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919B1 - 액자 - Google Patents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919B1
KR100978919B1 KR1020100014263A KR20100014263A KR100978919B1 KR 100978919 B1 KR100978919 B1 KR 100978919B1 KR 1020100014263 A KR1020100014263 A KR 1020100014263A KR 20100014263 A KR20100014263 A KR 20100014263A KR 100978919 B1 KR100978919 B1 KR 100978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link
wall
coupl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희
Original Assignee
임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희 filed Critical 임성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2Picture members for connection to a conventional wall hook or nail
    • A47G1/1626Picture members for connection to a conventional wall hook or nail and being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4Appliances for adjus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into a desired position, especially inclined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의 전면에 결합되며, 게시물이 설치되는 수용부를 가지는 액자 본체; 및 베이스부재에 대해 액자 본체를 수평으로 접철되는 자세, 양의 기울기 자세 및 음의 기울기 자세 각각으로 선택적으로 연결 및 지지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액자{A PICTURE FRAME}
본 발명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자세로 설치 가능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액자는 사진이나, 그림 등을 특정 장소에 전시하거나,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주로 벽걸이용이나, 탁자용이 있다.
현재 시중에 널리 유통되고 있는 액자의 경우에는, 정형화된 단일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일예로서, 단순히 벽면에 거치하는 벽걸이용 액자의 경우에는, 벽에 박힌 못 등에 걸수 있는 걸림홀을 가지는 지지부재 또는 끈을 액자의 배면 테두리에 설치함으로써, 액자를 벽면에 대해 밀착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벽걸이용 액자의 경우, 벽면에 대해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벽면에 액자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를 설치하고, 그 받침대에 액자의 하단이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액자의 상단에 끈을 연결하고, 그 끝의 끝단을 못 등에 연결함으로써, 액자를 벽면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벽면에 기울어지도록 설치하기 위해서는, 액자에 끈을 연결해야 하고, 벽면에는 별도로 받침대를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벽면에 받침대를 설치해야 하므로 벽면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테이블 등에 액자를 거치하여 설치할 경우에는, 액자의 배면에 별도의 접이식 받침대를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 장소, 설치 자세에 따라서 필요로 하는 부품이 다양해지므로, 이를 종합적으로 소비자 입장에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액자를 제작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리고 접이식 받침대의 경우에는 가볍고 작은 액자의 경우에는, 액자 배면에 설치하여 액자를 간단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나, 액자의 크기가 크거나 무거운 경우에는, 별도의 액자 거치대를 마련하고, 그 액자 거치대에 액자를 지지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진인, 그림 등을 전시하는 전시관에서는 액자마다 거치대를 별도로 마련하여야 하므로, 관리가 쉽지 않고, 다수의 액자 거치대를 이동, 보관,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벽걸이용, 탁자용 모두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하며, 벽걸이용으로 사용시에는 벽면에 밀착형 또는 기울기형 모두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개신된 액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자는, 후면에 벽걸이용으로 사용되는 결합공을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사각 틀 형상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제1결합틀을 가지는 베이스부재와; 전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사진 또는 그림 등의 게시물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는 액자틀과, 상기 액자틀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결합틀과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사각 틀 형상의 제2결합틀을 가지는 액자 본체;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상기 액자 본체를 수평으로 접철되는 자세, 양의 기울기 자세 및 음의 기울기 자세 각각으로 선택적으로 연결 및 지지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하단은 상기 제2결합틀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제1결합틀의 제2가이드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와; 하단은 상기 제2결합틀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제1결합틀의 제1가이드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링크부재가 상기 제2링크부재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틀은, 상부벽과, 하부벽 및 한 쌍의 세로벽이 연결된 구성을 가지며, 상기 상부벽에는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벽에는 상기 연결유닛이 연결되는 제1 및 제2가이드부가 상부 및 하부 각각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결합틀은, 상기 수용부의 배면을 막도록 설치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부분으로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된 사각 틀몸체를 가지며,
상기 사각 틀몸체는,
상부벽과, 하부벽 및 한 쌍의 세로벽을 가지며, 상기 상부벽의 내측에는 상기 제1결합틀의 걸림턱에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 각각의 상부에는 상기 제2링크부재 및 제1링크부재의 상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턱이 각각 형성된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후면에 벽걸이용으로 사용되는 결합공을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사각 틀 형상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제1결합틀을 가지는 베이스부재와;
전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사진 또는 그림 등의 게시물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는 액자틀과, 상기 액자틀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결합틀과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사각 틀 형상의 제2결합틀을 가지는 액자 본체;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상기 액자 본체를 수평으로 접철되는 자세, 양의 기울기 자세 및 음의 기울기 자세 각각으로 선택적으로 연결 및 지지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결합틀과 상기 제2결합틀 사이에서 상호 절첩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의 상부링크를 포함하는 상부절첩부와;
상기 상부절첩부재의 하부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제1결합틀과 상기 제2결합틀 사이에서 상호 절첩가능하게 적어도 한 쌍의 하부링크를 포함하는 하부절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절첩부는 상부힌지를 중심으로 절첩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결합틀에 결합되는 제1상부링크와 제1결합틀에 결합되는 제2상부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링크는 상기 제2상부링크에 비해 길이가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절첩부는 하부힌지를 중심으로 절첩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결합틀에 결합되는 제1하부링크와 제1결합틀에 결합되는 제2하부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링크는 상기 제2하부링크에 비해 길이가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자에 따르면, 액자를 설치하는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자세로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액자를 다양한 자세로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나 작업이 불필요하며, 벽면에 설치된 못 등만을 이용하더라도 액자를 벽면과 수평되게, 또는 기울어지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는 탁자 등에서도 안정감 있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자가 벽면에 대해 밀착되어 나란하게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자가 벽면에 대해 기울어진 자세로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자의 배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액자를 탁자 위에 거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가 벽면에 대해 기울어진 자세로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를 탁자 위에 거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자(1)는,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전방에 결합되며 사진, 그림 등의 게시물이 전면으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액자 본체(20)와, 액자 본체(20)를 베이스부재(10)에 대해서 양과 음의 기울기 각각으로 선택적으로 자세 변경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유닛(30)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액자(1)를 벽걸이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벽면(W)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벽면(W)에 설치됨 못 등에 결합되는 결합공(11a)을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11)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전면에 틀 형상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제1결합틀(12)을 가진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는 목재 또는 아크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이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결합틀(12)은 상부벽(12a), 하부벽(12b) 및 한 쌍의 세로벽(12c)이 연결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상부벽(12a)에는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12d)이 형성된다. 상기 세로벽(12c)에는 상기 연결유닛(30)이 연결되는 제1 및 제2가이드부(14,15)가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14,15) 각각은 한 쌍의 세로벽(12c) 각각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14)는 상부에 걸림턱(1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가이드부(15)도 상부에 걸림턱(15a)이 형성된다.
상기 액자 본체(20)는 전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사진 또는 그림 등의 게시불이 수용되는 수용부(21a)를 가지는 액자틀(21)과,상기 액자틀(21)의 배면에 결합되는 제2결합들(22)을 구비한다.
상기 액자틀(21)은 액자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수용부(21a)가 전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틀(22)은 액자틀(21)의 배면을 덮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결합틀(12)에 대응되는 형상 및 사이즈로 형성된다. 이 제2결합틀(22)은 바닥면(23)과, 사각 틀몸체(24)를 구비한다. 상기 바닥면(23)은 액자틀(21)의 수용부(21a)의 바닥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사진이나 그림 등의 게시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각 틀몸체(24)는 상기 제1결합틀(12)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되며, 틀몸체(24)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제1결합틀(12)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보적으로 삽입되어 상호 밀착 결합 될 수 있다. 사각 틀몸체(24)도 상부벽(22a)과 하부벽(22b) 및 한 쌍의 세로벽(22c)을 가진다. 상부벽(22a)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턱(12d)에 대응되는 걸림턱(22d)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베이스부재(10)가 액자 본체(20)와 밀착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검림턱(12d)(22d)이 상보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제1결합틀(12)이 제2결합틀(22)에 밀착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서로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즉, 제1결합틀(12)의 하부벽(12b)이 제2결합틀(22)의 하부벽(22b)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부벽들(12a,22a)은 걸림턱(12d,22d)의 상호 결합에 의해 지지되어 분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부벽(12b)을 먼저 제2결합틀(22)의 하부벽(22b)에서 분리하게 되면, 베이스부재(10)를 액자 본체(2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유닛(30)은, 액자(1)를 도 1, 도 2, 도 3의 각각의 상태로 유지하여 설치 및 전시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재(10)와, 액자 본체(20)를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유닛(30)은 제1링크부재(31)와 제2링크부재(32)를 구비한다.
제1링크부재(31)는 하단(31a)이 제2결합틀(22)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절곡된 상단(31b)이 상기 제2가이드부(15)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1링크부재(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31b) 부분에서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서, 금속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링크부재(31)는 양단 즉, 즉 하단(31a)이 제1결합틀(22)의 세로벽(22c)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31b)은 제2가이드부(15)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베이스부재(10)와 액자 본체(20)의 하부의 연결자세에 따라서 제1링크부재(31)는 도 1, 도 2 및 도 4의 상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재(10)와 액자 본체(20) 하부의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와 같이 액자 본체(20)의 상부가 베이스부재(10)에서 이격되는 자세로 설치될 경우, 제1링크부재(31)의 상단(31b)은 제2가이드부(15)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15a)에 걸린 상태가 되어 고정되므로, 도 2와 같은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링크부재(32)는 하단(32a)은 제2결합틀(22)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32b)은 제1가이드부(14)에 연결된다. 제2링크부재(32)는 제1링크부재(31)보다는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제2링크부재(32)의 상단(321b)은 제1가이드부(14)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베이스부재(10)와 액자 본체(20) 간의 자세 변경에 따라서 상단(32b)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제1가이드부(14)의 상부에는 걸림턱(14a)이 형성됨으로써, 도 1 및 도 4와 같은 상태에서는 제2링크부재(32)의 상단(32b)이 걸림턱(14a)에 걸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액자 본체(20)의 자세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의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링크부재(31,32)가 제1 및 제2가이드부(14,15) 각각의 걸림턱(14a,15a)에 걸린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액자 본체(10)를 벽면(W)에 대해 나란한 자세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1의 상태에서 제2링크부재(32)를 걸림턱(14a)에서 빼낸 상태에서 액자 본체(20)의 상부을 베이스부재(10)에서 이격시키면, 제1링크부재(31)가 걸림턱(15a)에 걸리는 힘에 의해 도 2와 같은 자세로 액자를 벽면(W)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1)를 탁자 등의 위에 거치하여 놓을 경우에는 베이스부재(10)와 액자 본체(20)의 하부를 서로 이격시켜서, 베이스부재(10)와 액자 본체(20)의 하단이 탁자 등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1링크부재(31)는 상단(31b)이 제2가이드부(15)의 하부에 위치되며, 제2링크부재(32)는 상단이 제1가이드부(14)의 상부의 걸림턱(14a)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자의 경우에는, 벽면에 대해서 다양한 자세로 설치가 가능하며, 또한 탁자 등의 지지면에 대해서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된 자세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취향이나, 설치 공간 및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자세로 액자를 거치 및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다수의 그림이나 사진 또는 별도의 아세트지, 셀로판지 등을 베이스부재(10)와 액자 본체(20) 사이의 공간 즉, 제1결합틀(12)과 제2결합틀(22) 사이의 공간에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도5와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1a)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자(1)는 연결유닛(30)이 제1가이드부(14)와 제2가이드부(15)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비된 제1링크부재(32)와 제2링크부재(31)에 의해 설치각도가 조절되었다.
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1a)는 연결유닛(40)이 상호 절첩가능하게 구비된 상부링크(41)와 하부링크(43)에 의해 별도의 가이드부 없이 액자 본체(20)와 베이스부재(1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연결유닛(40)은 베이스부재(10)와 본체(20) 사이에 구비된 상부링크(41)와 하부링크(43)를 포함한다. 상부링크(41)는 상부힌지(41c)를 중심으로 좌우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된 제1상부링크(41a)와 제2상부링크(41b)를 포함한다. 하부링크(43)는 하부힌지(43c)를 중심으로 좌우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된 제1하부링크(43a)와 제2하부링크(43b)를 포함한다.
제1상부링크(41a)와 제2상부링크(41b)는 상부힌지(41c)를 중심으로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액자본체(20)와 베이스부재(10)가 벽면에 결합된 상태일 때는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 또는 탁자 위에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일 때는 상부힌지(41c)를 중심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1하부링크(43a)와 제2하부링크(43b)는 하부힌지(43c)를 중심으로 절첩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하부링크(43a)는 액자본체(20)와 베이스부재(10)가 벽면에 결합된 상태일 때는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일 때도 일정각도 절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제1하부링크(43a)의 길이(l3)는 제2하부링크(43b)의 길이(l4)에 비해 길게 구비된다. 이에 의해 하부힌지(43c)를 중심으로 사용자가 절첩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제1하부링크(43a)를 가압하는 힘이 더 커져야 한다. 즉, 하부힌지(43c)를 중심으로 단부영역에서 작용하는 관성모멘트의 힘이 제1하부링크(43a) 측이 제2하부링크(43b) 보다 크므로 사용자가 보다 큰 힘을 가해야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큰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하부링크(43)의 절첩상태가 유지되어 안정적으로 액자(1a)가 기울어진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자(1a)를 탁자 위에 일정각도 기울여진 상태로 놓을 때는 하부링크(43)도 하부힌지(43c)를 중심으로 펼쳐서 안정적으로 기울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부링크(41)도 제1상부링크(41a)의 길이(l1)가 제2상부링크(41b)의 길이(l2)보다 길게 구비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정적으로 액자(1a)의 기울어진 각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는 별도의 가이드 부 없이 상호 절첩가능하게 구비된 상부링크와 하부링크에 의해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보다 간단한 구조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액자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1a : 액자 10 : 베이스부재
20 : 액자 본체 30 : 연결유닛

Claims (7)

  1. 후면에 벽걸이용으로 사용되는 결합공을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사각 틀 형상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제1결합틀을 가지는 베이스부재와;
    전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사진 또는 그림 등의 게시물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는 액자틀과, 상기 액자틀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결합틀과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사각 틀 형상의 제2결합틀을 가지는 액자 본체;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상기 액자 본체를 수평으로 접철되는 자세, 양의 기울기 자세 및 음의 기울기 자세 각각으로 선택적으로 연결 및 지지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하단은 상기 제2결합틀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제1결합틀의 제2가이드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와;
    하단은 상기 제2결합틀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제1결합틀의 제1가이드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링크부재가 상기 제2링크부재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틀은,
    상부벽과, 하부벽 및 한 쌍의 세로벽이 연결된 구성을 가지며, 상기 상부벽에는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벽에는 상기 연결유닛이 연결되는 제1 및 제2가이드부가 상부 및 하부 각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틀은,
    상기 수용부의 배면을 막도록 설치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부분으로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된 사각 틀몸체를 가지며,
    상기 사각 틀몸체는,
    상부벽과, 하부벽 및 한 쌍의 세로벽을 가지며, 상기 상부벽의 내측에는 상기 제1결합틀의 걸림턱에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 각각의 상부에는 상기 제2링크부재 및 제1링크부재의 상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턱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5. 후면에 벽걸이용으로 사용되는 결합공을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사각 틀 형상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제1결합틀을 가지는 베이스부재와;
    전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사진 또는 그림 등의 게시물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는 액자틀과, 상기 액자틀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결합틀과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사각 틀 형상의 제2결합틀을 가지는 액자 본체;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상기 액자 본체를 수평으로 접철되는 자세, 양의 기울기 자세 및 음의 기울기 자세 각각으로 선택적으로 연결 및 지지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결합틀과 상기 제2결합틀 사이에서 상호 절첩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의 상부링크를 포함하는 상부절첩부와;
    상기 상부절첩부재의 하부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제1결합틀과 상기 제2결합틀 사이에서 상호 절첩가능하게 적어도 한 쌍의 하부링크를 포함하는 하부절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절첩부는 상부힌지를 중심으로 절첩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결합틀에 결합되는 제1상부링크와 제1결합틀에 결합되는 제2상부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링크는 상기 제2상부링크에 비해 길이가 길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절첩부는 하부힌지를 중심으로 절첩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결합틀에 결합되는 제1하부링크와 제1결합틀에 결합되는 제2하부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링크는 상기 제2하부링크에 비해 길이가 길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KR1020100014263A 2009-10-22 2010-02-17 액자 KR100978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0817 2009-10-22
KR1020090100817 2009-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919B1 true KR100978919B1 (ko) 2010-08-31

Family

ID=42760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263A KR100978919B1 (ko) 2009-10-22 2010-02-17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583B1 (ko) 2017-01-03 2017-05-02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전자칠판용 디스플레이 패널 위치조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1924A (en) 1990-02-03 1994-12-13 Schmale Gmbh & Co. Kg. Hinges for picture frames
KR20020039201A (ko) * 2000-11-20 2002-05-25 박창복 자동접힘방지장치가 형성된 액자
US20050034273A1 (en) 2003-08-11 2005-02-17 Roy Armand E. Pinless hinge
KR200383881Y1 (ko) 2005-02-17 2005-05-10 김용철 액자형 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1924A (en) 1990-02-03 1994-12-13 Schmale Gmbh & Co. Kg. Hinges for picture frames
KR20020039201A (ko) * 2000-11-20 2002-05-25 박창복 자동접힘방지장치가 형성된 액자
US20050034273A1 (en) 2003-08-11 2005-02-17 Roy Armand E. Pinless hinge
KR200383881Y1 (ko) 2005-02-17 2005-05-10 김용철 액자형 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583B1 (ko) 2017-01-03 2017-05-02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전자칠판용 디스플레이 패널 위치조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023B1 (ko)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US5451026A (en) Picture frame stand
KR100978919B1 (ko) 액자
KR101945967B1 (ko) 절곡식 액자 및 이의 제작방법
US20070062088A1 (en) Picture frame
KR200432395Y1 (ko) 안전성을 확보한 이젤
KR200485877Y1 (ko)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KR200389133Y1 (ko) 현수막 거치대
JP3790836B2 (ja) 支持装置
KR200241983Y1 (ko) 액자
KR20150118284A (ko) 덮개가 닫혀지거나 열려진 상태에서도 사진이 모두 게시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액자
KR101300012B1 (ko) 임대사용이 용이한 유아용 스튜디오
KR200442703Y1 (ko) 액자
KR102174071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KR20220084911A (ko) 액자의 후면판 고정장치
KR101446671B1 (ko) 거치대
KR20150019222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JP3390373B2 (ja) 携帯電話機の店頭陳列用スタンド
KR200245985Y1 (ko) 액자
KR102047244B1 (ko)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
JP2023035711A (ja) 額縁保持具及び額縁保持具用型紙
KR200428702Y1 (ko) 접이식 우산꽂이
JP3127627U (ja) 壁掛卓上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316137Y1 (ko) 액자겸용 접이식 테이블
JP2006205370A (ja) カード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