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718Y1 - 입체 액자 - Google Patents

입체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718Y1
KR200489718Y1 KR2020170002951U KR20170002951U KR200489718Y1 KR 200489718 Y1 KR200489718 Y1 KR 200489718Y1 KR 2020170002951 U KR2020170002951 U KR 2020170002951U KR 20170002951 U KR20170002951 U KR 20170002951U KR 200489718 Y1 KR200489718 Y1 KR 200489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reen
character
frames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9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572U (ko
Inventor
유상기
Original Assignee
(주)브랜딩포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랜딩포커스 filed Critical (주)브랜딩포커스
Priority to KR20201700029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71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5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5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7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10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10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 A47G1/101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for insertion within fram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Abstract

입체 액자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는 상,하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 한 쌍의 수평 프레임 양측 단부를 상,하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단을 통해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한 쌍의 수평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수평 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스크린을 통해 하나의 전시물을 입체적으로 표현시키는 입체 디스플레이부; 및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면서 입체 디스플레이부를 거치시키는 거치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입체 액자{THREE-DIMENSIOINAL PICTURE FRAME}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림, 사진, 및 글씨 등과 같은 다양한 전시물들을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키는 입체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그림, 사진, 및 글씨 등의 전시물을 내부에 수용하면서 보호하고, 다양한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으로, 가정, 직장, 및 갤러리 등과 같은 다양한 장소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자는 주로 평면 상태의 사진이나 그림 등과 같은 전시물을 보관 및 디스플레이시키는 단순한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전시물이 보다 독특해보이도록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키는 입체 액자들이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입체 액자는 홀로그램의 기법을 이용한 입체사진을 통해 전시물이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디스플레이시키는 것과, 각각의 구성물들을 원목 또는 금속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의 블록으로 제작 후, 제작된 블록들을 하나의 판에 조합하여 붙이는 것을 통해 전시물이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디스플레이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입체 액자는 홀로그램 기법의 입체사진을 사용하는 경우, 촬영을 위한 별도의 특수 장비가 필요하여 제작비가 고가이며, 제작비에 비해 입체적으로 표현되는 부분에서 만족도가 현저하게 낮은 단점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다양한 재질을 통한 블록들을 조합시키는 경우, 평면의 판에 두께 감을 갖는 각각의 블록들을 붙이는 것으로, 보다 깊이 있는 입체감을 표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종래의 입체 액자는 실질적인 공간개념이 적용되지 않음에 따라 입체적인 표현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디스플레이 되는 전시물을 상황에 따라 부분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내재되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고안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5821호(2012.08.20)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복수의 스크린을 통해 이격형성되는 각각의 캐릭터 그림, 캐릭터, 및 캐릭터 홀이 동시에 투시됨에 따라 독창적인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입체 액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는 상,하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평 프레임 양측 단부를 상,하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단을 통해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평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스크린을 통해 하나의 전시물을 입체적으로 표현시키는 입체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를 거치시키는 거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은 서로 접하면서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프레임;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단위 프레임은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스크린을 상기 수평 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있어서, 상기 개구단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의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경사가 시작되는 선단으로부터 상기 수직 프레임의 길이방향 내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삽입 시, 삽입되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수직한 측면과 접촉되는 수직 접촉면; 상기 수직 프레임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경사가 끝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삽입 시, 삽입되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 밑면을 지지시키는 밑면 지지단; 및 상기 수직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밑면 지지단을 연결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삽입 시, 삽입되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 전,후면을 지지시키는 전,후 지지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있어서,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는 전시물의 전체적인 캐릭터가 그림으로 표현되는 제1 스크린; 상기 제1 스크린의 전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크린의 캐릭터 그림 중, 하나 이상을 발췌하여 플레이트 형태로 표현시키는 제2 스크린; 상기 제2 스크린의 전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크린의 캐릭터 그림과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캐릭터 홀 및 캐릭터 그림이 표현되는 제3 스크린; 및 상기 제3 스크린의 전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스크린의 캐릭터 홀 및 캐릭터 그림 중, 하나 이상을 발췌하여 플레이트 형태로 표현시키는 제4 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은 일면에 전시물의 전체적인 캐릭터가 그림으로 표현되고, 상측과 하측이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위 프레임 중, 제1 단위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린은 상기 제1 스크린의 캐릭터 그림 중, 하나 이상을 발췌하여 플레이트의 형태로 돌출되게 표현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위 프레임 중, 제2 단위 프레임과 하측이 연결되는 제1 캐릭터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크린은 상기 제1 스크린의 캐릭터 그림과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캐릭터 홀 및 캐릭터 그림이 표현되고, 상측과 하측이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위 프레임 중, 제3 단위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있어서, 상기 제4 스크린은 상기 제3 스크린의 캐릭터 홀 및 캐릭터 그림 중, 하나 이상을 발췌하여 플레이트의 형태로 돌출되게 표현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위 프레임 중, 제4 단위 프레임과 하측이 연결되는 제2 캐릭터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직 프레임, 수평 프레임, 및 입체 디스플레이부의 후측을 커버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는 외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기 수직 프레임의 개구단으로부터 상기 수평 프레임의 연결되는 양측 단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거치되는 면과 탈착되는 탈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있어서, 상기 탈착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자석; 및 상기 자석과 대응하여 거치되는 면에 부착되는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제3 스크린(43)의 캐릭터 홀(K)들을 통해, 제2 스크린(42)의 제1 캐릭터 패널(42a) 및 제1 스크린(41)의 캐릭터 그림(J)이 동시에 투시됨에 따라 독창적인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스크린(44)의 제2 캐릭터 패널(44a)을 통해 캐릭터 그림(J)의 하부를 전측으로 돌출시키는 효과를 제공함에 따라 독창적인 입체감이 극대화 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나사나 고정핀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 입체 디스플레이부(40)가 연결되는 수평 프레임(20a,20b)이 수직 프레임(30a,30b)의 개구단(31)을 통해 서로 연결됨에 따라, 입체 디스플레이부(40)가 연결되는 수평 프레임(20a,20b)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입체 디스플레이부(40)의 부분적인 손상 시, 이들과 연결된 수평 프레임(20a,20b)의 제1 단위 프레임(21a,21b), 제2 단위 프레임(22a,22b), 제3 단위 프레임(23a,23b), 및 제4 단위 프레임(24a,24b)을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교체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제1 스크린(41), 제2 스크린(42), 제3 스크린(43), 및 제4 스크린(44)의 교체가 간편함에 따라 다른 캐릭터 그림 및 다른 캐릭터가 표현된 별도의 스크린으로 전면 교체 또는 부분적으로 교체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고안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적용된 입체 디스플레이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적용된 수직 프레임의 개구단을 보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폭방향 및 전측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A방향을 의미하고, 후측은 화살표 B방향을 의미하며, 수직은 화살표 C,D방향을 의미하고, 수평은 화살표 E,F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적용된 입체 디스플레이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적용된 수직 프레임의 개구단을 보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10)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20a,20b), 한 쌍의 수직 프레임(30a,30b), 입체 디스플레이부(40) 및 거치대(5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수평 프레임(20a,20b)은 상,하로 이격배치되며,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면에는 단면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를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평 프레임(20a,20b)은 단면형상이 원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 등과 같이 다양하게 얼마든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평 프레임(20a,20b)은 복수의 단위 프레임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 프레임들은 서로가 폭방향을 따라 접하면서 배치되어 하나의 수평 프레임(20a,20b)을 형성하고,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40)의 스크린들과 연결되어 수평 프레임(20a,20b)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배치시킨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복수의 단위 프레임이 4개의 단위 프레임, 즉, 제1 단위 프레임(21a,21b), 제2 단위 프레임(22a,22b), 제3 단위 프레임(23a,23b), 및 제4 단위 프레임(24a,24b)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하며, 단위 프레임의 개수가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위 프레임은 이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수로 얼마든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단위 프레임, 즉, 제1 단위 프레임(21a,21b), 제2 단위 프레임(22a,22b), 제3 단위 프레임(23a,23b), 및 제4 단위 프레임(24a,24b)은 접촉 시, 서로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미도시)
이러한 연결부재는 제1 단위 프레임(21a,21b), 제2 단위 프레임(22a,22b), 제3 단위 프레임(23a,23b), 및 제4 단위 프레임(24a,24b)이 접촉되는 면에 형성되는 홈과 돌기 또는 널링과 같은 거칠기를 가지는 면으로 형성되어 상호 접촉 시, 어긋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30a,30b)은 수평 프레임(20a,20b)의 양측 단부를 상,하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단(31)을 통해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이러한 한 쌍의 수직 프레임(30a,30b)은 전술한 수평 프레임(20a,20b)과 마찬가지로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면에는 단면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를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 프레임은 단면형상이 원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 등과 같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30a,30b)에 형성되는 개구단(3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개구단(31)은 수평 프레임(20a,20b)의 제1 단위 프레임(21a,21b), 제2 단위 프레임(22a,22b), 제3 단위 프레임(23a,23b), 및 제4 단위 프레임(24a,24b)의 양측 단부가 직교하도록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으로, 수직 프레임(30a,30b)의 선단으로부터 입체 디스플레이부(40)의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M)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단(31)은 수직 접촉면(32), 밑면 지지단(33), 및 전,후 지지면(3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 접촉면(32)은 경사(M)가 시작되는 최선단으로부터 수직 프레임(30a,30b)의 길이방향 내부를 따라 형성되고, 수평 프레임(20a,20b)의 삽입 시, 삽입되는 수평 프레임(20a,20b)의 단부 수직한 측면(G)과 접촉된다.
상기 밑면 지지단(33)은 수직 프레임(30a,30b)의 최선단으로부터 시작된 경사(M)가 끝나는 부분에서 면의 형태로 형성되고, 수평 프레임(20a,20b)의 삽입 시, 삽입되는 수평 프레임(20a,20b)의 단부 밑면(H)을 지지시킨다.
상기 전,후 지지면(34)은 수직 접촉면(32)으로부터 밑면 지지단(33)을 연결하고, 수평 프레임(20a,20b)의 삽입 시, 삽입되는 수평 프레임(20a,20b)의 단부 전,후면(I)을 지지시킨다.
이러한 개구단(31)에 의하면, 수평 프레임(20a,20b) 즉, 제1 단위 프레임(21a,21b), 제2 단위 프레임(22a,22b), 제3 단위 프레임(23a,23b), 및 제4 단위 프레임(24a,24b)의 수직한 측면(G), 밑면(H), 및 전,후면(I)이 나사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구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연결 및 인출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 프레임(20a,20b)은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부재를 통해 각 단위 프레임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개구단(31)에 동시에 삽입 및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개구단(31)의 경사(M)는 입체 디스플레이부(40)의 중심부를 향하여 형성됨에 따라 입체 액자(10)를 정면에서 바라볼 경우 입체 디스플레이부(40)에 대한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개구단(31)의 경사(M)가 입체 액자(10)의 각 모서리에서 입체 디스플레이부(40)의 중심부를 향하는 대각선으로 표시됨에 따라 보는 이로 하여금 입체 디스플레이부(40)에 대한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개구단(31)의 경사(M)는 평면적인 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수직 프레임을 구성하는 두께를 갖는 것으로, 수평 프레임(20a,20b)의 연결 시, 전측으로 돌출되는 면을 통해 입체적으로 표현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개구단(31)의 경사(M)는 전측으로 돌출되는 면을 통해 수평 프레임(20a,20b) 및 수직 프레임(30a,30b)의 연결 시, 데코레이션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40)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20a,20b) 사이에 구비되고, 수평 프레임(20a,20b)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스크린을 통해 하나의 전시물을 입체적으로 표현시킨다.
이때, 전술한 한 쌍의 수직 프레임(30a,30b)은 입체 디스플레이부(40)의 양측면에 배치되며, 입체 디스플레이부(40)와는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복수의 스크린이 4개의 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하기로 하며, 스크린의 개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린은 전술한 수평 프레임(20a,20b)의 4개의 단위 프레임 개수와 연동되는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시물의 용어는 다양한 분야의 그림, 사진, 및 조각 등과 같은 개시물들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된 것이며, 캐릭터의 용어는 전시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인물, 동물, 나무, 및 배경 등과 같은 하나하나의 모양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입체 디스플레이부(40)는 제1 스크린(41), 제2 스크린(42), 제3 스크린(43), 및 제4 스크린(4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스크린(41)은 일면에 전시물을 구성하는 전체적인 캐릭터 그림(J)이 표현되는 제1 패널(41a)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패널(41a)은 상측과 하측이 각각 수평 프레임(20a,20b)의 제1 단위 프레임(21a,21b)과 연결된다.
상기 제2 스크린(42)은 제1 스크린(41)의 전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1 스크린(41)의 캐릭터 그림(J) 중, 하나 이상의 캐릭터를 발췌하여 플레이트의 형태로 돌출되게 표현시키는 제1 캐릭터 패널(42a)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캐릭터 패널(42a)은 수평 프레임(20a,20b)의 제2 단위 프레임(22a,22b) 중,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단위 프레임(22b)과 하측이 연결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캐릭터 패널(42a)은 제2 단의 프레임(22a,22b) 중, 상측에 배치되는 제2 단위 프레임(22a)과 상측이 연결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에 의하면, 서로 접촉되는 제1 단위 프레임(21a,21b)과 제2 단위 프레임(22a,22b)의 두께에 의해 캐릭터 그림(J)과 제1 캐릭터 패널(42a)이 상호 이격되면서 서로 겹쳐 보일 수 있다.
상기 제3 스크린(43)은 제2 스크린(42)의 전측에 배치되고, 제1 스크린(41)의 캐릭터 그림(J)과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캐릭터 홀(K) 및 캐릭터 그림(J)이 표현되는 제2 패널(43a)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 패널(43a)은 상측과 하측이 수평 프레임(20a,20b)의 제3 단위 프레임(23a,23b)과 각각 연결된다.
즉, 상기 제3 스크린(43)은 제1 스크린(41)과 동일한 캐릭터 그림(J)이 인쇄되고, 인쇄된 캐릭터 그림(J)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캐릭터 그림(J)의 라인을 따라 관통되는 형태의 캐릭터 홀(K)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제3 스크린(43)에 의하면, 형성되는 캐릭터 홀(K)들을 통해 제2 스크린(42)의 제1 캐릭터 패널(42a)과 제1 스크린(41)의 캐릭터 그림(J)이 동시에 투시됨에 따라 독창적인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4 스크린(44)은 제3 스크린(43)의 전측에 배치되고, 제3 스크린(43)의 캐릭터 홀(K) 및 캐릭터 그림(J) 중, 하나 이상을 발췌하여 플레이트의 형태로 돌출되게 표현시키는 제2 캐릭터 패널(44a)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 캐릭터 패널(44a)은 수평 프레임(20a,20b)의 제4 단위 프레임(24a,24b) 중,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단위 프레임(24b)과 하측이 연결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캐릭터 패널(44a)은 제4 단의 프레임(24a,24b) 중, 상측에 배치되는 제2 단위 프레임(24a)과 상측이 연결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캐릭터 패널(44a)은 제1 스크린(41) 또는 제3 스크린(43)의 캐릭터 그림(J) 중, 하부를 이루는 부분이 발췌되어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를 하였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캐릭터 패널(44a)은 캐릭터 그림(J)의 상부, 하부, 좌,우 측부 등과 같이 얼마든지 다양한 부분이 발췌되어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4 스크린(44)에 의하면, 돌출형성되는 제2 캐릭터 패널(44a)을 통해 캐릭터 그림(J)의 하부를 전측으로 돌출시키는 효과를 제공하여 독창적인 입체감을 전체적으로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스크린(41), 제2 스크린(42), 제3 스크린(43), 및 제4 스크린(44)은 스페이서를 통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미도시)
이러한 스페이서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수평 프레임(20a,20b)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단위 프레임(21b), 제2 단위 프레임(22b), 제3 단위 프레임(23b), 및 제4 단위 프레임(24b)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에 의하면, 제1 스크린(41), 제2 스크린(42), 제3 스크린(43), 및 제4 스크린(44)을 두께나 개재되는 위치에 따라서 경사지게 하여 독창적인 입체감을 더욱더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캐릭터 그림(J)의 일부 캐릭터가 발췌되어 제1 캐릭터 패널(42a) 및 제2 캐릭터 패널(44a)로 표현되는 것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캐릭터 패널(42a) 및 제2 캐릭터 패널(44a)은 캐릭터 그림(J)과 상관없는 새로운 캐릭터로 얼마든지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거치대(50)는 수평 프레임(20a,20b) 및 수직 프레임(30a,30b)의 외측을 감싸면서 입체 디스플레이부(40)를 거치시킨다.
이러한 거치대(50)는 베이스(51), 외곽 프레임(52), 및 탈착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51)는 수평 프레임(20a,20b), 수직 프레임(30a,30b), 및 입체 디스플레이부(40)의 후측을 커버하고, 상기 외곽 프레임(52)은 베이스(5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20a,20b) 및 수직 프레임(30a,30b)의 외측을 감싼다.
이때, 상기 외곽 프레임(52)은 수평 프레임(20a,20b) 및 수직 프레임(30a,30b)을 따라 절곡되는 형태로 이들의 외측을 감싸는 것을 통해, 수직 프레임(30a,30b)의 개구단(31)으로부터 수평 프레임(20a,20b)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외곽 프레임(52)은 수평 프레임(20a,20b) 및 수직 프레임(30a,30b)을 견고하게 연결시킨다.
상기 탈착 부재는 베이스(51)에 구비되어 거치되는 면과 탈착되는 것으로, 자석(53) 및 금속 플레이트(5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은 입체 액자(10)가 거치될 수 있는 벽면 등과 같은 모든 면을 포괄하는 의미를 갖는다.
상기 자석(53)은 베이스(51)의 일면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금속 플레이트(54)는 자석(53)과 대응하여 거치되는 면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금속 플레이트(54)는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은 별도의 이형지가 접착되는 것이며, 사용 시, 이형지를 제거한 후, 벽면에 접착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거치대(50)에 의하면, 외곽 프레임(52)을 통해, 수평 프레임(20a,20b) 및 수직 프레임(30a,30b)을 견고하게 연결시키고, 자석(53)의 자기력을 통해 간편하게 원하는 위치에서 입체 액자(10)를 탈착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에서는 탈착 부재가 자석(53)과 금속 플레이트(54)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탈착 부재는 외곽 프레임(52)에 형성되는 고리와 벽면에 설치되는 후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베이스(51)를 생략할 수도 있다.(미도시)
또한, 상기 탈착 부재는 베이스(51)에 고정 및 회전되게 설치되는 지지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지지대를 통해 입체 액자(10)를 바닥면에 간편하게 거치시킬 수 있다.(미도시)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10)에 의하면, 제3 스크린(43)의 캐릭터 홀(K)들을 통해, 제2 스크린(42)의 제1 캐릭터 패널(42a) 및 제1 스크린(41)의 캐릭터 그림(J)이 동시에 투시됨에 따라 독창적인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스크린(44)의 제2 캐릭터 패널(44a)을 통해 캐릭터 그림(J)의 하부를 전측으로 돌출시키는 효과를 제공함에 따라 독창적인 입체감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10)에 의하면, 나사나 고정핀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 입체 디스플레이부(40)가 연결되는 수평 프레임(20a,20b)이 수직 프레임(30a,30b)의 개구단(31)을 통해 서로 연결됨에 따라, 입체 디스플레이부(40)가 연결되는 수평 프레임(20a,20b)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입체 디스플레이부(40)의 제1 스크린(41), 제2 스크린(42), 제3 스크린(43), 및 제4 스크린(44)의 부분적인 손상 시, 이들과 연결된 수평 프레임(20a,20b)의 제1 단위 프레임(21a,21b), 제2 단위 프레임(22a,22b), 제3 단위 프레임(23a,23b), 및 제4 단위 프레임(24a,24b)을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교체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크린(41), 제2 스크린(42), 제3 스크린(43), 및 제4 스크린(44)의 교체가 간편함에 따라 다른 캐릭터 그림 및 다른 캐릭터가 표현된 별도의 스크린으로 전면 교체 또는 부분적으로 교체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이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10)는 입체 디스플레이부(40)를 분위기에 따라 간편하게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액자(10)는 어느 특정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종이, 금속, 및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이들 재질이 부분적으로 적용된 하이브리형으로도 얼마든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입체 액자 20a,20b: 수평 프레임
21a,21b: 제1 단위 프레임 22a,22b: 제2 단위 프레임
23a,23b: 제3 단위 프레임 24a,24b: 제4 단위 프레임
30a,30b: 수직 프레임 31: 개구단
M: 경사 32: 수직 접촉면
33: 밑면 지지단 34: 전,후 지지면
G: 수직한 측면 H: 밑면
I: 전,후면 40: 입체 디스플레이부
J: 캐릭터 그림 41: 제1 스크린
41a: 제1 패널 42: 제2 스크린
42a: 제1 캐릭터 패널 43: 제3 스크린
43a: 제2 패널 K: 캐릭터 홀
44: 제4 스크린 44a: 제2 캐릭터 패널
50: 거치대 51: 베이스
52: 외곽 프레임 53: 자석
54: 금속 플레이트

Claims (11)

  1. 상,하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평 프레임 양측 단부를 상,하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단을 통해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평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스크린을 통해 하나의 전시물을 입체적으로 표현시키는 입체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를 거치시키는 거치대;
    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직 프레임, 수평 프레임, 및 입체 디스플레이부의 후측을 커버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는 외곽 프레임;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기 수직 프레임의 개구단으로부터 상기 수평 프레임의 연결되는 양측 단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은
    서로 접하면서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프레임;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단위 프레임은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스크린을 상기 수평 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단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의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경사가 시작되는 선단으로부터 상기 수직 프레임의 길이방향 내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삽입 시, 삽입되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수직한 측면과 접촉되는 수직 접촉면;
    상기 수직 프레임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경사가 끝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삽입 시, 삽입되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 밑면을 지지시키는 밑면 지지단; 및
    상기 수직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밑면 지지단을 연결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삽입 시, 삽입되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 전,후면을 지지시키는 전,후 지지면;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는
    전시물의 전체적인 캐릭터가 그림으로 표현되는 제1 스크린;
    상기 제1 스크린의 전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크린의 캐릭터 그림 중, 하나 이상을 발췌하여 플레이트 형태로 표현시키는 제2 스크린;
    상기 제2 스크린의 전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크린의 캐릭터 그림과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캐릭터 홀 및 캐릭터 그림이 표현되는 제3 스크린; 및
    상기 제3 스크린의 전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스크린의 캐릭터 홀 및 캐릭터 그림 중, 하나 이상을 발췌하여 플레이트 형태로 표현시키는 제4 스크린;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은
    일면에 전시물의 전체적인 캐릭터가 그림으로 표현되고, 상측과 하측이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위 프레임 중, 제1 단위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 패널;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린은
    상기 제1 스크린의 캐릭터 그림 중, 하나 이상을 발췌하여 플레이트의 형태로 돌출되게 표현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위 프레임 중, 제2 단위 프레임과 하측이 연결되는 제1 캐릭터 패널;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크린은
    상기 제1 스크린의 캐릭터 그림과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캐릭터 홀 및 캐릭터 그림이 표현되고, 상측과 하측이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위 프레임 중, 제3 단위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 패널;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스크린은
    상기 제3 스크린의 캐릭터 홀 및 캐릭터 그림 중, 하나 이상을 발췌하여 플레이트의 형태로 돌출되게 표현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위 프레임 중, 제4 단위 프레임과 하측이 연결되는 제2 캐릭터 패널;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거치되는 면과 탈착되는 탈착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자석; 및
    상기 자석과 대응하여 거치되는 면에 부착되는 금속 플레이트;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
KR2020170002951U 2017-06-12 2017-06-12 입체 액자 KR200489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951U KR200489718Y1 (ko) 2017-06-12 2017-06-12 입체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951U KR200489718Y1 (ko) 2017-06-12 2017-06-12 입체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572U KR20180003572U (ko) 2018-12-20
KR200489718Y1 true KR200489718Y1 (ko) 2019-07-26

Family

ID=6495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951U KR200489718Y1 (ko) 2017-06-12 2017-06-12 입체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71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710B1 (ko) * 2019-03-28 2020-10-07 (주)브랜딩포커스 입체 액자
KR102115117B1 (ko) 2019-06-18 2020-05-25 최이승 실 또는 줄을 이용한 3d 입체 효과 전시물의 제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568B2 (ja) * 1991-04-04 2000-07-10 日本電気株式会社 蛍光表示パネル
KR200464964Y1 (ko) 2012-04-30 2013-01-25 서성대 조립식 액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568U (ja) * 1998-12-28 1999-09-07 株式会社彩光社 紙製組立額縁
KR20120005821U (ko) 2011-02-09 2012-08-20 김예림 장식용 입체액자
KR200471643Y1 (ko) * 2013-12-02 2014-03-11 전경애 알루미늄 캔을 재활용한 입체액자
KR20170017162A (ko) * 2015-08-05 2017-02-15 (주)지식나루 입체 액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568B2 (ja) * 1991-04-04 2000-07-10 日本電気株式会社 蛍光表示パネル
KR200464964Y1 (ko) 2012-04-30 2013-01-25 서성대 조립식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572U (ko)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6920B2 (en) Picture frame having an inner frame movably received in an outer frame for exhibiting a planar drawing or a three dimensional object
US6889458B2 (en) Flexible artwork display system
US5619816A (en) Free-standing display frame
US20120285060A1 (en) Picture frames
KR200489718Y1 (ko) 입체 액자
JP3194693U (ja) 写真立て
US20070113454A1 (en) Customizable magnetic display system
JP2012254190A (ja) 色紙用装飾具
JP3115285U (ja) フレーム
WO1998055982A1 (en) Display case for two- and three-dimensional objects
KR200469703Y1 (ko) 액자
CN103815705B (zh) 便于拆装运输的画框
KR200483886Y1 (ko) 액자
US11937711B1 (en) Item display case and system
EP4046699A1 (en) Puzzle case with mounting accessories
CN218777355U (zh) 一种基于榫卯结构的相框式装饰框
KR20160000721U (ko) 서로 다른 느낌을 부여하는 양면사용이 가능한 액자
KR20200126050A (ko) 입체감을 갖는 장식품
CN201641262U (zh) 装饰框
KR20110010123U (ko) 액자
JP3219507U (ja) アートフレーム
KR20140062301A (ko) 액자
JP2007021005A (ja) 額縁
KR20210000687U (ko)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
TWM594550U (zh) 展示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