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301Y1 - 액자 - Google Patents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301Y1
KR200483301Y1 KR2020150008045U KR20150008045U KR200483301Y1 KR 200483301 Y1 KR200483301 Y1 KR 200483301Y1 KR 2020150008045 U KR2020150008045 U KR 2020150008045U KR 20150008045 U KR20150008045 U KR 20150008045U KR 200483301 Y1 KR200483301 Y1 KR 200483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orage medium
hole
mounting hol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권
황미경
Original Assignee
황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미경 filed Critical 황미경
Priority to KR2020150008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3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3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G06F2213/3812USB port controller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정면에 사진(11)이 부착되고 후면에 장착공(17)이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상기 장착공(17)에 압입식으로 끼워지고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저장매체(21)와, 상기 장착공(17)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져 상기 저장매체(21)를 상기 장착공(17)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인출공(18,19)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액자에 저장매체를 결합함으로써 액자에 있는 사진과 연관된 사진을 잃어버리는 일없이 간편하게 찾을 수 있고 별도로 사진이나 동영상을 정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액자{PICTURE FRAME}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을 배열하여 벽에 걸거나 탁상 등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중앙부에 사진 또는 그림 등을 배열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프레임과 프레임에 제공된 공간에 사진 또는 그림 등이 배열되며, 사진 또는 그림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백보드가 마련된다. 그리고 백보드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마련된다.
이러한 종래의 액자는 통상적으로 탁상, 선반, 장식장 등에 올려놓거나 또는 벽에 걸어 장식미를 갖게 한다.
그런데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와 스마트폰이 발달하고 스마트폰도 고해상도의 사진을 인화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스마트폰으로 찍은 사진을 관련 사이트에 올린 후 액자에 사진이 일체로 부착되게 제작 주문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액자로 만들지 않고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폰으로 찍은 나머지 사진이나 동영상은 삭제될 경우를 대비해 따로 컴퓨터에 저장하고 있다. 이 경우 액자에 부착된 사진만 보게 되고 나머지 사진이나 동영상은 특별히 찾아서 보지 않는 한 어디에 두었는지 잊는 경우가 발생하고, 찾기도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더욱이, 컴퓨터를 교환하는 경우 저장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새 컴퓨터로 옮기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고, 컴퓨터 고장으로 손실된 경우 복구가 어려울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해진 사진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컴퓨터에 따로 백업해 두어야 하는 수고로움이 없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액자에 관련 사진이나 동영상을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저장매체가 결합되는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정면에 사진이 부착되고 후면에 장착공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장착공에 압입식으로 끼워지고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저장매체와, 상기 장착공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져 상기 저장매체를 상기 장착공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인출공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공 및 상기 한 쌍의 인출공은 상기 프레임의 후면 중앙에 요입된 안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공간에 상기 장착공 및 상기 한 쌍의 인출공이 형성된 장착부를 설치하여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이 있는 스펀지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저장매체의 탈거를 방지한다.
상기 저장매체는 USB이고, 상기 USB의 커버는 상기 장착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USB의 몸체만 상기 커버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장착부에 상기 프레임을 탁상용으로 세울 때 사용하기 위한 받침대 보관공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후면에 벽걸이공 및 상기 벽걸이공에 비해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받침대 삽입공이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벽걸이공은 내측 단면적이 더 넓어 상기 벽걸이공이 삽입된 못의 머리부가 걸어지도록 한다.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액자에 저장매체를 결합함으로써 다양해진 사진이나 동영상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액자에 있는 사진이나 동영상과 연관된 사진을 잃어버리는 일없이 간편하게 찾을 수 있고 별도로 사진이나 동영상을 정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줄 수 있으며 컴퓨터에 따로 백업해 두어야 하는 수고로움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벽걸이공의 형상이 못의 머리부가 안정적으로 걸어지고 임의 탈거되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액자를 벽에 걸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액자를 정면에서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액자를 후면에서 보인 일 실시예의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액자를 후면에서 보인 다른 실시예의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액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 사진(11)이 부착되고 후면에 장착공(17)이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장착공(17)에 압입식으로 끼워지고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저장매체(21)와, 장착공(17)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져 저장매체(21)를 장착공(17)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인출공(18,19)을 포함한다.
프레임(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은 압축 코르크 재질, MDF 합판 재질 등으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프레임(10)의 정면에 사진(11)이 부착된다. 사진(11)은 프레임(10)의 정면에 일체로 부착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사진(11)은 프레임(10)의 정면에 부착수단을 매개로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자(1)는 프레임(10)의 정면에 점착시트나 점착필름 및 이형지가 순차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판매되고, 이를 구매한 사용자는 이형지를 제거하고 출력한 사진을 점착시트나 점착필름을 매개로 프레임에 부착하는 방식일 수 있다.
장착공(17)은 저장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구멍이고, 인출공(18,19)은 저장매체를 장착공(17)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한 구멍이다. 장착공(17)은 저장매체에 대응되는 크기로 요입되게 형성되고, 인출공(18,19)은 장착공(17)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한 쌍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인출공(18,19)에 엄지와 검지 손가락을 끼우고 저장매체(21)를 잡은 상태에서 잡아당기면 저장매체(21)를 장착공(17)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장착공(17)의 깊이는 저장매체(21)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깊게 형성되어 장착공(17)에 장착된 저장매체(21)가 외부 충격 등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장착공(17) 및 한 쌍의 인출공(18,19)은 프레임(10)의 후면 중앙에 요입된 안착공간(13)을 형성하고 안착공간(13)에 장착공(17) 및 한 쌍의 인출공(18,19)이 형성된 장착부(15)를 설치하여 형성된다. 이는 장착부(15)를 프레임(10)과 다른 재질로 형성하여 저장매체(21)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장착 후, 임의 탈거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장착부(15)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이 있는 스펀지 재질로 형성되어 저장매체(21)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게 함과 더불어 사용자가 저장매체(21)를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고 또 저장매체(21)의 임의 탈거는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장착부(15)는 프레임(10) 후면보다 소정 두께 더 돌출 형성된다. 이는 액자(1)를 벽에 걸 경우 프레임(10)과 벽이 직접적으로 맞닿는 것을 방지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습기가 차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저장매체(21)는 USB이다. 저장매체(21)는 다양해진 사진을 컴퓨터에 저장하지 않고 주제별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여행을 다녀온 후 마음에 드는 사진 한 컷을 골라 액자(1)로 만들고 나머지 사진이나 동영상들은 저장매체(21)에 저장한 후 만든 액자(1)의 후면 장착공(17)에 끼워 보관해 두면 관련 여행사진을 필요시 액자(1)를 통해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이는 매년 많은 사람들이 여행사진을 정리하지 못하고 쌓아두거나 어디에 두었는지 잊거나 사진을 저장해둔 컴퓨터가 고장나 복구하지 못하는 문제점 등을 방지해 줄 수 있다.
그리고 여행을 다녀온 후 다녀온 모든 사진을 인화하거나 포토북 등으로 만들고 보관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점에서 사진 정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쉽게 찾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효율적이다.
액자(1)에 적용할 수 있는 사진은 결혼사진, 아기 돌사진, 아기 성장사진 등 한 번에 수십 장에서 수백 장까지 찍게 되는 사진이나 동영상들일 수 있다. 특히, 여행사진 등은 여행사에서 한 장을 액자로 만들고 나머지 사진은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액자에 결합한 상태로 줌으로써 기념 선물용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장착부(15)에 프레임(10)을 탁상용으로 세울 때 사용하기 위한 받침대 보관공(25)이 형성된다.
액자(1)는 탁상용으로 세울 수 있다. 액자(1)를 탁상용으로 세우기 위해 받침대(23)가 구비된다. 받침대(23)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대(23)의 직경은 아래에서 설명될 받침대 삽입공(29)의 내경에 대응된다.
받침대(23)는 탁상용으로 사용시 프레임(10)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나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장착부(15)에 받침대 보관공(25)을 형성하여 벽걸이용으로 사용시에는 받침대 보관공(25)에 받침대(23)를 끼워 보관함으로서 잊어버리지 않도록 한다. 받침대 보관공(25)은 장착부(15)에 형성되므로 장착부(15) 재질의 특성상 받침대 보관공(25)에 끼워진 받침대(23)가 사용자가 인출하지 않는 한 임의 탈거되지 않는다.
프레임(10) 후면에 벽걸이공(27) 및 받침대 삽입공(29)이 형성된다. 벽걸이공(27)은 액자(1)를 벽에 걸 때 못이 삽입되는 구멍이고, 받침대 삽입공(29)은 액자(1)를 탁상용 세울 때 액자(1)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23)의 일부가 삽입되는 구멍이다.
받침대 삽입공(29)은 벽걸이공(27)에 비해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며, 벽걸이공(27)과 받침대 삽입공(29)은 연속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벽걸이공(27)은 내측 단면적(27a)이 더 넓어 벽걸이공(27)에 삽입된 못의 머리부가 안정적으로 걸어질 수 있다. 이는 못이 벽걸이공(27)에 걸어진 상태에서 임의 탈거되지 않도록 한다.
받침대 삽입공(29) 및 벽걸이공(27)은 프레임(10) 후면의 세로측과 가로측의 2곳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액자(1)를 가로, 세로 원하는 방향으로 걸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저장매체(21)는 장착공(17)에서 일부만 인출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매체(21)는 USB이고, USB의 커버(21a)는 장착부(15)에 힌지 결합되어 USB의 몸체(21b)만 커버(21a)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출공(18,19)에 엄지와 검지 손가락을 끼우고 USB를 잡은 상태에서 잡아당기면 USB의 커버(21a)가 힌지(3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장착공(17)으로부터 인출되고, 몸체(21b)를 커버(21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커버(21a)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는 커버(21a)가 장착공(17)에 결합되어 있고 몸체(21b)만 분리하므로 커버(21a)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액자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액자(1)는 정면에 사진(11)이 부착되고 후면의 장착공(17)에 저장매체(21)가 압입식으로 끼워져 있으며, 받침대 보관공(25)에 받침대(23)가 압입식으로 끼워진 상태로 포장되고 사용자(주문자)에게 배달된다.
사진(11)은 여행사진, 결혼사진, 아기 돌사진을 포함하는 사진 중 선택된 1장의 사진일 수 있다. 액자(1)의 사진(11)이 결혼사진일 경우 저장매체에는 관련되는 나머지 결혼사진이나 동영상들이 저장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액자(1)를 탁상용으로 세우고자 할 경우에는 받침대 보관공(25)에 끼워진 받침대(23)를 인출하고 받침대(23)를 받침대 삽입공(29)에 삽입하여 세우면 된다. 이때 사진(11)의 방향에 따라 가로측 또는 세로측에 형성된 받침대 삽입공(29)에 받침대(23)의 일부를 끼워 세울 수 있다.
만약, 액자(1)를 벽에 걸고자 하는 경우에는 받침대(23)를 받침대 보관공(25)에서 인출하지 않고 벽의 적당한 부분에 못을 박은 후 벽걸이공(27)에 못을 걸면된다. 이 과정에서 벽걸이공(27)은 내측 단면적이 더 넓으므로 못의 머리부가 내측 단면적 부분으로 위치하여 안정적으로 걸어질 수 있고 액자(1)를 위로 살짝 들어올리지 않는 한 못에 걸어진 상태가 임의 탈거되지 않는다.
그리고 시간이 경과한 후 액자(1)와 관련된 나머지 사진들을 보고 싶을 경우에는 액자(1) 후면의 장착공(17)에 끼워진 저장매체(21)를 인출하여 컴퓨터에 연결하여 볼 수 있고 필요한 사진의 경우 인출할 수도 있다.
이때, 인출공(18,19)에 엄지와 검지 손가락을 끼우고 저장매체(21)를 잡은 상태에서 잡아당기면 저장매체(21)를 장착공(17)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상기한 저장매체(21)가 결합된 액자(1)는 다양한 사진을 폴더별로 분리하고 정리하는 작업을 줄여주고, 시간이 경과한 후 찾는 번거로움을 줄여주며, 컴퓨터 교체로 인해 사진을 새 컴퓨터로 옮기는 작업의 번거로움 및 컴퓨터 고장 등으로 인한 복구 어려움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결혼, 신혼여행, 돌, 해외여행 등에서 촬영한 사진 중 대표되는 사진 하나를 액자로 만들고 액자로 만든 사진을 포함한 나머지 사진이나 동영상들은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액자의 후면에 보관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자에 있는 사진과 관련된 사진들을 신속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매체로 USB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저장매체가 반드시 USB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고 메모리 칩 등이 해당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액자 10: 프레임
11: 사진 13: 안착공간
15: 장착부 17: 장착공
18,19: 인출공 21: 저장매체
23: 받침대 25: 받침대 보관공
27: 벽걸이공 29: 받침대 삽입공
21a: 커버 21b: 몸체
31: 힌지

Claims (6)

  1. 정면에 사진이 부착되고 후면에 장착공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장착공에 압입식으로 끼워지고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저장매체와;
    상기 장착공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져 상기 저장매체를 상기 장착공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인출공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공 및 상기 한 쌍의 인출공은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요입된 안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공간에 상기 장착공 및 상기 한 쌍의 인출공이 형성된 장착부를 설치하여 형성되며,
    상기 저장매체는 USB이고, 상기 USB의 커버는 상기 장착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USB의 몸체만 상기 커버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이 있는 스펀지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저장매체의 탈거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상기 프레임을 탁상용으로 세울 때 사용하기 위한 받침대 보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후면에 벽걸이공 및 상기 벽걸이공에 비해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받침대 삽입공이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벽걸이공은 내측 단면적이 더 넓어 상기 벽걸이공이 삽입된 못의 머리부가 걸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KR2020150008045U 2015-12-08 2015-12-08 액자 KR200483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045U KR200483301Y1 (ko) 2015-12-08 2015-12-08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045U KR200483301Y1 (ko) 2015-12-08 2015-12-08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301Y1 true KR200483301Y1 (ko) 2017-04-25

Family

ID=58669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045U KR200483301Y1 (ko) 2015-12-08 2015-12-08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3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28374A1 (ko) * 2022-12-16 2024-06-20 주식회사 오즈랩스 전통미가 가미된 스마트 이젤디바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7526A (ko) * 2009-08-14 2011-02-22 김기영 다기능 액자
KR200453561Y1 (ko) * 2010-10-15 2011-05-13 어윤하 향기나는 명함 케이스
KR20130004398U (ko) * 2012-01-06 2013-07-16 한희섭 액자
KR200470100Y1 (ko) * 2013-05-13 2013-11-27 유태경 액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7526A (ko) * 2009-08-14 2011-02-22 김기영 다기능 액자
KR200453561Y1 (ko) * 2010-10-15 2011-05-13 어윤하 향기나는 명함 케이스
KR20130004398U (ko) * 2012-01-06 2013-07-16 한희섭 액자
KR200470100Y1 (ko) * 2013-05-13 2013-11-27 유태경 액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28374A1 (ko) * 2022-12-16 2024-06-20 주식회사 오즈랩스 전통미가 가미된 스마트 이젤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6067B2 (en) Picture frame with tilt display and support
KR200483301Y1 (ko) 액자
US8161673B1 (en) Three-dimensional picture frame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20080225172A1 (en) Digital photo display with detachable photo frame
US20140054435A1 (en) Image storage and display assembly
US5237763A (en) Silhouette trading card holder
KR101059432B1 (ko) 접이식 거울
JP4997055B2 (ja) 遺影写真用額縁の箱体収納構造
KR200485877Y1 (ko)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KR200469703Y1 (ko) 액자
KR20150118284A (ko) 덮개가 닫혀지거나 열려진 상태에서도 사진이 모두 게시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액자
KR101320882B1 (ko) 액자 앨범
US20160259371A1 (en) Method for mounting an electronic tablet onto custom frame moulding
US20080016741A1 (en) Display panel
JP3228375U (ja) 位牌
KR200415568Y1 (ko) 앨범이 내장된 액자
US20220192398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buttons
KR20120006999U (ko) 액자
JP2561553Y2 (ja) 額 縁
USD893601S1 (en) Photo stand for printing photos
KR20150119643A (ko) 절첩식 병풍형 액자 앨범
TWM575300U (zh) Image display and storage structure
JP3148905U (ja) 多様の場所に設置可能な小型フレーム額縁
KR101508967B1 (ko) 점착 테이프 클리너 보관대
JP3191961U (ja) クリップボードプ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