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857B1 - 직립이 가능한 액자 - Google Patents

직립이 가능한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857B1
KR101166857B1 KR1020110011000A KR20110011000A KR101166857B1 KR 101166857 B1 KR101166857 B1 KR 101166857B1 KR 1020110011000 A KR1020110011000 A KR 1020110011000A KR 20110011000 A KR20110011000 A KR 20110011000A KR 101166857 B1 KR101166857 B1 KR 101166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cture
upright
spa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시스
Priority to KR1020110011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7Picture frames having means for fixing the picture or backing to the frame, e.g. clips, nails or the lik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진을 끼워 보관하되 기대지 않아도 직립이 가능하고, 액자프레임 내측의 사진은 입체감을 살려 보다 활동성있는 사진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직립이 가능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액자프레임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저면이 넓은 폭을 유지하고 정면은 상부로 가면서 배면에 근접되게 테이퍼진 상태로 기댄 형태를 띠고 있기에 직립이 안정적이면서도 내부 내장공간에 끼워진 사진은 보다 입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한 직립이 가능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립이 가능한 액자{frame of erect type}
본 발명은 사진을 끼워 보관하되 기대지 않아도 직립이 가능하고, 액자프레임 내측의 사진은 입체감을 살려 보다 활동성있는 사진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직립이 가능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액자프레임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저면이 넓은 폭을 유지하고 정면은 상부로 가면서 배면에 근접되게 테이퍼진 상태로 기댄 형태를 띠고 있기에 직립이 안정적이면서도 내부 내장공간에 끼워진 사진은 보다 입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한 직립이 가능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란 사진을 보관하거나 진열하여 사진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액자란 대체적으로 2가지 형태로 제작이 된다.
하나는 벽에 걸어서 사용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책상이나 탁자에 세워두되 항상 후방에 기댈 수 있는 지지대를 형성하거나 기댈 지지면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벽에 걸어 사용하는 액자의 경우, 벽면에 못이나 걸이클립을 이용하여 액자를 걸어 사용을 하기에 위치 변경에 따른 문제가 거의 없지만, 탁자형 액자의 경우 그 위치를 고수하기 힘들다. 또한 액자에 지지대가 부착되어 탁자에 세우는 형태는 탁자의 지면을 많이 사용하게 되기에 그에 따른 문제점도 많다.
액자의 후방으로 액자를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대가 일정한 폭을 가져야 하기에 좁은 공간에서는 세우기 힘들며, 약간 비스듬한 상태로 세워야만 하는 액자는 지지대가 흔들릴 경우에는 넘어질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사진을 끼워 보관하되 기대지 않아도 직립이 가능하고, 액자프레임 내측의 사진은 입체감을 살려 보다 활동성있는 사진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직립이 가능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액자프레임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저면이 넓은 폭을 유지하고 정면은 상부로 가면서 배면에 근접되게 테이퍼진 상태로 기댄 형태를 띠고 있기에 직립이 안정적이면서도 내부 내장공간에 끼워진 사진은 보다 입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한 직립이 가능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립이 가능한 액자는 프레임의 측면을 기준으로 배면(C)은 지면과 수직되게 직립하고, 정면(A)은 상부로 갈수록 배면(C)과 근접하도록 테이퍼진 상태이며, 상면(B)과 저면(A)은 지면과 수평방향을 형성하되 상면(B)의 폭이 작은 액자프레임(10)과; 상기 액자프레임(10)의 정면(A)과 배면(C)은 그 중심에 사진(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장공간(13)을 가지고, 4각형 형태의 내장공간(13)의 내주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단턱(11)과; 상기 내장공간(13)의 지지단턱(11)에 밀착하되 사진(30)을 끼운 상태로 밀착되는 내부프레임(20), 내부프레임(20)을 지지하는 지지패널(40), 빈 공간을 채우고 사진(30)의 모서리가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보강프레임(50), 상기 보강프레임(50)의 후방에 끼워져 액자프레임(10)의 내장공간을 막아주는 뒷판(60); 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폭이 넓은 저면을 통해 직립해서 세워지고, 입체감을 준다.
또한 본 발명 직립이 가능한 액자에 따른, 지지단턱(11)을 기준으로 그 전방에 형성되는 프레임 정면(A)까지 시각으로 관찰이 가능한 내장공간(13)을 형성하되, 4각의 지지단턱(11)에서 프레임 정면(A)까지 내장공간(13)을 확개되도록 하는 테이퍼면(14)을 형성하여, 사진(30)이 액자프레임(10)의 중심에 떠 있는 입체감을 주는 액자로 보일 수 있도록 하고 : 내부프레임(20)은, 얇은 두께의 4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내측에 4각으로 관통된 사진시야공(22)이 형성되며, 배면으로 사진(30)이 끼워질 수 있는 모서리간격클립(21)이 4개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며 : 보강프레임(50)은, 얇은 두께의 4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내측에 4각으로 관통된 지지공(51)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 직립이 가능한 액자에 따른, 뒷판(60)의 하단에는, 손가락삽입공(61)을 형성하여 뒷판(60)의 해체를 용이하도록 하고 : 액자프레임(10)의 배면(C)에는 내장공간(13)의 외곽부로 스크류힌지를 통해서 일측이 연동되는 회동클립(12)을 형성하여 삽입될 뒷판(60)을 액자프레임(1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며 : 액자프레임(10)은 그 외피로 가죽, 합성수지 피륙, 지류 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고, 내측의 지지패널이나 지지부와 박음질선(41)을 통해서 결합하여 보다 견고한 액자프레임(10)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직립이 가능한 액자에 따른, 액자프레임(10)의 하단에는 그 프레임의 내측으로 중량이 있는 재질로 무게추(70)를 삽입하여 직립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자는 별도의 지지대가 없어도 세우기가 용이하고 탁자나 책상의 상부에 차지하는 공간이 적어, 좁은 공간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자는 사진이 비치는 내장공간을 가지되, 내장공간의 구성이 전방은 넓고 후방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태의 테이퍼면을 가지고 있기에 사진을 관찰함에 있어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자는 사진이 액자프레임의 전면에서 깊숙히 내장되기에 사진보호가 유리하면서도 사진의 관찰은 더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직립형 액자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직립형 액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직립형 액자를 수직으로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직립형 액자를 수평으로 단면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직립형 액자의 정면, 측면,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내부프레임의 사용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직립이 가능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프레임의 측면을 기준으로 배면(C)은 지면과 수직되게 직립하고, 정면(A)은 상부로 갈수록 배면(C)과 근접하도록 테이퍼진 상태이며, 상면(B)과 저면(A)은 지면과 수평방향을 형성하되 상면(B)의 폭이 작은 액자프레임(10)이 있고, 상기 액자프레임(10)의 정면(A)과 배면(C)은 그 중심에 사진(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장공간(13)을 가지고, 4각형 형태의 내장공간(13)의 내주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단턱(11)이 있으며, 상기 내장공간(13)의 지지단턱(11)에 밀착하되 사진(30)을 끼운 상태로 밀착되는 내부프레임(20), 내부프레임(20)을 지지하는 지지패널(40), 빈 공간을 채우고 사진(30)의 모서리가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보강프레임(50), 상기 보강프레임(50)의 후방에 끼워져 액자프레임(10)의 내장공간을 막아주는 뒷판(60)이 있다. 따라서 이 내장공간에 내부프레임, 지지패널, 사진, 보강프레임 및 뒷판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폭이 넓은 저면을 통해 직립해서 세워지고, 입체감을 주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첫째, 별도의 지지대가 없이 탁자나 책상에 직립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둘째, 사진이 담긴 액자가 시각적으로 입체감이 있기에 미감이 우수하다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그 액자프레임(10)의 측면이 "
Figure 112011008878096-pat00001
"과 같이 형성된다. 도 5의 (b)를 통해서 설명하자면, 액자의 정면(A)은 측방에서 보아 사선으로 테이퍼진 면을 유지한다. 즉, 상부로 갈수록 배면(C)과 근접되게 기울어진 면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배면(C)의 경우 완벽하게 수직된 면으로 이루어진다. 지면과 수직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면(B)과 저면(A)은 지면과 수평된 면으로 이루어진다. 바로 이러한 형태적인 특수성에 의해서 본 발명은 상면(B)에 비하여 넓은 저면을 이용하여 별도의 지지대가 없이도 직립할 수 있고, 내측의 테이퍼면(14)을 통해서 입체감을 살릴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액자프레임(10)은 다소 두툼한 폭을 가지고 있으며, 그 두께의 경우도 상단과 하단의 두께가 다르다. 사진(30)이 직접적으로 삽입될 공간이 되는 내장공간(13)의 경우 그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지지단턱(11)을 가지고 있기에 그 지지단턱(11)에 사진(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도 1에서처럼 액자프레임(10)의 지지단턱(11)에 삽입되는 순서는 내부프레임(20), 사진(30), 지지패널(40), 보강프레임(50) 및 뒷판(60)이 된다. 내부프레임(20)은 사진(30)이 밀착되어 사실상 사진(30)과 같이 삽입되는데, 이 사진(30)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내측에 사진시야공(22)이 형성된다.
이 구성요소들 각각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내장공간(13)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지지단턱(11)은 사진(30)이 구겨지지 않고, 펼쳐진 상태에서 보일 수 있도록 한다. 이 지지단턱(11)은 면접하는 내부프레임(20)과 밀착되는데, 상기 내부프레임(20)과 지지단턱(11)이 밀착되어 사진(30)의 모서리 부위를 견고하게 잡으면서 내부프레임(20)의 사진시야공(22)을 통해서 사진(30)을 표출하기에 그러하다. 이는 사진이 내부프레임 전방 혹은 후방에 위치해도 무방하다. 상기 사진(30)의 후방에는 도시된 지지패널(60)이 밀착되는데, 상기 내부프레임(20)과 지지단턱(11)이 사진(30)의 모서리부위를 잡고 있을 때, 사진(30)의 표면은 지지패널(40)이 후방에서 받쳐서 사진(30)이 울거나 구겨지지 않도록 하고, 오랜 보관에도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패널(40)의 후방에는 보강프레임(50)이 끼워지는데, 이 보강프레임(50)은 상기 내장공간(13)에 차곡차곡 삽입될 내부프레임(20), 사진(30), 지지패널(40) 그리고 뒷판(60)이 내장공간(13)에 완벽하게 끼워져 견고한 결합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간혹 내장공간(13)이 비좁다면, 이 보강프레임(50)을 빼고 삽입해도 무방하다. 보강프레임(50)은 내장공간(13)에 삽입하여 빈 공간이 없도록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고,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럼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것처럼, 지지단턱(11)을 기준으로 그 전방에 형성되는 프레임 정면(A)까지 시각으로 관찰이 가능한 내장공간(13)을 형성하되, 4각의 지지단턱(11)에서 프레임 정면(A)까지 내장공간(13)을 확개되도록 하는 테이퍼면(14)을 형성하여, 사진(30)이 액자프레임(10)의 중심에 떠 있는 입체감을 주는 액자로 보일 수 있도록 한다.
즉, 도시된 도 1 내지 4에서처럼, 본 발명의 액자프레임(10)은 일측으로 기운 상태의 측면을 가지고 있다. 이때 그 정면에서 배면까지 형성된 내장공간(13) 중 전방부분을 살펴보면 테이퍼진 면이 있다. 정면의 첫 단에서 내장공간(13) 내측의 지지단턱(11)까지의 공간이 테이퍼면(14)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 테이퍼면(14)은 지지단턱(11)에서 정면까지 점점 확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바로 이러한 구조에서 입체감을 살릴 수 있다. 내부에서 비치는 사진은 마치 공중에 떠있는 것처럼, 입체감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프레임(20)은, 얇은 두께의 4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내측에 4각으로 관통된 사진시야공(22)이 형성되며, 배면으로 사진(30)이 끼워질 수 있는 모서리간격클립(21)이 4개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다. 도시된 도 1과 도 6에 이러한 내부프레임(20)의 상세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데, 내부프레임(20)은 사진이 보일 수 있도록 사진시야공(22)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프레임(20)의 전방이나 후방에 모서리간격클립(21)이 형성된다. 이 내부프레임(20)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하나씩의 모서리간격클립(21)이 형성되고, 4개의 변 부분에도 사진(30)의 변이 끼워질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모서리간격클립(21)은 내측에 삽입공간을 가지고, 사진(30)의 모서리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제작되는데, 합성수지나 지류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형태로 체결된다.
바로 이러한 모서리간격클립(21)에 사진의 모서리를 끼우고 사진과 내부프레임(20)을 결합한 상태에서 내장공간에 끼워 사진과 액자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보강프레임(50)은, 얇은 두께의 4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내측에 4각으로 관통된 지지공(5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강프레임(50)은 전술된 것처럼 스페이서의 역할과 지지패널(4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완벽한 플레이트의 형태일 필요는 없다. 내측으로 도시된 것처럼 지지공(51)을 형성하여 사용되는 재료의 량을 줄이는 것이 제작 단가를 떨어트리기 유리하다. 또한 이 보강프레임(50)을 지지패널(40)의 후방에 장착함으로 보다 견고한 액자를 제작할 수 있기에 부가되는 효과도 높다.
상기 보강프레임(50)의 후방에는 뒷판(60)이 체결되는데, 이 뒷판(60)의 하단에는, 손가락삽입공(61)을 형성하여 뒷판(60)의 해체를 용이하도록 한다. 뒷판(60)은 액자프레임(10)에 형성된 내장공간(13)의 끝단과 그 크기가 동일하다. 따라서 내장공간(13)의 끝단 후방에 끼워져 완벽한 체결을 유지한다. 따라서 이 뒷판(60)을 떼어내고 사진(30)을 교체해야할 때,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아서 빠지지 않을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뒷판(60)의 하단에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손가락삽입공(61)을 형성하여 뒷판(60)을 빼내기 용이하게 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도시된 도 1에서처럼, 액자프레임(10)의 배면(C)에는 내장공간(13)의 외곽부로 스크류힌지를 통해서 일측이 연동되는 회동클립(12)을 형성하여 삽입될 뒷판(60)을 액자프레임(1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액자프레임(10)의 배면 중 뒷판(60)이 삽입될 내장공간(13)의 외곽부로 회동가능한 회동클립(12)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회동클립(12)을 회동시켜 뒷판(60)을 빼내고 나서 사진(30)을 교체한 후 다시 뒷판(60)을 끼울 때 사용하게 된다. 회동클립(12)을 회동시켜 일측단을 통해서 뒷판(60)을 지지하게 된다면, 뒷판(60)은 다시 회동클립(12)을 회동시켜 뒷판(60)에서 벗어나게 하지 않는다면 뒷판(60)은 견고한 체결을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실시된 액자프레임(10)은 그 외피로 가죽, 합성수지 피륙, 지류 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고, 내측의 지지패널이나 지지부와 박음질선(41)을 통해서 결합하여 보다 견고한 액자프레임(10)이 될 수 있도록 했다. 즉, 액자프레임(10)을 형성함에 있어서, 내부에 별도의 지지패널이나 내용물을 채우고 외부를 가죽이나 합성수지 피륙을 이용하여 외피를 제작하되, 서로 박음질을 통해서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보다 저렴하게 액자프레임(10)을 제작할 수 있으며,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창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액자프레임(10)의 하단에는 그 프레임의 내측으로 중량이 있는 재질로 무게추(70)를 삽입하여 직립을 용이하게 한다. 즉, 도시된 도 3의 단면도에서처럼, 무거운 금속이나 다른 재질로 무게추(70)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경우 직립하여 스스로 설 수 있는 액자프레임(10)이다.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진 저면부분에 무거운 무게추(70)를 삽입하면, 그 무게에 의해서 견고히 직립할 수 있으며, 보관이 용이하다.
10; 액자프레임 11; 지지단턱
13; 내장공간 20; 내부프레임
21; 모서리간격클립 30; 사진
40; 지지패널 50; 보강프레임
60; 뒷판 61; 손가락삽입공
70; 무게추

Claims (8)

  1. 프레임의 측면을 기준으로 배면(C)은 지면과 수직되게 직립하고, 정면(A)은 상부로 갈수록 배면(C)과 근접하도록 테이퍼진 상태이며, 상면(B)과 저면(A)은 지면과 수평방향을 형성하되 상면(B)의 폭이 작은 액자프레임(10)과;
    상기 액자프레임(10)의 정면(A)과 배면(C)은 그 중심에 사진(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장공간(13)을 가지고, 4각형 형태의 내장공간(13)의 내주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단턱(11)과;
    상기 내장공간(13)의 지지단턱(11)에 밀착하되 사진(30)을 끼운 상태로 밀착되는 내부프레임(20), 내부프레임(20)을 지지하는 지지패널(40), 빈 공간을 채우고 사진(30)의 모서리가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보강프레임(50), 상기 보강프레임(50)의 후방에 끼워져 액자프레임(10)의 내장공간을 막아주는 뒷판(60); 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폭이 넓은 저면을 통해 직립해서 세워지고, 입체감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이 가능한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단턱(11)을 기준으로 그 전방에 형성되는 프레임 정면(A)까지 시각으로 관찰이 가능한 내장공간(13)을 형성하되, 4각의 지지단턱(11)에서 프레임 정면(A)까지 내장공간(13)을 확개되도록 하는 테이퍼면(14)을 형성하여, 사진(30)이 액자프레임(10)의 중심에 떠 있는 입체감을 주는 액자로 보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이 가능한 액자.
  3. 제1항에 있어서,
    내부프레임(20)은,
    얇은 두께의 4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내측에 4각으로 관통된 사진시야공(22)이 형성되며, 배면으로 사진(30)이 끼워질 수 있는 모서리간격클립(21)이 4개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이 가능한 액자.
  4. 제1항에 있어서,
    보강프레임(50)은,
    얇은 두께의 4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내측에 4각으로 관통된 지지공(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이 가능한 액자.
  5. 제1항에 있어서,
    뒷판(60)의 하단에는,
    손가락삽입공(61)을 형성하여 뒷판(60)의 해체를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이 가능한 액자.
  6. 제1항에 있어서,
    액자프레임(10)의 배면(C)에는
    내장공간(13)의 외곽부로 스크류힌지를 통해서 일측이 연동되는 회동클립(12)을 형성하여 삽입될 뒷판(60)을 액자프레임(1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이 가능한 액자.
  7. 제1항에 있어서,
    액자프레임(10)은 그 외피로 가죽, 합성수지 피륙, 지류 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고, 내측의 지지패널이나 지지부와 박음질선(41)을 통해서 결합하여 보다 견고한 액자프레임(10)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이 가능한 액자.
  8. 제1항에 있어서,
    액자프레임(10)의 하단에는 그 프레임의 내측으로 중량이 있는 재질로 무게추(70)를 삽입하여 직립을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이 가능한 액자.
KR1020110011000A 2011-02-08 2011-02-08 직립이 가능한 액자 KR101166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000A KR101166857B1 (ko) 2011-02-08 2011-02-08 직립이 가능한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000A KR101166857B1 (ko) 2011-02-08 2011-02-08 직립이 가능한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857B1 true KR101166857B1 (ko) 2012-07-19

Family

ID=4671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000A KR101166857B1 (ko) 2011-02-08 2011-02-08 직립이 가능한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8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333U (ko) 2016-07-21 2018-02-01 송수용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KR200496935Y1 (ko) * 2022-02-18 2023-06-13 강새봄 스케치북을 끼움 결합된 프레임으로 전시하는 전시용 액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333U (ko) 2016-07-21 2018-02-01 송수용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KR200496935Y1 (ko) * 2022-02-18 2023-06-13 강새봄 스케치북을 끼움 결합된 프레임으로 전시하는 전시용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47785A1 (en) Multiple Frame Topology System
US7946067B2 (en) Picture frame with tilt display and support
US20110026749A1 (en) Fram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166857B1 (ko) 직립이 가능한 액자
KR101573528B1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US20060168863A1 (en) Picture frame/shelf combination
JP3194693U (ja) 写真立て
KR101755007B1 (ko)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KR200485877Y1 (ko)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KR20140142078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JP3216850U (ja) 容器の後傾自立構造
US8336242B2 (en) Convertible diploma/certificate holder and wall display
US20170318988A1 (en) Display Frame and Storage Case Unit
US8887915B2 (en) Lamp display packaging with folding graphic lampshade depiction display panel
CN201270889Y (zh) 可折叠收纳箱
KR20130003022U (ko) 앨범
KR200469703Y1 (ko) 액자
JP3838016B2 (ja) スタンド式ディスプレイ装置
CN203555458U (zh) 一种拼接式搁置架
KR20160002203U (ko) 다면 전시 기능과 수납 상자를 내장한 자립형 탁상용 액자
KR101446671B1 (ko) 거치대
US20120273646A1 (en) Multi Dimensional Card Holder
KR200441255Y1 (ko) 접이식 액자
KR20150019222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0483301Y1 (ko)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