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2078A -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 Google Patents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2078A
KR20140142078A KR1020130063665A KR20130063665A KR20140142078A KR 20140142078 A KR20140142078 A KR 20140142078A KR 1020130063665 A KR1020130063665 A KR 1020130063665A KR 20130063665 A KR20130063665 A KR 20130063665A KR 20140142078 A KR20140142078 A KR 20140142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ont plate
portable article
suppor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김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태 filed Critical 김형태
Priority to KR1020130063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2078A/ko
Publication of KR20140142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2Tiltable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1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made of cardboard, paper or the like
    • A47F5/112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made of cardboard, paper or the like hand-folded from shee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2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ewellery, dentures, watches, eye-glasses, len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 H04M1/13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pantographic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받침대는 몸체부(10)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0)의 일측 전면을 제1전면판(12)이 형성하고 반대쪽 전면을 제2전면판(22)이 형성한다. 상기 제1전면판(12)에는 제1윈도우가(14), 상기 제2전면판(22)에는 제2윈도우(2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전면판(12)의 후방에는 제1지지판(16)이 위치되어 상기 제1윈도우(14)와 대응되는 공간에 제1수납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제2전면판(22)의 후방에는 제2지지판(26)이 위치되어 상기 제2윈도우(24)와 대응되는 공간에 제2수납부(3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윈도우(14)는 휴대 물품을 세로로 세웠을 때 전면이 노출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이고, 상기 제2윈도우(24)는 휴대 물품을 가로로 놓았을 때 전면이 노출되도록 좌우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제1수납부(20)에 휴대 물품을 세로 방향으로 세워서 수납하고 제2수납부(24)에 휴대 물품을 가로방향으로 안착시킬 수 있으며, 휴대 물품의 전면에 있는 화면이 가려지지 않으므로 다양하게 휴대 물품을 받침대에 보관하고, 보관된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Folding type supporter for portable instrument}
본 발명은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시트를 접어 연결하여 만들어 휴대물품을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사람들이 휴대하여 사용하는 제품들이 많아 졌다. 즉, 사용자가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하는 휴대 물품들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다. 예를 들면, 대표적으로 휴대폰이 있고, 개인용 단말기, 지갑, 수첩, 리모콘 등 다양한 휴대 물품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핸드폰, 특히 스마트폰을 접이식 받침대에 안착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휴대 물품은 사용자가 몸이나 가방 등에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휴대 물품은 사무실이나 집에서는 사용자가 몸에 휴대하지 않고 책상 등에 놓아두게 되는데, 그 위치가 일정하지 않게 되면 사용 시마다 휴대 물품을 찾아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고, 특히, 나이가 많아 기억력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휴대 물품의 위치를 자주 잊어버리게 된다.
이와 같은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휴대 물품을 놓아 둘 수 있는 접이식 받침대인 핸드폰 홀더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접는 것이 가능하게 만들어진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접이식으로 핸드폰 홀더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핸드폰 홀더는 내부의 공간으로 핸드폰 등 휴대 물품의 절반정도가 들어가서 외부에서 휴대 물품의 전체가 보이지 않고 일부만이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의 핸드폰은 음악을 듣거나 특히 동영상을 보는 용도로도 많이 사용하므로, 핸드폰 홀더에 핸드폰을 놓은 상태에서 핸드폰의 일부가 가려지면 동영상을 볼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최근의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놓는 방향을 달리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화면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등 원하는 방향으로 놓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핸드폰 홀더에서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핸드폰을 놓고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한 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806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 물품의 전면 전체를 볼 수 있도록 안착시킬 수 있는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물품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사용자가 선택하여 안착시킬 수 있는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이식 받침대를 하나의 시트로 접어서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이식 받침대에 일체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구조를 채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이식 받침대에 전시유닛을 더 두어 다양한 전시물을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의 시트로 형성되고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어 이들 구성요소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상기 제1전면판이 전면을 형성하고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세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되는 제1수납부와, 상기 제1전면판이 향하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세워진 상기 제2전면판이 전면을 형성하고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가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되는 제2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수납부는 상기 제1전면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1지지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전면판에 형성된 제1윈도우에 대응되는 상기 제1전면판과 제1지지판 사이의 공간이고, 상기 제2수납부는 상기 제2전면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2지지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전면판에 형성된 제2윈도우에 대응되는 상기 제2전면판과 제2지지판 사이의 공간이다.
상기 제1전면판과 제1지지판의 하단 사이는 제1바닥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전면판과 제2지지판의 하단 사이는 제2바닥판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전면판과 제1지지판의 상단 사이는 제1공간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전면판과 제2지지판의 상단 사이는 제2공간판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는 양측 단부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결합판이 구비되어 반대쪽 단부의 구성요소에 접착된다.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는 양측 단부중 일측 단부에는 결합돌기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결합돌기편이 삽입되는 결합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제1전면판의 후방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1지지판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지지판의 일부를 잘라 절곡하여 고정연결판을 형성하는데 상기 고정연결판은 상기 제2전면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지지판을 관통한다.
상기 고정연결판의 선단에는 제2바닥지지판이 구비되어 상기 제2전면판과 제2지지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제2수납부의 바닥을 형성한다.
상기 제1전면판의 양단에는 상기 제1전면판의 일부를 제거한 분리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의 상단을 관통해서는 걸이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수납부와 제2수납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내부에 전시물이 안착되고 상기 전시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전시윈도우가 형성되는 전시유닛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의 양측단중 적어도 어느 일측단에는 연장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의 시트로 형성되고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어 이들 구성요소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전면판과 상기 제1전면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1지지판의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놓여진 휴대 물품의 전면이 노출되게 상기 제1전면판에 형성되는 제1윈도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수납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전면판과 상기 제2전면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2지지판의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휴대 물품의 전면이 노출되게 상기 제2전면판에 형성되는 제2윈도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수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전면판과 제1지지판의 하단은 제1바닥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전면판과 제2지지판의 하단은 제2바닥판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전면판과 제1지지판의 상단은 제1공간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전면판과 제2지지판의 상단은 제2공간판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고 바닥에 대해 상단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판의 일부를 잘라 절곡하여 고정연결판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연결판은 상기 제2지지판을 관통하고 선단에 상기 제2수납부의 바닥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의 시트로 형성되고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어 이들 구성요소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제1전면판과 상기 제1전면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1지지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전면판의 상단이 상기 제1지지판에 상판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전면판의 하단이 상기 제1지지판의 하단에 제1바닥판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판에 수납관통부가 형성되어 만들어지는 제1수납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전면판과 상기 제2전면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2지지판의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휴대 물품의 전면이 노출되게 상기 제2전면판에 형성되는 제2윈도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수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판에서 연장되어 고정연결판이 상기 제2지지판에 연결된다.
상기 제1전면판, 상판, 제1바닥판은 상기 고정연결판의 일부를 잘라 절곡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고정연결편의 선단에는 상기 제2지지판에 결합되는 고정결합편이 있고 상기 제2전면판의 상단에는 상기 제2지지판의 상단과 결합되는 제2결합판이 구비된다.
상기 제1지지판의 상단 양측에는 휴대 물품의 상단 양측을 안내하는 측면지지부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의 시트로 형성되고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어 이들 구성요소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전면판과 상기 제1전면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1지지판의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놓여진 휴대 물품의 전면이 노출되게 상기 제1전면판에 형성되는 제1윈도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수납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전면판과 상기 제2전면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2지지판의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휴대 물품의 전면이 노출되게 상기 제2전면판에 형성되는 제2윈도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면판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제1바닥판과 상기 제2전면판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제2바닥판이 겹쳐진다.
상기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의 상단이 연결되어 접어지고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의 상단이 연결되어 접어진다.
상기 제1바닥판의 일측이 상기 제2바닥판에 접착되고 상기 제2바닥판에 상기 제2지지판에 구비되는 결합판이 접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바닥판에 형성된 돌기슬릿에 상기 제2전면판에 형성된 결합돌기판이 끼워지고, 상기 제1바닥판에 형성된 제2관통슬릿에 제2지지판에 형성된 제2걸이편이 끼워진다.
상기 제1지지판의 일부를 잘라 절곡하여 고정연결판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연결판은 상기 제2지지판을 관통하고 선단에 상기 제2수납부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2바닥지지판이 구비된다.
상기 제1바닥판에서 연장되어 고정연결판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연결판은 상기 제2지지판을 관통하고 선단에 상기 제2수납부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2바닥판이 구비된다.
상기 제1전면판의 양단에는 상기 제1전면판의 일부를 제거한 분리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의 상단을 관통해서는 걸이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수납부와 제2수납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내부에 전시물이 안착되고 상기 전시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전시윈도우가 형성되는 전시유닛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의 양측단 중 적어도 어느 일측단에는 연장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의 시트로 형성되고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어 이들 구성요소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상기 제1전면판이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전면판의 일부를 잘라 상기 제1전면판의 후방에 위치되는 제1지지판과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판의 형성을 위해 잘라내어 만들어진 제1윈도우로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세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되는 제1수납부와, 상기 제1전면판이 향하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세워진 상기 제2전면판이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전면판의 일부를 잘라 상기 제2전면판의 후방에 위치되는 제2지지판과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판의 형성을 위해 잘라내어 만들어진 제2윈도우로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가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되는 제2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전면판과 제1지지판의 하단 사이는 제1바닥지지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바닥지지판이 제1수납부의 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제2전면판과 제2지지판의 하단 사이는 제2바닥지지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바닥지지판이 상기 제2수납부의 바닥을 형성한다.
상기 제1전면판의 하단에는 제1바닥판이 연결되고 상기 제2전면판의 하단에는 제2바닥판이 연결되는데 상기 제1바닥판과 제2바닥판이 연결되어 몸체부의 바닥을 형성한다.
상기 제2바닥판에는 결합판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판이 상기 제2전면판의 하면 배면에 접착된다.
상기 제1바닥판에는 결합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전면판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슬릿에 삽입되는 결합돌기편이 형성된다.
상기 제1윈도우의 폭은 휴대 물품을 세로방향으로 세웠을 때의 폭과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수납부의 제1윈도우 양단에는 걸이편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전면판의 제1윈도우와 상기 제2전면판의 제2윈도우는 각각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의 상단까지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의 상단을 관통해서는 걸이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의 양측단중 적어도 어느 일측단에는 연장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일방향을 향하는 제1전면판에 휴대 물품이 세로방향으로 놓여진 상태로 전면이 노출되도록 제1윈도우가 있고, 상기 제1전면판과 반대방향을 향하는 제2전면판에 휴대 물품이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상태로 전면이 노출되도록 제2윈도우가 있다. 따라서, 접이식 받침대에 휴대 물품을 원하는 방향으로 놓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몸체부는 한 장의 시트를 접어서 만들 수 있어 제조자는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자는 휴대하기가 편함과 동시에 조립과 해체가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에서는 접이식 받침대에 일체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구조들을 채용할 수 있어 접이식 받침대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휴대 물품을 받침대에 놓지 않을 경우에는 다양한 전시유닛을 두어 받침대에 다양한 전시물품을 전시할 수 있어 받침대의 효용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윈도우를 통해 휴대 물품의 전면 화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들이 볼 때는 마치 전자액자나 소형 텔레비젼을 보는 듯한 느낌을 가지게 하는 장식적인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를 펼쳐 보인 전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수납부에 휴대 물품을 수납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2수납부에 휴대 물품을 수납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 제1수납부에서 휴대 물품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을 둔 변형례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몸체부를 매달 수 있도록 하는 걸이공이 있는 변형례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 전시유닛을 사용하여 전시물을 전시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구성을 보인 전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구성을 보인 전개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전개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전개도.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받침대를 접어 만들기 전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29는 도 26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전개도.
도 30은 도 26에 도시된 실시례의 변형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전개도.
도 3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례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례의 받침대는 몸체부(10)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나 합성수지 시트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특히, 상기 몸체부(10)는 종이나 합성수지 시트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고 접이선들을 따라 접어 결합함에 의해 만들어 진다. 물론, 상기 몸체부(10)의 양단이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서는 접착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10)에는 일측에 제1전면판(12)이 있다. 상기 제1전면판(12)은 본 실시례에서는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고 접이식 받침대의 일측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1전면판(12)은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전면판(12)을 정면에서 볼 때, 상향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제1전면판(12)에는 제1윈도우(1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윈도우(14)도 4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전면판(12)과 제1윈도우(14)는 반드시 4각형상으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 원형, 타원형, 사물의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윈도우(14)는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된다. 이는 전면이 직사각형상인 휴대 물품의 전면을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윈도우(14)의 면적은 휴대 물품의 전면의 면적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윈도우(14)의 가장자리가 휴대 물품의 전면의 가장자리를 가리도록 된다.
상기 제1전면판(12)과 마주보게 상기 제1전면판(12)의 후방에는 제1지지판(16)이 있다. 상기 제1지지판(16)의 전면은 상기 제1전면판(12)의 제1윈도우(1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1지지판(16)은 휴대 물품의 배면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지지판(16)과 제1전면판(12)의 사이의 틈새는 상기 휴대 물품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전면판(12)과 제1지지판(16)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제1바닥판(18)이 있다. 상기 제1바닥판(18)은 몸체부(10)의 바닥을 형성하여 지면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바닥판(18)의 폭은 상기 제1전면판(12)과 제1지지판(16)의 사이에 형성되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수납부(20)의 전후 폭을 결정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제1바닥판(18)과 아래에서 설명될 제2바닥판(28)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1전면판(12)와 제1지지판(16)이 직접 연결된 상태로, 이들이 연결된 부분(접어진 부분)이 지면에 닿도록 구성되고 위쪽으로 가면서 제1전면판(12)과 제1지지판(16)의 사이의 폭이 적절하게 만들어지도록 하면 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전면판(22)과 제2지지판(2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제1전면판(12)과 제1지지판(16)의 사이에서 상기 제1윈도우(14)에 해당하는 부분이 제1수납부(20)가 된다. 상기 제1수납부(20)에는 휴대 물품이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수납되어 상기 제1윈도우(14)를 통해서만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휴대 물품의 전면중 가장자리 일부만이 상기 제1윈도우(14)의 가장자리에 의해 가려진다. 상기 제1수납부(20)로는 상기 제1전면판(12)과 제1지지판(16)의 단부쪽에서 휴대 물품이 삽입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양측 단부쪽 모두에서 상기 제1수납부(20)로의 휴대 물품 삽입이 가능하다.
상기 제1전면판(12)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전면판(12)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을 바라보도록 제2전면판(22)이 있다. 상기 제1전면판(12)과 제2전면판(22)는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만나도록 된다. 상기 제1전면판(12)과 제2전면판(22)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접어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전면판(22)을 그 전방에서 볼 때, 상향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제1전면판(12)과 제2전면판(22)의 경사 각도는 본 실시례에서는 동일하게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제2전면판(22)에는 제2윈도우(24)가 형성된다. 상기 제2윈도우(24)는 직사각형으로 가로방향이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윈도우(24)를 통해서는 휴대 물품이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상태로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2윈도우(24)의 면적도 상기 휴대 물품의 전면의 면적보다 약간 작아 휴대 물품의 전면 가장자리의 일부를 상기 제2윈도우(24)의 가장자리가 가리게 된다.
상기 제2전면판(22)과 마주보게 상기 제2전면판(22)의 후방에는 제2지지판(26)이 있다. 상기 제2지지판(26)의 전면은 상기 제2전면판(22)의 제2윈도우(2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2지지판(26)은 휴대 물품의 배면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지지판(26)과 제2전면판(22)의 사이의 틈새는 상기 휴대 물품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판(26)에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슬릿(27)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슬릿(27)은 좁고 길게 개방된 부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연결판(32)이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전면판(22)과 제2지지판(26)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제2바닥판(28)이 있다. 상기 제2바닥판(28)은 몸체부(10)의 바닥을 형성하여 지면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바닥판(28)의 폭은 상기 제2전면판(22)과 제2지지판(26)의 사이에 형성되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수납부(30)의 전후 폭을 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바닥판(28)과 결합되어 받침대의 전체 형상이 결합되어 만들어지도록 하기 위해 결합판(28')이 있다. 상기 결합판(28')은,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판(26)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바닥판(28)의 상면에 접착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몸체부(10)는 하나의 시트로 만들어지는데,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판(26)에 연결된 결합판(28')과 제2바닥판(28)이 상기 몸체부(10)를 펼쳤을 때 양측 단부가 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결합판(28')과 제2바닥판(28)이 서로 접착하여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일측의 일부가 타측에 끼워져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판(28')의 위치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판(28')이 제2전면판(22)에 일체로 되거나, 상기 제1전면판(12)에 일체로 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면판(22)과 제2지지판(26)의 사이에서 상기 제2윈도우(24)에 해당하는 부분이 제2수납부(30)가 된다. 상기 제2수납부(30)에는 휴대 물품이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상태로 수납되어 상기 제2윈도우(24)를 통해서만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휴대 물품의 전면중 가장자리 일부만이 상기 제2윈도우(24)의 가장자리에 의해 가려진다. 상기 제2수납부(30)로는 상기 제2전면판(22)과 제2지지판(26)의 단부쪽을 통해 휴대 물품이 삽입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양측 단부쪽 모두에서 상기 제2수납부(30)로의 휴대 물품 삽입이 가능하다.
상기 제1지지판(16)과 제2지지판(26) 사이를 연결하도록 고정연결판(32)이 있다. 상기 고정연결판(32)은 상기 제1지지판(16)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지지판(26)의 상기 관통슬릿(27)을 관통한다. 상기 고정연결판(32)은 상기 제1지지판(16)의 일부를 잘라 절곡한 것이다. 상기 고정연결판(32)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지지판(16)에는 관통부(3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연결판(32)의 선단에는 제2바닥지지판(34)이 있다. 상기 제2바닥지지판(34)은 상기 제2수납부(30)에 위치된다. 상기 제2바닥지지판(34)은 상기 제2수납부(30)의 바닥을 형성하여 휴대 물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제2바닥판(28)에 휴대 물품이 안착되도록 할 수 있으나 가로방향으로 휴대 물품을 제2수납부(30)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2바닥지지판(34)이 제2바닥판(28)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방에 있는 것이 좋다. 참고로 상기 제1수납부(20)에서는 상기 제1바닥판(18)에 휴대 물품이 지지된다.
한편, 도 7에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변형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1윈도우(14)가 제1전면판(12)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1전면판(12)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제1윈도우(1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수납부(20)까지의 거리가 길어 휴대 물품을 상기 제1수납부(20)로 삽입하거나 제1수납부(20)에 삽입되어 있는 휴대 물품을 빼내는 것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분리홈(36)을 형성하였다. 상기 분리홈(36)은 상기 제1전면판(12)의 양측 단부의 중간 높이 부분을 반원형으로 잘라내어 형성한다.
그리고, 도 8에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변형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1전면판(12)과 제2전면판(22)의 상단 양측에 걸이홀(38)을 천공하였다. 상기 걸이홀(38)은 끈을 통과시켜 벽에 받침대를 걸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걸이홀(38)에 직접 벽에 설치된 걸이구조가 삽입되어 받침대가 걸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9에서는 받침대의 제1수납부(20)나 제2수납부(30)에 전시유닛(38)을 안착시켜 전시물(39)을 상기 제1 및 제2 윈도우(14,24)를 통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시유닛(38)은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휴대 물품의 형상과 같은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전시유닛(38)의 내부공간에는 전시물(39)이 위치되고, 상기 전시유닛(38)의 일측 외면에는 전시윈도우(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시윈도우(38')를 통해서 상기 전시물(39)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전시윈도우(38')의 크기는 상기 제1 및 제2 윈도우(14,24)의 크기와 반드시 같지 않아도 된다.
상기 전시유닛(38)은 상기 제1수납부(20)나 제2수납부(30)에 휴대 물품 대신에 휴대 물품을 수납하는 것과 같이 수납하여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1수납부(20)에는 전시유닛(38)을 안착시키고, 제2수납부(30)에는 휴대 물품을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시유닛(38)과 휴대 물품을 선택적으로 수납부(20,30)에 수납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실시례를 설명한다. 본 실시례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것과 대응되는 구성에는 1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례의 받침대는 몸체부(110)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나 합성수지 시트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특히, 상기 몸체부(110)는 종이나 합성수지 시트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고 접이선들을 따라 접어 결합함에 의해 만들어 진다. 물론, 상기 몸체부(110)의 양단이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서는 접착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110)에는 일측에 제1전면판(112)이 있다. 상기 제1전면판(112)은 본 실시례에서는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고 접이식 받침대의 일측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1전면판(112)은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전면판(112)을 정면에서 볼 때, 상향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제1전면판(112)에는 제1윈도우(11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윈도우(114)도 4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전면판(112)과 제1윈도우(114)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사물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윈도우(114)는 세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된다. 이는 전면이 직사각형상인 휴대 물품의 전면을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윈도우(114)의 면적은 휴대 물품의 전면의 면적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윈도우(114)의 가장자리가 휴대 물품의 전면의 가장자리를 가리도록 된다.
상기 제1전면판(112)과 마주보게 상기 제1전면판(112)의 후방에는 제1지지판(116)이 있다. 상기 제1지지판(116)의 전면은 상기 제1전면판(112)의 제1윈도우(11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1지지판(116)은 휴대 물품의 배면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지지판(116)과 제1전면판(112)의 사이의 틈새는 상기 휴대 물품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전면판(112)과 제1지지판(116)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제1바닥판(118)이 있다. 상기 제1바닥판(118)은 몸체부(110)의 바닥을 형성하여 지면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바닥판(118)의 폭은 상기 제1전면판(112)과 제1지지판(116)의 사이에 형성되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수납부(120)의 전후 폭을 결정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제1바닥판(118)과 아래에서 설명될 제2바닥판(128)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1전면판(112)와 제1지지판(116)이 직접 연결된 상태로, 이들이 연결된 부분(접어진 부분)이 지면에 닿도록 구성되고 위쪽으로 가면서 제1전면판(112)과 제1지지판(116)의 사이의 폭이 적절하게 만들어지도록 하면 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전면판(122)과 제2지지판(12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제1바닥판(118)과 대응되게 상기 제1전면판(112)과 제1지지판(116)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제1공간판(119)이 구비된다. 상기 제1공간판(119)은 상기 제1전면판(112)과 제1지지판(116)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판(119)이 있음으로 해서 받침대의 전체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만들 수 있다.
상기 제1전면판(112)과 제1지지판(116)의 사이에서 상기 제1윈도우(114)에 해당하는 부분이 제1수납부(120)가 된다. 상기 제1수납부(120)에는 휴대 물품이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수납되어 상기 제1윈도우(114)를 통해서만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휴대 물품의 전면중 가장자리 일부만이 상기 제1윈도우(114)의 가장자리에 의해 가려진다. 상기 제1수납부(120)로는 상기 제1전면판(112)과 제1지지판(116)의 단부쪽에서 휴대 물품이 삽입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양측 단부쪽 모두에서 상기 제1수납부(120)로의 휴대 물품 삽입이 가능하다.
상기 제1전면판(112)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전면판(112)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을 바라보도록 제2전면판(122)이 있다. 상기 제1전면판(112)과 제2전면판(122)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만나도록 된다. 상기 제1전면판(112)과 제2전면판(122)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접어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전면판(122)을 그 전방에서 볼 때, 상향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제1전면판(112)과 제2전면판(122)의 경사 각도는 본 실시례에서는 동일하게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제2전면판(122)에는 제2윈도우(124)가 형성된다. 상기 제2윈도우(124)는 직사각형으로 가로방향이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윈도우(124)를 통해서는 휴대 물품이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상태로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2윈도우(124)의 면적도 상기 휴대 물품의 전면의 면적보다 약간 작아 휴대 물품의 전면 가장자리의 일부를 상기 제2윈도우(124)의 가장자리가 가리게 된다.
상기 제2전면판(122)과 마주보게 상기 제2전면판(122)의 후방에는 제2지지판(126)이 있다. 상기 제2지지판(126)의 전면은 상기 제2전면판(122)의 제2윈도우(12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2지지판(126)은 휴대 물품의 배면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지지판(126)과 제2전면판(122)의 사이의 틈새는 상기 휴대 물품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판(126)에는 도 1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슬릿(127)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슬릿(127)은 좁고 길게 개방된 부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연결판(132)이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전면판(122)과 제2지지판(126)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제2바닥판(128)이 있다. 상기 제2바닥판(128)은 몸체부(110)의 바닥을 형성하여 지면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바닥판(128)의 폭은 상기 제2전면판(122)과 제2지지판(126)의 사이에 형성되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수납부(130)의 전후 폭을 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바닥판(128)과 결합되어 받침대의 전체 형상이 만들어지도록 하기 위해 결합판(128')이 있다. 상기 결합판(128')은, 도 1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판(126)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바닥판(128)의 상면에 접착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몸체부(110)는 하나의 시트로 만들어지는데, 제2지지판(126)에 연결된 결합판(128')과 제2바닥판(128)이 상기 몸체부(110)를 펼쳤을 때 양측 단부가 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결합판(128')과 제2바닥판(128)이 서로 접착하여 있는 것으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일측의 일부가 타측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몸체부(110)의 전개도에서 단부가 되는 부분은 상기 제1바닥판(118)에 결합판(128')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판(128')과 제1지지판(116), 그리고 제1지지판(116)과 제2지지판(126) 등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2바닥판(128)과 대응되게 상기 제2전면판(122)과 제2지지판(126)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제2공간판(129)이 구비된다. 상기 제2공간판(129)은 상기 제2전면판(122)과 제2지지판(126)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간판(129)이 있음으로 해서 받침대의 전체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만들 수 있다.
상기 제2전면판(122)과 제2지지판(126)의 사이에서 상기 제2윈도우(124)에 해당하는 부분이 제2수납부(130)가 된다. 상기 제2수납부(130)에는 휴대 물품이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상태로 수납되어 상기 제2윈도우(124)를 통해서만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휴대 물품의 전면중 가장자리 일부만이 상기 제2윈도우(124)의 가장자리에 의해 가려진다. 상기 제2수납부(130)로는 상기 제2전면판(122)과 제2지지판(126)의 단부쪽을 통해 휴대 물품이 삽입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양측 단부쪽 모두에서 상기 제2수납부(130)로의 휴대 물품 삽입이 가능하다.
상기 제1지지판(116)과 제2지지판(126) 사이를 연결하도록 고정연결판(132)이 있다. 상기 고정연결판(132)은 상기 제1지지판(116)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지지판(126)의 상기 관통슬릿(127)을 관통한다. 상기 고정연결판(132)은 상기 제1지지판(116)의 일부를 잘라 절곡한 것이다. 상기 고정연결판(132)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지지판(116)에는 관통부(13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연결판(132)의 선단에는 제2바닥지지판(134)이 있다. 상기 제2바닥지지판(134)은 상기 고정연결판(132)에서 상기 관통슬릿(127)을 관통하여 상기 제2수납부(130)에 위치된다. 상기 제2바닥지지판(134)은 상기 제2수납부(130)의 바닥을 형성하여 휴대 물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제2바닥판(128)에 휴대 물품이 안착되도록 할 수 있으나 가로방향으로 휴대 물품을 제2수납부(130)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2바닥지지판(134)이 제2바닥판(128)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방에 있는 것이 좋다. 참고로 상기 제1수납부(120)에서는 상기 제1바닥판(118)에 휴대 물품이 지지된다.
다음으로, 도 12에서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를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1수납부(220)가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된다. 즉, 제1전면판(212)의 높이가 최소화되어 제1전면판(212)과 제1지지판(21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최소화된다. 상기 제1전면판(212)에서 연결되어 상판(213)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213)에는 상기 제1지지판(216)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돌기편(213')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상판(213)에는 또한 수납관통부(213")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관통부(213")는 상기 상판(213)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휴대 물품의 하단이 관통하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전면판(212)에 윈도우가 형성되지 않는다. 본 실시례에서는 윈도우 대신에 제1전면판(212)이 가리는 부분이 최소화되어 제1지지판(216)이 그대로 노출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휴대 물품의 하단이 상기 수납관통부(213")를 관통해 일부가 가려지고 나머지 휴대 물품의 전면은 외부로 그대로 드러난다.
상기 제1지지판(216)은 휴대 물품의 배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방에서 볼 때, 상부로 가면서 상향 경사를 가진다. 상기 제1지지판(216)에는 제1결합슬릿(216')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213)의 고정돌기편(213')이 결합된다.
상기 제1지지판(216)에서 제1바닥판(218)이 연장되는데, 상기 제1바닥판(218)과 상기 제1전면판(212)은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전면판(212)이 상기 제1바닥판(218)에서 연장된다. 상기 제1전면판(212)에서는 위에서 설명된 상판(213)이 일체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전면판(212)의 폭은 상기 제1지지판(216)의 폭보다 작다. 이는 휴대 물품을 세로방향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제1수납부(220)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례에서 제1수납부(220)는 상기 제1전면판(212)과 제1지지판(216)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관통부(213")를 통해 개방되는 공간과 상기 제1지지판(216)의 전방에 해당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판(216)의 전방에 해당되고 상기 제1전면판(212)이 없는 부분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수납부(220)에 위치되는 휴대 물품의 상단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1지지판(216)의 상단 양측에는 휴대 물품의 상단 양측을 안내하는 측면지지부(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면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판(216)의 일부를 잘라 절곡하여 제1지지판(216)의 외면에 대해서 직립하게 형성하는 구조이다.
상기 제1전면판(212)이 있는 반대쪽에는 제2전면판(222)이 있다. 상기 제2전면판(222)은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판이다. 상기 제2전면판(222)에는 제2윈도우(2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전면판(222)의 후방에는 상기 제2전면판(22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2지지판(226)이 있다. 상기 제2지지판(226)은 상기 제1지지판(216)의 상단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지지판(226)은 상기 제1지지판(216)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접어져 연결된다. 상기 제2지지판(226)에는 제2결합슬릿(2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결합슬릿(22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결합편(233)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2전면판(222)과 상기 제2지지판(226)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게 제2바닥판(228)이 있다. 상기 제2바닥판(228)은 바닥면에 안착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2전면판(222)과 제2지지판(226)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전면판(222)의 상단에는 제2공간판(229)이 있다. 상기 제2공간판(229)은 상기 제2바닥판(228)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어 상기 제2전면판(222)과 제2지지판(226)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2공간판(229)에서 연장되어 제2결합판(229')이 있다. 상기 제2결합판(229')은 상기 제2지지판(226)에 접착되어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전면판(222)에 형성된 제2윈도우(224)에 대응되는 상기 제2전면판(222)과 상기 제2지지판(226) 사이의 공간은 제2수납부(230)가 된다. 상기 제2수납부(230)는 상기 제2윈도우(224)가 가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됨에 의해 휴대 물품이 가로방향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판(216)에서 연장되어서는 고정연결판(232)이 있다. 상기 고정연결판(232)은 상기 제1지지판(216)에서 상기 제2지지판(226)의 반대쪽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연결판(232)의 일부를 잘라 상기 제1바닥판(218), 제1전면판(212), 상판(21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연결판(232)의 선단에는 상기 제2지지판(226)에 형성된 제2결합슬릿(226')에 결합되는 고정결합편(23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서 도 1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와 대응되는 구성에 3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례의 받침대는 몸체부(310)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3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나 합성수지 시트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특히, 상기 몸체부(310)는 종이나 합성수지 시트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고 접이선들을 따라 접어 결합함에 의해 만들어 진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몸체부(310)의 양단이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서는 접착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310)에는 일측에 제1전면판(312)이 있다. 상기 제1전면판(312)은 본 실시례에서는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고 접이식 받침대의 일측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1전면판(312)은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전면판(312)을 정면에서 볼 때, 상향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제1전면판(312)에는 제1윈도우(31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윈도우(314)도 4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전면판(312)과 제1윈도우(314)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사물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윈도우(314)는 도 1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된다. 이는 전면이 직사각형상인 휴대 물품의 전면을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윈도우(314)의 면적은 휴대 물품의 전면의 면적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윈도우(314)의 가장자리가 휴대 물품의 전면의 가장자리를 가리도록 된다.
상기 제1전면판(312)과 마주보게 상기 제1전면판(312)의 후방에는 제1지지판(316)이 있다. 상기 제1지지판(316)의 전면은 상기 제1전면판(312)의 제1윈도우(31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1지지판(316)은 휴대 물품의 배면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지지판(316)과 제1전면판(312)의 사이의 틈새는 상기 휴대 물품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전면판(312)과 제1지지판(316)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제1바닥판(318)이 있다. 상기 제1바닥판(318)은 몸체부(310)의 바닥을 형성하여 지면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바닥판(318)은 받침대의 하면 전체 또는 그 이상 연장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바닥판(318)이 전체 바닥의 절반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상기 제1전면판(312)과 제1지지판(316)의 사이에서 상기 제1윈도우(314)에 해당하는 부분이 제1수납부(320)가 된다. 상기 제1수납부(320)에는 휴대 물품이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수납되어 상기 제1윈도우(314)를 통해서만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휴대 물품의 전면중 가장자리 일부만이 상기 제1윈도우(314)의 가장자리에 의해 가려진다. 상기 제1수납부(320)로는 상기 제1전면판(312)과 제1지지판(316)의 단부쪽에서 휴대 물품이 삽입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양측 단부쪽 모두에서 상기 제1수납부(320)로의 휴대 물품 삽입이 가능하다.
상기 제1전면판(312)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전면판(312)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을 바라보도록 제2전면판(322)이 있다. 상기 제1전면판(312)과 제2전면판(322)는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만나도록 된다. 상기 제1전면판(312)과 제2전면판(322)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접어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전면판(322)을 그 전방에서 볼 때, 상향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제1전면판(312)과 제2전면판(322)의 경사 각도는 본 실시례에서는 동일하게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제2전면판(322)에는 제2윈도우(324)가 형성된다. 상기 제2윈도우(324)는 직사각형으로 가로방향이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윈도우(324)를 통해서는 휴대 물품이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상태로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2윈도우(324)의 면적도 상기 휴대 물품의 전면의 면적보다 약간 작아 휴대 물품의 전면 가장자리의 일부를 상기 제2윈도우(324)의 가장자리가 가리게 된다.
상기 제2전면판(322)과 마주보게 상기 제2전면판(322)의 후방에는 제2지지판(326)이 있다. 상기 제2지지판(326)의 전면은 상기 제2전면판(322)의 제2윈도우(32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2지지판(326)은 휴대 물품의 배면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지지판(326)과 제2전면판(322)의 사이의 틈새는 상기 휴대 물품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판(326)에는 도 1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슬릿(327)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슬릿(327)은 좁고 길게 개방된 부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연결판(332)이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전면판(322)과 제1지지판(316)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제2바닥판(328)이 있다. 상기 제2바닥판(328)은 몸체부(310)의 바닥의 일부를 형성하여 지면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물론, 상기 제1바닥판(318)이 받침대 바닥 전체에 위치하면 상기 제2바닥판(328)은 상기 제1바닥판(318) 상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제2바닥판(328)과 결합되어 받침대의 전체 형상이 만들어지도록 하기 위해 결합판(328')이 있다. 상기 결합판(328')은, 도 1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판(326)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바닥판(328)의 상면에 접착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몸체부(310)는 하나의 시트로 만들어지는데, 도 1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닥판(318)과 상기 결합판(328)이 상기 몸체부(310)를 펼쳤을 때 양측 단부가 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결합판(328)과 제1바닥판(318)이 서로 접착하여 있는 것으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일측의 일부가 타측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전면판(322)과 제2지지판(326)의 사이에서 상기 제2윈도우(324)에 해당하는 부분이 제2수납부(330)가 된다. 상기 제2수납부(330)에는 휴대 물품이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상태로 수납되어 상기 제2윈도우(324)를 통해서만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휴대 물품의 전면중 가장자리 일부만이 상기 제2윈도우(324)의 가장자리에 의해 가려진다. 상기 제2수납부(330)로는 상기 제2전면판(322)과 제2지지판(326)의 단부쪽을 통해 휴대 물품이 삽입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양측 단부쪽 모두에서 상기 제2수납부(330)로의 휴대 물품 삽입이 가능하다.
상기 제1지지판(316)과 제2지지판(326) 사이를 연결하도록 고정연결판(332)이 있다. 상기 고정연결판(332)은 상기 제1지지판(316)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지지판(326)의 상기 관통슬릿(327)을 관통한다. 상기 고정연결판(332)은 상기 제1지지판(316)의 일부를 잘라 절곡한 것이다. 상기 고정연결판(332)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지지판(316)에는 관통부(33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연결판(332)의 선단에는 제2바닥지지판(334)이 있다. 상기 제2바닥지지판(334)은 상기 제2수납부(330)에 위치된다. 상기 제2바닥지지판(334)은 상기 제2수납부(330)의 바닥을 형성하여 휴대 물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제2바닥판(328)에 휴대 물품이 안착되도록 할 수 있으나 가로방향으로 휴대 물품을 제2수납부(330)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2바닥지지판(334)이 제2바닥판(328)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방에 있는 것이 좋다. 참고로 상기 제1수납부(320)에서는 상기 제1바닥판(318)에 휴대 물품이 지지된다.
다음으로, 도 19와 도 20에 도시된 실시례를 설명한다. 본 실시례는 실질적으로 도 17에서 볼 수 있는 실시례와 유사한 것으로, 단지 결합을 위한 구조가 다르게 된다. 즉, 도 17에서는 접착을 통해 몸체부(310)가 결합되나 본 실시례에서는 구조적인 결합에 의해 몸체부(410)가 결합된다. 따라서, 설명을 함에 있어서 결합을 위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대응되는 구성요소의 도면부호는 400단위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몸체부(410)가 하나의 시트를 접어서 형성하는 것이고, 최종적인 결합은 제2지지판(426)에 형성된 결합돌기편(422')이 제1바닥판(418)의 돌기슬릿(418")에 결합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지지판(426)도 제2바닥판(428)의 제1관통슬릿(428')과 제1바닥판(418)의 제2관통슬릿(418')에 걸어짐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지지판(426)에는 제2걸이편(427')이 구비된다. 이외의 구성은 위의 실시례에서와 같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21과 도 22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례의 받침대는 몸체부(510)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5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나 합성수지 시트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특히, 상기 몸체부(510)는 종이나 합성수지 시트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고 접이선들을 따라 접어 결합함에 의해 만들어 진다.
상기 몸체부(510)에는 일측에 제1전면판(512)이 있다. 상기 제1전면판(512)은 본 실시례에서는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고 접이식 받침대의 일측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1전면판(512)은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전면판(512)을 정면에서 볼 때, 상향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제1전면판(512)에는 제1윈도우(51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윈도우(514)도 4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전면판(512)과 제1윈도우(514)는 반드시 4각형상으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 원형, 타원형, 사물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윈도우(514)는 도 2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된다. 이는 전면이 직사각형상인 휴대 물품의 전면을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윈도우(514)의 면적은 휴대 물품의 전면의 면적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윈도우(514)의 가장자리가 휴대 물품의 전면의 가장자리를 가리도록 된다.
상기 제1전면판(512)과 마주보게 상기 제1전면판(512)의 후방에는 제1지지판(516)이 있다. 상기 제1지지판(516)의 전면은 상기 제1전면판(12)의 제1윈도우(51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1지지판(516)은 휴대 물품의 배면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지지판(516)과 제1전면판(512)의 사이의 틈새는 상기 휴대 물품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전면판(512)과 제1지지판(516)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제1바닥판(518)이 있다. 상기 제1바닥판(518)은 몸체부(510)의 바닥을 형성하여 지면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바닥판(518)의 폭은 상기 제1전면판(512)과 제1지지판(516)의 사이에 형성되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수납부(520)의 전후 폭을 결정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제1바닥판(518)과 아래에서 설명될 제2바닥판(528)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1전면판(512)와 제1지지판(516)이 직접 연결된 상태로, 이들이 연결된 부분(접어진 부분)이 지면에 닿도록 구성되고 위쪽으로 가면서 제1전면판(512)과 제1지지판(516)의 사이의 폭이 적절하게 만들어지도록 하면 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전면판(522)과 제2지지판(52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제1전면판(512)과 제1지지판(516)의 사이에서 상기 제1윈도우(514)에 해당하는 부분이 제1수납부(520)가 된다. 상기 제1수납부(520)에는 휴대 물품이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수납되어 상기 제1윈도우(514)를 통해서만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휴대 물품의 전면중 가장자리 일부만이 상기 제1윈도우(514)의 가장자리에 의해 가려진다. 상기 제1수납부(520)로는 상기 제1전면판(512)과 제1지지판(516)의 단부쪽에서 휴대 물품이 삽입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양측 단부쪽 모두에서 상기 제1수납부(520)로의 휴대 물품 삽입이 가능하다.
상기 제1전면판(512)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전면판(512)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을 바라보도록 제2전면판(522)이 있다. 상기 제1전면판(512)과 제2전면판(522)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만나도록 된다. 상기 제1전면판(512)과 제2전면판(522)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접어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전면판(522)을 그 전방에서 볼 때, 상향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제1전면판(512)과 제2전면판(522)의 경사 각도는 본 실시례에서는 동일하게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제2전면판(522)에는 제2윈도우(524)가 형성된다. 상기 제2윈도우(524)는 직사각형으로 가로방향이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윈도우(524)를 통해서는 휴대 물품이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상태로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2윈도우(524)의 면적도 상기 휴대 물품의 전면의 면적보다 약간 작아 휴대 물품의 전면 가장자리의 일부를 상기 제2윈도우(524)의 가장자리가 가리게 된다.
상기 제2전면판(522)과 마주보게 상기 제2전면판(522)의 후방에는 제2지지판(526)이 있다. 상기 제2지지판(526)의 전면은 상기 제2전면판(522)의 제2윈도우(52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2지지판(526)은 휴대 물품의 배면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지지판(526)과 제2전면판(522)의 사이의 틈새는 상기 휴대 물품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판(526)에는 관통슬릿(527)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슬릿(527)은 좁고 길게 개방된 부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연결판(532)이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전면판(522)과 제2지지판(526)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제2바닥판(528)이 있다. 상기 제2바닥판(528)은 몸체부(510)의 바닥을 형성하여 지면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바닥판(528)의 폭은 상기 제2전면판(522)과 제2지지판(526)의 사이에 형성되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수납부(530)의 전후 폭을 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바닥판(518)에는 결합슬릿(518')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슬릿(518')에는 상기 제1지지판(516)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돌기편(517)이 끼워진다. 상기 결합돌기편(517)이 상기 결합슬릿(518')에 끼워짐에 의해 몸체부(510)의 전체 형상이 만들어진다.
상기 제2전면판(522)과 제2지지판(526)의 사이에서 상기 제2윈도우(524)에 해당하는 부분이 제2수납부(530)가 된다. 상기 제2수납부(530)에는 휴대 물품이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상태로 수납되어 상기 제2윈도우(524)를 통해서만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휴대 물품의 전면중 가장자리 일부만이 상기 제2윈도우(524)의 가장자리에 의해 가려진다. 상기 제2수납부(530)로는 상기 제2전면판(522)과 제2지지판(526)의 단부쪽을 통해 휴대 물품이 삽입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양측 단부쪽 모두에서 상기 제2수납부(530)로의 휴대 물품 삽입이 가능하다.
상기 제1바닥판(518)에서 연장되어 제2지지판(526)을 관통하도록 고정연결판(532)이 있다. 상기 고정연결판(532)은 상기 제1바닥판(518)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지지판(526)의 상기 관통슬릿(527)을 관통한다. 상기 고정연결판(532)은 상기 제1바닥판(518)에서 연장되고 경사지게 상기 제2지지판(526)을 향하게 된다. 상기 고정연결판(532)은 상기 제2지지판(526)의 관통슬릿(527)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고정연결판(532)의 선단에는 제2바닥지지판(534)이 있다. 상기 제2바닥지지판(534)은 상기 제2수납부(530)에 위치된다. 상기 제2바닥지지판(534)은 상기 제2수납부(530)의 바닥을 형성하여 휴대 물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제2바닥판(528)에 휴대 물품이 안착되도록 할 수 있으나 가로방향으로 휴대 물품을 제2수납부(530)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2바닥지지판(534)이 제2바닥판(528)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방에 있는 것이 좋다. 참고로 상기 제1수납부(520)에서는 상기 제1바닥판(518)에 휴대 물품이 지지된다.
다음으로, 도 2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몸체부(310)의 일측부로 연장부(34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장부(340)는 상기 제1전면판(312)과 제2전면판(322)이 연장되고 이에 달력이나 액자 구조가 구비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달력에 해당되는 연장부(340)가 일측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연장부(340)는 상기 몸체부(310)의 양측부에 있을 수도 있다.
도 2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로서 연장부(340')가 구비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1전면판(312)과 제2전면판(322)이 각각 일측부로 연장되고, 제1지지판(316)과 제2지지판(326)도 같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전면판(312)과 제2전면판(322) 및 제1지지판(316)과 제2지지판(32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화병(342)이 위치된다. 상기 화병(342)은 상기 제1전면판(312)과 제2전면판(322) 및 제1지지판(316)과 제2지지판(32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화병(342)의 입구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것 외에도, 상기 제1전면판(312)을 관통하여 돌출되거나, 상기 제2전면판(322)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로서 연장부(340")가 구비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몸체부(310)의 양단에 연장부(340")로서 화병(34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화병(342)은 제1지지판(316)과 제2지지판(326) 및 제1바닥판(318)이나 제2바닥판(328)이 양측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되고,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 26에서 도 2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몸체부(610)는 위에서 설명된 것들과 같이 종이나 합성수지로 된 얇은 판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몸체부(610)에는 제1전면판(612)이 있다. 상기 제1전면판(612)은 도 26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된다.
상기 제1전면판(612)에는 그 상단부까지 개방되게 제1윈도우(614)가 있다. 상기 제1윈도우(614)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지지판(616)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전면판(612)의 일부를 잘라냄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윈도우(614)는 세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이다.
상기 제1지지판(616)은 휴대 물품의 배면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지지판(616)은 상기 제1전면판(612)과 제1바닥지지판(617)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바닥지지판(617)은 상기 제1전면판(612)에서 상기 제1지지판(616)과 같이 상기 제1윈도우(614)를 형성하기 위해 잘라냄에 의해 만들어진다. 상기 제1바닥지지판(617)은 몸체부(610)가 놓여지는 바닥과 평행하게 구성되어 휴대 물품의 하단이 안착되어 지지되게 한다. 상기 제1바닥지지판(617)이 형성됨에 의해 상기 제1전면판(612)과 제1바닥지지판(617)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이 아래에서 설명될 제1수납부(620)이다.
상기 제1전면판(612)의 하단과 연결되어 제1바닥판(618)이 있다. 상기 제1바닥판(618)은 상기 제1전면판(612)에서 연장되고 바닥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바닥판(618)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바닥판(628)과 일체로 되어 있는데, 실제로 제1바닥판(618)과 제2바닥판(628)은 서로 구별되지 않는다. 하지만, 몸체부(610)를 접어서 보관하기 위해서 상기 제1바닥판(618)과 제2바닥판(628)의 사이에 접이선(도면 부호 부여 않음)이 있어 접어진다.
상기 제1전면판(612)과 상기 제1지지판(616)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제1윈도우(614)에 대응되는 부분이 제1수납부(620)이다. 상기 제1수납부(620)의 내부로 휴대 물품을 삽입하는 것은 상기 제1윈도우(614)를 통해서 이다. 따라서, 상기 제1윈도우(614)는 휴대 물품의 가로방향 폭과 같거나 크게 만들어져야 한다.
상기 제1윈도우(614)의 높이방향의 길이는 휴대 물품의 세로방향의 높이보다는 작다. 따라서, 상기 제1수납부(620)에 휴대 물품이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제1전면판(612)의 상부로 휴대 물품의 상단이 돌출된다.
상기 제1전면판(612)의 상단과 연결되어 제2전면판(622)이 구비된다. 상기 제2전면판(622)은 상기 제1전면판(612)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되고, 지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제1전면판(612)과 제2전면판(622)의 지면에 대한 각도는 동일한 것이 좋다.
상기 제2전면판(622)에는 제2윈도우(624)가 형성된다. 상기 제2윈도우(624)는 세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이다. 상기 제2윈도우(624)도 상기 제2전면판(622)의 상단부까지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윈도우(624)는 그 상단부 전체가 상기 제2전면판(622)의 상단부까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윈도우(624)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전면판(622)의 일부를 잘라서 제2전면판(622)의 후방쪽에 위치되도록 하는데, 이 부분이 제2지지판(626)이다. 상기 제2지지판(626)은 상기 제2전면판(622)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2전면판(622)과 제2지지판(626)은 제2바닥지지판(627)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지지판(626)은 휴대 물품의 배면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바닥지지판(627)은 몸체부(610)가 놓여지는 바닥과 평행하게 구성되어 휴대 물품의 하단이 안착되어 지지되게 한다. 상기 제2바닥지지판(627)이 형성됨에 의해 상기 제2전면판(622)과 제2바닥지지판(627)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이 아래에서 설명될 제2수납부(630)이다.
상기 제2전면판(622)의 하단과 연결되어 제2바닥판(628)이 있다. 상기 제2바닥판(628)은 상기 제1바닥판(618)과 일체이다. 상기 제2바닥판(628)에는 결합판(628')이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판(628')은 상기 제2전면판(622)의 배면에 접착되어 연결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결합판(628')이 상기 제2바닥판(628)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전면판(622)의 배면 단부에 접착되어 있으나, 상기 제1바닥판(618)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전면판(612)의 배면 단부에 접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전면판(622)과 상기 제2지지판(626)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제2윈도우(624)에 대응되는 부분이 제2수납부(630)이다. 상기 제2수납부(630)의 내부로 휴대 물품을 삽입하는 것은 상기 제2전면판(622)과 제2지지판(626)의 양측 단부쪽을 통해서이다. 따라서, 상기 제2윈도우(624)는 휴대 물품의 전면의 면적보다 작아 휴대 물품의 가장자리를 상기 제2윈도우(624)의 가장자리가 가리도록 된다.
한편, 참고로 도 30에는 도 26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성인데, 단지 몸체부(610')를 결합할 때 접착에 의하지 않는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2전면판(622)의 단부에 결합돌기편(623)을 두고, 제1바닥판(618)에는 상기 결합돌기편(623)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슬릿(618')을 두는 것이다. 상기 결합슬릿(618')에 상기 결합돌기편(623)이 삽입됨에 의해 몸체부(61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제1전면판(612)과 제2전면판(622)의 위치를 바꾸어 상기 제1전면판(612)의 단부에 상기 결합돌기편(623)을 둘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1에는 도 26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변형된 실시례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1윈도우(614)에 걸이편(615)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윈도우(614)의 폭이 휴대 물품의 폭과 같거나 크기 때문에 제1윈도우(614)를 통해 휴대 물품이 제1수납부(620)에서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걸이편(615)을 상기 제1윈도우(614의 양측에서 돌출되게 형성함에 의해 휴대 물품이 제1수납부(620)에서 제1윈도우(614)를 통해서 빠지지 않게 된다.
참고로, 위에서 설명된 몸체부(10,110,210,310,410,510,610)들은 모두 그 구성요소들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몸체부(10)와 관련해서, 예를 들어 도 4를 살펴보면, 도면을 기준으로 상단에서부터 제2바닥판(28), 제2전면판(22), 제1전면판(12), 제1바닥판(18), 제1지지판(16), 제2지지판(26), 결합편(28')이 차례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대부분의 몸체부(10,110,210,310,410,510,610)들에서 동일하다. 물론, 고정연결판(32,132,332,432)이 있는 경우에는 이 고정연결판(32,132,332,432)이 제1지지판(16,116,316,416)의 일부로 만들어지므로 내측에 함께 있기는 하다. 이는 몸체부(210)에서 제1전면판(212) 및 그 주변구성과 상기 고정연결판(232)의 관계와 같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몸체부(10,110,210,310,410,510,61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실시례들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에 몸체부(10)를 접어서 받침대를 만드는 것을 설명한다. 실제로 공장에서 생산할 때에는 상기 결합판(28')이 상기 제2바닥판(28)에 접착된 상태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접이선을 따라 접어서 받침대의 형상을 만들면 된다.
도 4에는 몸체부(10)의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판(28')이 상기 제2바닥판(28)에 접착되어 하나의 시트로 접혀져 있는 상기 몸체부(10) 중 상기 제1지지판(16)과 상기 제2지지판(26)의 접이선을 상기 제1전면판(12)과 상기 제2전면판(22)의 사이로 밀어주면 상기 제1 및 제2 지지판(16,26)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전면판(12,22)의 후방에 위치하고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접어 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윈도우(14)를 통해 상기 제1지지판(16)에 구비된 고정연결판(32)을 상기 제2지지판(26)의 관통슬릿(27)을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제2바닥지지판(34)이 상기 제2전면판(22)과 제2지지판(26)의 사이에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2바닥지지판(34)이 제2수납부(30)의 하면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받침대에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물품이 상기 제1수납부(20)나 제2수납부(30)에 안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수납부(20)에는 휴대 물품이 세로방향으로 세워져 안착되고, 상기 제2수납부(30)에는 휴대 물품이 가로방향으로 안착된다.
상기 제1수납부(20)나 제2수납부(30)에 상기 휴대 물품이 삽입되는 것은 상기 상기 제1윈도우(14)나 제2윈도우(24)를 통하지 않고, 상기 제1수납부(20)나 제2수납부(30)의 양측 단부를 통해 삽입된다.
상기 수납부(20,30)에 휴대 물품,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 안착되면 전면이 상기 제1윈도우(14)나 제2윈도우(2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1수납부(20)에 휴대 물품이 안착되는 경우는, 세로방향으로 놓여져서 상기 제1바닥판(18)에 휴대 물품의 하단이 안착되고 제1지지판(16)에 의해 휴대 물품의 배면이 지지된다. 상기 제2수납부(30)에 휴대 물품이 안착되는 경우는, 가로방향으로 놓여져서 상기 제2바닥지지판(34)에 휴대 물품의 가장자리가 지지되고 제2지지판(26)에 의해 휴대 물품의 배면이 지지된다.
이와 같이 제1수납부(20)나 제2수납부(30)에 휴대 물품이 수납되면, 상기 휴대 물품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윈도우(14)나 제2윈도우(24)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따라서, 휴대 물품의 전면 중에서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제1윈도우(14)나 제2윈도우(2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들이 볼 때는 마치 전자액자나 소형 텔레비젼을 보는 듯한 느낌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수납부(20,30)에 안착된 휴대 물품은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수납부(20,30)에서 빼낼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납부(20)가 형성된 제1전면판(12)에 분리홈(36)을 두게 되면 상대적으로 쉽게 제1수납부(20)에서 휴대 물품을 분리하거나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12,22)에 걸이홀(37)을 형성한 경우에는 받침대를 벽에 걸 수 있게 되어, 받침대를 보다 다양한 위치에 두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 경우에는 책상 등에 받침대를 놓지 않고 공중에 매달아 둘 수 있어 공간활용에 용이하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시유닛(38)을 사용하게 되면 휴대 물품을 제1수납부(20)나 제2수납부(30)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다양한 전시물(39)을 전시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받침대를 사용하여 장식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에는 사용하는 방법이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와 동일하다. 하지만 본 실시례의 경우 제1 전면판(112)과 제2전면판(122)의 상단에 각각 제1 및 제2 공간판(119,129)이 있어 제1전면판(112)과 제1지지판(116)의 사이의 간격과 제2전면판(122)과 제2지지판(126) 사이의 간격을 유지해 주고, 상기 제1전면판(112)과 제2전면판(122)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만들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1수납부(220)가 일부를 제외하고는 개방된 공간에 형성된다. 즉, 제1전면판(212)이 있는 제1지지판(216)의 하부쪽의 공간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모두 개방된 공간으로 단지 제1지지판(216)만이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전면판(212)과 제1지지판(216) 사이의 상기 수납관통부(213")를 통해 개방되는 공간만이 제1수납부(220)에서 구획된 공간이다.
상기 수납관통부(213")를 통해 휴대 물품의 하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1지지판(216)에 배면이 지지되도록 세로방향으로 세워지면 제1수납부(220)에 휴대 물품이 안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수납관통부(213")를 관통해 내부로 들어간 휴대 물품의 하단부 부분에 의해 제1수납부(220)에서 휴대 물품이 유동되지 않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수납부(230)에는 휴대 물품을 가로방향으로 놓여지게 수납하게 된다. 이는 앞의 실시례들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며, 제2수납부(230)에서 휴대 물품을 분리하는 것도 같은 방식이다.
한편, 본 실시례에서는 공장에서 출하시에 이미 상기 제2수납부(230)쪽의 제2결합판(229')이 상기 제2지지판(226)에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2수납부(230)쪽을 형성하기 위해서 접이선들을 따라 펼치면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편(213')을 제1지지판(216)의 제1결합슬릿(216')에 삽입하면서, 상기 제1바닥판(218), 제1전면판(212), 상판(213)이 서로 직교하게 접어지도록 하고, 상기 고정연결판(232)은 상기 제1바닥판(218)과 반대 방향으로 접어서 상기 결합편(233)이 상기 제2지지판(226)의 제2결합슬릿(226')에 끼워지게 한다. 이때, 상기 제1지지판(216)과 제2지지판(226)이 소정의 각도로 만나도록 접어진다.
다음으로, 도 15에서 도 18, 도 19와 도 20 그리고 도 21과 도 22에 제시된 실시례들은 측면에서 보면 삼각형의 내부에 삼각형이 들어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도 각각의 몸체부(310,410)가 하나의 시트를 접고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수납부(320,330),(420,430)에 휴대 물품을 안착시키고 빼내는 것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와 동일하다.
도 23에는 몸체부(310)의 일측에 연장부(340)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연장부(340)는 달력이다. 도 24에는 몸체부(310)의 일측에 연장부(340')로서 화병(342)이 구비되어 있고, 도 25에는 몸체부(310)의 양측에 연장부(340")로서 화병(342)이 있다. 여기서 화병(342)에는 꽃을 꽂아 장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6에서 도 30에 도시된 실시례는 제1지지판(616)과 제2지지판(626)이 각각 제1전면판(612)과 제2전면판(622)의 일부를 잘라 후퇴시켜 만들어지는 것이다. 즉, 상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만나게 된 제1전면판(612)과 제2전면판(622)을 상단에서부터 일정 면적만큼 잘라서 각각 제1전면판(612)과 제2전면판(622)의 후방에 위치되게 하여 휴대 물품의 배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판(616)과 제2지지판(626)을 만드는 것이다. 상기 제1전면판(612)과 제1지지판(616)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바닥지지판(617)에 휴대 물품의 하단이 안착되고, 상기 제2전면판(622)과 제2지지판(626)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바닥지지판(627)에 휴대 물품의 하단이 안착되는 것이다.
여기서는 제1수납부(620)에 제1윈도우(614)를 통해 직접 휴대 물품이 삽입될 수 있고, 제2수납부(630)에는 제2전면판(622)과 제2지지판(626)의 측단부를 통해 휴대 물품이 삽입되고, 빠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윈도우(614)를 통해 제1수납부(620)에 휴대 물품이 안착된 경우 상기 제1윈도우(614)를 통해 휴대 물품이 제1수납부(620)에서 임의로 빠질 수 있으므로, 도 31에서와 같이 걸이편(615)을 두어 휴대 물품이 제1수납부(620)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게 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윈도우(614)를 통해 휴대 물품이 입출되지 않고 제1전면판(612)의 상단쪽으로 상기 제1수납부(620)에 휴대 물품이 입출된다.
한편, 도 26에서 도 30에 도시된 실시례들에서도 몸체부(610)가 하나의 시트로 만들어지는데, 이는 도 29와 도 30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29에는 접착을 위해 결합판(628')을 두고 있고, 도 30에서는 결합돌기편(623)과 결합슬릿(618')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례들에서는 고정연결판(32,132,232,332,432)들이 있는데,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상기 고정연결판(32,132,232,332,432)의 선단에 있는 제2바닥지지판(34,134,234,334,434)은 제2지지판(26,126,226,326,426)의 일부를 잘라 절곡하여 만들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실시례들을 보여주고 있는데, 비록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고 설명이 없을지라도 특정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실시례로 만들 수도 있다.
10: 몸체부 12: 제1전면판
14: 제1윈도우 16: 제1지지판
18: 제1바닥판 20: 제1수납부
22: 제2전면판 24: 제2윈도우
26: 제2지지판 28: 제2바닥판
30: 제2수납부 32: 고정연결판
34: 제2바닥지지판 36: 분리홈
37: 걸이홀 38: 전시유닛
38': 전시윈도우 39: 전시물
110: 몸체부 112: 제1전면판
114: 제1윈도우 116: 제1지지판
118: 제1바닥판 119: 제1공간판
120: 제1수납부 122: 제2전면판
124: 제2윈도우 126: 제2지지판
128: 제2바닥판 128': 결합판
129: 제2공간판 130: 제2수납부
132: 고정연결판 132': 관통부
134: 제2바닥지지판 210: 몸체부
212: 제1전면판 213: 상판
213': 고정돌기편 213": 수납관통부
216: 제1지지판 216': 제1결합슬릿
218: 제1바닥판 220: 제1수납부
222: 제2전면판 224: 제2윈도우
310: 몸체부 312: 제1전면판
314: 제1윈도우 316: 제1지지판
318: 제1바닥판 320: 제1수납부
322: 제2전면판 324: 제2윈도우
326: 제2지지판 328: 제2바닥판
328': 결합판 330: 제2수납부
332: 고정연결판 334: 제2바닥지지판
410: 몸체부 412: 제1전면판
414: 제1윈도우 416: 제1지지판
418: 제1바닥판 420: 제1수납부
422: 제2전면판 424: 제2윈도우
426: 제2지지판 427: 관통슬릿
428: 제2바닥판 430: 제2수납부
432: 고정연결판 434: 제2바닥지지판
510: 몸체부 512: 제1전면판
514: 제1윈도우 516: 제1지지판
518: 제1바닥판 518': 결합슬릿
520: 제1수납부 522: 제2전면판
524: 제2윈도우 526: 제2지지판
527: 결합슬릿 528: 제2바닥판
530: 제2수납부 532: 고정연결판
534: 제2바닥지지판 610: 몸체부
612: 제1전면판 614: 제1윈도우
616: 제1지지판 617: 제1바닥지지판
618: 제1바닥판 620: 제1수납부
622: 제2전면판 624: 제2윈도우
626: 제2지지판 627: 제2바닥지지판
628: 제2바닥판 628': 결합판

Claims (42)

  1. 하나의 시트로 형성되고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어 이들 구성요소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상기 제1전면판이 전면을 형성하고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세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되는 제1수납부와,
    상기 제1전면판이 향하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세워진 상기 제2전면판이 전면을 형성하고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가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되는 제2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부는 상기 제1전면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1지지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전면판에 형성된 제1윈도우에 대응되는 상기 제1전면판과 제1지지판 사이의 공간이고, 상기 제2수납부는 상기 제2전면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2지지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전면판에 형성된 제2윈도우에 대응되는 상기 제2전면판과 제2지지판 사이의 공간인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판과 제1지지판의 하단 사이는 제1바닥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전면판과 제2지지판의 하단 사이는 제2바닥판에 의해 연결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판과 제1지지판의 상단 사이는 제1공간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전면판과 제2지지판의 상단 사이는 제2공간판에 의해 연결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는 양측 단부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결합판이 구비되어 반대쪽 단부의 구성요소에 접착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는 양측 단부중 일측 단부에는 결합돌기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결합돌기편이 삽입되는 결합슬릿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판의 후방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1지지판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지지판의 일부를 잘라 절곡하여 고정연결판을 형성하는데 상기 고정연결판은 상기 제2전면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지지판을 관통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연결판의 선단에는 제2바닥지지판이 구비되어 상기 제2전면판과 제2지지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제2수납부의 바닥을 형성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판의 양단에는 상기 제1전면판의 일부를 제거한 분리홈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의 상단을 관통해서는 걸이홀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부와 제2수납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내부에 전시물이 안착되고 상기 전시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전시윈도우가 형성되는 전시유닛이 더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의 양측단중 적어도 어느 일측단에는 연장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3. 하나의 시트로 형성되고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어 이들 구성요소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전면판과 상기 제1전면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1지지판의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놓여진 휴대 물품의 전면이 노출되게 상기 제1전면판에 형성되는 제1윈도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수납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전면판과 상기 제2전면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2지지판의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휴대 물품의 전면이 노출되게 상기 제2전면판에 형성되는 제2윈도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수납부를 포함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판과 제1지지판의 하단은 제1바닥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전면판과 제2지지판의 하단은 제2바닥판에 의해 연결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판과 제1지지판의 상단은 제1공간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전면판과 제2지지판의 상단은 제2공간판에 의해 연결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고 바닥에 대해 상단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7.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의 일부를 잘라 절곡하여 고정연결판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연결판은 상기 제2지지판을 관통하고 선단에 상기 제2수납부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2바닥지지판이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8. 하나의 시트로 형성되고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어 이들 구성요소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제1전면판과 상기 제1전면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1지지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전면판의 상단이 상기 제1지지판에 상판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전면판의 하단이 상기 제1지지판의 하단에 제1바닥판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판에 수납관통부가 형성되어 만들어지는 제1수납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전면판과 상기 제2전면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2지지판의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휴대 물품의 전면이 노출되게 상기 제2전면판에 형성되는 제2윈도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수납부를 포함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에서 연장되어 고정연결판이 상기 제2지지판에 연결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판, 상판, 제1바닥판은 상기 고정연결판의 일부를 잘라 절곡하여 만들어지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연결편의 선단에는 상기 제2지지판에 결합되는 고정결합편이 있고 상기 제2전면판의 상단에는 상기 제2지지판의 상단과 결합되는 제2결합판이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2.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의 상단 양측에는 휴대 물품의 상단 양측을 안내하는 측면지지부가 더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3. 하나의 시트로 형성되고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어 이들 구성요소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전면판과 상기 제1전면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1지지판의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놓여진 휴대 물품의 전면이 노출되게 상기 제1전면판에 형성되는 제1윈도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수납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전면판과 상기 제2전면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2지지판의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휴대 물품의 전면이 노출되게 상기 제2전면판에 형성되는 제2윈도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면판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제1바닥판과 상기 제2전면판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제2바닥판이 겹쳐지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의 상단이 연결되어 접어지고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의 상단이 연결되어 접어지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판의 일측이 상기 제2바닥판에 접착되고 상기 제2바닥판에 상기 제2지지판에 구비되는 결합판이 접착되어 구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판에 형성된 돌기슬릿에 상기 제2전면판에 형성된 결합돌기판이 끼워지고, 상기 제1바닥판에 형성된 제2관통슬릿에 제2지지판에 형성된 제2걸이편이 끼워지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7. 제 23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의 일부를 잘라 절곡하여 고정연결판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연결판은 상기 제2지지판을 관통하고 선단에 상기 제2수납부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2바닥지지판이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8. 제 23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판에서 연장되어 고정연결판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연결판은 상기 제2지지판을 관통하고 선단에 상기 제2수납부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2바닥판이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9. 제 23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판의 양단에는 상기 제1전면판의 일부를 제거한 분리홈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30. 제 23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의 상단을 관통해서는 걸이홀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31. 제 23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부와 제2수납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내부에 전시물이 안착되고 상기 전시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전시윈도우가 형성되는 전시유닛이 더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32. 제 23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의 양측단 중 적어도 어느 일측단에는 연장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33. 하나의 시트로 형성되고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어 이들 구성요소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상기 제1전면판이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전면판의 일부를 잘라 상기 제1전면판의 후방에 위치되는 제1지지판과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판의 형성을 위해 잘라내어 만들어진 제1윈도우로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세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되는 제1수납부와,
    상기 제1전면판이 향하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세워진 상기 제2전면판이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전면판의 일부를 잘라 상기 제2전면판의 후방에 위치되는 제2지지판과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판의 형성을 위해 잘라내어 만들어진 제2윈도우로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가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되는 제2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판과 제1지지판의 하단 사이는 제1바닥지지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바닥지지판이 제1수납부의 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제2전면판과 제2지지판의 하단 사이는 제2바닥지지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바닥지지판이 상기 제2수납부의 바닥을 형성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판의 하단에는 제1바닥판이 연결되고 상기 제2전면판의 하단에는 제2바닥판이 연결되는데 상기 제1바닥판과 제2바닥판이 연결되어 몸체부의 바닥을 형성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닥판에는 결합판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판이 상기 제2전면판의 하면 배면에 접착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판에는 결합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전면판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슬릿에 삽입되는 결합돌기편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38.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윈도우의 폭은 휴대 물품을 세로방향으로 세웠을 때의 폭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부의 제1윈도우 양단에는 걸이편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40. 제 33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판의 제1윈도우와 상기 제2전면판의 제2윈도우는 각각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의 상단까지 개방되게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의 상단을 관통해서는 걸이홀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판과 제2전면판의 양측단중 적어도 어느 일측단에는 연장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1020130063665A 2013-06-03 2013-06-03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40142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665A KR20140142078A (ko) 2013-06-03 2013-06-03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665A KR20140142078A (ko) 2013-06-03 2013-06-03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078A true KR20140142078A (ko) 2014-12-11

Family

ID=5245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665A KR20140142078A (ko) 2013-06-03 2013-06-03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20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327B1 (ko) * 2019-12-23 2021-04-05 (주) 서현피엠에스 케이스
KR20210001624U (ko) * 2020-01-03 2021-07-14 모프트 인크 접이식 휴대용장치 지지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327B1 (ko) * 2019-12-23 2021-04-05 (주) 서현피엠에스 케이스
KR20210001624U (ko) * 2020-01-03 2021-07-14 모프트 인크 접이식 휴대용장치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88307B (zh) 可折叠多位模块化支架
US20130026329A1 (en) Collapsible stand for suppor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573528B1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US20110026749A1 (en) Fram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70742Y1 (ko) 카드식 스마트폰 거치대
US9986937B2 (en) Modular growth chart assembly
US6643967B1 (en) Display device
KR20140142078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50094258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50019222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101166857B1 (ko) 직립이 가능한 액자
KR20150094252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30001044U (ko) 탁상용 캘린더
KR200463560Y1 (ko) 물품 거치대
KR20150094262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0485877Y1 (ko)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KR20150094259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US6339890B1 (en) Multiple position easel mat
KR101190666B1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
KR102174071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JP3231276U (ja) イーゼル付き缶バッジ
TWM576565U (zh) Adjustable storage structure
CN211704139U (zh) 一种装饰币盒及装饰币展示装置
JP4746721B1 (ja) 壁掛具および壁掛展示具
KR20190002969U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