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687U -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687U
KR20210000687U KR2020190003807U KR20190003807U KR20210000687U KR 20210000687 U KR20210000687 U KR 20210000687U KR 2020190003807 U KR2020190003807 U KR 2020190003807U KR 20190003807 U KR20190003807 U KR 20190003807U KR 20210000687 U KR20210000687 U KR 202100006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cutting member
insertion hole
cutting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274Y1 (ko
Inventor
김봉덕
Original Assignee
김봉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덕 filed Critical 김봉덕
Priority to KR2020190003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274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6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6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2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베이스부재로부터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를 분리한 후, 간편하게 조립하여 지면 또는 전시대에 설치 및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액자를 간편하게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판 형상의 베이스부재의 일 측에 외주를 따라 절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될 시에 베이스부재의 일 측에 삽입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제 1절취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 측에 외주를 따라 절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1절취부재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될 시에 일 측 단부가 삽입홀에 걸림 되고 타 측 단부가 삽입홀에 삽입되며 지면 또는 전시대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제 2절취부재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 1절취부재를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제 2절취부재를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한 후, 제 2절취부재를 삽입홀에 삽입 및 걸림 시켜 베이스부재가 지면 또는 전시대에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하며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 걸림 된 제 2절취부재 및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베이스부재에 액자를 안착시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 판 형상의 베이스부재에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됨에 따라 이동 및 보관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Prefab Frame Stand}
본 고안은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베이스부재로부터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를 분리한 후, 간편하게 조립하여 지면 또는 전시대에 설치 및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액자를 간편하게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이나 그림 등을 내부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액자 틀과, 상기 액자 틀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실내 장식용으로 사용되고, 장식장 등에 올려놓거나 벽에 걸어 장식미를 갖게 한다.
상기한 액자는 사진이나 각종 그림 등을 사진틀의 내부에 삽입시키고, 배면판에 접힘 및 펼침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지지대 또는 걸고리를 구비하여 책상, 화장대 또는 전시용 가구의 전시대 위에 일정한 각도로 거치하거나 걸고리를 이용하여 벽에 걸어두는 방식으로 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지지대 또는 걸고리가 구비되지 않은 액자를 사용자가 거치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지지대가 필요한 바, 근래에는 상기한 액자를 일정한 각도로 거치시키며 지면 또는 전시대 등에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액자용 받침대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다양하게 가변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제 10-1638493호(특) 플라스틱 판넬로 형성되어 있고, 사진액자의 결합홈의 절개된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적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아래쪽 밑면을 형성하고, 사진액자와 결합시 바닥면으로 향하여 놓여지는 저면과; 상기 몸체부의 전면을 형성하고, 사진액자와 결합시 사진액자의 결합홈의 내부로 삽입되어지며, 상기 저면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는 경사면과; 상기 저면에 대응되는 상면 및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경사면은 사진액자와 결합시 사진액자의 결합홈의 일단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부체결고리와; 사진액자와 결합시 사진액자의 결합홈의 타단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걸림턱;을 더욱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액자를 지면 또는 전시대 등에 비스듬히 받쳐주어 액자의 내부에 구비되는 사진을 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다양한 구성요소 및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유지보수 등의 작업이 용이치 않은 것은 물론, 액자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를 구비해야 되는데, 상기 받침대의 부피로 인해 이동 및 보관상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판 형상의 베이스부재의 일 측에 외주를 따라 절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될 시에 베이스부재의 일 측에 삽입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제 1절취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 측에 외주를 따라 절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1절취부재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될 시에 일 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에 걸림 되고 타 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며 지면 또는 전시대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제 2절취부재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 1절취부재를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제 2절취부재를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한 후, 제 2절취부재를 삽입홀에 삽입 및 걸림 시켜 베이스부재가 지면 또는 전시대에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하며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 걸림 된 제 2절취부재 및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베이스부재에 액자를 안착시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 판 형상의 베이스부재에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됨에 따라 이동 및 보관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 측에 구성되되 외주를 따라 절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될 시에 베이스부재의 일 측에 삽입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제 1절취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 측에 구성되되 외주를 따라 절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1절취부재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될 시에 일 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에 걸림 되고, 타 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며 지면 또는 전시대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가 지면 또는 전시대와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제 2절취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를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에 의하면, 액자를 일정한 각도로 거치시키며 지면 또는 전시대 등에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액자용 받침대 조립에 사용되는 절취부가 형성된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가 베이스부재에 모두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가 각각의 절취부를 통해 간편하게 분리하여 액자용 받침대를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베이스부재에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를 절취부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제조원가 절감 및 제조상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 조립 전,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가 포함된 판 형상의 베이스부재의 부피가 작아 이동 및 보관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 ㅡ A')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및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인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의 구성 중 제 2절취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인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의 구성 중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및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측단면도)
본 고안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베이스부재로부터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를 분리한 후, 간편하게 조립하여 지면 또는 전시대에 설치 및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액자를 간편하게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베이스부재(100)와,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일 측에 구성되되 외주를 따라 절취부(201)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될 시에 베이스부재(100)의 일 측에 삽입홀(110)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제 1절취부재(200)와,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타 측에 구성되되 외주를 따라 절취부(301)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1절취부재(200)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삽입홀(110)에 삽입될 시에 일 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110)에 걸림 되고, 타 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110)에 삽입되며 지면 또는 전시대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0)가 지면 또는 전시대와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제 2절취부재(300)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베이스부재(100)는 SK지, White K지, K지, B지, KLB지, 컵지가 적용되는 상지, 중지, 하지 및 SC 마닐라지 등의 재질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정단면의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에서는 상기 베이스부재(100)가 사각의 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하부 양 끝 단부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20)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0)는 지면 또는 전시대의 상면에 맞닿아 상기 베이스부재(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먼저, 하기될 제 1절취부재(200)의 절취부(201) 및 제 2절취부재(300)의 절취부(301)는 종래의 도트 형상의 절취선으로 형성되거나 일정한 길이마다 절취되고 일부분은 연결된 구조의 절취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절취부재(200)는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일 측에 구성되되 외주를 따라 절취부(201)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될 시에 베이스부재(100)의 일 측에 삽입홀(11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절취부재(200)의 상, 하 길이는 베이스부재(10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제 1절취부재(200)가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될 시에 형성되는 삽입홀(110)의 상, 하 폭이 상기 삽입홀(110)로 삽입되는 제 2절취부재(30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삽입홀(110)로 제 2절취부재(300) 및 하기될 제 2절취부재(300)의 지지부재(32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2, 3,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절취부재(300)는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타 측에 구성되되 외주를 따라 절취부(301)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1절취부재(200)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삽입홀(110)에 삽입될 시에 일 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110)에 걸림 되고, 타 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110)에 삽입되며 지면 또는 전시대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0)가 지면 또는 전시대와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 1절취부재(200)를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하여 베이스부재(100)에 삽입홀(110)을 형성하고, 상기 제 2절취부재(300)를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제 2절취부재(300)의 타 측 단부를 상기 삽입홀(110)에 삽입함과 동시에 일 측 단부가 걸림 되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하부 및 제 2절취부재(300)의 타 측 단부가 지면 또는 전시대의 상면에 맞닿으며 상기 베이부재(100)가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하며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에 걸림 된 제 2절취부재(300)의 일 측 단부 및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베이스부재(100)에 액자를 안착시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판 형상의 베이스부재(100)에 제 1절취부재(200) 및 제 2절취부재(300)가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써, 전체적인 부피가 작아 이동 및 보관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절취부재(200) 및 제 2절취부재(300)를 간편하게 분리하여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절취부재(300)는 ‘ㅛ’자 형상, ‘ㅗ’자 형상, 달 형상, 하트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절취부재(200)는 수평으로 길게 구성되고, 상기 제 2절취부재(300)는, 상기 제 1절취부재(200)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는 걸림부(310)와, 상기 걸림부(310)의 상부 일 측 및 타 측으로부터 각각 상부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320)로 구성되어, 정단면의 형상이 ‘ㅛ’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걸림부(310)는 지지부재(320)가 삽입홀(110)에 삽입될 시,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전면에 걸림 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부(310)의 상부 및 베이스부재(100)에 액자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재(320)는 삽입홀(110)에 삽입될 시, 끝 단부가 지면 또는 전시대의 상면에 맞닿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부재(100)가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하며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20)는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다수의 조립부재(320a)로 구성되어 지지부재(3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조립부재(320a)는, 일 측 끝 단부에 끼움홈(321a)이 내삽 되어 형성되고, 타 측 끝 단부에 상기 끼움홈(321a)에 끼움 되는 끼움부(323a)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조립부재(320a)를 끼움홈(321a) 및 끼움부(323a)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재(320)를 이루는 조립부재(320a)의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베이스부재(100)가 지면 또는 전시대와 이루는 경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에 의하면, 액자를 일정한 각도로 거치시키며 지면 또는 전시대 등에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액자용 받침대 조립에 사용되는 절취부가 형성된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가 베이스부재에 모두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가 각각의 절취부를 통해 간편하게 분리하여 액자용 받침대를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베이스부재에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를 절취부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제조원가 절감 및 제조상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 조립 전,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가 포함된 판 형상의 베이스부재의 부피가 작아 이동 및 보관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100 : 베이스부재
110 : 삽입홀
120 : 돌출부
200 : 제 1절취부재
201 : 절취부
300 : 제 2절취부재
301 : 절취부
310 : 걸림부
320 : 지지부재
320a : 조립부재
321a : 끼움홈 323a : 끼움부
f : 액자

Claims (4)

  1. 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베이스부재(100)와,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일 측에 구성되되 외주를 따라 절취부(201)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될 시에 베이스부재(100)의 일 측에 삽입홀(110)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제 1절취부재(200)와,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타 측에 구성되되 외주를 따라 절취부(301)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1절취부재(200)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삽입홀(110)에 삽입될 시에 일 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110)에 걸림 되고, 타 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110)에 삽입되며 지면 또는 전시대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0)가 지면 또는 전시대와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제 2절취부재(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절취부재(300)는 ‘ㅛ’자 형상, ‘ㅗ’자 형상, 달 형상, 하트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절취부재(200)는 수평으로 길게 구성되고,
    상기 제 2절취부재(300)는,
    상기 제 1절취부재(200)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는 걸림부(310)와, 상기 걸림부(310)의 상부 일 측 및 타 측으로부터 각각 상부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320)로 구성되어, 정단면의 형상이 ‘ㅛ’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20)는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다수의 조립부재(320a)로 구성되어 지지부재(3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
KR2020190003807U 2019-09-17 2019-09-17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 KR2004942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807U KR200494274Y1 (ko) 2019-09-17 2019-09-17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807U KR200494274Y1 (ko) 2019-09-17 2019-09-17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87U true KR20210000687U (ko) 2021-03-25
KR200494274Y1 KR200494274Y1 (ko) 2021-09-06

Family

ID=7523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807U KR200494274Y1 (ko) 2019-09-17 2019-09-17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27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0191B2 (ja) * 2000-12-11 2010-08-25 有限会社アルテッセ画材研究所 組立式卓上イーゼル
KR20180000333U (ko) * 2016-07-21 2018-02-01 송수용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0191B2 (ja) * 2000-12-11 2010-08-25 有限会社アルテッセ画材研究所 組立式卓上イーゼル
KR20180000333U (ko) * 2016-07-21 2018-02-01 송수용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274Y1 (ko) 202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8956B2 (en) Collapsible transaction table
US5659991A (en) Picture frame
US9015977B2 (en) System for changing the appearance of framed components
KR20210000687U (ko)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
KR200489718Y1 (ko) 입체 액자
KR101755007B1 (ko)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KR200485877Y1 (ko)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KR200483886Y1 (ko) 액자
KR20110139336A (ko) 다양한 배열 및 확장 가능한 액자연결틀
KR200378921Y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액자
JPH0453725Y2 (ko)
KR102320429B1 (ko) 회전형 조립식 테이블
KR200479001Y1 (ko) 테이블
KR200334904Y1 (ko) 액자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프레임 구조
KR20240041557A (ko)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액자 받침대
KR101061582B1 (ko) 거울 겸용 액자
KR200334905Y1 (ko) 액자에 사용하기 위하여 자석을 구비하는 연결구
KR100597474B1 (ko) 조립식 다기능 액자
KR200312557Y1 (ko) 액자용 프레임
JP3192985U (ja) 台座付展示物
JPH0114226Y2 (ko)
JP2005097959A (ja) 間仕切りパネル
KR20220167556A (ko) 양면 액자 및 그 고정구
JP3080687U (ja)
KR940006208Y1 (ko) 조립식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