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967B1 - 절곡식 액자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절곡식 액자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967B1
KR101945967B1 KR1020180021673A KR20180021673A KR101945967B1 KR 101945967 B1 KR101945967 B1 KR 101945967B1 KR 1020180021673 A KR1020180021673 A KR 1020180021673A KR 20180021673 A KR20180021673 A KR 20180021673A KR 101945967 B1 KR101945967 B1 KR 101945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 member
bending
fixing plat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권
Original Assignee
배진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진권 filed Critical 배진권
Priority to KR1020180021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9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05Picture frames made from extruded or moulded profiles, e.g. of plastic or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10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10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 A47G1/101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for insertion within frame members
    • A47G1/102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for insertion within frame members having an aperture to receive a fastener to connect to a fram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0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comprising a wall member cooperating with a corresponding pictur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66Devices for connecting a suspension wire to a pic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7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using adhesives, suction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74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frames for openings, e.g. for windows, doors, hand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곡식 액자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절곡가능하게 일체형으로 제작된 직선의 프레임부재를 절곡하여 사각프레임을 형성할 때 사각프레임의 형태 유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절곡식 액자 및 이의 제작방법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진 압출바를 절곡하여 사각프레임를 형성하되, 상기 사각프레임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위에 절곡홈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홈을 절곡시켜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감싸여지는 그림판과, 상기 프레임부재가 절곡된 상태에서 프레임부재와 상기 그림판과 결합시키는 액자받침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절곡식 액자 및 이의 제작방법 {Bended picture fram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절곡식 액자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곡가능하게 일체형으로 제작된 직선의 프레임부재를 절곡하여 사각프레임을 형성할 때 사각프레임의 내측을 당겨지도록 하여 사각프레임의 형태 유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절곡식 액자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그림, 사진, 드로잉 기타 시각적인 작품 등을 사각으로 짜여진 프레임에 끼워넣어 보호, 전시 또는 돋보이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액자는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진 것으로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는데, 이중에서도 조립성을 향상시키고자 개량된 액자가 대한민국 등록번호 10-1070836호 의 액자프레임에서 개시되어 있다.
선행특허는, 절곡가능하게 일체형으로 제작된 직선의 프레임부재 각 마디를 절곡시켜 손쉽게 틀형태의 액자프레임이 완성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프레임부재의 각 마디를 절곡시켜 액자프레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각 마디가 짧은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각 마디가 긴 경우에는 휘어지나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려는 성질에 의해 사각프레임의 형태 유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1: 등록번호 10-1070836등록일자 2011년09월29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절곡가능하게 일체형으로 제작된 직선의 프레임부재를 절곡하여 사각프레임을 형성할 때 사각프레임의 내측을 당겨지도록 하여 사각프레임의 형태 유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절곡식 액자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절곡식 액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진 압출바를 절곡하여 사각프레임를 형성하되, 상기 사각프레임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위에 절곡홈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홈을 절곡시켜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감싸여지는 그림판과, 상기 프레임부재가 절곡된 상태에서 프레임부재와 상기 그림판과 결합시키는 액자받침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는 수평면과 수직면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의 내측에는 수평측 돌출턱이 형성되되, 상기 수평측 돌출턱의 길이는 그림의 크기에 따라 1mm ~ 100mm 이내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면의 내측에는 수직측 돌출턱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홈은 중심선에서 양측으로 45°로 절단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액자받침 고정판은, 일단부에 상기 프레임부재의 수직측 돌출턱에 걸리도록 걸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림판과의 접촉면에는 양면테이프가 결합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액자받침 고정판은, 일단부에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수직측 돌출턱에 걸리도록 걸고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걸이공을 형성하되, 상기 걸이공에 벽에 고정된 나사가 걸리도록 이단으로 절곡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측 돌출턱과 고정판을 밀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삽입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액자받침 고정판은,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하,좌우 방향에서 각각 결합되되, 상기 프레임부재의 일단부는, 수직측 돌출턱에 걸리도록 걸고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와이어가 감겨지는 홈이 형성되어 와이어에 의해 결속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의 제작방법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진 압출바로 사각프레임를 형성하되, 상기 사각프레임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위에 절곡홈을 형성하도록 하는 프레임부재 성형단계;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측에 그림판을 결합시키는 그림판 결합단계; 상기 그림판을 상기 프레임부재로 감싸도록 하는 프레임부재의 절곡단계; 상기 프레임부재가 절곡된 상태에서 프레임부재와 상기 그림판과 결합되는 액자받침 고정판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홈은 중심선에서 양측으로 45°로 절단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액자받침 고정판의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수직측 돌출턱에 걸리도록 걸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림판과의 접촉면에는 양면테이프가 결합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액자받침 고정판은, 일단부에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수직측 돌출턱에 걸리도록 걸고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걸이공을 형성하되, 상기 걸이공에 벽에 고정된 나사가 걸리도록 이단으로 절곡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측 돌출턱과 그림판을 밀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삽입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액자받침 고정판은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하,좌우 방향에서 각각 결합되되, 상기 프레임부재의 일단부는, 수직측 돌출턱에 걸리도록 걸고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와이어가 감겨지는 와이어 홈이 형성되어 와이어에 의해 결속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 및 이의 제작방법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진 압출바를 절곡하여 사각프레임를 형성하되, 상기 사각프레임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위에 절곡홈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홈을 절곡시켜 프레임부재를 형성하고, 그림판을 상기 프레임부재로 감싸도록 한 후 상기 프레임부재 및 그림판을 액자받침 고정판으로 고정하도록 함으로서, 절곡가능하게 일체형으로 제작된 직선의 프레임부재를 절곡하여 사각프레임을 형성할 때 사각프레임의 내측을 당겨지도록 하여 사각프레임의 형태 유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의 사시도.
도 2는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의 프레임부재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의 프레임부재의 여러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의 액자받침 고정판의 정면 사시도.
도 5는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의 액자받침 고정판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의 액자받침 고정판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
도 7은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의 요부단면도로서, 액자받침 고정판이 그림판과 프레임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의 요부단면도로서, 액자받침 고정판이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의 배면도로서, 액자받침 고정판에 와이어가 감겨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의 제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의 프레임부재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의 프레임부재의 여러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의 액자받침 고정판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의 액자받침 고정판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의 액자받침 고정판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의 요부단면도로서, 액자받침 고정판이 그림판과 프레임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의 요부단면도로서, 액자받침 고정판이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의 배면도로서, 액자받침 고정판에 와이어가 감겨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100)는, 프레임부재(10), 그림판(20) 및 액자받침 고정판(3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재(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진 압출바를 절곡하여 사각프레임를 형성하되, 상기 사각프레임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위에 절곡홈(11)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홈(11)을 절곡시키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같이 다양한 형태로 상기 프레임부재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는데, 그 기본 구성은 수평면(10a)과 수직면(10b)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10a)의 내측에는 수평측 돌출턱(13)이 형성되되, 상기 수평측 돌출턱(13)의 돌출길이(L)는 그림의 크기에 따라 1mm ~ 100mm 이내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면(10b)의 내측에는 수직측 돌출턱(12)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상기 수평측 돌출턱(13)이 돌출길이(L)에 따라 액자틀의 차이가 나게 되고, 외부에서 그림을 감상하는 경우에 시선을 모아 볼수 있으며, 그림을 외부충격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고, 보호그림에 먼지 등이 상부에서 내려 앉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홈(11)은 중심선에서 양측으로 45°로 절단되도록 하여 약간의 연결부위 만을 남겨두도록 하여 사각프레임의 형상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그림판(20)은, 상기 프레임부재(10)에 감싸여지는 것으로, 글씨, 그림, 사진이 결합 또는 인쇄 될 수 있다.
상기 액자받침 고정판(30)은, 상기 프레임부재(10)가 절곡된 상태에서 프레임부재(10)와 상기 그림판(20)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프레임부재의 내측을 당겨지도록 하여 형태유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액자받침 고정판(30)의 제1실시예는, 일단부에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수직측 돌출턱(12)에 걸리도록 걸고리부(31)가 형성되고, 상기 그림판(20)과의 접촉면에는 양면테이프(32)가 결합되어지며, 박리지(32a)을 박리 시킨 후 접착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자받침 고정판(30)의 제2실시예로서, 상기 액자받침 고정판(30)은, 일단부에는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수직측 돌출턱(12)에 걸리도록 걸고리부(3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걸이공(33)을 형성하되, 상기 걸이공(33)에 벽에 고정된 나사가 걸리도록 이단으로 절곡되어지도록 절곡선(34)이 형성되어 진다.
이때 상기 수직측 돌출턱(12)과 그림판(20)을 밀착시키는 결합부재(35)를 더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선(34)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슬롯이 형성되어 절곡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35)를 고정하기 전에 액자받침 고정판(30)의 후면에 양면테이프를 결합시켜 그림판(20)과의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액자받침 고정판(30)의 제3실시예로서, 상기 액자받침 고정판(30)은,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상,하,좌우 방향에서 각각 결합되되,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일단부는, 수직측 돌출턱(12)에 걸리도록 걸고리부(31)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와이어(36)가 감겨지는 와이어 홈(37)이 형성되어 와이어(36)에 의해 결속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발명에 따른 절곡식 액자의 제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이를 참고로 절곡식 액자의 제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S100)는, 프레임부재(10) 성형단계로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진 압출바로 사각프레임를 형성하되, 상기 사각프레임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위에 절곡홈을 형성하도록 하여 프레임부재(10)를 성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홈(11)은 중심선에서 양측으로 45°로 절단되도록 하여 절곡홈(11)을 절곡시켜 사각프레임을 형성시키게 된다.
제2단계(S200)는, 그림판(20) 결합단계로서, 상기 프레임부재(10)의 내측에 그림판(20)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제3단계(S300)는, 프레임부재(10)의 절곡단계로서, 상기 그림판(20)을 상기 프레임부재(10)로 감싸도록 하는 것이다.
제4단계(S400)는, 액자받침 고정판(30)의 고정단계로서, 상기 프레임부재(10)가 절곡된 상태에서 프레임부재(10)와 상기 그림판(20)을 결합시키는 액자받침 고정판(30)을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액자받침 고정판(30)의 제1실시예(S410)는, 상기 액자받침 고정판(30)의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수직측 돌출턱(12)에 걸리도록 걸고리부(31)가 형성되고, 상기 그림판(20)과의 접촉면에는 양면테이프(32)가 결합되도록 하여 걸고리부(31)에 의해 프레임부재(10)가 내측으로 당겨지면서 양면테이프(32)에 의해 그림판(20)에 고정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액자받침 고정판(30)의 제2실시예(S420)는, 일단부에는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수직측 돌출턱(12)에 걸리도록 걸고리부(3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걸이공(33)을 형성하되, 상기 걸이공(33)에 벽에 고정된 나사가 걸리도록 이단으로 절곡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직측 돌출턱(12)과 그림판(20)을 밀착시키는 결합부재(35)를 더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자받침 고정판(30)의 제3실시예(S430)는,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상,하,좌우 방향에서 각각 결합되되,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일단부는, 수직측 돌출턱(12)에 걸리도록 걸고리부(31)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와이어(36)가 감겨지는 와이어 홈(37)이 형성되어 와이어(36)에 의해 결속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0: 절곡식 액자
10: 프레임부재 11: 절곡홈
12: 수직측 돌출턱 20: 그림판
30: 액자받침 고정판 31: 걸고리부
32: 양면테이프 33: 걸이공
34: 절곡선 35: 결합부재
36: 와이어 37: 와이어 홈

Claims (13)

  1.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진 압출바를 절곡하여 사각프레임를 형성하되, 상기 사각프레임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위에 절곡홈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홈을 절곡시켜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감싸여지는 그림판과,
    상기 프레임부재가 절곡된 상태에서 프레임부재와 상기 그림판과 결합시키는
    액자받침 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액자받침 고정판은, 일단부에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수직측 돌출턱에 걸리도록 걸고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걸이공을 형성하되, 상기 걸이공에 벽에 고정된 나사가 걸리도록 이단으로 절곡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식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는 수평면과 수직면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의 내측에는 수평측 돌출턱이 형성되되, 상기 수평측 돌출턱의 길이는 그림의 크기에 따라 1mm ~ 100mm 이내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면의 내측에는 수직측 돌출턱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식 액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홈은 중심선에서 양측으로 45°로 절단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식 액자.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측 돌출턱과 고정판을 밀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식 액자.
  7. 삭제
  8.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진 압출바로 사각프레임를 형성하되, 상기 사각프레임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위에 절곡홈을 형성하도록 하는 프레임부재 성형단계;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측에 그림판을 결합시키는 그림판 결합단계;
    상기 그림판을 상기 프레임부재로 감싸도록 하는 프레임부재의 절곡단계;
    상기 프레임부재가 절곡된 상태에서 프레임부재와 상기 그림판과 결합되는 액자받침 고정판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액자받침 고정판은, 일단부에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수직측 돌출턱에 걸리도록 걸고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걸이공을 형성하되, 상기 걸이공에 벽에 고정된 나사가 걸리도록 이단으로 절곡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식 액자의 제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홈은 중심선에서 양측으로 45°로 절단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식 액자의 제작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측 돌출턱과 그림판을 밀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삽입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식 액자의 제작방법.
  13. 삭제
KR1020180021673A 2018-02-23 2018-02-23 절곡식 액자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945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673A KR101945967B1 (ko) 2018-02-23 2018-02-23 절곡식 액자 및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673A KR101945967B1 (ko) 2018-02-23 2018-02-23 절곡식 액자 및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967B1 true KR101945967B1 (ko) 2019-02-11

Family

ID=65369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673A KR101945967B1 (ko) 2018-02-23 2018-02-23 절곡식 액자 및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9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908B1 (ko) 2019-07-01 2020-05-06 정의원 액자프레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액자프레임
KR20210002213U (ko) * 2020-03-26 2021-10-07 강원경 비닐하우스 환풍기용 고정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환풍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0404A (ja) * 2002-04-23 2003-11-05 Art Print Japan:Kk 連結装置を有する組立式額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0404A (ja) * 2002-04-23 2003-11-05 Art Print Japan:Kk 連結装置を有する組立式額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908B1 (ko) 2019-07-01 2020-05-06 정의원 액자프레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액자프레임
KR20210002213U (ko) * 2020-03-26 2021-10-07 강원경 비닐하우스 환풍기용 고정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환풍기
KR200495637Y1 (ko) * 2020-03-26 2022-07-11 강원경 비닐하우스 환풍기용 고정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환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967B1 (ko) 절곡식 액자 및 이의 제작방법
TW546598B (en) A monitor having an improved combining structure of a main body and a base member thereof
JP6576518B2 (ja) 映写スクリーン保持枠構造体
WO2020009641A1 (en) Foldable frame for holding an image
JP2011188554A (ja) ケーブル固定部材
CN212364788U (zh) 投影屏幕
KR101721623B1 (ko) 미술용 사진 구도기
KR100978919B1 (ko) 액자
KR102105908B1 (ko) 액자프레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액자프레임
KR200402534Y1 (ko) 힌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박스
KR200432554Y1 (ko) 스케치북
KR100766360B1 (ko) 스케치북
JPS5927803Y2 (ja) 鏡等の懸吊装置
KR200241983Y1 (ko) 액자
JP3174673U (ja) 装飾パネル、及び玄関パネル
JP2018021329A (ja) フレーム部材及び仕切り装置
KR200245985Y1 (ko) 액자
US20190183264A1 (en) Frame mount and system for securing frames at different orientations
KR100883355B1 (ko) 도화 용지
KR200293920Y1 (ko) 액자
JP3203962U (ja) 額縁
KR20090008506U (ko) 카드 꽂이틀
KR200377111Y1 (ko) 다방향으로 새워둠이 용이한 액자
JP2020168351A (ja) 装飾用紙器
JPS631236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