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983Y1 - 액자 - Google Patents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983Y1
KR200241983Y1 KR2020010005032U KR20010005032U KR200241983Y1 KR 200241983 Y1 KR200241983 Y1 KR 200241983Y1 KR 2020010005032 U KR2020010005032 U KR 2020010005032U KR 20010005032 U KR20010005032 U KR 20010005032U KR 200241983 Y1 KR200241983 Y1 KR 200241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frame
attached
picture fram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성
Original Assignee
황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성 filed Critical 황규성
Priority to KR2020010005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9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983Y1/ko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액자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벽에 간단히 걸거나 책상 등에 견고하게 세워 사진이나 그림 등을 감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벼운 소재를 이용하여 중량의 감소화를 유도함을 물론, 사진이나 그림 등을 간단한 삽입에 의해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앙부에 소정형상의 투시부(11)가 형성된 전면부재(10)와; 상기 전면부재의 내면에 부착되어 상기 투시부를 막는 투명필름(20)과; 상기 투명필름의 이면에 절곡된 가장자리부(31)가 부착됨에 따라 사진이나 그림등이 삽입되는 삽입슬릿(32)이 형성되는 판지(30)와; 상기 판지의 이면에 부착되고, 내면부에 절개선에 의해 절개된 한 쌍의 지지구(42)(42')가 끼워지며 접합재(43)가 이면부 양측단에 구성된 마감부재(4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액자{Photo Frame}
본 고안은 사진이나 그림 등을 삽입하여 세우거나 또는 벽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량재질에 의해 무게의 절감은 물론, 조립이 간단하고, 하나의 액자로 별도의 도구 없이 책상 등에 세우거나 벽 등에 부착하거나 또는 앨범이 겉 표지로도 사용할 수 있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액자는, 벽걸이용과 책상 등에 세울 수 있는 액자로 구분되는 바, 전자의 액자에 사진이나 그림을 수용하는 방법은, 먼저, 목재로 이루어지고 이면 상단에 끈이나 구멍 등의 걸이수단이 구성된 프레임 후면에 유리와 사진 및 목재로 이루어진 판재를 순차적으로 위치한 후, 상기 프레임 이면에 구성된 다수개의 이탈방지핀을 회동시켜 상기 판재에 걸음으로써 유리와 사진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벽걸이용 액자를 벽에 거는방법은, 상기 프레임의 상단 후면부에 벽에 걸 수 있는 구멍이나 또는 끈 등을 구성하고, 벽에 못을 망치를 이용하여 박거나 또는 기타 걸이구를 부착한 다음, 이 벽에 걸린 못이나 걸이구에 상기 액자의 프레임 상단 후면부에 구성된 구멍이나 끈을 이용하여 상기 액자를 벽에 건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벽걸이용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판재의 이면부에 액자를 지지하는 수단인 회동지지구가 경첩에 의해 더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액자를 책상 등에 세우기 위해서는, 먼저 액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판재의 이면부에 구성된 회동지지구를 회동시킨 후, 액자를 책상위에 세워 놓는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프레임이 목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그 구성에 의해 유리재가 사용됨에 따라 과중된 중량에 의해 벽에 걸어 놓은 액자가 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떨어질 경우 유리가 파손되어 다시 액자를 새것으로 구입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사진이나 유리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의 이면에 다수개 구성된 회동핀을 돌려야 하는 바, 이 회동핀을 손을 돌리기에는 다소 불편한 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후자의 경우에는, 판재의 이면부에 구성된 회동지지구를 회동시켜 액자를 책상에 세워 놓아도, 이 회동지지구가 제대로 액자를 지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자칫 잘못으로 인해 역시 유리가 깨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더욱이, 액자가 목재로 이루어진 프레임 대용으로 몸체가 유리재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경우, 과중된 중량에 의해 회동지지구에 의해 액자를 지지하기가 더욱어려워 질 뿐만 아니라, 상기 회동지지구와 액자와의 간격을 더욱 벌려 견고하게 액자를 지지하고자 할 경우, 벌어진 간격만큼 액자가 차지하는 범위가 커지게 되어 책상에 액자를 세워 사용하기에는 역부족일 수 밖에 없다.
또한, 벽걸이용과 책상에 세우는 액자가 구분됨에 따라 액자들을 각각 구입해야 하고 이에 따라 가계의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액자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벽에 간단히 걸거나 책상 등에 견고하게 세워 사진이나 그림 등을 감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벼운 소재를 이용하여 중량의 감소화를 유도함을 물론, 사진이나 그림 등을 간단한 삽입에 의해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액자에 사진이 끼워진 카드지가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액자에 끼워지는 카드지에 사진을 끼움 구성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액자의 구성요소인 지지구를 마감부재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의해 이탈된 한 쌍의 지지구가 서로 끼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의해 끼움 구성된 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액자의 구성요소인 지지구에 의해 액자가 세워지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인 액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인 액자의 구성요소인 지지부재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인 액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면부재 11 : 투시부
20 : 투명필름 30 : 판지
31 : 가장자리부 32 : 삽입슬릿
40 : 마감부재 41 : 절개선
42,42' : 한쌍의 지지구
43 : 접합재 70 : 지지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액자는, 중앙부에 소정형상의 투시부가 형성된 전면부재와; 상기 전면부재의 내면에 부착되어 상기 투시부를 막는 투명필름과; 상기 투명필름의 이면에 절곡된 가장자리부가 부착됨에 따라 사진이나 그림등이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는 판지와; 상기 판지의 이면에 부착되고, 내면부에 절개선에 의해 절개된 한 쌍의 지지구가 끼워지며 접합재가 이면부 양측단에 형성된 마감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액자는, 각각의 부재들이 소경량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중량이 감소되고, 필요에 따라 벽에 걸거나 또는 책상 등에세워 사진이나 그림등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지의 가장자리부가 절곡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필름의 이면에 부착됨에 따라 삽입슬릿이 형성됨으로써 이 삽입슬릿의 입구를 통하여 사진이나 그림 등을 밀어 넣으면 삽입슬릿에 간단하게 삽입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개방되어 투시부(11)가 통공된 전면부재(10)의 내면에 투명필름(20)이 부착되어 상기 통공된 투시부(11)를 막는다. 상기 전면부재(10)의 재질로는 발포해면체로 이루어진 중량이 가벼운 합성수지재를 이용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는데에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전면부재(10)의 내면에 투명필름(20)을 부착한 후, 가장자리부(31)가 굴곡되어 단차가 형성된 판지(30)의 가장자리부(31)를, 상기 투명필름(20)의 이면에 부착하고, 상기 판지(30)의 이면에는 마감부재(40)를 부착함으로써 본 고안인 액자의 구성이 완료된다.
상기 마감부재(40)는, 절개선(41)에 의해 형성된 한쌍의 지지구(42)(42')가 끼움 구성되어 이루어져 있어 필요에 따라 이 한 쌍의 지지구(42)(42')를 이용하여 책상 등에 본 고안인 액자를 세워 사용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40)의 이면에는 상기 절곡선에 의해 형성된 한쌍의 지지구(42)(42')에 의해 공간부(45)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장착및 탈착이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액자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50)이 결합된 카드지(60)를 상기 액자의 삽입슬릿(32)에 삽입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슬릿(32)은 상기 판지(30)의 가장자리부(31)가 굴곡되어 그 내면부를 향하여 단차가 형성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또한, 일반적인 사진은 그 크기가 상기 삽입슬릿(32)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러한 사진을 삽입슬릿(32)에 그대로 삽입하게되면, 사진이 똑바로 서지 못하고 비틀어지는 경우도 있고, 경우에 따라 사진이 상기 삽입슬릿 밖으로 이탈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단부에 나란하게 한 쌍의 슬릿(61)(6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슬릿(32)에 알맞게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카드지(60)를 이용하여, 사진을 상기 삽입슬릿(32)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즉, 상기 상/하단부에 나란하게 형성된 한 쌍의 슬릿(61)(62)에 사진(50)의 상/하단부를 끼워 카드지(60)를 삽입슬릿(32)에 삽입하면 사진(50)이 똑바로 보관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삽입슬릿(32) 밖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카드지(60)를 잡고 삽입슬릿(32)에 사진을 삽입하거나 또는 삽입슬릿(32)으로부터 사진을 인출하기 때문에 사진(50)이 훼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사진이 끼워진 액자를 벽에 걸어 사용할 경우엔, 본 고안인 액자의 후면부에 구성된 상기 마감부재(40)의 이면 양측단에 연장되게 구성된 접합재(43)를 이용하여 벽에 부착하면 되는 것으로, 이 접합재(43)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탈착이 용이하여 재 부착할 수 있는 접합재를 예컨대, 감압테이프나 마스팅테이프 등과 같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벽에 걸어 사진 등을 감상하는 본 고안인 액자는, 그 각각의 부재들이 비교적 가벼운 경량의 재질들로 이루어짐에 따라 액자의 하중에 의해 떨어지는 폐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인 액자를 책상 등에 세워 사용할 때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인 액자를 이용하여 사진을 책상 등에 세워 감상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액자의 후면부에 구성된 마감부재(40)의 절개선(41)을 따라 절개되어 끼움결합된 한 쌍의 지지구(42)(42')를 상기 마감부재(40)로부터 이탈시킨 후, 이탈된 한 쌍의 지지구(42)(42')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게 끼워 결합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구(42)(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상부 또는 하부에 각각 끼움부(42a)(42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각각의 끼움부(42a)(42a')들을 서로 엇갈리게 하여 끼우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70)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지지구(42)(42')에 형성된 끼움부(42a)(42a')들을 서로 엇갈리도록 하여 끼움으로써 이루어진 지지부재(70)의 전측방향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액자를 세우면 견고하게 책상 등에 액자를 세워 사진을 감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지지구(42)(42')로 이루어진 지지부재(70)에 의해 지지되는 액자는, 이 액자를 지지하는 지지부재(70)가 90°각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액자가 넘어지거나 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일시에 해결한다.
상기 마감부재(40)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구(42)(42')들은, 상기 마감부재(40)의 재질이 탄성력을 갖는 발포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 한 쌍의 지지구(42)(4')들이 상기 마감부재로 부터 자유로운 이탈 및 장착됨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마감부재(40)에 장착될 경우에도 별도의 접합재 없이도 상기 마감부재(40)와 한 쌍의 지지구(42)(42')들이 그 재질에 의해 서로 잠금효과를 지님에 따라 서로 견고하게 장착됨이 가능하다.
도시한 바에 의하면, 액자를 상기 한 쌍의 지지구에 의해 형성된 지지부재(70)에 입설될 때에 세로방향으로 하여 도시되었으나 상기 액자는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 등 상기 액자에 삽입된 사진에 의해 언제든지 그 입설되는 방향이 수시로 변경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액자를, 앨범(80)의 겉표지에 부착할 경우 훌륭한 겉표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액자에 사진 대신에 예컨대, 앨범을 내용을 파악하지 않더라도 그 앨범에 수록된 사진의 내용이 적힌 사진의 목록 등을 삽입할 경우에 앨범에 담긴 사진들의 주제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앨범(80)의 겉표지(81)에 형성된 액자삽입부(82)에 본 고안인 액자를 끼움 구성함에 따라 앨범의 겉표지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액자의 전면부재(10)를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할 경우 이 액자를 상기 앨범의 겉표지에 형성된 액자삽입부(82)에 끼움에 따라 앨범의 미감을 한 층더 돋보일뿐 만 아니라, 훌륭한 앨범의 표지 장식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앨범의 겉표지에 본 고안인 액자를 부착할 경우에는 액자를 세우기 위해 마감부재로부터 이탈한 한 쌍의 지지구를 다시 마감부재에 끼워 부착하는 것은 물론이며, 이와같이 본 고안인 액자는 필요에 따라 벽에 부착하거나 또는 책상등에 세우거나 또는 앨범등에 부착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인 액자의 구성요소인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에 지지홈(91)을 갖는 지지부재(90)를 상기 액자의 하단면부 양측에 각각 끼워 상기 지지부재(90)를 입설하게 되면, 상기 지지부재(90)에 끼워진 액자는 수직상태로 입설되기 대문에 이 액가가 견고하게 입설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형상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한, 굳이 반구형상 등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부 사시도이다. 즉, 상기 저면부에 구성된 마감부재(40)의 양측에 접합재(43a)를 각각의 조각편으로 구성하여 예컨대, 상기 액자를 벽면에 부착시에 이 접합재의 일부만을 사용하여 부착한 다음, 상기 접합재(43a)의 기능이저하될 경우, 사용하지 않은 접합재를 이용하여 벽면에 재부착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본 고안인 액자가 단순히 벽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소비자에 의해 벽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책상 등에 입설되어 사용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접합재를 조각편으로 하여 구성할 경우, 더욱 확실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액자는, 하나의 액자를 이용하여 벽에 부착하거나 책상등에 세우거나 또는 앨범의 겉표지로도 활용된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액자는, 액자에 구성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무게가 비교적 가벼운 경량부재를 이용함에 따라 운반이 용이하여, 파손이 여부가 없으며, 벽에 걸 경우 떨어지지 않아 종래의 액자가 떨어지게 되어 재 구입함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소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 따른 액자는, 탈착이 용이한 접합재가 마감부재의 이면에 구성됨에 따라 필요시 벽 이외에도 냉장고나 유리 등과 같이 소비자가 원하는 어떠한 곳에도 부착이 가능하여 가정이나 카페 등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책상 등에 세울 경우 한 쌍의 지지구에 의해 구성된 지지부재가 항상 90° 각도를 유지함에 따라 액자를 견고하게 세울 수 있다.

Claims (2)

  1. 중앙부에 소정형상의 투시부(11)가 형성된 전면부재(10)와;
    상기 전면부재의 내면에 부착되어 상기 투시부를 막는 투명필름(20)과;
    상기 투명필름의 이면에 절곡된 가장자리부(31)가 부착됨에 따라 사진이나 그림등이 삽입되는 삽입슬릿(32)이 형성되는 판지(30)와;
    상기 판지의 이면에 부착되고, 내면부에 절개선에 의해 절개된 한 쌍의 지지구(42)(42')가 끼워지며 접합재(43)가 이면부 양측단에 구성된 마감부재(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구(42)(42')를, 상기 마감부재(40)로부터 이탈시킨 후, 이탈된 한 쌍의 지지구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끼움부(42a)(42a')를 서로 엇갈리도록 끼움으로써 항상 90°각도를 유지하는 지지부재(70)를 구성하고, 이 지지부재(70)에 의해 액자가 견고하게 세워질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KR2020010005032U 2001-02-26 2001-02-26 액자 KR200241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032U KR200241983Y1 (ko) 2001-02-26 2001-02-26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032U KR200241983Y1 (ko) 2001-02-26 2001-02-26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983Y1 true KR200241983Y1 (ko) 2001-09-26

Family

ID=73096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032U KR200241983Y1 (ko) 2001-02-26 2001-02-26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9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540Y1 (ko) * 2015-10-12 2017-02-06 김향순 액자용 사진 고정판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540Y1 (ko) * 2015-10-12 2017-02-06 김향순 액자용 사진 고정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36125B2 (en) Front-loading display frame
US6439520B1 (en) Photo frame
US20110147236A1 (en) Display case for ribbon suspended medal(s)
US20090039742A1 (en) Univers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5659991A (en) Picture frame
US20190183244A1 (en) Combination collapsible table picture frame
US20060186074A1 (en) Image display system
KR200241983Y1 (ko) 액자
US20040226210A1 (en) Display and storage device
US20020104247A1 (en) Picture frame
US8336242B2 (en) Convertible diploma/certificate holder and wall display
US20090096940A1 (en) Display frame
KR200241984Y1 (ko) 개량형 앨범
CN208573340U (zh) 多功能相框
KR200401434Y1 (ko) 액자
KR100978919B1 (ko) 액자
JP4746721B1 (ja) 壁掛具および壁掛展示具
KR20090008506U (ko) 카드 꽂이틀
KR100674490B1 (ko) 액자
JPH09117355A (ja) 写真立て
KR200233451Y1 (ko) 액자
JP2004073796A (ja) 連結式フレームセット。
KR101320882B1 (ko) 액자 앨범
JP3123040U (ja) 収納箱付額縁
JP2000025362A (ja) アルバ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