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877Y1 -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 Google Patents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877Y1
KR200485877Y1 KR2020160004206U KR20160004206U KR200485877Y1 KR 200485877 Y1 KR200485877 Y1 KR 200485877Y1 KR 2020160004206 U KR2020160004206 U KR 2020160004206U KR 20160004206 U KR20160004206 U KR 20160004206U KR 200485877 Y1 KR200485877 Y1 KR 200485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ceiving
frame body
receiving po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333U (ko
Inventor
송수용
Original Assignee
송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수용 filed Critical 송수용
Priority to KR2020160004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877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3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3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8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66Frontloading 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94Picture frames comprising means allowing the frame to be supported on a horizontal surfac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면적을 이루면서 사진이 마련된 액자본체 아래에 평판 형태의 받침대를 전방에서 삽입결합함으로써, 손쉽게 액자를 설치하면서도, 설치하기 전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설치된 상태에서도 액자의 전면으로 앨범이나 다른 사진, 책 등을 놓는 거치대로도 활용이 가능한 다용도 활용을 위한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에 관한 것이며, 시계, 볼펜 등 필기구 꽂이, LED램프 등이 결합되어 다기능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은 대면적을 이루면서 사진이 전방으로 보이게 하는 액자본체(20); 및 상기 액자본체(20) 아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결합되어 후방으로 돌출된 연장부분이 지면에 지지되어 액자본체(20)를 지지하는 전방삽입받침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삽입받침부(30)가 액자본체(20) 아래의 관통공에 대해서, 액자본체(20)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삽입되고, 삽입에 의해 후방으로 돌출된 전방삽입받침부(30) 후방 끝단 아래 부분이 설치면에 접하여 액자본체(20)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MULTI FUNCTIONAL PICTURE FRAME}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면적을 이루면서 사진이 마련된 액자본체 아래에 평판 형태의 받침대를 전방에서 삽입결합함으로써, 손쉽게 액자를 설치하면서도, 설치하기 전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설치된 상태에서도 액자의 전면으로 앨범이나 다른 사진, 책 등을 놓는 거치대로도 활용이 가능한 다용도 활용을 위한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주로 전방에서 사진을 볼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액자에서는 액자 전방을 주로 사진을 볼 수 있도록 미관이 양호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반면 이러한 액자는 주로 세워서 사용하는 것이며, 미관을 이유로 전방면에는 세우는데 이용되는 소재들은 위치하지 않게 된다.
그리하여 주로 액자의 후면으로 세울 수 있는 부재들을 주로 마련하게 된다.
특히 점점 제품의 개량됨에 의해 종래의 액자들은 점차로 세우는데 이용되는 부재들을 점점 복잡한 구조를 이루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서 많은 부속들로 세우는 받침을 구성하기 때문에 사용이 점점 복잡하여 사용이 쉽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잡한 받침 구성으로 인해 제조 비용도 상당하게 되면서 포장한 상태에서도 제품의 구성이 많아 부피가 상당하게 되는 등, 사용상에서뿐만 아니라 제품을 제조하는 측면에서도 점차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등록특허번호 제10-1166857호(2012년 07월 19일 공고) 등록특허번호 제10-1502732호(2015년 03월 16일 공고)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11-0007180호(2011년 07월 20일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진이 위치되는 부분의 아래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받침부재인 전방삽입받침부를 삽입 결합함으로써 손쉽게 액자 형태를 갖추어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진이 마련된 본체인 액자본체와 이와 결합되는 전방삽입받침부 등은 얇은 판재 형태를 이룸으로써 포장된 상태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사용도 편리하면서도 제조 과정도 단순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액자본체 전방에서 받침 구성인 전방삽입받침부를 삽입하여 액자를 이룬 상태에서, 액자본체 전방으로 돌출된 전방삽입받침부 전방 부분으로 평편한 테이블 형태를 이룸으로써, 앨범, 책, 기타 사진 등을 거치하는 거치대로 이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대면적을 이루면서 사진이 전방으로 보이게 하는 액자본체; 및 상기 액자본체 아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결합되어 후방으로 돌출된 연장부분이 지면에 지지되어 액자본체를 지지하는 전방삽입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삽입받침부가 액자본체 아래의 관통공에 대해서, 액자본체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삽입되고, 삽입에 의해 후방으로 돌출된 전방삽입받침부 후방 끝단 아래 부분이 설치면에 접하여 액자본체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전방삽입받침부는, 상기 액자본체의 받침삽입장방홀에 결합될 경우, 액자본체 배면에서 후방으로 위치된 소정 위치에서 관통된 받침쐐기체결홀을 형성하며, 상기 받침쐐기체결홀에 결합되는 받침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자본체는, 전방으로 사진이 보이도록 사진이 위치되는 사진위치부; 및 상기 사진위치부 아래 소정 위치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는 받침삽입장방홀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삽입장방홀은, 높이에 비하여 측방향으로 긴 길이의 장방형 홀로 형성되어, 전방삽입받침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방삽입받침부는, 상기 액자본체의 받침삽입장방홀에 결합될 경우, 액자본체 전방으로 위치되는 부분인 전방광폭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광폭테이블은 액자본체 전방으로 소정 넓이를 이루며, 받침삽입장방홀의 폭보다 넓은 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삽입받침부는, 상기 받침쐐기체결홀 후방 일측으로, 상기 받침쐐기가 위치되는 받침쐐기제거홀을 형성하고, 상기 액자본체 및 전방삽입받침부의 전방광폭테이블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시계, 필기구 및 LED램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사진이 위치되는 부분의 아래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받침부재인 전방삽입받침부를 삽입 결합함으로써 손쉽게 액자 형태를 갖추어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사진이 마련된 본체인 액자본체와 이와 결합되는 전방삽입받침부 등은 얇은 판재 형태를 이룸으로써 포장된 상태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사용도 편리하면서도 제조 과정도 단순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는, 액자본체 전방에서 받침 구성인 전방삽입받침부를 삽입하여 액자를 이룬 상태에서, 액자본체 전방으로 돌출된 전방삽입받침부 전방 부분으로 평편한 테이블 형태를 이룸으로써, 앨범, 책, 기타 사진 등을 거치하는 거치대로 이용할 수 있고, 나아가 시계를 마련할 수도 있고 필기구도 이용이 가능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이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는, 액자본체 전방에서 삽입된 전방삽입받침부의 후방 측으로 별도의 받침쐐기를 끼움 결합할 수 있으며, 이로써 액자본체 전방에서 삽입된 전방삽입받침부가 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 액자가 안정적인 설치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는, 이러한 받침쇄기를 제조시 전방삽입받침부의 일부로써 함께 제조하고 제공하기 때문에, 별도로 만들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과정도 단순하게 되고 분실의 염려도 없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본형의 다기능 액자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본형의 다기능 액자의 전방으로 앨범을 거치시킨 상태의 실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본형의 다기능 액자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본형의 다기능 액자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기본형의 다기능 액자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기본형의 다기능 액자에서 각 부재들이 분리된 상태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기본형의 다기능 액자에서 전방삽입받침부로부터 받침쐐기가 분리된 상태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기본형의 다기능 액자에서 액자본체와 전방삽입받침부가 결합된 상태에 대한 배면에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액자에서 전방으로 시계가 결합된 응용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액자에 시계가 구비된 실시예에서 각 부재들이 분리된 상태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액자에서 투명창으로 내부 사진이 보이도록 하는 투명창-뒷판구비형에서 전방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액자에서 투명창으로 내부 사진이 보이도록 하는 투명창-뒷판구비형에서 각 부재들이 분리된 상태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액자에서 투명창으로 내부 사진이 보이도록 하는 투명창-뒷판구비형에서 각 부재들이 분리된 상태에 대한 배면에서의 배면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액자에서 투명창으로 내부 사진이 보이도록 하는 투명창-뒷판구비형에서 액자본체와 전방삽입받침부가 결합된 상태에 대한 배면에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액자에서 전방삽입받침부의 전방인 전방광폭테이블 일측으로 필기구가 결합된 상태에 대한 실시 예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1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5 등에서와 같이 대면적을 이루면서 사진이 전방으로 보이게 하는 액자본체(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액자본체(20) 아래의 전방으로 소정 넓이를 이루어 돌출된 받침 부분이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액자(10)의 전방으로는 사진을 볼 수 있도록 마련한 것으로 액자로 이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면서 전방으로 돌출된 받침부분(후술에서는 '전방광폭테이블(31)'에 해당됨)에 의해 책이나 다른 앨범, 물건 등을 받칠 수 있는 거치대 역할도 할 수 있는 다기능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의 다기능 액자(10)를 거치대로 이용할 수 있는 물건의 형태는 대체로 넓이에 대해 두께가 얇은 책이나, 앨범, 장식물 등이 해당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물건에 대한 것은 형태나 종류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액자(10)에 있어서, 상기 액자본체(20) 아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결합되어 후방으로 돌출된 연장부분이 지면에 지지되어 액자본체(20)를 지지하는 전방삽입받침부(30)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전방삽입받침부(30)가 액자본체(20) 아래의 관통공에 대해서, 액자본체(20)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삽입되고, 삽입에 의해 후방으로 돌출된 전방삽입받침부(30) 후방 끝단 아래 부분이 설치면에 접하여 액자본체(20)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액자본체(20) 및 전방삽입받침부(30) 등은 서로의 크기나 두께가 다르기는 하지만, 각각 넓이보다 두께가 얇게 이루어진 것이며, 그리하여 전방삽입받침부(30)와 액자본체(20)를 서로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방삽입받침부(30)와 액자본체(20)를 서로 겹쳐 포장할 경우에는, 조립되어 거치된 사용상태에서보다도 부피를 현격히 줄일 수 있어, 보관이나 배달할 경우 전체 부피를 줄여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 액자나 거치대로써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방삽입받침부(30) 일부를 액자본체(20) 일측의 관통공으로 삽입결합하여 세울 수 있음으로써,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액자나 거치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본 고안의 각 구성들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상기 액자본체(20)는, 전방으로 사진이 보이도록 사진이 위치되는 사진위치부(21)가 구비된다.
이러한 사진위치부(21)의 실시 형태를 보면, 액자본체(20) 전면의 사진위치부(21) 자체면에 프린트나 인쇄되거나 또는 사진이 얇은 필름 형태로 접착되어 전방에서 사진이 보이도록 실시될 수 있다.
또는 액자본체(20)와 별도로 이루어진 사진전방부착부(211)를 마련하여 액자본체(20) 전면에 결합하여 사진위치부(21)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사진전방부착부(211)의 전면에는 사진이 인쇄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아울러 사진위치부(21)에 해당하는 전방면은 투명소재를 이루는 투명창인 사진투명패널(212)을 이루고, 사진투명패널(212)이 위치되는 액자본체(20)의 사진위치부(21)는 전후방으로 관통된 공간인 사진삽입공간(21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진삽입공간(213)의 전방으로는 투명창을 이루게 하는 사진투명패널(212)이 위치된다. 그리고 사진삽입공간(213)에서 사진투명패널(212) 후방으로는 사진이 인쇄된 사진후방부착부(214)를 삽입 결합하는 것이다. 이로써 사진후방부착부(214) 전면에 마련된 사진이 전방의 사진투명패널(212)을 통해서 전방에서 볼 수 있는 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10)는 액자본체(20)의 사진위치부(21)에 마련된 사진을 전방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써, 액자의 기능을 하게 될 것이다.
이에 도 12, 도 13 등의 예에서처럼, 전방의 사진투명패널(212) 후방의 공간인 사진삽입공간(213)으로, 사진이 마련된 사진후방부착부(214)를 삽입한 다음에, 사진뒷판(215)으로 사진위치부(21) 후방을 가리게 된다. 이때 사진뒷판(215)은 상측 액자본체(20)에 고리 형태를 이루는 뒷판상부고리(216)에 먼저 사진뒷판(215)을 끼워 결합한 후, 아래 부분은 받침쐐기(40)를 전방삽입받침부(30)에 형성된 받침쐐기체결홀(33)에 끼움으로써, 받침쐐기(40) 상측이 사진뒷판(215) 아래 부분을 지지하게 하는 것이다. 이로써 사진이 마련된 사진후방부착부(214) 및 사진뒷판(216) 등은 상하측으로 각각 뒷판상부고리(216)와 받침쐐기(40)에 의해 액자본체(20)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액자본체(20)는 아래가 책상이나 다른 바닥의 설치면 상부로 마련된 것으로, 액자본체(20) 아래 부분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여 아래 전체적으로 설치면 상부면에 접하도록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액자본체(20) 아래에서 중앙으로 공간을 형성하도록 양측 아래로 설치면 상부면에 접하도록 거치다리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액자본체(20)는, 상기 사진위치부(21) 아래 소정 위치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는 받침삽입장방홀(25)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받침삽입장방홀(25)은, 높이에 비하여 측방향으로 긴 길이의 장방형 홀로 형성되어, 전방삽입받침부(30)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받침삽입장방홀(25)은 측방향으로 긴 길이를 이루는 것이며, 전방삽입받침부(30)의 일부가 삽입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전방삽입받침부(30)는, 상기 액자본체(20)의 받침삽입장방홀(25)에 결합될 경우, 액자본체(20) 전방으로 위치되는 부분인 전방광폭테이블(31)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전방광폭테이블(31)은 액자본체(20) 전방으로 소정 넓이를 이루며, 받침삽입장방홀(25)의 폭보다 넓은 폭을 이루는 것이다. 그리하여 전방광폭테이블(31)이 액자본체(20) 전면 아래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소정 넓이를 이루는 테이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방광폭테이블(31) 위로, 다른 앨범이나 책 등의 물건을 놓을 수 있어 다기능 액자(10)를 거치대로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액자본체(20)의 받침삽입장방홀(25)의 폭보다 좁은 폭을 이루는 받침결합삽입부(32)는 전방광폭테이블(31) 후방으로 연결되어 받침삽입장방홀(25)로 삽입된다.
특히 받침결합삽입부(32)의 전방부분으로써 전방광폭테이블(31)의 후방과 연결되면서 받침삽입장방홀(25)에 삽입되는 부분인 받침결합유지부(321)는, 전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은 소정의 같은 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받침삽입장방홀(25)의 좌우측방향의 폭과 거의 같게 하여, 받침삽입장방홀(25)과 받침결합유지부(321) 사이의 빈 공간을 적게 함으로써,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불필요한 간격에 의해 서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받침결합유지부(321)는 후방으로 받침결합유지부(321)보다 넓은 폭을 이루어 측방향으로 돌출된 체결유지돌출부(3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하여 받침삽입장방홀(25) 내부로 받침결합삽입부(32)가 삽입결합된 다음에 체결유지돌출부(322)에 걸려 잘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전방삽입받침부(30)는, 상기 액자본체(20)의 받침삽입장방홀(25)에 결합될 경우, 액자본체(20) 배면에서 후방으로 위치된 소정 위치에서 관통된 받침쐐기체결홀(33)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받침쐐기체결홀(33)은 받침삽입장방홀(25)에 삽입되기 쉽도록 평평한 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액자본체(20)와 결합된 상태에서도 후방으로 소정 길이를 이루도록 어느 정도 긴 길이를 이루게 한다.
그리하여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설치면 상에 놓인 액자본체(20)가 후방으로 조금 기울어진 상태에서 액자본체(20)와 결합된 전방삽입받침부(30)의 받침결합삽입부(32)의 후방이 설치면을 후방에서 지지하여, 전체적으로 액자본체(20) 및 전방삽입받침부(30) 등으로 이루어진 다기능 액자(10)가 넘어지지 않고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받침쐐기체결홀(33)에 결합되는 받침쐐기(40)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전방삽입받침부(30)가 액자본체(20)의 받침삽입장방홀(25)에 결합된 상태에서, 액자본체(20) 배면으로 나온 전방삽입받침부(30) 일측의 관통공에 결합되는 받침쐐기(40)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받침쐐기(40)에 의하여, 액자본체(20)의 받침삽입장방홀(25)에 결합된 전방삽입받침부(30)가 액자본체(20)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다기능 액자(10)를 사용하는 중에 전방삽입받침부(30)가 점차로 액자본체(20) 전방으로 빠져나올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액자본체(20)로부터 후방에서 지지하는 받침결합삽입부(32)의 지지 거리가 점차로 짧아질 수 있고, 심할 경우 다기능 액자(10)가 넘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다기능 액자(10)에서는, 액자본체(20) 전방에서 삽입되어 후방으로 돌출된 전방삽입받침부(30)의 받침결합삽입부(32)에 형성된 받침쐐기체결홀(33)에, 함께 마련된 받침쐐기(40)를 끼움으로써, 액자본체(20) 후방에 끼워진 받침쐐기(40)에 의하여, 전방삽입받침부(30)가 액자본체(20) 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로써 액자본체(20)가 안정적으로 오랜동안 세워지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전방삽입받침부(30)는, 상기 받침쐐기체결홀(33) 후방 일측으로, 상기 받침쐐기(40)가 위치되는 받침쐐기제거홀(34)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액자(10)를 사용하기 전에는, 받침쐐기제거홀(34)에 받침쐐기(40)가 일체로 제조되어 마련되며, 받침쐐기제거홀(34) 내의 받침쐐기(40) 일측의 쐐기연결부(41)에 의해 전방삽입받침부(30)의 받침결합삽입부(32)와 연결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후 사용을 위해 쐐기연결부(41)를 절단하게 되면, 받침결합삽입부(32)로부터 받침쐐기(40)를 분리하여, 받침결합삽입부(32)에 형성된 받침쐐기체결홀(33)에 끼움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쐐기연결부(41)로 연결되어 받침쐐기제거홀(34) 내에 받침쐐기(40)가 위치하여 최초 제공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 별도로 받침쐐기(40)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어 제조공정을 단순화하면서도 제품 이용이 손쉽게 되며, 받침쐐기(40)를 잊어버리는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처럼 쐐기연결부(41)의 연결로 받침쐐기제거홀(34)에 결합하여 받침쐐기(40)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다른 실시로는 전방삽입받침부(30)와 분리된 형태로써 별도 부속품으로써 받침쐐기(40)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액자(10)는 사진이 위치되는 사진위치부(21) 아래에 시계(50)가 위치되는 시계위치부(5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하여 사진과 함께 시계(50)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방삽입받침부(30)가 액자본체(20)의 받침삽입장방홀(25)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삽입받침부(30)의 전방광폭테이블(31) 일측으로는 필기구(60)가 결합되는 필기구위치부(61)를 더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필기가 필요한 경우 필기구위치부(61)에 마련된 필기구(60)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액자(10)에 있어서, 상기 액자본체(20) 및 전방삽입받침부(30)의 전방광폭테이블(31)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시계위치부(51)에 구비되는 시계(50), 필기구위치부(61)에 구비되는 필기구(60)와 더불어 LED램프(미도시됨) 등 다양한 부속장식물들이 하나 이상이 결합될 수 있어, 이러한 부속장식물들에 의해 시계나 알림이 가능하고 필기구를 손쉽게 제공하며 LED 램프에 의한 조명의 기능등을 갖는 등 다양한 기능의 액자로써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10)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10 : 다기능 액자 20 : 액자본체
21 : 사진위치부 25 : 받침삽입장방홀
30 : 전방삽입받침부 31 : 전방광폭테이블
32 : 받침결합삽입부 33 : 받침쐐기체결홀
40 : 받침쇄기

Claims (6)

  1. 대면적을 이루면서 사진이 전방으로 보이게 하는 액자본체(20); 및
    상기 액자본체(20) 아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결합되어 후방으로 돌출된 연장부분이 지면에 지지되어 액자본체(20)를 지지하는 전방삽입받침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삽입받침부(30)가 액자본체(20) 아래의 관통공에 대해서, 액자본체(20)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삽입되고, 삽입에 의해 후방으로 돌출된 전방삽입받침부(30) 후방 끝단 아래 부분이 설치면에 접하여 액자본체(20)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전방삽입받침부(30)는,
    상기 액자본체(20)의 받침삽입장방홀(25)에 결합될 경우, 액자본체(20) 배면에서 후방으로 위치된 소정 위치에서 관통된 받침쐐기체결홀(33)을 형성하며,
    상기 받침쐐기체결홀(33)에 결합되는 받침쐐기(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본체(20)는,
    전방으로 사진이 보이도록 사진이 위치되는 사진위치부(21); 및
    상기 사진위치부(21) 아래 소정 위치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는 받침삽입장방홀(25)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삽입장방홀(25)은, 높이에 비하여 측방향으로 긴 길이의 장방형 홀로 형성되어, 전방삽입받침부(3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삽입받침부(30)는,
    상기 액자본체(20)의 받침삽입장방홀(25)에 결합될 경우, 액자본체(20) 전방으로 위치되는 부분인 전방광폭테이블(31)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광폭테이블(31)은 액자본체(20) 전방으로 소정 넓이를 이루며, 받침삽입장방홀(25)의 폭보다 넓은 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삽입받침부(30)는,
    상기 받침쐐기체결홀(33) 후방 일측으로, 상기 받침쐐기(40)가 위치되는 받침쐐기제거홀(34)을 형성하고,
    상기 액자본체(20) 및 전방삽입받침부(30)의 전방광폭테이블(31)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시계, 필기구 및 LED램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6. 삭제
KR2020160004206U 2016-07-21 2016-07-21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KR200485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06U KR200485877Y1 (ko) 2016-07-21 2016-07-21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06U KR200485877Y1 (ko) 2016-07-21 2016-07-21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33U KR20180000333U (ko) 2018-02-01
KR200485877Y1 true KR200485877Y1 (ko) 2018-03-08

Family

ID=61282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206U KR200485877Y1 (ko) 2016-07-21 2016-07-21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87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274Y1 (ko) * 2019-09-17 2021-09-06 김봉덕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695Y1 (ko) 2003-08-21 2004-01-13 김성수 액자
JP2011030581A (ja) * 2009-07-29 2011-02-17 Kazumi Ichikawa 額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852A (ja) * 1995-04-04 1996-10-22 Yoshiharu Miki 折畳み式立体写真立て
KR19990033221U (ko) * 1999-03-24 1999-08-05 김향순 액자
KR20110007180U (ko) 2010-01-12 2011-07-20 황보운찬 전면 개방형 사진액자틀
KR101166857B1 (ko) 2011-02-08 2012-07-19 주식회사 픽시스 직립이 가능한 액자
KR101502732B1 (ko) 2014-07-14 2015-03-16 박현재 액자용 지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695Y1 (ko) 2003-08-21 2004-01-13 김성수 액자
JP2011030581A (ja) * 2009-07-29 2011-02-17 Kazumi Ichikawa 額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33U (ko)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94596S1 (en) Display mount
US20150272350A1 (en) Picture frame device with interchangeable trim and base section
JPH03501699A (ja) 正面装填式表示額縁
US20100159160A1 (en) Modular display system
US5659991A (en) Picture frame
KR200485877Y1 (ko)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US6282828B1 (en) Picture frame
KR101755007B1 (ko)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US4856213A (en) Combination picture frame and video cassette holder
USD471113S1 (en) Combined clock and display device with moving images
US20020104247A1 (en) Picture frame
KR101166857B1 (ko) 직립이 가능한 액자
US5603528A (en) Photo album usable as a picture stand
KR20140142078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JP2011104037A (ja) 組み立て用ボード立て
KR200439897Y1 (ko) 거울 기능을 갖는 액자
KR100978919B1 (ko) 액자
JP3147159U (ja) 額縁
KR200220850Y1 (ko) 달력 일체형 액자
KR200483301Y1 (ko) 액자
KR20210000687U (ko)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
US20040222946A1 (e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KR20100044981A (ko) 사진 교체가 용이한 액자
KR200371690Y1 (ko) 선반겸용 액자
KR20140000625U (ko) 자력을 이용한 가변형 앨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