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337Y1 - 액자 프레임 - Google Patents

액자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337Y1
KR200490337Y1 KR2020180005597U KR20180005597U KR200490337Y1 KR 200490337 Y1 KR200490337 Y1 KR 200490337Y1 KR 2020180005597 U KR2020180005597 U KR 2020180005597U KR 20180005597 U KR20180005597 U KR 20180005597U KR 200490337 Y1 KR200490337 Y1 KR 2004903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r
hollow portion
connector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월
Original Assignee
(주)아라모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라모드 filed Critical (주)아라모드
Priority to KR2020180005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3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3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3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10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의 중공 막대형 프레임-바와, 두 프레임-바의 단부를 잇는 모서리 연결구로 이루어진 액자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바는 단면 'ㄷ'형 제1 중공부와 상향 융기형 제2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는 양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삽입부를 가진다. 한편, 상기 삽입부는 제1 중공부 통로와 제2 중공부에 동시 삽입되는 수직부, 상기 제1 중공부의 상변 측에 삽입되는 수평판을 일체로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의 상단 및 수평판의 상·하면에는 상기 프레임-바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압력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액자 프레임은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상·하·좌·우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결합, 고정 및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자 프레임 {Frame}
본 고안은 중앙에 거울이나 그림, 사진 등 평면적 물품을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액자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 프레임은 삼각형 이상의 각 변을 구성하는 복수의 막대형 프레임-바와 상기 프레임-바의 단부를 잇는 모서리 연결구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바가 평면형 플레이트인 경우에 상기 연결구는 'ㄱ'형 연결 편으로서, 상기 프레임의 배면 측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고 양측에 볼트로 체결하여 두 프레임-바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프레임 구조는 조립이 불편하고 작업시 모서리 또는 사용시 부분이 날카로워 사람이 다칠 염려가 있었다. 이에 알루미늄 중공형 프레임-바를 이용하여 두 프레임-바의 개방 측에 사출 형태의 'ㄱ'형 연결구의 양 단부를 삽입함으로써 양쪽의 두 프레임-바를 연결하도록 된 것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그 일예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9467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a 및 1b을 참조하면, 상기 개시된 액자 프레임(1)은 인접한 두 변을 이루는 프레임-바(2a,2b)와 양쪽 프레임-바(2a,2b)를 연결하는 삽입형 연결구(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양쪽의 두 프레임-바(2a,2b)는 'ㄱ'형 연결구(3)의 양 단부가 각각 삽입됨으로써 연결되며, 이때 상기 연결구(3)의 견고한 고정력을 위하여 상기 프레임-바(2a,2b)의 표면에서 외부로부터 다수의 펀칭(5)을 가하여 상기 연결구(3) 표면의 홈(4)에 그 펀칭(5)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 액자 프레임(1)이 조립성 및 안전성 측면에서 상기한 종래 방식의 것에 비하여 좀 더 유리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 연결구(3)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펀칭(5)을 이용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며, 그로 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다른 예가 등록특허공보 제10-1173413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 개시된 연결구는 위의 펀칭을 이용하지 않으며, 연결구 자체가 복수의 탄성 압착편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 압착편이 프레임-바의 내면에 압착되게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프레임-바와 연결구의 구성이 견고하지 못하고 물리적으로 취약하며, 압착편 또한 조립/분리시 파손되기 쉬운 것이 사실이다.
<선행기술문헌>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9467호
등록특허공보 제10-1173413호
등록특허공보 제10-1384436호
공개특허공보 제2010-0030466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프레임-바와 연결구의 구성이 매우 견고하면서도 조립이 용이한 액자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액자 프레임은, 사각형 이상의 각 변을 구성하는 복수의 중공 막대형 프레임-바와, 두 프레임-바의 단부를 잇는 모서리 연결구로 이루어진 액자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바는:
중공형 부재로서, 상대적으로 상변이 길고 하변이 짧으며 좌측에 상·하변을 연결하는 통로를 가진 제1 중공부와, 상기 통로의 상단에 통로에 비하여 좁은 폭으로 형성된 상향 융기형 제2 중공부를 포함하여 단면 '
Figure 112019045706466-utm00010
'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구는:
직각 이상의 각을 가지고 중심선으로부터 양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삽입부를 가지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중공부 통로와 제2 중공부에 동시 삽입되는 형태의 수직부, 상기 수직부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중공부의 상변 측에 삽입되는 수평판을 일체로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의 상단 및 수평판의 상·하면에는 상기 프레임-바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바의 내벽에 밀착되는 복수의 돌출 압력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액자 프레임용 평면형 물품이 상기 상변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그 모서리가 상기 융기형 제2 중공부의 외부 단턱에 지지된다.
여기에서 상기 하변의 외부 돌출부는 액자 프레임의 걸이구가 된다.
바람직하게, 양 삽입부의 중앙에는 끼워진 프레임-바(11)의 단부가 그 측면에 접촉하는 돌출 라운드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가 프레임-바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부의 지지대는 중심선 쪽의 폭이 넓은 'ㄴ'형으로 하여 상기 제2 중공부의 폭에 맞추어, 상기 연결구가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판의 지지대는 보강 리브의 상면에 중첩되는 위치에서 돌출하여 형성된다.
본 고안의 액자 프레임 구조는 'ㄷ'형 제1 중공부와 융기형 제2 중공부를 포함한 프레임-바와 그 제1 및 제2 중공부에 유기적으로 삽입되며 길이 방향의 지지대를 통하여 프레임-바에 밀착 결합되는 연결구로 구성된다. 이 구조하에서 상기 액자 프레임 구조는 상기 프레임-바와 연결구의 조립 구성이 매우 견고하면서도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a, 1b는 종래 액자 프레임의 외형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 프레임의 외형도.
도 3은 도 2의 프레임-바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연결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
고 8은 도 2의 단면도.
이상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고안 '액자 프레임'의 특징과 작용효과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 기재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2 이하에서 본 고안의 액자 프레임이 부호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액자 프레임(10)은 사각형 이상의 각 변을 구성하는 복수의 중공 막대형 프레임-바(11)와, 두 프레임-바(11)의 단부를 잇는 모서리 연결구(12)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바(11)는 중공형 부재로서, 상대적으로 상변(13)이 길고 하변(14)이 짧으며 좌측에 상·하변(13,14)을 연결하는 통로(15)를 가진 제1 중공부(16)와, 상기 통로(15)의 상단에 그 통로(15)에 비하여 좁은 폭으로 형성된 상향 융기형 제2 중공부(17)를 포함하는, 단면 '
Figure 112019045706466-utm00011
'형으로 구성된 막대형 바이다. 여기에서 액자 프레임용 평면형 물품(P) 예컨대 거울이나 사진 등이 상기 상변(13)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그 물품(P)의 모서리가 상기 융기형 제2 중공부(17)의 외부 단턱(18)에 걸려 지지된다. 그리고 여기에서 상기 하변(14)의 외부 돌출부(19)는 액자 프레임(10)의 벽면 걸이부가 되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구(12)는 직각 이상의 각을 가지고 중심선(C-C)으로부터 양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삽입부(20)를 가진다. 상기 삽입부(20)는 상기 제1 중공부(16) 통로(15)와 제2 중공부(17)에 동시 삽입되는 형태의 수직부(21), 상기 수직부(21)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중공부(15)의 상변(13) 측에 삽입되는 수평판(22)을 일체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양 삽입부(20)의 사이에는 끼워진 프레임-바(11)의 단부가 그 측면에 접촉하는 돌출 라운드부(24)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직부(21)의 상단 및 수평판(22)의 상·하면에는 상기 프레임-바(11)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바(11)의 내벽에 밀착되는 복수의 돌출 압력 지지대(23a,23b,23c)가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대(23)는 단부(25)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12)가 프레임-바(11)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수직부(21)의 지지대(23a)는 연결구(12) 중심선(C-C) 쪽의 폭이 넓은 'ㄴ'형(26)으로 하여 상기 제2 중공부(17)의 폭에 맞추어, 상기 연결구(12)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판(22)의 지지대(23a,23b)는 보강 리브(27)의 상면에 중첩되는 위치에서 돌출하여 형성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위치에 구비할 필요가 없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바(11)가 연결구(12)의 지지대(23a,23b,23c) 단부(25)로부터 끼워지며 중앙 돌출 라운드부(24) 측면에 맞닿아 조립이 된다. 대응 상태를 구체적으로 보면, 수직부(21) 상단-제2 중공부(17), 수직부(21) 몸체-통로(15), 수평판(22)-상변(13)이 서로 대응하여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구(12)의 압력 지지대(23a,23b,23c)가 상기 프레임-바(11)의 내벽에 밀착되는데 예컨대 상기 수직부(21)의 지지대(23a)는 제2 중공부(17)에, 상기 수평판(22)의 지지대(23a,23b)는 제1 중공부(16)의 상변(13)에 각각 끼워지고 그 내벽에 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21)의 지지대(23a)는 중심선 쪽의 폭이 넓은 'ㄴ'형(26)은 제2 중공부(17)의 폭에 맞추어 상기 연결구(12)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변(14)의 외부 돌출부(19)는 액자 프레임(10)의 벽면 걸이부가 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고안의 액자 프레임(10)은 다수의 프레임-바(11)와 연결구(12)가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상·하·좌·우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결합, 고정 및 유지될 수 있다.
10. 액자 프레임
11. 프레임-바
12. 연결구
13. 상변
14. 하변
15. 통로
16. 제1 중공부
17. 제2 중공부
18. 단턱
19. 돌출부
20. 삽입부
21. 수직부
22. 수평판
23a,23b,23c. 지지대
24. 라운드부
25. 단부
26. 'L'형
27. 리브
C-C. 중심선

Claims (6)

  1. 사각형 이상의 각 변을 구성하는 복수의 중공 막대형 프레임-바(11)와, 두 프레임-바(11)의 단부를 잇는 모서리 연결구(12)로 구성된 액자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바(11)는:
    중공형 부재로서, 상대적으로 상변(13)이 길고 하변(14)이 짧으며 좌측에 상·하변(13,14)을 연결하는 통로(15)를 가진 제1 중공부(16)와, 상기 통로(15)의 상단에 통로(15)에 비하여 좁은 폭으로 형성된 상향 융기형 제2 중공부(17)를 포함하여 단면 '
    Figure 112019045706466-utm00012
    '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구(12)는:
    직각 이상의 각을 가지고 중심선(C-C)으로부터 양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삽입부(20)를 가지며,
    상기 삽입부(20)는:
    상기 제1 중공부 통로(15)와 제2 중공부(17)에 동시 삽입되는 형태의 수직부(21), 상기 수직부(21)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중공부(16)의 상변 측에 삽입되는 수평판(22)을 일체로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21)의 상단 및 수평판(22)의 상·하면에는 상기 프레임-바(11)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바(11)의 내벽에 밀착되는 복수의 돌출 압력 지지대(23a,23b,23c)가 일체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액자 프레임용 평면형 물품(P)이 상기 상변(13)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그 모서리가 상기 융기형 제2 중공부(17)의 외부 단턱(18)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변(14)의 외부 돌출부(19)는 액자 프레임의 걸이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3a,23b,23c)는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12)가 프레임-바(11)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21)의 지지대(23a)는 중심선(C-C) 쪽의 폭이 넓은 'ㄴ'형(26)으로 하여 상기 제2 중공부(17)의 폭에 맞추어, 상기 연결구(12)가 흔들리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22)의 지지대(23b,23c)는 보강 리브(27)의 상면에 중첩되는 위치에서 돌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프레임.
KR2020180005597U 2018-12-04 2018-12-04 액자 프레임 KR2004903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597U KR200490337Y1 (ko) 2018-12-04 2018-12-04 액자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597U KR200490337Y1 (ko) 2018-12-04 2018-12-04 액자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337Y1 true KR200490337Y1 (ko) 2019-11-26

Family

ID=68692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597U KR200490337Y1 (ko) 2018-12-04 2018-12-04 액자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33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5564A (ja) * 2000-09-26 2002-04-02 Yanoman:Kk 額縁用枠材および額縁並びに額縁用枠材の連結部材
KR20060096642A (ko) * 2005-03-02 2006-09-13 민은홍 조립 용이성을 갖는 액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5564A (ja) * 2000-09-26 2002-04-02 Yanoman:Kk 額縁用枠材および額縁並びに額縁用枠材の連結部材
KR20060096642A (ko) * 2005-03-02 2006-09-13 민은홍 조립 용이성을 갖는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98746C (en) Hollow table top
TWI536932B (zh) 組合架
US9380868B1 (en) Structure of coupling sleeve of storage shelf
US10039392B2 (en) Modular poster print stretch frame
KR200490337Y1 (ko) 액자 프레임
KR102250877B1 (ko) 조립식 선반
CN101674752A (zh) 支架模块及具有支架模块的家具
KR20000007148U (ko) 짜맞추어 울타리를 조성할 수 있는 유니트
US6981781B2 (en) Decorative light supporting assembly
CN207761516U (zh) 一种用于塑钢门窗的扣条卡件
KR200464964Y1 (ko) 조립식 액자
JP2006322180A (ja) 窓枠体
JP4447732B2 (ja) 間仕切パネルにおける上部支柱の連結構造
JP2003056530A (ja) 家具用連結部構造
KR200387270Y1 (ko) 구조체 간의 결합수단을 갖는 액자형 프레임
KR102256088B1 (ko)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JP2003135164A (ja) 机上用パネルの支持装置
JP3246709U (ja) マルチフレームワイパーブレード及びワイパー
JPS631897Y2 (ko)
KR101743745B1 (ko) 퍼즐 보관용 조립 블록 구조의 보관 케이스
KR200466099Y1 (ko) 조립식 액자
JP3212288U (ja) ラックの連結構造
KR200427431Y1 (ko) 엘씨디 글라스용 카세트
JPS646116Y2 (ko)
JPH035021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