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964Y1 - 조립식 액자 - Google Patents
조립식 액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4964Y1 KR200464964Y1 KR2020120003574U KR20120003574U KR200464964Y1 KR 200464964 Y1 KR200464964 Y1 KR 200464964Y1 KR 2020120003574 U KR2020120003574 U KR 2020120003574U KR 20120003574 U KR20120003574 U KR 20120003574U KR 200464964 Y1 KR200464964 Y1 KR 20046496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rails
- crossbar
- cross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8—Picture frames adjustab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86—Picture rails; Accessories therefor, e.g. hook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picture r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2001/148—Photograph stands adjustable to accommodate frames or pictures of varying siz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와 개수로 조립함으로써 여러 장의 사진 등을 벽에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조립식 액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조립식 액자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각 면의 중심에 홈 형태의 레일이 형성되며, 일면에 게시물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받침구가 돌출된 한 쌍의 가로대 및 세로대; 사각틀이 형성되도록 배치된 상기 가로대와 상기 세로대가 서로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가로대의 레일 중 사각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받침구와 동일한 면에 형성된 레일과 상기 세로대의 레일 중 상기 가로대에 접하는 면에 형성된 레일 양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구; 및 상기 가로대와 상기 세로대의 레일 중 상기 받침구와 동일한 면에 형성된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사각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받침구 상에 안착된 게시물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복수개의 누름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조립식 액자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각 면의 중심에 홈 형태의 레일이 형성되며, 일면에 게시물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받침구가 돌출된 한 쌍의 가로대 및 세로대; 사각틀이 형성되도록 배치된 상기 가로대와 상기 세로대가 서로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가로대의 레일 중 사각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받침구와 동일한 면에 형성된 레일과 상기 세로대의 레일 중 상기 가로대에 접하는 면에 형성된 레일 양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구; 및 상기 가로대와 상기 세로대의 레일 중 상기 받침구와 동일한 면에 형성된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사각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받침구 상에 안착된 게시물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복수개의 누름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립식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개의 액자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와 개수로 조립함으로써 여러 장의 사진 또는 그림을 벽에 게시할 수 있게 하는 조립식 액자에 관한 것이다.
액자는 사진 또는 그림(이하, '게시물'이라 한다)을 벽에 걸어 놓기 위한 도구이다. 액자는 통상 게시물을 받치기 위한 받침판, 게시물을 덮어 보호하기 위한 투명 커버판 및 이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통상의 액자는 하나의 게시물을 끼워 보관 또는 전시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여러 개의 소액자를 벽에 걸고자 할 때에는 액자의 수만큼 못 등의 액자고정수단을 벽에 설치하여야 하는데, 설치의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하더라고 자칫 비뚤어지기 십상이다. 그리고, 벽면에 많은 손상을 주어야 하므로 부담스럽기도 하다.
이와 같은 어려움이나 하나의 게시물만을 게시하게 되는 단조로움을 벗어나기 위한 노력도 있었다. 그 중 하나의 예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4-0034051호에 개시된 조립식 액자이다. 이 액자에 따르면, 사용자가 퍼즐식 구성에 의해 다수의 액자를 평면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조립 방식은 그 자체가 완구와 같은 느낌을 주기 때문에 경건하거나 다소 격식을 요구하는 장소에는 설치하기가 부담스럽다. 또한, 프레임의 형태가 복잡하여 시선이 게시물로 집중되는 것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단지 2~3장의 게시물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필요없는 구성 요소가 차지하는 부분이 커서 낭비적이라는 느낌을 주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여러 개의 액자를 경제적이며 효율적으로 한 공간에 평면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조립식 액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를 연결하여 설치 환경에 보다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게 하는 조립식 액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조립식 액자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각 면의 중심에 홈 형태의 레일이 형성되며, 일면에 게시물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받침구가 돌출된 한 쌍의 가로대 및 세로대; 사각틀이 형성되도록 배치된 상기 가로대와 상기 세로대가 서로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가로대의 레일 중 사각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받침구와 동일한 면에 형성된 레일과 상기 세로대의 레일 중 상기 가로대에 접하는 면에 형성된 레일 양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구; 및 상기 가로대와 상기 세로대의 레일 중 상기 받침구와 동일한 면에 형성된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사각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받침구 상에 안착된 게시물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복수개의 누름구;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가로대 및 세로대와, 상기 복수개의 결합구 및 상기 복수개의 누름구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단위 액자 복수개를 서로 평면적으로 연결 시 외측에 배치된 상기 레일 중 서로 접하는 상기 단위 액자의 면에 별도의 상기 결합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대 중 상기 받침구가 형성된 면에 직교하면서 장축에 평행한 면에 형성된 레일은 "++"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와 상기 세로대가 사각틀 형상으로 결합 시 상기 가로대의 레일 중 "++"의 수직 부분이 상기 세로대의 레일과 연결되고, 이 부분에 열십자(+) 형태의 보조고정구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구는 "H"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대 중 상기 받침구가 형성된 면의 일측과 상기 세로대 중 상기 가로대와 접촉되는 일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대 중 상기 받침구가 형성된 면의 타측과 상기 세로대 중 상기 가로대와 접촉되는 타면에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사각틀의 형성 시 상기 가로대의 결합돌기와 상기 세로대의 끼움공 및 상기 가로대의 끼움공과 상기 세로대의 결합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가로대 및 세로대와, 상기 복수개의 결합구 및 상기 복수개의 누름구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단위 액자 복수개를 서로 평면적으로 연결 시 외측에 배치된 상기 레일 중 서로 접하는 상기 단위 액자의 면에 별도의 상기 결합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대 중 상기 받침구가 형성된 면에 직교하면서 장축에 평행한 면에 형성된 레일은 "++"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와 상기 세로대가 사각틀 형상으로 결합 시 상기 가로대의 레일 중 "++"의 수직 부분이 상기 세로대의 레일과 연결되고, 이 부분에 열십자(+) 형태의 보조고정구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구는 "H"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대 중 상기 받침구가 형성된 면의 일측과 상기 세로대 중 상기 가로대와 접촉되는 일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대 중 상기 받침구가 형성된 면의 타측과 상기 세로대 중 상기 가로대와 접촉되는 타면에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사각틀의 형성 시 상기 가로대의 결합돌기와 상기 세로대의 끼움공 및 상기 가로대의 끼움공과 상기 세로대의 결합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여러 개를 경제적이며 효율적으로 한 공간에 평면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조립식 액자가 제공된다. 특히, 각각의 결합구의 형태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이나 사용 환경에 맞게 액자를 다양한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액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결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조립식 액자를 서로 연결한 상태에 대한 예시도들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결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조립식 액자를 서로 연결한 상태에 대한 예시도들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주로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되, 필요한 곳에서 나머지 도면들을 인용하면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조립식 액자는 제1길이를 갖는 한 쌍의 가로대(10,20)와 제2길이를 갖는 한 쌍의 세로대(30,4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틀을 기본적인 구조로 한다. 제1길이와 제2길이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는 장방형의 육면체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를 동일한 형태로 하는 것이 제조 비용 측면에서 유리할 것이다.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는 형강과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단면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부분적인 단면의 변화가 있을 수도 있다.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는 인발 또는 압출 성형되는 제품일 수도 있으나 사출 성형 또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도 있다. 때에 따라서, 목재인 경우에는 절단 가공 등에 의해서도 제작될 수 있다. 가공 방법은 소재나 생산 비용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것이다.
각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의 양단은 직각으로 되어 있지만, 때에 따라서 45°각도로 경사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후술되는 실시예에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연결수단은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가 사각 틀을 형성하도록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를 서로 연결하는 수단이다. 연결수단은 종래의 일반적인 액자들과 동일한 연결 방법 또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종래와 다른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게시물 고정수단은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틀에 사진 또는 그림과 같은 게시물(P)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게시물 고정수단 역시 종래의 일반적인 액자들과 동일한 고정 방법 또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조립식 액자에 알맞은 다른 방법을 채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도 후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의 여러 면 중 2면 이상에 각 면을 세로로 분할하는 방향으로 제1레일(13,23,33,43,15,16,25,26. 이하, '13,23 등'이라 한다)이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의 외측면에 마련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일(13,23 등)은 단면이 오메가(Ω) 형태인 요홈일 수 있다. 이외에도 제1레일(13,23 등)의 형태는 요홈의 반대 형태일 수도 있다. 제1레일(13,23 등)은 각 면의 중심에 마련되어 면을 동일한 면적으로 분할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레일(13,23 등)은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의 측면에 마련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단면이 에이치(H) 형태를 갖는 제1결합구(60, 도 5 참조)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조립식 액자를 평면 상에서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제1결합구(60)는 가로대(10,20) 또는 세로대(30,40)의 전체 길이에 맞게 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일정한 단면을 가지는 기다란 부재를 짤막하게 잘라낸 다음 사용할 수 있다. 제1결합구(60)는 대칭적 구조를 가지며 요홈에 면밀하게 끼워지는 한 쌍의 끼움대(61,62)와 끼움대(61,62)를 연결하는 연결대(63)로 구성된다. 연결대(63)의 길이는 가로대(10,20) 또는 세로대(30,40)의 폭에 대응된다.
조립식 액자를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레일(13,23 등)의 개수는 최소한 2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제1레일(13,23 등)은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틀의 모든 외측면에, 즉 도시된 것처럼 4면 모두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보다 다양한 형태로 조립식 액자를 조립할 수 있게 될 것임이 자명하다. 이렇게 제1레일(13,23 등)과 제1결합구(60)에 의해 여러 개의 조립식 액자를 평면적으로 연결하여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수단은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형태의 통일성 또는 일관성을 위해 제1레일(13,23 등)과 대응되는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제2레일(11,21,35,36,45,46. 이하, '11,21 등'이라 한다)은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가 엘(L)자 형태가 되도록 직각으로 접한 상태에서 게시물(P)과 접하게 되는 상기 가로대(10,20)의 내측면과 상기 가로대(10,20)와 접하게 되는 상기 세로대(30,40)의 일측면에 각각 마련된다. 제2결합구(60')는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의 제2레일(11,21 등)에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를 결합시킨다. 즉, 연결수단은 제2레일(11,21 등)과 제2결합구(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레일(11,21 등)과 제2결합구(60')는 위에서 설명된 제1레일(13,23 등)과 제1결합구(60)와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게시물 고정수단은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틀에 사진 또는 그림과 같은 게시물(P)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방식이나 구성이 게시물 고정수단으로 채용될 수도 있지만,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제안한다.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의 내측면, 즉 게시물(P)과 접하게 되는 면에 제2-1레일(11,21,31,41)이 마련된다. 제2-1레일(11,21,31,41)은 오메가(Ω) 형태의 요홈으로 되어 있다. 받침구(17,27,37,47)는 가로대(10,20)의 내측면과 세로대(30,40)의 내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게시물(P), 받침판(51) 및 커버판(50)을 포함하는 판 적층체의 하면을 받치게 된다.
누름구(70)는 판 적층체의 상면 가장자리를 누르는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1레일(11,21,31,41)에 면밀히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는 끼움대(71)와 끼움대(71)의 일측으로부터 게시물(P)을 향하여 계단식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단(72)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의 상면에는 각각의 면을 세로로 분할하는 제3레일(12,22,32,42,18,28. 이하, '12,22 등'이라 한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제3레일(12,22 등) 역시 단면이 오메가(Ω) 형태인 요홈이 될 수 있으며, 제3레일(12,22 등)은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가 사각 틀을 형성할 경우 사각 틀을 가로와 세로로 완전히 관통하게끔 되어 있다. 따라서, 사각 틀의 모서리 네 곳에는 제3레일(12,22 등)이 십(十)자 형태로 교차하게 되는 교차 지점이 생기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십(十)자 형태의 보조고정구(80)가 이 교차 지점에 더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구를 어떠한 것으로 사용하는가에 따라 이 제3레일(12,22 등)을 이용하여 조립식 액자들을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고정구(80)의 저부에는 각 홈에 밀착되는 밀착돌기(81, 도 2 상 좌측 상부 참조)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의 하면에는 위에 언급한 제3레일(12,22 등)과 같은 형태로 각각의 면을 세로로 분할하는 제4레일(14,24,34,44,19,29. 이하 '14,24 등'이라 한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제4레일(14,24 등) 역시 단면이 오메가(Ω) 형태인 요홈이 될 수 있으며, 제4레일(14,24 등)은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가 사각 틀을 형성할 경우 사각 틀의 가로와 세로를 완전히 관통하게끔 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 이 제4레일(14,24 등) 역시 조립식 액자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과 게시물 고정수단을 예시한다.
연결수단은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가 접합하는 면에 결합돌기(111,121,131,141)와 끼움공(112,122,132,142)을 각각 마련하고 있다. 이 연결수단은 종래의 일반적인 액자의 연결수단과 흡사하다.
게시물 고정수단은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의 내측면에 슬롯 형태로 마련되는 끼움홈(110,120,130,140)을 포함할 수 있다. 끼움홈(110,120,130,140)의 폭은 받침판(51), 게시물(P) 및 커버판(50)이 동시에 끼워질 수 있는 정도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7 내지 도 8과 같은 형태로 조립식 액자를 평면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a)는 크기가 같은 조립식 액자를 제1레일(13,23 등)과 제1결합구(60)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예시하며, 도 7(b)는 중간에 세로대 하나를 생략함으로써 같은 길이의 가로대(10,20)와 세로대(30,40)로써 크기가 다른 게시물을 게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7(c)는 평면적이긴 하지만 입체적 경향을 가지도록 조립식 액자를 연결하고 있는데, 이는 제3레일(12,22 등)과 제4레일(14,24 등)을 이용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도 8(a)는 결합구의 형태를 다르게 함으로써 조립식 액자의 모서리 부위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를 예시하며, 도 8(b)는 크기가 각기 다른 조립식 액자를 제1레일(13,23 등)과 제1결합구(6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취향이나 사용 환경에 맞도록 매우 다양한 형태로 조립식 액자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 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 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10,20 : 가로대 30,40 : 세로대
13,23,33,43,15,16,25,26 : 제1레일
11,21,35,36,45,46 : 제2레일 11,21,31,41 : 2-1레일
12,22,32,42,18,28 : 제3레일
14,24,34,44,19,29 : 제4레일
17,27,37,47 : 받침구
50 : 커버판 51 : 받침판
60 : 제1결합구 60' : 제2결합구
70 : 누름구 80 : 보조고정구
110,120,130,140 : 끼움홈 111,121,131,141 : 결합돌기
112,122,132,142 : 끼움공 P : 게시물
13,23,33,43,15,16,25,26 : 제1레일
11,21,35,36,45,46 : 제2레일 11,21,31,41 : 2-1레일
12,22,32,42,18,28 : 제3레일
14,24,34,44,19,29 : 제4레일
17,27,37,47 : 받침구
50 : 커버판 51 : 받침판
60 : 제1결합구 60' : 제2결합구
70 : 누름구 80 : 보조고정구
110,120,130,140 : 끼움홈 111,121,131,141 : 결합돌기
112,122,132,142 : 끼움공 P : 게시물
Claims (5)
- 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각 면의 중심에 홈 형태의 레일이 형성되며, 일면에 게시물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받침구가 돌출된 한 쌍의 가로대 및 세로대;
사각틀이 형성되도록 배치된 상기 가로대와 상기 세로대가 서로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가로대의 레일 중 사각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받침구와 동일한 면에 형성된 레일과 상기 세로대의 레일 중 상기 가로대에 접하는 면에 형성된 레일 양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구; 및
상기 가로대와 상기 세로대의 레일 중 상기 받침구와 동일한 면에 형성된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사각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받침구 상에 안착된 게시물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복수개의 누름구;를 포함하는 조립식 액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로대 및 세로대와, 상기 복수개의 결합구 및 상기 복수개의 누름구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단위 액자 복수개를 서로 평면적으로 연결 시 외측에 배치된 상기 레일 중 서로 접하는 상기 단위 액자의 면에 별도의 상기 결합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 중 상기 받침구가 형성된 면에 직교하면서 장축에 평행한 면에 형성된 레일은 "++"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와 상기 세로대가 사각틀 형상으로 결합 시 상기 가로대의 레일 중 "++"의 수직 부분이 상기 세로대의 레일과 연결되고, 이 부분에 열십자(+) 형태의 보조고정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H"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 중 상기 받침구가 형성된 면의 일측과 상기 세로대 중 상기 가로대와 접촉되는 일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대 중 상기 받침구가 형성된 면의 타측과 상기 세로대 중 상기 가로대와 접촉되는 타면에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사각틀의 형성 시 상기 가로대의 결합돌기와 상기 세로대의 끼움공 및 상기 가로대의 끼움공과 상기 세로대의 결합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3574U KR200464964Y1 (ko) | 2012-04-30 | 2012-04-30 | 조립식 액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3574U KR200464964Y1 (ko) | 2012-04-30 | 2012-04-30 | 조립식 액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4964Y1 true KR200464964Y1 (ko) | 2013-01-25 |
Family
ID=5136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3574U KR200464964Y1 (ko) | 2012-04-30 | 2012-04-30 | 조립식 액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4964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3572U (ko) * | 2017-06-12 | 2018-12-20 | (주)브랜딩포커스 | 입체 액자 |
CN113133624A (zh) * | 2021-05-28 | 2021-07-20 | 安徽弘星家美装饰品有限公司 | 一种家用多功能镜子树脂镜框连接装置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39969U (ja) | 1982-03-16 | 1983-09-20 | 中川 光男 | 額縁の集合体 |
JPH07313317A (ja) * | 1994-05-27 | 1995-12-05 | Junichi Hakoda | Cdケースの連結器付き額縁 |
KR20020007909A (ko) * | 2000-07-19 | 2002-01-29 | 김준원 | 기록 보관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계보 |
KR100797450B1 (ko) | 2006-10-19 | 2008-01-24 | 강명수 | 퍼즐 액자 |
KR20110102761A (ko) * | 2010-03-11 | 2011-09-19 | 주식회사 솔프레임 | 액자의 제조방법 및 그 액자 |
-
2012
- 2012-04-30 KR KR2020120003574U patent/KR20046496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39969U (ja) | 1982-03-16 | 1983-09-20 | 中川 光男 | 額縁の集合体 |
JPH07313317A (ja) * | 1994-05-27 | 1995-12-05 | Junichi Hakoda | Cdケースの連結器付き額縁 |
KR20020007909A (ko) * | 2000-07-19 | 2002-01-29 | 김준원 | 기록 보관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계보 |
KR100797450B1 (ko) | 2006-10-19 | 2008-01-24 | 강명수 | 퍼즐 액자 |
KR20110102761A (ko) * | 2010-03-11 | 2011-09-19 | 주식회사 솔프레임 | 액자의 제조방법 및 그 액자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3572U (ko) * | 2017-06-12 | 2018-12-20 | (주)브랜딩포커스 | 입체 액자 |
KR200489718Y1 (ko) | 2017-06-12 | 2019-07-26 | (주)브랜딩포커스 | 입체 액자 |
CN113133624A (zh) * | 2021-05-28 | 2021-07-20 | 安徽弘星家美装饰品有限公司 | 一种家用多功能镜子树脂镜框连接装置 |
CN113133624B (zh) * | 2021-05-28 | 2022-12-23 | 安徽弘星家美装饰品有限公司 | 一种家用多功能镜子树脂镜框连接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82820B2 (en) | Modular rack assembly | |
KR101602807B1 (ko) | 모듈형 플로어링 시스템 | |
JP3218606U (ja) | フック体を有する組み立て式ラックフレーム構造 | |
US3685465A (en) | Modular furniture structures | |
KR200482829Y1 (ko) | 자석이 내장되는 블록완구의 블록 간 접합을 위한 표면구조 | |
US10159338B2 (en) | Universal piece of furniture consisting of panels | |
US20050129460A1 (en) | Modular frame corners | |
US9737826B2 (en) | Pairing block set and toy block thereof | |
KR20170090953A (ko) | 애완동물용 멀티 울타리 구조 장치 | |
KR20130124871A (ko) | 조립식 수납함 | |
JP3839810B2 (ja) | ペットボトル連結具 | |
KR200464964Y1 (ko) | 조립식 액자 | |
KR20120067389A (ko) | 조립식 블록 텐트 | |
CN203944129U (zh) | 一种玩具娃娃房 | |
KR200232691Y1 (ko) | 짜맞추어 울타리를 조성할 수 있는 유니트 | |
US11542133B2 (en) | Extendable arm | |
KR200466099Y1 (ko) | 조립식 액자 | |
JP6695212B2 (ja) | 椅子の連結ブロック | |
CN202920995U (zh) | 一种拼装玩具 | |
KR101556634B1 (ko) | 조립식 완구 블록 세트 | |
KR20160000210U (ko) | 조립식 가구 및 교육완구 | |
CN209790873U (zh) | 一种鲁班锁 | |
CN204734202U (zh) | 一种床架连接结构 | |
KR200490337Y1 (ko) | 액자 프레임 | |
RU2685680C1 (ru) | Базовый узел несущего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каркас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