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258A -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 Google Patents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258A
KR20150094258A KR1020140015318A KR20140015318A KR20150094258A KR 20150094258 A KR20150094258 A KR 20150094258A KR 1020140015318 A KR1020140015318 A KR 1020140015318A KR 20140015318 A KR20140015318 A KR 20140015318A KR 20150094258 A KR20150094258 A KR 20150094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coupling
portable article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김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태 filed Critical 김형태
Priority to KR1020140015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4258A/ko
Publication of KR20150094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받침대는 몸체부(10)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0)의 일측 전면을 전면판(12)이 형성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12)에는 윈도우(14)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12)의 후방에는 배면판(22)이 위치되어 상기 윈도우(14)와 대응되는 공간에 수납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윈도우(14)는 휴대 물품을 세로로 세웠을 때 전면이 노출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이다. 상기 전면판(12)의 반대방향으로 제1받침판(32)와 제2받침판(34)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받침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받침판(32)과 제2받침판(34)이 연결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절구통 모양을 하고 있어 가로나 세로 방향에 상관없이 받침대가 지면과 경사지게 놓여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휴대 물품을 세로나 가로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수납부(20)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휴대 물품의 전면에 있는 화면이 가려지지 않으므로 다양하게 휴대 물품을 받침대에 보관하고, 보관된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Folding type supporter for portable instrument}
본 발명은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부의 구성요소들을 접어 만들어 휴대물품을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사람들이 휴대하여 사용하는 제품들이 많아 졌다. 즉, 사용자가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하는 휴대 물품들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다. 예를 들면, 대표적으로 휴대폰이 있고, 개인용 단말기, 지갑, 수첩, 리모콘 등 다양한 휴대 물품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핸드폰, 특히 스마트폰을 접이식 받침대에 안착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휴대 물품은 사용자가 몸이나 가방 등에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휴대 물품은 사무실이나 집에서는 사용자가 몸에 휴대하지 않고 책상 등에 놓아두게 되는데, 그 위치가 일정하지 않게 되면 사용 시마다 휴대 물품을 찾아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고, 특히, 나이가 많아 기억력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휴대 물품의 위치를 자주 잊어버리게 된다.
이와 같은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휴대 물품을 놓아 둘 수 있는 접이식 받침대인 핸드폰 홀더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접는 것이 가능하게 만들어진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접이식으로 핸드폰 홀더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핸드폰 홀더는 내부의 공간으로 핸드폰 등 휴대 물품의 절반정도가 들어가서 외부에서 휴대 물품의 전체가 보이지 않고 일부만이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의 핸드폰은 음악을 듣거나 특히 동영상을 보는 용도로도 많이 사용하므로, 핸드폰 홀더에 핸드폰을 놓은 상태에서 핸드폰의 일부가 가려지면 동영상을 볼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최근의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놓는 방향을 달리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화면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등 원하는 방향으로 놓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핸드폰 홀더에서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핸드폰을 놓고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한 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핸드폰 홀더는 하나의 크기에 맞춰져 있어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핸드폰 커버를 사용하고 있어 수납이 어려울 뿐 아니라 사용시마다 일일이 커버를 벗겨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홀더 사용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806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 물품의 전면 전체를 볼 수 있도록 안착시킬 수 있는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물품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사용자가 선택하여 안착시킬 수 있는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되는 휴대 물품의 크기에 맞게 수납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착제나 찍찍이,자석 등 별도의 결합도구 없이 결합할 수 있는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크기지만 다양한 수납공간을 갖는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이식 받침대를 하나의 시트로 접어서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이식 받침대에 일체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구조를 채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이식 받침대에 전시유닛을 더 두어 다양한 전시물을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면판과 배면판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을 접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배면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면판에 형성된 윈도우에 대응되는 상기 전면판과 배면판 사이의 공간인 수납부와, 상기 몸체부와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와 서로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세워진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2연결판과, 상기 전면판의 후방에 위치하며 휴대물품의 배면이 지지되는 배면판과, 상기 배면판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2결합판과, 상기 배면판의 우측 단부에 형성되는 우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접어져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제1받침판 및 제2받침판과 상기 제1받침판과 제2받침판의 단부 중앙에는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받침판과 고정돌기 그리고 제2받침판과 고정돌기 사이에는 각각 결합홈이 형성된 연장판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과 직각되게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돌기고정판이 별도로 더 구비된다.
상기 제1받침판과 제2받침판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연장되어 밀착부가 구비된다.
상기 배면판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돌기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배면판에는 폭조절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의 상하 폭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2연결판과, 상기 전면판의 우측 단부에 연결되는 우측판과, 상기 우측판와 상기 제1연결판 및 제2연결판에 각각 연장되어 연결되는 지지연결판과, 상기 지지연결판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되는 수납지지대와, 상기 수납지지대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되는 접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판과, 상기 배면판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결합판과, 상기 배면판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2결합판과, 상기 배면판의 우측 단부에 연결되는 우측판과, 상기 우측판과 상기 제1결합판 및 상기 제2결합판에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지지연결판과, 상기 지지연결판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되는 수납지지대와, 상기 수납지지대에 각각 연결되어 구비되는 접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배면을 형성하는 상기 배면판과, 상기 배면판의 하단에 연결되는 상기 제1결합판과, 상기 배면판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기 제2결합판과, 상기 배면판의 우측 단부에 연결되는 우측판과, 상기 우측판과 상기 제1결합판 및 상기 제2결합판에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지지연결판과, 상기 지지연결판에 각각 연결되어 구비되는 수납지지대와, 상기 수납지지대에 각각 연결되어 구비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배면판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하게 결합되는 결합슬릿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판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을 접어 형성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배면판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을 접어 형성되는 제2몸체부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결합하여 상기 몸체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1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2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전면판의 후방에 위치하며 휴대물품의 배면이 안착되는 배면판과, 상기 배면판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1결합판과, 상기 배면판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2결합판과, 상기 배면판의 우측 단부에 연결되는 상기 우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결합판과 상기 제2결합판에 각각 연장되어 지지연결판과 수납지지대와 접착판이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판과 상기 제2결합판 그리고 상기 우측판에 각각 연장되어 지지연결판과 수납지지대와 결합돌기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배면판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게 삽입되는 결합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의 단부 중앙에는 각각 몸체부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판과 상기 제2결합판에는 상기 몸체부결합돌기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몸체부결합슬릿이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접어져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제1받침판 및 제2받침판과 상기 제1받침판과 제2받침판의 단부 중앙에는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돌기슬릿이 상기 몸체부의 구성요소들 중 어느 측에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수납부에 안착되는 휴대물품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윈도우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의 전면 또는 배면에 장식윈도우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전면장식판이 구비된다.
상기 배면판의 양단에는 상기 배면판의 일부를 제거한 분리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받침판과 제2받침판이 연결부로 갈수록 잘록한 절구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받침대가 가로나 세로방향에 상관없이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안착된다.
상기 제1받침판의 상단에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받침판의 상단 양측에 걸이홀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내부에 전시물이 안착되고 상기 전시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전시윈도우가 형성되는 전시유닛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수납부에 휴대물품을 수납하면 가로 방향으로 눕히거나 세로 방향으로 세워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접이식 받침대에 휴대 물품을 원하는 방향으로 놓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납되는 휴대 물품의 크기에 맞게 수납부의 상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체적으로 돌기와 슬롯의 끼움 방식으로 결합이 가능하여 접착이나 별도의 결합 수단 없이 결합할 수 잇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몸체부는 한 장의 시트를 접어서 만들 수 있어 제조자는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자는 휴대하기가 편함과 동시에 조립과 해체가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받침대에 구비되어 있는 손잡이홈을 이용하여 이동이나 스마트폰이 수납된 채로 통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휴대 물품을 받침대에 놓지 않을 경우에는 다양한 전시유닛을 두어 받침대에 다양한 전시물품을 전시할 수 있어 받침대의 효용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면에 위치한 스피커의 음을 배면판에 반사되어 전면에서 듣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음량을 크게 들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윈도우를 통해 휴대물품의 전면 화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들이 볼 때는 마치 디지털액자나 소형 텔레비젼을 보는 듯한 몰입감을 줄 뿐 아니라 장식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을 보인 좌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구성을 보인 전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수납부에 휴대 물품이 수납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받침대를 끼우기 전 접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좌로 90도 회전하여 세운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수납부의 폭을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좌측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몸체부를 매달 수 있도록 하는 걸이공이 있는 변형례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 전시유닛을 사용하여 전시물을 전시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받침부의 변형례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변형례를 보인 좌측면도.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변형례를 보인 좌측면도.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변형례를 보인 좌측면도.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변형례를 보인 좌측면도.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변형례를 보인 좌측면도.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변형례를 보인 좌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례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례의 받침대는 몸체부(10)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나 합성수지 등 접을 수 있는 재질의 시트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특히, 상기 몸체부(10)는 종이나 합성수지 등의 시트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고 접이선들을 따라 접어 결합함에 의해 만들어 진다. 물론, 상기 몸체부(10)의 일부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서는 접착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몸체부의 구성요소들이 차례로 연결되어 하나의 시트를 접어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몸체부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분리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10)에는 전면판(12)이 있다. 상기 전면판(12)은 본 실시례에서는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고 접이식 받침대의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12)은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12)에는 윈도우(1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윈도우(14)도 4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전면판(12)과 윈도우(14)는 반드시 4각형상으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 원형, 타원형, 사물의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윈도우(14)는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된다. 이는 전면이 직사각형상인 휴대 물품의 전면을 가로방향으로 눕힌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상태로 수납되어 상기 윈도우(14)를 통해서만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휴대 물품의 전면 중 가장자리 일부만이 상기 윈도우(14)의 가장자리에 의해 가려진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윈도우(14)의 면적은 휴대 물품의 전면의 면적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상기 윈도우(14)의 가장자리가 휴대 물품의 전면의 가장자리를 가리도록 된다.
상기 전면판(1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면장식판(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장식판(12')은 상기 전면판(12)의 전면 또는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전면장식판(12')에는 장식윈도우(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식윈도우(14')의 크기는 상기 전면장식판(12')이 상기 전면판(12)의 전면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윈도우(14)와 같거나 크게 형성되고, 배면에 위치할 경우에는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전면장식판(12')은 상기 전면판(12)을 다양한 형상으로 장식할 뿐 아니라 아래에서 설명될 수납부(20)에 안착되는 휴대물품의 크기에 맞춰 상기 장식윈도우(14')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2)과 마주보게 상기 전면판(12)의 후방에는 배면판(22)이 있다. 상기 배면판(22)은 휴대 물품의 배면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배면판(22)과 전면판(12)의 사이의 틈새는 상기 휴대 물품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배면판(22)은 상기 전면판(12)과 모양이나 크기가 반드시 같지 않아도 된다.
상기 배면판(22)은 상기 전면판(12)의 윈도우(1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그러므로 상기 배면판(22)에는 소정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면 받침대를 제공하는 자의 광고나 생활정보 등 다양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2)과 배면판(22)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제1연결판(16)이 있다. 상기 제1연결판(16)은 본 실시례에서는 몸체부(10)의 바닥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연결판(16)의 폭은 상기 전면판(12)과 배면판(22)의 사이에 형성되는 아래에서 설명될 수납부(20)의 전후 폭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배면판(22)의 타 단부에는 제2결합판(18')이 구비된다. 상기 제2결합판(18')의 전면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연결판(18)의 배면과 맞닿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연결판(18)과 상기 제2결합판(18')을 결합하는 방법은 접착에 의하여 고정하거나 마그네틱이나 찍찍이 등으로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등 다양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면판(12)과 상기 배면판(22)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전면판(12)과 상기 배면판(22)이 분리되어 구비되고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렇게 분리하면 동일한 크기의 몸체부(10)라도 수납공간의 크기를 다르게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배면판(22)의 우측 단부에는 우측판(26)이 있다. 상기 우측판(26)은 상기 수납부(20)의 우측면과 바닥면의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의한 받침대가 가로나 세로 방향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우측판(26)은 상기 수납부(20)에 안착된 휴대물품이 우측 단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할 뿐 아니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를 90도 회전하여 세로방향으로 세웠을 경우 상기 우측판(26)은 상기 수납부(20)의 바닥부를 형성하게 되고 휴대물품이 밑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전면판(12)과 배면판(22)의 사이에서 상기 윈도우(14)에 해당하는 부분이 수납부(20)가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수납부(20)에는 휴대 물품이 가로방향으로 눕힌 상태로 수납되어 상기 윈도우(14)를 통해서만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휴대 물품의 전면 중 가장자리 일부만이 상기 윈도우(14)의 가장자리에 의해 가려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는 좌측 단부 쪽에서 상기 수납부(20)로의 휴대 물품 삽입이 가능하다. 그러나 우측 단부 쪽에서 삽입하거나 양측 단부 모두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배면판(22)에는 휴대 물품을 상기 수납부(20)로 삽입하거나 수납부(20)에 삽입되어 있는 휴대 물품을 빼내는 것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분리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홈(23)은 상기 배면판(22)의 양측 단부의 중간 높이 부분을 반원형으로 잘라내어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0)와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10)와 서로 결합하여 상기 전면판(12)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받침부(30)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30)는 상기 몸체부(1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바닥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받침부(30)가 이루는 각도에 의해 상기 전면판(12)이 바닥에 대해 경사지게 놓여지게 되고 받침대를 가로나 세로 방향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상기 받침부(30)는 제1받침판(32)과 제2받침판(34) 및 상기 제 제1받침판(32)과 제2받침판(34)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36)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받침판(32)과 연결되도록 제2받침판(34)이 있다. 상기 제1받침판(32)과 상기 제2받침판(34)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접어지고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받침판(34)는 몸체부(10)의 바닥을 형성하여 지면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받침판(32)와 제2받침판(34)가 삼각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판(12)이 세워지는 각도는 상기 제1받침판(32)과 제2받침판(34)가 형성하는 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제1받침판(32)와 상기 제2받침판(34)의 단부 중앙에는 각각 상기 배면판(22)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돌기(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36)는 상기 배면판(22)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돌기슬릿(24)과 대응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1받침판(32)과 상기 제2받침판(34)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받침대를 견고하게 지지해 줄 뿐 아니라 수납부(20)내에 안착되는 휴대물품의 가장자리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기슬릿(24)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받침판(32)과 제2받침판(34)의 경사 각도는 동일하게 할 수도 있고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부(30)의 최종적인 결합은 상기 제1받침판(32)와 상기 제2받침판(34)에 형성된 고정돌기(36)가 상기 배면판(22)의 돌기슬릿(24)에 결합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받침판(32)과 상기 제2받침판(34)이 이루는 각도에 의해 상기 전면판(12)이 바닥에 대해 경사지게 놓여지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36)에 연장되어 밀착부(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36')는 상기 고정돌기(36)에 대해 직각 또는 대각으로 접어져 상기 제1연결판(16)과 상기 제2결합판(18')의 배면에 밀착되어 상기 고정돌기(36)를 상기 수납부(20) 내에서 직각되게 받쳐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받침판(32)의 상단 중앙부에는 관통공(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38)은 손가락을 끼울 수 있어 받침대를 세우거나 눕힐 때 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해줄 뿐 아니라 스마트폰이 수납된 경우 수납된 상태로 통화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38)을 통해 다양한 휴대물품들이 수납될 수 있어 장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관통공(38)은 반원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받침판(32)과 상기 제2받침판(34)은 중간 연결부로 갈수록 잘록한 절구통 형상을 하고 있다. 이는 받침대가 세로 방향으로 세웠을 때도 기울기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전면판(12)이 바닥에 대해 경사지게 놓여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례의 상기 수납부(20)에 휴대물품이 삽입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수납부(20)로 상기 전면판(12)과 배면판(22)의 좌측 단부 쪽에서 휴대 물품이 삽입되고 상기 윈도우(14)의 가장자리가 휴대 물품의 전면의 가장자리를 가리도록 된다.
도 6에는 상기 고정돌기(36)와 상기 돌기슬릿(24)이 결합되기 전 접힌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받침판(32)과 제2받침판(34)을 상기 배면판(2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부피를 줄임으로써 휴대하기 편리하고 보관이나 운반이 용이해 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받침판(32)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관통공(38)을 사용하여 휴대물품이 수납된 상태에서 우로 90도 회전시켜 받침대를 세로 방향으로 세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좌·우로 90도 회전에 의해 상기 수납부(20)의 휴대물품을 가로 방향이나 세로 방향으로 놓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상기 수납부(20)의 상하 폭을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배면판(22)에는 상기 고정돌기(36)가 대응하게 삽입되는 폭조절슬릿(24')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폭조절슬롯(24')은 상기 고정돌기(36)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어느 폭조절슬롯(24')에 상기 고정돌기(36)가 삽입되느냐에 따라 상기 수납부(20)의 상하 폭이 달라지게 된다.
상기 받침부(30)가 상기 몸체부(10)와 분리되고 상기 제1받침판(32)와 상기 제2받침판(32)에 각각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36)가 선택적으로 상기 폭조절슬롯(24')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납부(20)에 안착되는 휴대물품의 크기에 맞게 상기 수납부의 상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9에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변형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1받침판(32)의 상단 양측에 걸이홀(39)을 천공하였다. 상기 걸이홀(39)은 끈을 통과시켜 벽에 받침대를 걸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걸이홀(39)에 직접 벽에 설치된 걸이구조가 삽입되어 받침대가 걸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10에서는 상기 수납부(20)에 전시유닛(42)을 안착시켜 전시물(44)을 상기 윈도우(14)를 통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시유닛(42)은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휴대 물품의 형상과 같은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전시유닛(42)의 내부공간에는 전시물(44)이 위치되고, 상기 전시유닛(42)의 일측 외면에는 전시윈도우(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시윈도우(42')를 통해서 상기 전시물(44)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전시윈도우(42')의 크기는 상기 윈도우(14)의 크기와 반드시 같지 않아도 되며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전시유닛(42)은 상기 수납부(20)에 휴대 물품 대신에 휴대 물품을 수납하는 것과 같이 수납하여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수납부(20)에는 전시유닛(42)을 안착시켜 사용하거나 휴대 물품을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시유닛(42)과 휴대 물품을 선택적으로 상기 수납부(20)에 수납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3에서는 고정돌기(36)에 연장되어 밀착부(36')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36)를 상기 수납부(20) 내에서 직각되게 형성되도록 하였으나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밀착부(36')를 형성하지 않고 별도의 돌기고정판(46)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돌기(36)를 상기 수납부(20) 내에서 직각되게 받쳐 주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받침판(32)과 상기 고정돌기(36) 그리고 상기 제2받침판(34)과 고정돌기(36) 사이에 연장판(39)이 구비된다. 상기 돌기고정판(46)은 사각형의 판으로 상기 배면판(22)보다 작게 형성 되고 상하 양 단부에 인접하여 폭 방향으로 삽입홈(48)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48)은 단부에서 중앙까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판(39)에도 폭 방향으로 상기 돌기고정판(46)에 형성된 삽입홈(48)과 수직으로 대응하게 결합되도록 결합홈(48')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고정판(46)의 삽입홈(48)이 상기 연장판(39)의 결합홈(48')과 결합하면 상기 고정돌기(36)는 상기 수납부(20)내에서 직각되게 고정된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와 대응되는 구성에 1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례는 실질적으로 도 1에서 볼 수 있는 실시례와 유사한 것으로,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10”)가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부(110')와 상기 제2몸체부(110”)를 결합할 때 접착에 의하지 않는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배면판(122)의 제1결합판(116')과 제2결합판(118') 및 우측판(126)에 각각 연장되어 지지연결판(127)과 수납지지대(129) 그리고 결합돌기(125)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25)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결합슬릿(124')이 상기 배면판(122)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110')의 제1연결판(116)과 제2연결판(118)의 단부 중앙에 몸체부결합돌기(125”)을 두고, 제2몸체부(110”)의 제1결합판(116')와 제2결합판(118')에는 상기 몸체부결합돌기(125”)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몸체부결합슬릿(124”)을 두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결합슬릿(124”)에 상기 몸체부결합돌기(125”)가 삽입됨에 의해 상기 몸체부(11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136)를 상기 배면판(122)과 상기 몸체부결합돌기(125”)에 형성된 돌기슬릿(124)에 삽입하면 접착제나 자석, 찍찍이 등 별도의 결합도구 없이 받침대를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3과 도 14에는 도 12에서 볼 수 있는 실시례와 유사한 것으로, 단지 상기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10”)를 접착에 의해 결합하는 점이 다를 뿐이다.
도 13에는 상기 배면판(222)의 제1결합판(216')과 제2결합판(218') 및 우측판(226)에 각각 연장되어 지지연결판(227)과 수납지지대(229) 그리고 접착판(225')이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우측판(226)에는 상기 지지연결판(227)과 수납지지대(229) 및 접착판(225')이 구비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상기 제1연결판(216)과 상기 제1결합판(216') 그리고 상기 제2연결판(218)과 제2결합판(218')이 접착되어 상기 몸체부(210)를 형성하게 된다.
도 14에는 도 13과 비교하여 단지 결합을 위한 구조가 다르게 된다.도 14에는 상기 배면판(222)의 제1결합판(216')과 제2결합판(218') 및 우측 판(226)에 각각 연장되어 지지연결판(227)과 수납지지대(229) 그리고 결합돌기(225)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225)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결합슬릿(224')이 상기 배면판(222)에 구비된다.
도 15에서 도 17에는 몸체부의 변형례를 보인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는 상기 제2몸체부(310”)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전면판(312)의 제1연결판(316)과 제2연결판(318) 및 우측판(326)에 각각 연장되어 지지연결판(327)과 수납지지대(329) 그리고 접착판(325')이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우측판(326)에는 상기 지지연결판(327)과 수납지지대(329) 및 접착판(325')이 구비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상기 고정돌기(336)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돌기슬릿(324)은 상기 전면판(312)의 지지연결판(327)에 형성된다. 한편 3면의 지지연결판(327)에는 상기 수납지지대(329)의 일부 면이 절단되어 돌출된 배면이탈방지턱(327')이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320)에 안착된 휴대물품이 받침대의 배면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해준다.
도 16에는 상기 제1몸체부(410')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배면판(422)의 제1결합판(416')과 제2결합판(418') 및 우측판(426)에 각각 연장되어 지지연결판(427)과 수납지지대(429) 그리고 접착판(425')이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우측판(426)에는 상기 지지연결판(427)과 수납지지대(429) 및 접착판(425')가 구비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도 17에는 도 16에서 볼 수 있는 실시례와 유사한 것으로, 단지 접착판(425') 대신에 결합돌기(425)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425)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결합슬롯(424')이 상기 배면판(422)에 형성되는 점이 다를 뿐이다. 상기 수납지지대(429)를 형성함에 있어 접착에 의하지 않고 돌기와 슬롯의 끼움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실시례들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에 몸체부(10)를 접어서 받침대를 만드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전면판(12)에 대해 제1연결판(16)과 배면판(22) 및 제2결합판(18')을 직각되게 접어서 상기 전면판(12)의 후방에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연결판(18)과 상기 제2결합판(18')이 맞닿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연결판(18)의 배면과 상기 제2결합판(18')의 전면을 접착하면 몸체부(10)의 조립이 완성된다.
받침대는 공장에서 위의 설명과 같이 접착되고 납작하게 접어진 상태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들은 상기 제1받침판(32)과 제2받침판(34)이 삼각형상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2받침판(34)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36)를 상기 배면판(22)에 형성된 돌기슬릿(24)에 결합하면 받침대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받침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물품을 상기 수납부(20)에 안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수납부(20)에 상기 휴대 물품이 삽입되는 것은 상기 전면판(12)과 상기 배면판(22)의 좌측 단부를 통해 삽입된다.
상기 수납부(20)에 휴대 물품,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 안착되면 전면이 상기 윈도우(1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수납부(20)에 휴대 물품이 안착되는 경우는, 세로방향으로 놓여져서 상기 제1연결판(16)에 휴대 물품의 하단이 안착되고 배면판(22)에 의해 휴대 물품의 배면이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납부(20)에 휴대 물품이 수납되면, 상기 휴대 물품의 가장자리는 상기 윈도우(14)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또한 배면에 위치한 스피커의 음은 배면판(22)에 반사되어 전면으로 향하게 되므로 음량을 크게 들을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물품의 전면 중에서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윈도우(1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들이 볼 때는 마치 디지털액자나 소형 텔레비젼을 보는 듯한 느낌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20)에 안착된 휴대 물품은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수납부(20)에서 빼낼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면판(22)에 분리홈(23)이 형성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쉽게 상기 수납부(20)에서 휴대 물품을 분리하거나 삽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가로방향으로 놓인 받침대를 상기 배면판(22) 상단 양측에 형성된 관통공(38)을 이용하여 90도 회전하여 세로 방향으로 놓이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최근의 스마트폰의 경우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놓는 방향을 달리하여 화면을 사용하는데 있어 매우 편리하다. 상기 관통공(38)을 통해 다양한 물품들을 수납할 수 있어 받침대를 장식하거나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수납부의 폭을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배면판(22)에는 상기 고정돌기(36)가 대응하게 삽입되는 폭조절슬릿(24')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어느 폭조절슬롯(24')에 상기 고정돌기(36)가 삽입되느냐에 따라 상기 수납부(20)의 상하 폭이 달라지게 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수납부(20)에 안착되는 휴대물품의 크기에 맞게 상기 수납부의 상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받침판(32)에 걸이홀(39)을 형성한 경우에는 받침대를 벽에 걸 수 있게 되어, 받침대를 보다 다양한 위치에 두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 경우에는 책상 등에 받침대를 놓지 않고 공중에 매달아 둘 수 있어 공간활용에 용이하다.
다음으로,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시유닛(42)을 사용하게 되면 휴대 물품을 상기 수납부(20)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다양한 전시물(44)을 전시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받침대를 사용하여 장식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도 1의 실시례와 유사한 것으로 차이점만 간단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몸체부(10)를 조립하는 방법과 상기 몸체부(10)에 받침부(30)를 조립하는 과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별도로 구비된 돌기고정판(46)에 형성된 삽입홈(48)을 상기 연장판(39)에 형성된 결합홈(48')에 직각되게 결합하면 상기 고정돌기(36)는 상기 수납부(20)내에서 직각되게 고정된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에는 먼저 제2몸체부(110”)의 제1결합판(116')을 상기 배면판(122)의 전면으로 직각되게 접고 다시 지지연결판(127)과 수납지지대(129)를 차례로 직각되게 접어 단면이 사각형상이 되도록 하고 결합돌기(125)를 배면판(122)에 형성된 결합슬릿(124')에 압입한다. 다음으로 제2결합판(118')을 상기 배면판(122)의 전면 쪽으로 직각되게 접고 다시 지지연결판(127)과 수납지지대(129)를 차례로 직각으로 접어 단면이 사각형상이 되도록 하고 결합돌기(125)를 배면판(122)에 형성된 결합슬릿(124')에 압입한다. 그리고 상기 우측판(126)을 상기 배면판(122)의 전면으로 직각되게 접고 다시 지지연결판(127)과 수납지지대(129)를 차례로 직각되게 접어 단면이 사각형상이 되도록 하고 결합돌기(125)를 배면판(122)에 형성된 결합슬릿(124')에 압입하면 배면판(122)의 조립이 완성된다.
다음으로 위에 조립된 배면판(122)을 상기 전면판(112)의 후방에 있도록 하고, 제1연결판(116)에 형성된 몸체부결합돌기(125”)를 제1결합판(116')에 형성된 몸체부결합슬릿(124”)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제2연결판(118)에 형성된 몸체부결합돌기(125”)를 제2결합판(118')에 형성된 몸체부결합슬릿(124”)에 삽입하면 몸체부(110)의 조립은 완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136)를 상기 배면판(122)과 상기 몸체부결합돌기(125”)에 형성된 돌기슬릿(124)에 삽입하면 접착제나 자석, 찍찍이 등 별도의 결합도구 없이 받침대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에는 먼저 제1결합판(216')을 배면판(222)의 전면으로 직각되게 접고 다시 지지연결판(227)과 수납지지대(229) 그리고 접착판(225')을 차례로 직각되게 접어 단면이 사각형상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접착판(225')의 배면이 상기 배면판(222)의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2결합판(218')을 상기 배면판(222)의 전면을 향해 직각되게 접고 다시 상기 지지연결판(227)과 수납지지대(229) 그리고 접착판(225')을 차례로 직각되게 접어 단면이 사각형상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접착판(225')의 배면을 상기 배면판(222)의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한다. 그리고 우측판(226)을 직각으로 세워 사각형으로 접어진 단면과 우측판(226)의 상·하부를 서로 접착하면 배면판(222)의 조립이 완성된다.
다음으로 위에 조립된 배면판(222)을 상기 전면판(212)의 후방에 있도록 하고 전면판(212)의 후방으로 제1연결판(216)과 제2연결판(218)을 직각되게 접어 상기 제1연결판(216)과 제1결합판(216') 그리고 상기 제2연결판(218)과 상기 제2결합판(218')이 맞닿도록 하여 서로 접착하면 몸체부(210)의 조립은 완성된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에는 먼저 제1결합판(216')을 상기 배면판(222)의 전면 쪽으로 직각되게 접고 다시 지지연결판(227)과 수납지지대(229)를 차례로 직각되게 접어 단면이 사각형상이 되도록 하고 결합돌기(225)를 배면판(222)에 형성된 결합슬릿(224')에 압입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결합판(218')을 상기 배면판(222)의 전면 쪽으로 직각되게 접고 다시 지지연결판(227)과 수납지지대(229)를 차례로 직각으로 접어 단면이 사각형상이 되도록 하고 결합돌기(225)를 배면판(222)에 형성된 결합슬릿(224')에 압입한다. 그리고 상기 우측판(226)을 직각으로 세워 사각형으로 접어진 단면과 상기 우측판(226)의 상·하부를 서로 접착하면 배면판(222)의 조립이 완성된다.
다음으로 위에 조립된 배면판(222)을 상기 전면판(212)의 후방에 있도록 하고, 전면판(212)의 후방으로 제1연결판(216)과 제2연결판(218)을 직각되게 접어 상기 제1연결판(216)과 제1결합판(216') 그리고 상기 제2연결판(218)과 상기 제2결합판(218')이 맞닿도록 하여 서로 접착하면 몸체부(210)의 조립은 완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에는 먼저 제1몸체부(310')의 제1연결판(316)을 상기 전면판(312)의 배면으로 직각되게 접고 다시 지지연결판(327)과 수납지지대(329) 그리고 접착판(325')을 차례로 직각으로 접어 단면이 사각형상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접착판(325')의 전면이 상기 전면판(312)의 배면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2연결판(318)을 상기 전면판(312)의 배면 쪽으로 직각으로 접고 다시 지지연결판(327)과 수납지지대(329) 그리고 접착판(325')을 차례로 직각으로 접어 단면이 사각형상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접착판(325')의 전면을 상기 전면판(312)의 배면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한다. 그리고 우측판(326)을 직각으로 세워 사각형으로 접어진 단면과 우측판(326)의 상·하부를 서로 접착하면 몸체부(310)의 조립이 완성된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에는 먼저 제2몸체부(410”)의 제1결합판(416')을 상기 배면판(422)의 전면으로 직각되게 접고 다시 지지연결판(427)과 수납지지대(429) 그리고 접착판(425')을 차례로 직각되게 접어 단면이 사각형상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접착판(425')의 배면이 상기 배면판(422)의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2결합판(418')을 상기 배면판(422)의 전면을 향해 직각되게 접고 다시 지지연결판(427)과 수납지지대(429) 그리고 접착판(425')을 차례로 직각되게 접어 단면이 사각형상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제2결합판(418') 쪽에 형성된 접착판(425')의 배면을 상기 배면판(422)의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한다. 그리고 우측판(426)을 직각으로 세워 사각형으로 접어진 단면과 우측판(426)의 상·하부를 서로 접착하고 상기 지지연결판(427)의 전면에 전면장식판(412')을 부착하면 몸체부(410)의 조립이 완성된다.
도 17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에는 먼저 제2몸체부(410”)의 제1결합판(416')을 상기 배면판(422)의 전면 쪽으로 직각되게 접고 다시 지지연결판(427)과 수납지지대(429)를 차례로 직각되게 접어 단면이 사각형상이 되도록 하고 결합돌기(425)를 배면판(422)에 형성된 결합슬릿(424')에 압입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결합판(418')을 상기 배면판(422)의 전면 쪽으로 직각되게 접고 다시 지지연결판(427)과 수납지지대(429)를 차례로 직각으로 접어 단면이 사각형상이 되도록 하고 결합돌기(425)를 배면판(422)에 형성된 결합슬릿(424')에 압입한다. 그리고 상기 우측판(426)을 직각으로 세워 사각형으로 접어진 단면과 상기 우측판(426)의 상·하부를 서로 접착하고 상기 지지연결판(427)의 전면에 전면장식판(412')을 부착하면 몸체부(410)의 조립이 완성된다.
도 13과 도 14 그리고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받침대는 공장에서 위의 설명과 같이 접착되고 납작하게 접어진 상태인 몸체부(210,410)와 별도로 분리된 받침부(230,430)가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들은 제1받침판(232,432)과 제2받침판(234,434)이 삼각형상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2받침판(234,434)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236,436)를 상기 배면판(222,422)에 형성된 돌기슬릿(224,424)에 결합하면 받침대가 완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받침대는 공장에서 위의 설명과 같이 접착되고 납작하게 접어진 상태인 몸체부(310)와 별도로 분리된 받침부(330)가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들은 제1받침판(332)과 제2받침판(334)이 삼각형상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2받침판(334)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336)를 상기 배면판(322)에 형성된 돌기슬릿(324)에 결합하면 받침대가 완성된다.
이하 사용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 12에서 도 17의 실시례에서도 도 1의 실시례처럼 몸체부(110,210,310,410)의 일부 면이 서로 접착에 의해 고정되거나 자석이나 찍찍이 등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수납지지대(129,229,329,429)를 형성하기 위한 결합방식에는 접착판(125',225',325',425')에 의하거나 고정돌기(125,225,325,425)에 의한 끼움 방식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례들에서는 제1받침판(32,132,232,332,432)의 상단 양측에 걸이홀(39,139,239,339,439)을 천공하고 끈을 통과시켜 벽이나 차량 전면에 받침대를 걸 수 있다. 물론, 상기 걸이홀(39,139,239,339,439))에 직접 벽이나 차량 전면에 설치된 걸이구조가 삽입되어 받침대가 걸어질 수도 있고 상기 걸이홀(39,139,239,339,439))에 끈을 통과시키지 않고 상기 제2연결판(18,118,218,318,418)과 상기 제1받침판(32,132,232,332,432)의 중간에 끈을 걸어 벽이나 차량 전면에 걸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실시례들을 보여주고 있는데, 비록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고 설명이 없을지라도 특정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실시례로 만들 수도 있다.
10: 몸체부 12: 전면판
12': 전면장식판 14: 윈도우
14': 장식윈도우 16: 제1연결판
16': 결합판 18: 제2연결판
18': 제2결합판 20: 수납부
22: 배면판 23: 분리홈
24: 돌기슬릿 24': 결합슬릿
24”: 폭조절슬릿 25: 결합돌기
25': 접착판 26: 우측판
27: 지지연결판 29: 수납지지대
30: 받침부 32: 제1받침판
34: 제2받침판 36: 고정돌기
36': 밀착부 37: 연장판
38: 관통공 39: 걸이홀
42: 전시유닛 42': 전시윈도우
44: 전시물 46: 돌기고정판
48: 삽입홈 48': 결합홈
110: 몸체부 112: 전면판
112': 전면장식판 114: 윈도우
114': 장식윈도우 116: 제1연결판
116': 결합판 118: 제2연결판
118': 제2결합판 120: 수납부
122: 배면판 123: 분리홈
124: 돌기슬릿 124': 결합슬릿
125: 결합돌기 125': 접착판
126: 우측판 127: 지지연결판
129: 수납지지대 130: 받침부
132: 제1받침판 134: 제2받침판
136: 고정돌기 138: 관통공
139: 걸이홀 142: 전시유닛
142': 전시윈도우 144:전시물
210: 몸체부 212: 전면판
212': 전면장식판 214: 윈도우
214': 장식윈도우 216: 제1연결판
216': 결합판 218: 제2연결판
218': 제2결합판 220: 수납부
222: 배면판 223: 분리홈
224: 돌기슬릿 224': 결합슬릿
225: 결합돌기 225': 접착판
226: 우측판 227: 지지연결판
229: 수납지지대 230: 받침부
232: 제1받침판 234: 제2받침판
236: 고정돌기 238: 관통공
239: 걸이홀 242: 전시유닛
242': 전시윈도우 244:전시물
310: 몸체부 312: 전면판
312': 전면장식판 314: 윈도우
314': 장식윈도우 316: 제1연결판
316': 결합판 318: 제2연결판
318': 제2결합판 320: 수납부
322: 배면판 323: 분리홈
324: 돌기슬릿 324': 결합슬릿
325: 결합돌기 325': 접착판
326: 우측판 327: 지지연결판
329: 수납지지대 330: 받침부
332: 제1받침판 334: 제2받침판
336: 고정돌기 338: 관통공
339: 걸이홀 342: 전시유닛
342': 전시윈도우 344:전시물
410: 몸체부 412: 전면판
412': 전면장식판 414: 윈도우
414': 장식윈도우 416: 제1연결판
416': 결합판 418: 제2연결판
418': 제2결합판 420: 수납부
422: 배면판 423: 분리홈
424: 돌기슬릿 424': 결합슬릿
425: 결합돌기 425': 접착판
426: 우측판 427: 지지연결판
429: 수납지지대 430: 받침부
432: 제1받침판 434: 제2받침판
436: 고정돌기 438: 관통공
439: 걸이홀 442: 전시유닛
442': 전시윈도우 444:전시물

Claims (23)

  1. 전면판과 배면판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을 접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배면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면판에 형성된 윈도우에 대응되는 상기 전면판과 배면판 사이의 공간인 수납부와,
    상기 몸체부와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와 서로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세워진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2연결판과
    상기 전면판의 후방에 위치하며 휴대물품의 배면이 지지되는 배면판과,
    상기 배면판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2결합판과,
    상기 배면판의 우측 단부에 형성되는 우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접어져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제1받침판 및 제2받침판과 상기 제1받침판과 제2받침판의 단부 중앙에는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판과 고정돌기 그리고 제2받침판과 고정돌기 사이에는 각각 결합홈이 형성된 연장판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과 직각되게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돌기고정판이 별도로 더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판과 제2받침판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연장되어 밀착부가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돌기슬릿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에는 폭조절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의 상하 폭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2연결판과
    상기 전면판의 우측 단부에 연결되는 우측판과,
    상기 우측판와 상기 제1연결판 및 제2연결판에 각각 연장되어 연결되는 지지연결판과,
    상기 지지연결판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되는 수납지지대와,
    상기 수납지지대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되는 접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판과,
    상기 배면판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결합판과,
    상기 배면판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2결합판과
    상기 배면판의 우측 단부에 연결되는 우측판과,
    상기 우측판과 상기 제1결합판 및 상기 제2결합판에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지지연결판과,
    상기 지지연결판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되는 수납지지대와,
    상기 수납지지대에 각각 연결되어 구비되는 접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배면을 형성하는 상기 배면판과,
    상기 배면판의 하단에 연결되는 상기 제1결합판과,
    상기 배면판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기 제2결합판과
    상기 배면판의 우측 단부에 연결되는 우측판과,
    상기 우측판과 상기 제1결합판 및 상기 제2결합판에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지지연결판과,
    상기 지지연결판에 각각 연결되어 구비되는 수납지지대와,
    상기 수납지지대에 각각 연결되어 구비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배면판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하게 결합되는 결합슬릿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을 접어 형성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배면판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을 접어 형성되는 제2몸체부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결합하여 상기 몸체부를 형성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2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전면판의 후방에 위치하며 휴대물품의 배면이 안착되는 배면판과,
    상기 배면판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1결합판과,
    상기 배면판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2결합판과,
    상기 배면판의 우측 단부에 연결되는 상기 우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판과 상기 제2결합판에 각각 연장되어 지지연결판과 수납지지대와 접착판이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판과 상기 제2결합판 그리고 상기 우측판에 각각 연장되어 지지연결판과 수납지지대와 결합돌기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배면판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게 삽입되는 결합슬릿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의 단부 중앙에는 각각 몸체부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판과 상기 제2결합판에는 상기 몸체부결합돌기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몸체부결합슬릿이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6. 제 8 항 에서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접어져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제1받침판 및 제2받침판과 상기 제1받침판과 제2받침판의 단부 중앙에는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돌기슬릿이 상기 몸체부의 구성요소들 중 어느 측에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7. 제 1 항에서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수납부에 안착되는 휴대물품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윈도우가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전면 또는 배면에 장식윈도우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전면장식판이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의 양단에는 상기 배면판의 일부를 제거한 분리홈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판과 제2받침판이 연결부로 갈수록 잘록한 절구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받침대가 가로나 세로방향에 상관없이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안착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판의 상단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판의 상단 양측에 걸이홀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내부에 전시물이 안착되고 상기 전시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전시윈도우가 형성되는 전시유닛이 더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1020140015318A 2014-02-11 2014-02-11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50094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318A KR20150094258A (ko) 2014-02-11 2014-02-11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318A KR20150094258A (ko) 2014-02-11 2014-02-11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258A true KR20150094258A (ko) 2015-08-19

Family

ID=54057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318A KR20150094258A (ko) 2014-02-11 2014-02-11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42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6090A (zh) * 2018-01-23 2018-07-20 杨瑞典 一种可折叠平板电视天线
KR200491591Y1 (ko) * 2019-10-31 2020-05-04 주식회사 두현기업 접이식 휴대폰 거치대
KR102124984B1 (ko) * 2019-01-30 2020-06-22 퍼니피쉬(주) 수납형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6090A (zh) * 2018-01-23 2018-07-20 杨瑞典 一种可折叠平板电视天线
CN108306090B (zh) * 2018-01-23 2024-01-30 杨瑞典 一种可折叠平板电视天线
KR102124984B1 (ko) * 2019-01-30 2020-06-22 퍼니피쉬(주) 수납형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장치
KR200491591Y1 (ko) * 2019-10-31 2020-05-04 주식회사 두현기업 접이식 휴대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2105B2 (en) Collapsible multi-position modular easel stand
US9408482B2 (en) Modular picture display system
US20120074271A1 (en) Electronic book, tablet computer and smart phone stand
KR20140094441A (ko) 휴대 전자기기 받침 스탠드
US20110026749A1 (en) Fram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573528B1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50059372A (ko) 보조 독서판이 구비된 독서대
KR200470742Y1 (ko) 카드식 스마트폰 거치대
KR20150094258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0479083Y1 (ko) 카드형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140142078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60071829A (ko)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20150094252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101755007B1 (ko)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KR20130001044U (ko) 탁상용 캘린더
KR20150019222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50094259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JP6201169B1 (ja) 折り畳み式スタンドミラー
KR101190666B1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
KR20150094262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CN213385778U (zh) 一种手机扩音礼品罐
US20220258040A1 (en) Puzzle case
CN209720422U (zh) 可调式置物结构体
CN211704139U (zh) 一种装饰币盒及装饰币展示装置
US10834487B1 (en) Wall art music speak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