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556A - 양면 액자 및 그 고정구 - Google Patents
양면 액자 및 그 고정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7556A KR20220167556A KR1020210076674A KR20210076674A KR20220167556A KR 20220167556 A KR20220167556 A KR 20220167556A KR 1020210076674 A KR1020210076674 A KR 1020210076674A KR 20210076674 A KR20210076674 A KR 20210076674A KR 20220167556 A KR20220167556 A KR 202201675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cture frame
- fixture
- frame
- double
- pictur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0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comprising a wall member cooperating with a corresponding picture member
- A47G1/1613—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comprising a wall member cooperating with a corresponding picture member and being adjustab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 액자 및 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액자 고정구는 대략 'ㄷ'자 형상의 클립 형태로 형성되되, 판상의 고정면, 상기 고정면의 길이방향으로 일단 중앙에 형성된 고정공, 상기 고정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 한쌍의 제1 삽입편, 및 상기 고정면의 타단 양측으로부터 상기 제1 삽입편과 같은 방향을 향해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 한쌍의 제2 삽입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양면 액자는 액자틀의 안쪽 사면(四面)이 절곡되어 단차지게 형성되어 양면으로 그림이나 사진이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면 액자 및 그 고정구는 액자틀에 삽탈 가능한 'ㄷ'자의 클립 형태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벽면에 간편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전후면 교체가 용이하고 액자틀 내에서 고정구의 위치를 좌우 이동하여 액자의 수평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정구가 육안으로 보이지 않아 미관상 깔끔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면 액자 및 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자의 전후면 교체가 용이하며, 간편하면서 튼튼하고 미관을 해치지 않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양면 액자 및 그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중앙부에 사진 또는 각종 그림 등을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마련된 공간으로 사진 또는 그림 등을 접착하여 상기 사진 또는 그림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마련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벽체에 걸거나 책상 등에 세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액자는 통상적으로 실내 장식용으로 사용되어 장식장에 올려놓거나 또는 벽에 걸어 장식미를 갖게 한다.
그러나, 이들 액자들은 모두 전면만을 볼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양면을 다 사용할 수 있는 양면 액자가 나오므로써, 벽면에 걸어서 감상하다가 그 그림이 지루하여지면 뒤집어 걸어서 뒷면의 그림을 감상할 수 있게 하여 실내 장식의 효과를 배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양면 액자는 뒤집기 용이하도록 끈이나 와이어로 매달아 벽체에 타설된 못 등에 걸어 설치하게 되는 데, 이때 액자에 끈이나 와이어를 매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자에 달린 끈이나 와이어를 벽에 걸때에 액자가 벽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매달린 상태가 되기 때문에 수평을 맞추기 어렵고 지탱하는 힘이 적어 튼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끈의 텐션이나 와이어의 여유분으로 인해서 액자가 벽에 밀착되어 걸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액자를 벽에 설치한 후에도 액자를 고정시키는 끈이나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액자의 전후면 교체가 용이하며, 간편하면서 튼튼하고 미관을 해치지 않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양면 액자 및 그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자 고정구는, 액자를 못이나 나사 등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ㄷ'자 형상의 클립 형태로 형성되어 액자틀에 삽탈 및 좌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착되며, 고정부재가 관통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구는 판상의 고정면, 상기 고정면의 길이방향으로 일단 중앙에 형성된 고정공, 상기 고정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 한쌍의 제1 삽입편, 및 상기 고정면의 타단 양측으로부터 상기 제1 삽입편과 같은 방향을 향해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 한쌍의 제2 삽입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구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양면 액자는, 액자틀과, 액자틀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사진이나 그림을 지지하기 위한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하는 양면 액자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액자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자틀은 안쪽 사면이 절곡되어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면 액자는 상기 액자 고정구의 고정부재를 통한 벽면 고정 설치가 외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액자틀의 상면에 상기 고정구의 제2 삽입편이, 그림과 액자틀 사이의 틈에 제1 삽입편이 각각 오도록 고정구가 삽입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면 액자는 나무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양면 액자 및 그 고정구는 액자틀에 삽탈 가능한 'ㄷ'자의 클립 형태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벽면에 간편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전후면 교체가 용이하고 액자틀 내에서 고정구의 위치를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여 액자의 수평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액자 설치 후 고정구가 보이지 않아 미관상 깔끔하고 미려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액자 고정구는 벽면 고정뿐만 아니라 소형 액자에 대하여 책상이나 기타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액자 받침대로써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 고정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액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자와 고정구 사이의 결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액자의 벽면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와 고정구 사이의 결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액자의 벽면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액자 받침대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액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자와 고정구 사이의 결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액자의 벽면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와 고정구 사이의 결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액자의 벽면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액자 받침대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 고정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액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와 고정구 사이의 결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벽면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액자(100)와 고정구(200)로 구성된다.
액자(100)는 전후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양면 액자로, 내측에 사진이나 그림 등을 개재시킬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액자틀(110)과, 상기 액자틀(110)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서 사진이나 그림 등을 지지하기 위한 플레이트부재(120)로 구성된다.
상기 액자틀(110)은 나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고,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안쪽 사면(四面)에 도 2와 같이 절곡되어 단차지게 형성된 그림 안착면(111)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그림 안착면(111)에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을 사용하여 플레이트부재(120)가 안정되게 장착되게 되며, 전면의 공간은 넓고 후면의 공간을 전면에 비해 작게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액자틀(110)과 그림(130) 사이에는 미세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할 액자 고정구(200)의 하부 삽입편(230)이 삽탑 및 좌우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액자 고정구(20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대략 'ㄷ'자 형상의 클립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액자 고정구(200)는 판상의 고정면(210), 그 고정면(210)의 길이방향으로 일단 양측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 한쌍의 제1 삽입편(220), 및 고정면(210)의 타단 양측으로부터 제1 삽입편(220)과 같은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제1 삽입편(220)에 대향되게 형성된 한쌍의 제2 삽입편(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액자 고정구(200)는 또한, 한쌍의 제1 삽입편(220) 사이에 나사나 못 등의 고정부재(300)가 관통될 수 있는 고정공(240)이 고정면(21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게 된다.
제1 삽입편(220)과 제2 삽입편(230) 사이에는 액자틀(110)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액자 고정구(200)를 이용하여 액자(100)를 벽에 거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액자(100)의 액자틀(110) 전면을 향하여 액자 고정구(200)의 고정면(210)이 오도록 하여 고정구(200)를 끼워 제1 삽입편(220)과 제2 삽입편(230) 사이의 공간에 액자틀(110)이 삽입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구(200)의 제2 삽입편(230)이 액자틀(110)의 상면에 얹혀지게 되고, 제1 삽입편(220)은 그림(130)과 액자틀(110) 사이의 틈에 삽입되게 되며, 고정공(240)은 액자틀(110)의 하방을 향해 위치하게 된다.
그런 다음, 도 4에 보여진 바와 같이, 벽면에 설치된 못이나 나사 등의 고정부재(300)에 액자 고정구(200)의 고정공(240)을 관통시켜 액자(100)를 벽면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이때, 액자 고정구(200)를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액자(100)의 수평을 조절하게 된다.
액자 고정구(200)는 액자틀(110)의 상면에 얹혀지게 되는 제2 삽입편(230)만 외부에 노출될 뿐 대부분이 액자(100) 후면에 위치하여 액자(100)의 벽면 설치 후에 보여지 않게 되어 미관상 깔끔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액자(100)의 전후면을 바꾸어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액자틀(110)에서 액자 고정구(200)를 탈착시킨 후 바꾼 면의 액자틀(110)에 끼워 설치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액자 고정구(20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자(100)와 고정구(200) 사이를 결착하여 벽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액자 고정구(200)의 제1 삽입편(220)을 액자틀(110)의 상면에 얹고, 제2 삽입편(230)을 그림(130)과 액자틀(110) 사이의 틈에 삽입 설치한다. 이때, 고정공(240)은 액자틀(110)의 상방을 향해 위치하게 되어 벽면에 고정 설치시 고정부재(300)와 손쉽게 고정 체결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액자(100)에 대한 고정구(200)의 결착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자 고정구(200)는 액자(100)가 소형인 경우 도 7과 같이 설치하여 바닥 스탠드 고정 역할도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양면 액자는 탈착 가능한 클립 형태의 액자 고정구(200)에 의해 분위기 전환이 용이하며, 액자의 생산 및 작업 공정이 간소하고, 벽걸이 뿐만 아니라 바닥 스탠드 고정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액자를 튼튼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좌우 이동에 의해 중심 잡기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력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액자 110 : 액자틀
120 : 플레이트부재 130 : 그림
200 : 고정구 210 : 고정면
220,230 : 삽입편 240 : 고정공
300 : 고정부재
120 : 플레이트부재 130 : 그림
200 : 고정구 210 : 고정면
220,230 : 삽입편 240 : 고정공
300 : 고정부재
Claims (7)
- 액자를 못이나 나사 등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ㄷ'자 형상의 클립 형태로 형성되어 액자틀에 삽탈 및 좌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착되며, 고정부재가 관통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고정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판상의 고정면;
상기 고정면의 길이방향으로 일단 중앙에 형성된 고정공;
상기 고정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 한쌍의 제1 삽입편; 및
상기 고정면의 타단 양측으로부터 상기 제1 삽입편과 같은 방향을 향해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 한쌍의 제2 삽입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고정구.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고정구.
- 액자틀과, 액자틀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사진이나 그림을 지지하기 위한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하는 양면 액자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액자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액자.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틀은
안쪽 사면이 절곡되어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액자.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액자는
상기 액자 고정구의 고정부재를 통한 벽면 고정 설치가 외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액자틀의 상면에 상기 고정구의 제2 삽입편이, 그림과 액자틀 사이의 틈에 제1 삽입편이 각각 오도록 고정구가 삽입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액자.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액자는
나무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액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6674A KR20220167556A (ko) | 2021-06-14 | 2021-06-14 | 양면 액자 및 그 고정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6674A KR20220167556A (ko) | 2021-06-14 | 2021-06-14 | 양면 액자 및 그 고정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7556A true KR20220167556A (ko) | 2022-12-21 |
Family
ID=84536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6674A KR20220167556A (ko) | 2021-06-14 | 2021-06-14 | 양면 액자 및 그 고정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67556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8268Y1 (ko) | 2001-04-19 | 2001-12-28 | 김윤길 | 양면 액자 |
-
2021
- 2021-06-14 KR KR1020210076674A patent/KR2022016755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8268Y1 (ko) | 2001-04-19 | 2001-12-28 | 김윤길 | 양면 액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17329B2 (en) | Easel stand mountable display board | |
JP3203238U (ja) | 壁掛け構造 | |
KR20220167556A (ko) | 양면 액자 및 그 고정구 | |
JP2006280810A (ja) | 陳列棚装置 | |
US6405466B1 (en) | Self-leveling and convertible pictures | |
KR20070114456A (ko) |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 및 그 제조방법 | |
JP3099823U (ja) | ホワイトボード | |
US6149117A (en) | Decorative and functional fixture as sheetlike object hanger | |
JP3198155U (ja) | 神棚 | |
JP3109116U (ja) | 飾りパネル | |
JP3184169U (ja) | 額縁 | |
JP4650389B2 (ja) | 机天板等の板体への支柱立設装置 | |
JP2004081227A (ja) | ラック用アタッチメント | |
JP2009034460A (ja) | パネル状物品の支持具 | |
CN210153043U (zh) | 展示架的顶部连接组件 | |
JPH05289624A (ja) | 掲示板 | |
KR200479001Y1 (ko) | 테이블 | |
JPH07232496A (ja) | 会議用ボードシステム | |
KR200195190Y1 (ko) | 장식용 액자 | |
JP4714238B2 (ja) | 懸架装置 | |
KR200334905Y1 (ko) | 액자에 사용하기 위하여 자석을 구비하는 연결구 | |
JP2002262952A (ja) | 棚板の支持具 | |
KR200272625Y1 (ko) | 접이식 선반 | |
JPH10117968A (ja) | 衛生室用付属物品の取付構造 | |
JP2010068888A (ja) | 額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