물품(G)의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202)이 마련되는 복수의 수납함(200);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구.
  2. 상면과 하면을 가지고 그 상면과 하면 사이의 내부에 공간부(120)를 가지며 사방으로 상기 공간부(120)와 연통 가능하도록 각각의 개폐구(112)가 형성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개폐구(112)들에 결합수단에 의해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며 내부에 물품(G)의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202)이 마련되는 복수의 수납함(200);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구.
  3. 상면과 하면 사이에 적어도 일면 테두리를 갖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부(120)가 형성되고 외주면 테두리에 상기 공간부(120)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개폐구(112)가 형성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공간부(12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결합수단 에 의해 상기 개폐구(112)를 통해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측면에 물품(G)이 안착되는 복수의 받침대(2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수납함(200)들의 양측면에 가이드 홈(210)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10)의 공간부(120) 내주면에 상기 가이드 홈(210)과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 돌기(11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112)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250)들이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부(120)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구.
  6.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112)는 서로 다른 높이 차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구.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의 공간부(120)내에서 외측으로 인출 가능한 받침대(250)의 인출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구.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50)의 외측면 테두리 상단에 상측으로 물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턱(255)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개폐구(112)가 상기 보호턱(255)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구.
KR2020050028470U 2005-10-05 2005-10-05 물품 보관구 KR2004056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470U KR200405618Y1 (ko) 2005-10-05 2005-10-05 물품 보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470U KR200405618Y1 (ko) 2005-10-05 2005-10-05 물품 보관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624 Division 2005-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618Y1 true KR200405618Y1 (ko) 2006-01-10

Family

ID=4175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470U KR200405618Y1 (ko) 2005-10-05 2005-10-05 물품 보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6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012B1 (ko) * 2008-02-13 2008-07-09 동원대학 산학협력단 수납함이 구비된 거실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012B1 (ko) * 2008-02-13 2008-07-09 동원대학 산학협력단 수납함이 구비된 거실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7695B2 (en) Display stand with table
US20090039742A1 (en) Univers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8444232B2 (en) Collapsible showcase
US5630512A (en) Display and storage container apparatus
WO2009061609A1 (en) Improved picture frame
US6494316B1 (en) Article storage and display container
US5862922A (en) Video cassette storage and display rack
KR200405618Y1 (ko) 물품 보관구
EP2505106B1 (en) Modular system for display
JP2000168814A (ja) 包装および展示装置
KR101994868B1 (ko) 포장상자
US6206225B1 (en) Portable device for displaying and dispensing card-like members
KR101316014B1 (ko) 서랍용 조립식 수납용품
US20040108796A1 (en) Modular organizing system
JP2021164896A (ja) テーブル
US5642815A (en) Storage and display device
USD545096S1 (en) Beverage carton tray
KR100961609B1 (ko) 다용도 전통 반닫이
KR20190002063U (ko) 하단부가 분리·수납되는 전신 거울
KR200220220Y1 (ko) 개량공구케이스
JPH024629Y2 (ko)
KR200206764Y1 (ko) 다용도 수납장
JPS634445Y2 (ko)
TW201806804A (zh) 車用多功能置物架
KR920003712Y1 (ko) 화장품 진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