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071B1 -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071B1
KR102174071B1 KR1020190085794A KR20190085794A KR102174071B1 KR 102174071 B1 KR102174071 B1 KR 102174071B1 KR 1020190085794 A KR1020190085794 A KR 1020190085794A KR 20190085794 A KR20190085794 A KR 20190085794A KR 102174071 B1 KR102174071 B1 KR 102174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vertical support
support
mounting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은
김은중
Original Assignee
김용은
김은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은, 김은중 filed Critical 김용은
Priority to KR1020190085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보다 간단한 구조로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보다 편안하고 간편하도록, 지면에 지지되는 본체, 상기 본체 앞쪽에 형성되어 거치 대상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 뒤쪽에 마련되며 거치부에 지지된 거치 대상의 후면을 받쳐 세운 상태로 지지하는 수직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지지부는 상기 본체에 분리되어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수직지지부 사이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 상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 상기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수직지지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홀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APPARATUS FOR STANDING MOBILE DEVICE}
본 개시내용은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이 화면이 구비된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넓적한 판 형태로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용도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바닥에 세워 거치하기 쉽지 않다.
이에, 학교나, 사무실, 집에서 휴대용 단말기로 화면을 보거나 장시간 영화를 시청하는 경우 또는 인터넷을 사용하여 서핑을 할 경우 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올바르게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어도 한 손을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계속 잡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존재한다.
종래, 휴대용 단말기를 세워 거치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들 종래의 거치대는 특정 제품에 한정된 것으로 범용으로 사용되기 힘들었다.
또한,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거치대의 경우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실제 제조가 용이하지 않으며, 사용이 불편하여 실용성이 떨어진다.
본 과제는 보다 간단한 구조로 제조가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사용이 보다 간편하고,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실용성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휴대용 단말기의 형태나 종류에 관계없이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된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와 보관이 보다 간편하고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거치장치는, 지면에 지지되는 본체, 상기 본체 앞쪽에 형성되어 거치 대상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 뒤쪽에 마련되며 거치부에 지지된 거치 대상의 후면을 받쳐 세운 상태로 지지하는 수직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고 평면을 이루어 광고가 부착되는 광고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경사지지부 뒤쪽에 마련되며 상기 거치대상 외의 명함이나 필기구를 포함한 생활 잡화를 보관하는 보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 대상의 하단이 놓이는 하단지지대, 및 상기 하단지지대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거치 대상의 하단이 걸리도록 된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걸림돌기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 대상에 접속되는 플러그의 케이블이 지나가는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지지대는 거치부 뒤쪽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가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거치 대상으로 책을 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하단지지대의 측방향 양 선단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책의 책장이 고정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부는 상기 하단지지대 뒤쪽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 대상의 후면을 받쳐 지지하는 수직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수직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상을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지지하는 경사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지지부는 상기 수직지지대에 이격되어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연장되어 거치 대상의 후면을 받쳐 지지하는 경사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와 상기 경사지지대 사이에서 상기 본체 측방향을 따라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거치 대상의 하단이 놓여지는 바닥부, 상기 바닥면의 아래쪽 측단에 연결되고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거치대상의 측단이 지지되는 측부, 및 상기 거치 대상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수직지지대에 절단 형성되는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측방향 중심에서 양 측에 대향 형성되어 거치 대상을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거치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보관부는 상기 경사지지대 뒤쪽에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명함 또는 필기구가 수납되는 복수의 홈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관부는 상기 홈통에 돌출 형성되어 조명등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관부는 상기 경사지지대 상단에서 하방으로 절단 형성되어 안경 또는 시계를 걸어 고정하는 복수의 슬릿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부는 상기 본체에 분리되어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본체와 상기 수직지지부 사이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 상부 또는 상기 수직지지부 하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 상기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수직지지부 하부 또는 상기 본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홀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 또는 상기 돌기는 상기 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수직지지부의 전후 방향을 전환하여 착탈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부는 수직으로 연장되어 거치 대상의 후면을 받쳐 지지하는 전면부재와 후면부재,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 사이의 측단 사이에 형성되는 양 측면부재,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의 하단 사이에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하부에는 상기 돌기 또는 상기 홀이 형성된 바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재는 상기 거치 대상을 받쳐 지지하도록 절단 형성되는 경사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홈부는 수직 방향에 대해 각도를 두고 경사지게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부재는 상기 전면부재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후면부재는 상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상의 측단이 걸리도록 된 걸림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부는 내부에 형성되어 전면부재 또는 후면부재를 받쳐 지지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하면이 개방되고 상기 거치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면부재는 상기 본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재는 상기 본체 상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재에 대해 상기 측면부재의 상단은 상기 하단지지대의 경사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지지부는 전면부재가 본체 상단에 접하도록 눕혀져 본체와 함께 사각 박스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수직지지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지지부 내부에 끼우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상기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직지지부의 바닥부재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수직지지부의 전면부재에 형성된 경사홈부 형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의 간섭없이 상기 수직지지부의 전면부재와 상기 본체가 서로 접하여 사각 박스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부는 전면부재의 양 측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 측단을 지지하는 걸림바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전면부재가 걸림바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본체의 거치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수직지지부의 전면부재와 상기 본체가 접할 때 상기 수직지지부의 전면부재와 거치부 사이 간섭을 방지하도록 된 절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구조가 매우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어 제품의 원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형태나 종류에 관계없이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여,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용도의 물품을 거치하거나 보관하는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실용성이 매우 크다.
또한, 전면에 다양한 광고를 표시하여 적은 비용으로 홍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분리하여 조립하는 구조를 통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보관 및 유통에 있어서 유리한 잇점을 제공할 수 있고,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로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다양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와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포장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과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도 1은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를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전이나 앞이라 함은 도 1의 z축 방향을 따라 전방을 향하는 쪽을 의미하고, 후나 뒤라 함은 그 반대쪽을 의미한다. 또한, 측 또는 옆이라 함은 도 1에서 x축 방향을 의미하고, 상하라 함은 도 1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위아래 쪽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거치장치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는 물론 책 등의 다양한 물품을 거치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본 장치를 통해 거치되는 대상을 거치 대상이라 총칭하여 설명하며, 구체적인 거치 대상에 대해서는 그 물품의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거치장치는, 본체(10), 본체(10)에 형성되는 거치부(20), 경사지지부(30), 보관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단일 몸체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에는 거치부(20), 경사지지부(30) 및 보관부(4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재질은 플라스틱에 한정되지 않으며 휴대용 단말기 등을 받쳐 지지할 수 있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본체(10)는 전면(12)과 측면(14), 후면(16) 및 바닥면을 갖는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크기는 휴대용 단말기를 받쳐 지지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본체(10)의 전면(12)과, 측면(14), 및 후면(16)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면을 이루고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본체(10)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면(12)과 측면(14) 및 후면(16)의 하단은 동일 평면상에 놓여 지도록 수평을 이룬다. 본체(10)의 상부 바닥면은 거치부(20), 경사지지부(30) 및 보관부(40)에 맞춰 적절한 형태로 형성되어 거치 대상을 받져 지지한다.
본체(10)의 전면(12)은 평면을 이루어, 광고 등이 표시되는 광고면(18)을 이룰 수 있다.
광고면(18)은 수직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고면(18)에는 필요시 다양한 형태의 광고가 표시될 수 있다. 광고는 별도의 스티커 형태의 광고지를 광고면에 부착하거나, 광고면에 직접 프린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광고면(18)을 구비함으로써 판촉이나 홍보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체의 전면(12)에 형성된 광고면(18)을 통해 원하는 광고를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어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본체(10)의 앞쪽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세워 지지하기 위한 거치부(20)가 마련된다.
거치부(20)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하단지지대(21), 하단지지대(21)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거치 대상의 하단이 걸리도록 된 걸림돌기(22), 및 하단지지대(21) 뒤쪽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을 받쳐 지지하는 수직지지대(2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지지대(23)는 하단지지대(21) 뒤쪽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 대상을 세운 상태로 받쳐 지지하다.
하단지지대(21)는 전면(12)과 양 측면(14)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다. 하단지지대(21) 위에 휴대용 단말기가 놓여져 지지된다. 하단지지대(21)는 전면(12)에서 후면(16)쪽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하단지지대(21) 상에 놓여진 휴대용 단말기가 전면(12)쪽으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단지지대(21)에는 걸림돌기(22)가 더 형성되어 휴대용 단말기가 하단지지대(21)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걸림돌기(22)는 하단지지대(21)의 전면(12)쪽 선단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걸림돌기(22)는 하단지지대(21)에 놓여진 휴대용 단말기의 하단을 걸어 고정한다. 걸림돌기(22)는 측방향을 따라 하단지지대(21)의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2)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보다 안정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하단을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수직지지대(23)는 하단지지대(21)의 뒤쪽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다. 수직지지대(23)는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지지대(23)는 휴대용 단말기가 세워진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을 받쳐 지지하게 되며, 그 형성 높이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거치부(20)에 휴대용 단말기(T)를 놓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T)의 하단과 후면은 각각 하단지지대(21)와 수직지지대(23)에 지지된다. 그리고 걸림돌기(22)가 하단지지대(21) 상에서 돌출되어 휴대용 단말기(T)가 앞으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T)는 거치부(20)에 세워진 상태로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10) 앞쪽에 마련된 거치부(20)에 휴대용 단말기(T)를 거치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세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거치부(20)는 거치 대상으로 휴대용 단말기 외에 책을 거치하는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거치부(20)에 책(B)이 거치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책은 하단지지대(21)에 놓여 지지되며, 책(B)의 후면은 수직지지대(23)에 받쳐져 지지된다. 책을 지지하기 위해, 하단지지대(21)의 측방향 양 선단에는 책장이 고정되는 고정돌기(25)가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25)는 책(B)을 펼쳤을 때, 책장이 넘어가지 않도록 잡아주는 구성부이다. 고정돌기(25)는 하단지지대(21)의 전면(12)쪽 선단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고정돌기(25)는 전면(12)에서 측방향 양 선단쪽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25)는 측방향 양쪽 선단쪽에서 펼쳐진 책장의 양 쪽을 각각 걸어 고정한다. 고정돌기(25)는 책장이 걸려 넘어가지 않을 수 있으면 충분하며, 그 크기나 형성 위치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거치부(20)는 두꺼운 책(B)도 보다 확실히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책의 하단이 걸쳐지도록 하단지지대(21)에 하향 단턱(26)이 형성될 수 있다.
하단지지대(21)는 뒤쪽 부분이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하향 단턱(26)을 이룬다. 하향 단턱(26)은 수평면을 이루어 본체(10) 측면(14)과 일체로 연결된다. 하향 단턱(26)을 함몰 형성함으로써, 책(B)의 커버 표지 부분과 하단지지대(21)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두꺼운 책의 경우 책을 펼쳤을 때, 커버 표지 부분의 위치가 얇은 책에 비해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하단지지대(21)에서 함몰 형성된 하향 단턱(26)에 책(B)의 커버 표지 부분이 위치할 수 있어, 두꺼운 책도 보다 안정적으로 세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경사지지부(30)는 거치부(20) 뒤쪽에 마련되며 핸드폰 등의 거치 대상을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경사지지부(30)는 수직지지대(23)에 이격되어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연장되어 핸드폰(도 3의 M 참조)의 후면을 받쳐 지지하는 경사지지대(31), 수직지지대(23)와 경사지지대(31) 사이에 형성되어 핸드폰(M)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바닥부(32)와 측부(33), 및 핸드폰(M)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수직지지대(23)에 절단 형성되는 홈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지지대(31)는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다. 경사지지대(31)는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지지대(31)는 휴대폰을 세워진 상태에서 휴대폰의 후면을 받쳐 지지할 수 있다. 경사지지대(31)의 형성 높이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휴대폰은 경사지지대(31)에 받쳐져 세워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수직지지대(23)와 경사지지대(31) 사이에 바닥부(32)와 측부(33)가 일체로 형성된다. 바닥부(32)와 측부(33)는 서로 연결되어 바닥면을 이룬다. 바닥부(32)는 본체(10) 측방향을 따라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핸드폰의 하단을 받쳐 지지한다. 측부(33)는 바닥면의 아래쪽 측단에 연결되고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핸드폰의 측단을 받쳐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지지부(30)는 바닥부(32)와 측부(33)가 본체(10)의 측방향 중심에서 양 측에 대향 형성되어 핸드폰을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거치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측방향을 따라 중심에서 양쪽으로 바닥부(32)와 측부(33)가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바닥부(32)는 본체(10) 중심에서 양 측방향으로 각각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각 바닥부(32)에 핸드폰(M)을 올려놓게 되면 핸드폰이 서로 반대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에, 필요한 경우 핸드폰(M)을 좌측으로 기울여 거치하거나 우측으로 기울여 거치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 핸드폰을 보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눕는 방향에 따라 핸드폰을 좌측 또는 우측 경사지지부(30)에 올려놓아 핸드폰의 기울어진 방향을 사용자 눕는 방향에 맞출 수 있다.
핸드폰(M)의 전면과 마주하는 수직지지대(23)에는 핸드폰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홈부(34)가 더 형성된다. 이에, 경사지지부(30)에 핸드폰을 거치하더라도 사용자는 수직지지대(23)에 형성된 홈부(34)를 통해 핸드폰의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홈부(34) 역시 본체(10) 중심에서 측방향으로 두 개가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지지대(23)는 홈부(34)가 형성되더라도 두 홈부(34) 사이 부분이 여전히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어 있어 휴대용 단말기나 책의 후면을 받쳐 지지할 수 있다.
홈부(34)는 바닥부(32)와 측부(33)가 이루는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홈부(34)는 핸드폰의 전면이 충분히 노출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34)는 절단된 선단이 바닥부(32)와 측부(33)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핸드폰을 걸어 고정하는 단턱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 이에, 바닥부(32)와 측부(33)에 놓여진 핸드폰이 앞으로 기울어지더라도 홈부(34)에 걸려 앞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폰을 사용자가 눕는 방향에 맞춰 안정적으로 거치함으로서, 누운 상태에서도 휴대폰을 편안하게 볼 수 있게 된다.
보관부(40)는 경사지지부(30) 뒤쪽에 마련되며 거치 대상 외의 명함이나 메모지, 필기구나 가위 등의 문구류, 안경, 시계를 포함한 다양한 생활 잡화를 보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보관부(40)는 경사지지대(31) 뒤쪽에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명함(C) 또는 필기구(P)가 수납되는 복수의 홈통(41), 홈통(41)의 뒤쪽 측벽에 돌출 형성되어 조명등(L)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라켓(43), 경사지지대(31) 상단에서 하방으로 절단 형성되어 안경(G) 또는 시계(W)를 걸어 고정하는 복수의 슬릿홈(44)을 포함할 수 있다.
홈통(41)은 본체(10)의 양 측면(14)과 후면(16), 경사지지대(31) 및 바닥면에 의해 막히고 상단은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홈통(41)은 본체(10) 후면(16)과 경사지지대(31)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칸막이(42)가 더 형성되어 복수개의 공간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홈통(41)에는 필기구나 명함, 또는 메모지 등이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다.
브라켓(43)은 예를 들어 홈통(41)의 일측 벽면을 이루는 본체(10) 후면(16)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43)의 형태나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슬릿홈(44)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슬릿홈(44)으로 안경이나 시계 등을 거치할 때, 보다 용이하게 슬릿홈(44)으로 안경테나 시계줄을 삽입할 수 있다. 슬릿홈(44)의 형성 개수나 형성 간격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보관부(40)에 다양한 생활 잡화를 보관 및 거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의 클립을 브라켓(43)에 장착함으로써, 본 장치에 조명등(L)을 결합할 수 있다. 이에, 야간시에도 조명등을 사용하여 본 장치에 책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홈통(41)에는 필기구(P)나 명함(C) 등이 수납되며, 슬릿홈(44)을 통해 안경(G)이나 시계(W) 등이 끼워져 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에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함은 물론 다양한 생활 용품을 한 번에 수납 및 보관할 수 있어, 다용도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2]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거치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본 실시예의 거치장치의 각 구성부 중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과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를 개략적인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거치장치는 본체(10)와 수직지지부(50)가 분리되어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거치장치는 본체(10), 거치부(20), 및 본체(10)에 분리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지지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와 수직지지부(50)가 분리됨으로써, 필요시 본체에 수직지지부를 결합하여 거치대로 사용하거나, 분리하여 수직지지부(50)를 본체(10)에 접어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간편하게 이동 또는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본체(10)는 언급한 바와 같이, 전면(12)과 측면(14), 후면(16) 및 바닥면을 갖는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12)은 평면을 이루어, 광고 등이 표시되는 광고면(18)을 형성한다.
본체(10)의 앞쪽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세워 지지하기 위한 거치부(20)가 마련된다. 거치부(20)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하단지지대(21), 하단지지대(21)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거치 대상의 하단이 걸리도록 된 걸림돌기(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단지지대(21)의 측방향 양 선단에는 책장이 고정되는 고정돌기(25)가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단지지대(21) 위에 휴대용 단말기나 책을 포함한 거치 대상이 놓여 지지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하단지지대(21)는 거치부 뒤쪽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하단지지대(21)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24)가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리브(24)는 하단지지대(21)의 경사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리브(24)는 미끄럼 방지턱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휴대용 단말기나 책 등의 거치대상이 돌출된 리브(24)에 받쳐 지지되어, 하단지지대(21)의 경사면에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상이 놓이는 리브(24)의 위치에 따라 거치대상의 세워지는 각도를 달리하여 시청 각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각도로 거치대상을 세워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단지지대(21)의 전면 쪽 선단에 형성된 걸림돌기(22)에는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되는 플러그(도 10의 P 참조)의 케이블이 지나가는 홈(27)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홈(27)은 걸림돌기(22)에서 절단되어 파인 부분으로, 홈(27)은 걸림돌기(22)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T)에 플러그(P)가 접속된 상태에서도 보다 용이하게 휴대용 단말기를 하단지지대(21)에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하면이 개방되고, 거치부(20)는 내부에 수용공간(28)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거치부(20)의 하단지지대(21)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충분히 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본체(10) 내부의 수용공간(28)에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될 수 있는 케이블이나 이어폰 등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거치장치는 본체(10)와 본체에서 분리되어 있는 수직지지부(50) 사이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60)는 본체(10) 상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61), 홀(61)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수직지지부(50) 하부에 형성되어 홀(61)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62)를 포함할 수 있다.
홀(61)과 돌기(62)는 서로 억지끼움 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홀과 돌기의 형태나 크기 또는 형성 개수 등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이에, 수직지지부(50)에 형성된 돌기(62)를 본체 상부에 형성된 홀(61)에 끼워주거나 홀(61)에서 빼주게 되면, 본체(10)에 수직지지부(50)가 견고하게 고정되거나 분리된다.
따라서, 보관이나 유통 등의 비사용시에는 수직지지부(50)를 본체(10)에서 분리하여 본체 상에 눕혀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10)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수직지지부(50)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수평상태로 눕힐 수 있어, 거치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홀(61)은 본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향되게 배열 형성될 수 있다. 홀(61)의 형성 위치에 맞춰 수직지지부(50)의 하부에도 돌기(62)가 수직지지부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향되게 배열 형성된다.
이에, 본체(10)에 대한 수직지지부(50)의 결합 방향을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다. 즉, 수직지지부(50)의 방향을 전환하더라도 돌기(62)의 위치가 본체(10)의 홀(61) 위치에 일치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수직지지부(50)의 전후면을 바꿔 거치부쪽을 향하도록 하여 수직지지부를 본체에 결합할 수 있다. 수직지지부의 결합 방향에 따라 거치대상의 후면을 수직지지부 전며 또는 후면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직지지부의 방향을 바꿔 본체에 결합함으로써, 거치 대상에 맞춰 보다 적절한 거치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수직지지부(5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사각의 용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수직지지부(50) 내부의 공간에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안경이나 볼펜 등 다양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수직지지부(50)의 크기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지지부(50)는 내부에 핸드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와 충전기 또는 보조 배터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핸드폰 및 관련 부품을 수직지지부에 수납하여 본체와 함께 외부 포장재로 포장하여 제품으로 제공할 수 있다.
수직지지부(5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단일 몸체를 이룬다. 수직지지부(50)는 본체(10)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지지부(50)는 플라스틱 재질 외에 휴대용 단말기 등을 받쳐 지지할 수 있으면 다양한 재질로 형성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수직지지부(50)는 수직으로 연장되어 거치 대상의 후면을 받쳐 지지하는 전면부재(51)와 후면부재(52), 전면부재(51)와 후면부재(52) 사이의 측단 사이에 형성되는 양 측면부재(53), 전면부재(51)와 후면부재(52)의 하단 사이에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하부에는 돌기(62)가 형성된 바닥부재(5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지지부(50)의 내부에는 전면부재(51) 또는 후면부재(52)를 받쳐 지지하는 보강리브(5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강리브(55)는 전면부재(51)와 바닥부재(54) 사이 또는 후면부재(52)와 바닥부재(54) 사이에 연결 형성될 수 있다. 보강리브(55)는 수직지지부의 전면부재(51)나 후면부재(52)에 가해진 거치대상의 하중에 의해 전면부재나 후면부재가 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수직지지부(50)는 내부에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물품을 견고하게 받쳐 지지하기 위한 살부(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살부(56)는 수직지지부(50) 내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살부(56)는 예를 들어, 수직지지부 내부에 적재되는 충전기를 받쳐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살부에 의해 충전기가 수직지지부 내부에서 견고하게 지지되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면부재(51)와 후면부재(52)는 상부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각각 거치 대상의 후면을 받쳐 세운 상태로 지지하는 수직지지대로 작용한다. 전면부재(51)와 후면부재(52)의 형성 높이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수직지지부(50)는 전면부재(51)나 후면부재(52) 등에 조명등이나 시계, 안경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생활잡화를 보관 또는 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후면부재(52)는 전면부재(51)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면부재(51)와 후면부재(52)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수직지지지부의 방향을 전환하여 서로 상이한 높이로 거치 대상을 세워줄 수 있게 된다. 이에, 거치 대상의 각도를 변경하여 다양한 거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재(51)에는 상기 거치 대상을 받쳐 지지하도록 경사홈부(57)가 절단 형성될 수 있다. 경사홈부(57)를 통해 핸드폰 등의 거치 대상을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경사홈부(57)는 절단된 내측단이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홈부(57)는 전면부재(51)의 측방향 중심에서 양 측에 대향 형성되어 핸드폰을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거치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수직지지부(50) 측방향을 따라 중심에서 양쪽으로 경사홈부(57)가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각 경사홈부(57)에 핸드폰(M)을 경사지게 걸쳐 놓게 되면 핸드폰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지지될 수 있다.
이에, 필요한 경우 핸드폰(M)을 좌측으로 기울여 거치하거나 우측으로 기울여 거치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 핸드폰을 보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눕는 방향에 따라 핸드폰을 좌측 또는 우측 경사홈부(57)에 걸쳐 놓아 핸드폰의 기울어진 방향을 사용자 눕는 방향에 맞출 수 있다.
전면부재(51)에는 양쪽에 경사홈부(57)가 형성되더라도 두 경사홈부 사이 부분이 여전히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어 있어 거치 대상의 후면을 받쳐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폰을 사용자가 눕는 방향에 맞춰 안정적으로 거치함으로서, 누운 상태에서도 휴대폰을 편안하게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비스듬히 놓인 휴대폰이 본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의 상부 수평면 상에는 양 측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턱부(29)가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턱부(29)는 기울어진 휴대폰 하단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턱으로 작용한다. 이에, 휴대폰을 포함하여 거치대상이 기울어진 상태로 본체(10) 바닥에 놓이더라도 거치대상이 본체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기울어진 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측면부재(53)은 전면부재(51)와 후면부재(52) 사이를 연결한다. 측면부재(53) 단은 높이가 상이한 전면부재와 후면부재 상단의 높이차에 맞춰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측면부재의 상단은 계단 형태로 높이가 상이한 복수개의 단차로 절단 형성되어 계단부(59)를 이룬다. 이에, 계단부에 거치대상을 놓는 위치에 거치대상의 기울기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서, 사용자의 자세에 맞춰 거치대상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여 보다 편안하게 거치대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후면부재(5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돌출 형성되어 휴대용 단말기(M) 등의 거치대상의 측단이 걸리도록 된 한 쌍의 걸림돌기(58)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걸림돌기(58)의 형성 간격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거치대상이 후면부재 상에 받쳐 지지되면, 걸림돌기(58) 사이에 거치대상이 놓여 측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거치장치는 수직지지부(50)를 본체(10) 상에 수평으로 눕혔을 때, 수직지지부와 본체가 서로 맞물리면서 사각의 박스 형태를 이루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후면부재(52)는 본체(10)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전면부재(51)는 본체 상의 수평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 상의 수평면이라 함은 본체 상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거치부의 하단지지대(21)를 제외한 수평한 상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측면부재(53)의 상단은 하단지지대(21)의 경사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측면부재(53)와 하단지지대(21) 사이에 간섭없이 본체(10) 상에 수직지지부(50)를 눕혀 놓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부(50)는 전면부재(51)가 본체(10) 상의 수평면에 접하도록 눕혀져 본체와 함께 사각 박스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지지부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사각 박스 형태로 접어줌에 따라 거치장치의 전체적인 부피를 보다 줄여 보다 콤팩트화할 수 있게 된다.
수직지지부(5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사각의 용기 구조이고, 본체 역시 거치부쪽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있어, 수직지지부의 내부 공간이나 보체의 수용공간에 다양한 물품을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거치장치는 다양한 물품이 적재된 사각 박스 형태로 간단히 포장하여 제품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에 핸드폰을 포함한 다양한 악세서리가 수납되어 포장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는 거치부쪽 하면에 내부 수용공간(28)이 형성되어 있어 이어폰(H)이나 각종 케이블(C)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지지부(50)는 내부에 핸드폰 및 충전기 등의 관련 부품을 수납할 수 있다.
핸드폰 등이 수납된 수직지지부(50)는 전면부재가 본체 상면에 대면되도록 하여 배치됨으로써, 본체(10)와 수직지지부(50)는 사각 박스 형태로 합쳐지게 된다.
이에, 합쳐진 본체(10)와 수직지지부(50)를 사각 형태의 외부 패키지(P)로 포장함으로써, 각종 악세서리를 포함한 핸드폰 제품을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에 수납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포장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3]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거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본 실시예의 거치장치의 각 구성부 중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를 개략적인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거치장치는 본체(10)와 수직지지부(50)가 분리되어, 본체(10) 내부에 수직지지부(50)가 삽입되어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체(10)는 언급한 바와 같이, 전면(12)과 측면(14), 후면(16) 및 바닥면을 갖는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12)은 평면을 이루어, 광고 등이 표시되는 광고면(18)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에는 돌기(62)가 돌출 형성되고, 수직지지부(50)의 바닥부재(54)에는 돌기(62)가 끼워지는 홀(61)이 형성된다.
수직지지부(5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사각의 용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직지지부(50)는 수직으로 연장되어 거치 대상의 후면을 받쳐 지지하는 전면부재(51)와 후면부재(52), 전면부재(51)와 후면부재(52) 사이의 측단 사이에 형성되는 양 측면부재(53), 전면부재(51)와 후면부재(52)의 하단 사이에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하부에는 홀(61)이 형성된 바닥부재(5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지지부(50)의 내부에는 전면부재(51)를 받쳐 지지하는 보강리브(5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후면부재(52)는 본체(1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수직지지부(50) 내부로 본체(10)를 삽입하였을 때, 후면부재(52)가 본체의 후면쪽 전체를 덮어 줄 수 있게 된다.
이에, 필요시 본체에 수직지지부를 결합하여 거치대로 사용하거나, 분리하여 수직지지부(50)를 본체(10) 내부에 삽입하여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간편하게 이동 또는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본체(10)는 수직지지부(5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의 측면(14) 사이 길이는 수직지지부의 양 측면부재(53) 내면 사이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본체(10)가 수직지지부(50)의 양 측면부재(53) 사이로 삽입되어 수직지지부 내부 공간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라 본체(10)가 수직지지부(50)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수직지지부(50) 내부에 삽입되어, 수직지지부의 전면부재(51) 내측에 돌출 형성된 보강리브(55)와 후면부재(52) 사이에 끼워져 설치된다.
본체(10)에 형성된 돌기(62)의 돌출 길이는 보강리브(55)의 돌출길이보다 짧아 본체를 수직지지부(50) 내부로 삽입할 때 전면부재(51)와 간섭되지 않는다. 이에, 본체(10)를 수직지지부(50) 내부 공간으로 용이하게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10)를 수직지지부에서 분리하여 수직지지부(50) 내부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게 되어, 본 거치장치를 보다 작은 크기로 축소시켜 이동 또는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의 수용공간(28)에 수납된 케이블이나 이어폰 등이 수직지지부의 후면부재(53)에 덮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거치장치는 수직지지부(50)를 본체(10) 상에 수평으로 눕혀 박스 형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4는 수직지지부와 본체가 서로 맞물려 사각의 박스 형태를 이룬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거치장치는 본체(10)에 형성된 돌기(62)가 수직지지부(5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컴팩트하게 합체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에 형성되는 돌기(62)는 수직지지부(50)의 전면부재(51)에 형성된 경사홈부(57) 형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돌기(62)는 수직지지부의 전면부재(51)와 간섭되지 않는다.
돌기(62)가 전면부재(51)를 향하도록 하여 본체(10)를 수직지지부(50)에 접하였을 때, 돌기(62)는 전면부재에 형성된 경사홈부(57)에 위치하므로, 전면부재와 간섭되지 않는다. 이에, 본체의 후면(16)을 수직지지부(50)의 바닥부재(54)까지 이동하여 본체와 수직지지부를 사각 박스 형태로 겹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의 거치부(20)에는 수직지지부의 전면부재(51)와의 사이 간섭을 방지하도록 절단부(72)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절단부(72)는 본체(10) 거치부(20) 표면에서 전면부재(51)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수직지지부(50)의 전면부재(51)와 본체(10) 상단이 접하였을 때, 전면부재(51)가 절단부(72) 내측으로 끼워져 거치부(20)와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직지지부의 전면부재와 본체 상단 사이가 거치부에 의해 들뜨지 않고 긴밀하게 접할 수 있고, 두 부재를 보다 컴팩트하게 합체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수직지지부(50)의 양 측단에 걸림바(70)가 돌출 형성되어, 본체(10)가 수직지지부(50)의 걸림바(70)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본체(10)와 수직지지부(50) 사이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두 부재가 보다 견고하게 맞물릴 수 있게 된다.
걸림바(70)는 전면부재(51)의 양 측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10) 양 측단을 지지한다. 두 걸림바(70) 사이 간격은 본체(10)의 양 측면 사이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양 측면(14)이 걸림바(7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지지부(50)는 전면부재(51)가 본체(10) 상의 수평면에 접하도록 눕혀져 본체와 함께 사각 박스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수직지지부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사각 박스 형태로 접어줌에 따라 거치장치의 전체적인 부피를 보다 줄여 보다 콤팩트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전면
14 : 측면 16 : 후면
18 : 광고면 20 : 거치부
21 : 하단지지대 22 : 걸림돌기
23 : 수직지지대 24 : 리브
25 : 고정돌기 26 : 하향 단턱
27 : 홈 28 : 수용공간
30 : 경사지지부 31 : 경사지지대
32 : 바닥부 33 : 측부
34 : 홈부 40 : 보관부
41 : 홈통 42 : 칸막이
43 : 브라켓 44 : 슬릿홈
50 : 수직지지부 51 : 전면부재
52 : 후면부재 53 : 측면부재
54 : 바닥부재 55 : 보강리브
57 : 경사홈부 58 : 걸림돌기
60 : 결합부 61 : 홀
62 : 돌기 70 : 걸림바
72 : 절단부

Claims (7)

  1. 지면에 지지되는 본체, 상기 본체 앞쪽에 형성되어 거치 대상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 뒤쪽에 마련되며 거치부에 지지된 거치 대상의 후면을 받쳐 세운 상태로 지지하는 수직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지지부는 상기 본체에 분리되어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수직지지부 사이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 상부 또는 상기 수직지지부 하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 상기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수직지지부 하부 또는 상기 본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홀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지지부는 수직으로 연장되어 거치 대상의 후면을 받쳐 지지하는 전면부재와 후면부재,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 사이의 측단 사이에 형성되는 양 측면부재,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의 하단 사이에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하부에는 상기 돌기가 형성된 바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재는 상기 거치 대상을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 상태로 받쳐 지지하도록 경사홈부가 절단 형성되고, 상기 경사홈부는 절단된 내측단이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전면부재의 측방향 중심에서 양 측에 대향 형성되어 거치대상을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거치하는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고 평면을 이루어 광고가 부착되는 광고면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 대상의 하단이 놓이는 하단지지대, 및 상기 하단지지대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거치 대상의 하단이 걸리도록 된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재는 상기 본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재는 상기 본체 상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재에 대해 상기 측면부재의 상단은 상기 하단지지대의 경사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지지부는 전면부재가 본체 상단에 접하도록 눕혀져 본체와 함께 사각 박스 형태를 이루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6.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직지지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지지부 내부에 끼우져 결합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는 전면부재의 양 측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 측단을 지지하는 걸림바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전면부재가 걸림바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KR1020190085794A 2019-07-16 2019-07-16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KR102174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794A KR102174071B1 (ko) 2019-07-16 2019-07-16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794A KR102174071B1 (ko) 2019-07-16 2019-07-16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071B1 true KR102174071B1 (ko) 2020-11-04

Family

ID=7357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794A KR102174071B1 (ko) 2019-07-16 2019-07-16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0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929U (ko) * 2011-12-22 2013-07-02 변윤정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
KR101506161B1 (ko) * 2014-04-18 2015-03-26 주식회사 에어로시스템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929U (ko) * 2011-12-22 2013-07-02 변윤정 스마트폰용 원목 거치대
KR101506161B1 (ko) * 2014-04-18 2015-03-26 주식회사 에어로시스템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7704B1 (en) Mobile telephone holder and display
US20120106054A1 (en) Stand for suppor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74403Y1 (ko) 거치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용 카드지갑
US20130284614A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60243679A1 (en) Computer monitor organizer
KR101573528B1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30044714A (ko) 패키지를 이용한 디바이스 거치대
US6401371B2 (en) Desktop pen, eyeglass and picture frame holder
KR102174071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KR200472787Y1 (ko)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KR101086459B1 (ko) 거치대 조립용 전개도를 갖는 이동단말기용 액세서리 포장지
JP2015046074A (ja) 保護カバー
US20160338494A1 (en) Seatback Utility Device and Concession Holder
WO2003029023A1 (en) Desktop organizer
US9560912B1 (en) Box stand
KR20190002969U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EP2657807A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61225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200485571Y1 (ko) 사물 거치홈이 형성된 협탁
KR200304887Y1 (ko)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보관대
KR200319633Y1 (ko) 다용도 달력
KR101838874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WO2019039737A2 (ko) 다용도 키트 케이스 겸용 전자기기 거치대
EP2657587A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12401829U (zh) 一种终端包装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