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221U - 액자 - Google Patents
액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33221U KR19990033221U KR2019990004726U KR19990004726U KR19990033221U KR 19990033221 U KR19990033221 U KR 19990033221U KR 2019990004726 U KR2019990004726 U KR 2019990004726U KR 19990004726 U KR19990004726 U KR 19990004726U KR 19990033221 U KR19990033221 U KR 1999003322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picture frame
- picture
- photo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1—Photograph stands made of sheet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88—Picture frames where the picture is inserted through a slit in one of the frame member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액자(1)에 있어서, 소정크기의 사각형상을 갖으며 가장자리의 소정위치에 연결공(2a)이 형성된 액자판재(2)와, 상기 연결공(2a)에 결합 설치되어 액자판재(2)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받침봉(5)과, 상기 액자판재(2)의 전면에 부착 설치되어 사진(P)을 꽂기 위한 사진틀(3)과, 상기 사진틀(3)의 저면에 부착 설치되어 액자판재(2) 전면에 부착 고정시키는 양면테이프(4)로 구성된 것인바, 후면에서 사진을 꽂아 끼우는 기존의 액자에 대해 액자의 전면에서 편리하게 사진을 꽂을 수 있도록 사진틀을 액자판재의 전면에 부착 형성시킴과 동시에 액자의 가장자리에 연결공을 형성시키고, 여기에 소정길이의 받침봉을 결합하여 액자판재를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사진꽂이부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액자판재와의 부착부위 탈락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액자의 전면에 사진이 위치되도록 꽂아 사용함으로써 습도 및 온도에 따라 변색되기 쉬운 사진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사진이 액자판재의 전면에 위치시키는 이유에서 상기 액자판재는 다양한 재질로 소정두께를 갖는 판으로 모두 제작이 가능하여 제품의 상품성에 대한 폭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그림이나 시진을 꽂아 장식용으로 보관할 수 있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유리액자 또는 소정크기를 갖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판에 대하여 사진을 액자의 전면에서 꽂을 수 있도록 하고, 액자의 미사용 시에는 유리액자를 거울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그림 및 사진의 사이즈에 따라 액자 틀을 형성하며, 외곽 틀의 후면에 적정 사이즈의 유리판과 그 이후에 사진 또는 그림을 위치시키고, 사진의 후면으로는 액자용 대지가 덧대어지며, 액자용 대지의 후면에는 액자의 뒷판이 밀착되어 상기 액자 틀의 후면에 마련되는 별도의 고정편에 의해 고정시켜 벽에 걸어두거나 탁상에 거치형으로 세워둘 수 있었다. 상기 액자의 뒷판에는 벽에 걸어둘 수 있는 걸고리 또는 탁상에 세워둘 수 있는 받침대가 설치되어 있어 벽 또는 탁상에 모두 거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액자의 통상적인 형상 및 모양에서 액자는 디자인의 발달에 따라 재질의 변화에 의한 발전을 거듭하면서, 그 소재는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계열이 대부분 자리잡고 있으며, 이러한 액자는 상기와 같이 사진 또는 그림(이하, 사진이라 함)을 액자의 후면에서 꽂는 형식으로 소정 폭의 테두리를 갖는 액자가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시점에서 투명한 유리액자의 경우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액자의 특성을 살려 별도의 틀을 형성하지 않고 액자(A)의 후면에 사진을 꽂을 수 있는 사진꽂이부(B)와 받침대(C)를 간편하게 부착 형성시켜 사진을 꽂을 수 있도록 하며, 액자(A)의 유리판재 후면에는 다양한 무늬를 넣어 유리액자만이 가지는 단순함의 이미지를 부각시킨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유리 액자(A)를 제작함에 있어, 유리판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는 사진꽂이부(B)는 사진을 꽂아둠에 있어, 습기의 발생에 따라 사진의 표면은 유리판의 후면에 달라붙는 경우가 많으며, 심지어는 달라붙는 사진은 습기에 의해 그 외표면이 탈색되어 사진에 손상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유리액자를 탁상 등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지적되는 문제점을 설명하면, 참고적으로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화살표방향과 같이, 액자(A)의 유리판과 유리판의 후면에 부착된 사진꽂이부(B)의 받침대(C)가 상호 지지하는 힘이 대응되는 상태가 된다. 이는 유리판이 가하는 자체무게에 따라 사진꽂이부(B)의 받침대(C)가 상대적으로 지지하는 힘은 상호 대응된다 하더라도, 상기 사진 꽂이부는 종이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유리판의 후면에서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 부위가 하절기의 경우 상승되는 온도에 따라 사진 꽂이부가 유리판으로부터 밀려나게 되어 온도에 따라 액자가 손상되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특히 액자의 유리판이 A4(210×297)정도의 사이즈에 해당되는 경우라면, 더욱이 액자의 유리판으로부터 사진꽂이부가 점진적으로 떨어져 나가는 예가 많아 보관 및 장식성의 특징을 갖는 액자 자체의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유리액자는 사진이 배면에서 위치되어야 하는 관계로 투명한 유리판밖에 사용할 수 없어 재질에 따른 제품의 다양성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고, 통상 유리액자의 배면에는 사진의 틀을 형성하는 테이프의 형상이 소정 폭을 갖는 사각 틀로 형성되어 유리판 후면에 부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테이프를 정확한 위치에 틀어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에 대한 난이도가 요구되기도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유리액자 또는 소정크기를 갖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판에 대하여 사진을 액자의 전면에서 꽂을 수 있도록 하고, 액자의 미사용 시에는 유리액자를 거울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액자에 있어서, 소정크기의 사각형상을 갖으며 가장자리의 소정위치에 연결공이 형성된 액자판재와, 상기 연결 공에 결합 설치되어 액자판재를 바닥 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받침 봉과, 상기 액자 판의 전면에 부착 설치되어 사진을 꽂기 위한 사진틀과, 상기 사진틀의 저 면에 부착 설치되어 액자판재에 부착 고정시키는 양면테이프로 구성된 액자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액자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액자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를 거울로 사용하는 상태에 따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액자의 요부를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액자2: 액자판재
2a: 연결공3: 사진틀
4: 양면테이프5: 받침봉
6: 걸이구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 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인 액자의 분리 사시 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종단면도로, 액자(1)에 있어서, 소정크기의 사각형상을 갖으며 가장자리의 소정위치에 연결공(2a)이 형성된 액자판재(2)를 마련하고, 상기 연결공(2a)에는 액자판재(2)를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받침봉(5)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액자판재(2)는 유리판으로서 그 후면은 거울도료 또는 거울용 테이프(도면에서 미표기함)가 부착 처리된다.
상기 받침봉(5)은 일측에 수나사부(5a)가 돌출 형성된 결합구(5-1)와, 일측에 암나사홈(5b)이 소정깊이 형성된 체결구(5-2)로 구성되며, 체결구(5-2)의 길이는 위치되는 액자판재(2)의 길이변에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액자판재(2)의 전면에는 사진을 꽂기 위한 사진틀(3)이 마련되되, 사진틀(3)은 부착 성이 양호한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상기 사진틀(3)의 저면과 액자판재(2)의 소정위치에는 소정두께를 갖는 양면테이프(4)가 부착 설치된다.
상기 양면테이프(4)는 사진틀(3)에 대해 상측으로부터 사진을 꽂을 수 있도록 ??자 형으로서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부착 설치된다.
상기한 액자판재(2)는 색상이 코팅된 유리판, 소정두께를 갖는 타일, 알루미늄판, 목재판, 합성수지판 및 소정두께를 갖는 콜크판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를 거울로 사용하는 상태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액자의 요부를 도시한 종단면도로, 거울을 형성하는 액자판재(2)에 대해 액자판재(2)에 형성된 연결공(2a)에는 액자판재(2)를 거울로 사용할 수 있는 걸이구(6)가 적용된다. 상기 걸이구(6)는 상기 받침봉(5)의 결합구(5-1)의 수나사부(5a)에 체결될 수 있는 너트에 걸고리를 연결 설치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액자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품의 사이즈에 적정하게 제작되는 유리판재(2)의 전면에 사진틀(3)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사진틀(3)의 저면에 ??자 형의 양면테이프(4) 일측면을 부착하고 타측면을 상기 액자판재(2)에 부착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양면테이프(4)의 두께에 따라 사진을 꽂을 수 있는 정도는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면테이프(4)가 두꺼운 경우 사진틀(3)에는 소정두께를 갖는 아크릴판을 사진과 함께 사진틀(3)의 상측으로부터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진틀(3)은 양면테이프(4)의 형상에 의해 액자판재(2)에 대하여 밑면을 제외한 평면, 좌, 우측면으로도 사진을 꽂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액자판재(2)의 연결공(2a)에는 수나사부(5a)가 형성된 결합구(5-1)를 액자판재(2)의 전면 측에서 관통시키고, 후면으로 돌출된 상기 수나사부(5a)에는 체결구(5-2)의 암나사홈(5b)을 일치시켜 체결시켜 준다. 상기 결합구(5-1)와 체결구(5-2)를 이루는 받침봉(5)은 액자판재(2)에 대해 직각으로 결합되어 상기 받침봉(5)이 설치되는 액자판재(2)의 밑면은 상기 받침봉(5)과 함께 바닥면에 지지되어 소정각도의 경사로 설치된다.
상기 액자판재(2)에 전면에 설치되는 사진틀(3)에 의해 사진(P)을 외측으로 꽂음에 있어, 사진자체는 기존의 액자의 후면에 마련되는 사진꽂이부에 꽂는 형식보다 본 고안에 따른 사진틀(3)에 대해 사진의 외표면을 그대로 노출시키거나 소정두께를 갖는 아크릴 판과 함께 꽂을 수 있기 때문에 습기발생이 높고, 습도에 따라 사진을 변질시키기에 적당한 하절기에 사진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사진틀(3)과 액자판재(2)의 부착에 따라 양면테이프(4)는 액자판재(2)의 전면에 부착되는 관계로, 기존의 액자판재 후면에서 조심스럽게 작업하여야 했던 테두리 부착작업의 난이성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액자판재(2)는 색상이 코팅된 유리판을 적용함에 있어, 사진이 액자판재의 외측에 위치하므로 유리재질로 이루어진 액자판재의 경우 다양하게 사진과 조화를 이루는 색유리판을 이용할 수 있게 되고, 그 외 소정두께를 갖는 타일, 무광택의 알루미늄판, 나무 결이 형성된 목재판, 합성수지판 및 소정두께를 갖는 콜크판으로 모두 적용이 가능하여 액자판재의 재질에 무관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타일 또는 콜크판과 같은 연결판재는 받침봉이 설치되기 위한 연결공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뒷면에 별도의 지지대를 부착하여 통상적인 액자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일 또는 콜크판과 같은 연결판재는 투광성을 갖지 않는 재료로서 기존 유리판재의 뒷면에 부착되는 사진꽂이부를 최대한 감추고자 하는 의미에서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의 폭을 최소로 부착시켜야 했던 문제점으로 발생되는 사진꽂이부의 탈락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약자판재의 뒷면에서 접착제의 부착 폭에 관계없이 견고하게 지지대를 부착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제품의 견고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투광성을 갖는 알루미늄판, 목재판 등은 받침봉을 설치하기 위한 연결공 형성이 가능하면서도 상기한 바와 같이 받침 지지대를 직접 뒷면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제작성의 폭이 넓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투광성을 갖는 유리재질 또는 제품에 대한 구입선택 및 제작의 다양한 폭이 넓은 이점이 있으며, 재질의 다양한 선택 폭으로 액자가 갖는 재료상의 특징을 살려 제품화실현성이 모두 가능하며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유리판의 후면에 거울도료 또는 거울테이프가 부착된 액자판재(2)에 있어서는 액자판재(2)에서 사진(P)을 분리시키면 그대로 액자판재(2) 그 자체는 거울을 형성하고 있어, 액자판재(2)의 연결공(2a)에 설치되는 결합구(5-1)의 수나사부(5a)에 걸이구(6)를 체결 고정하여 벽에 걸어 거울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후면에서 사진을 꽂아 끼우는 기존의 액자에 대해 액자의 전면에서 편리하게 사진을 꽂을 수 있도록 사진틀을 액자판재의 전면에 부착 형성시킴과 동시에 액자의 가장자리에 연결공을 형성시키고, 여기에 소정길이의 받침봉을 결합하여 액자판재를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사진꽂이부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액자판재와의 부착부위 탈락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액자의 전면에 사진이 위치되도록 꽂아 사용함으로써 습도 및 온도에 따라 변색되기 쉬운 사진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사진이 액자판재의 전면에 위치시키는 이유에서 상기 액자판재는 다양한 재질로 소정두께를 갖는 판으로 모두 제작이 가능하여 제품의 상품성에 대한 폭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 액자(1)에 있어서,소정크기의 사각형상을 갖으며 가장자리의 소정위치에 연결공(2a)이 형성된 액자판재(2)와,상기 연결공(2a)에 결합 설치되어 액자판재(2)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받침봉(5)과,상기 액자판재(2)의 전면에 부착 설치되어 사진(P)을 꽂기 위한 사진틀(3)과,상기 사진틀(3)의 저면에 부착 설치되어 액자판재(2) 전면에 부착 고정시키는 양면테이프(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 제 1항에 있어서, 액자판재(2)는 유리판으로서 후면에 거울도료 또는 거울용 테이프가 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 제 1항에 있어서, 받침봉(5)은 일측에 수나사부(5a)가 형성된 결합구(5-1)와, 일측에 암나사홈(5b)이 소정깊이 형성된 체결구(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액자판재(2)는 색상이 코팅된 색유리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 제 1항에 있어서, 액자판재(2)는 소정두께를 갖는 타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 제 1항에 있어서, 액자판재(2)는 소정두께를 갖는 알루미늄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 제 1항에 있어서, 액자판재(2)는 소정두께를 갖는 목재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 제 1항에 있어서, 액자판재(2)는 소정두께를 갖는 합성수지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 제 1항에 있어서, 액자판재(2)는 소정두께를 갖는 콜크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4726U KR19990033221U (ko) | 1999-03-24 | 1999-03-24 | 액자 |
KR2019990018197U KR200178672Y1 (ko) | 1999-03-24 | 1999-08-30 | 액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4726U KR19990033221U (ko) | 1999-03-24 | 1999-03-24 | 액자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18197U Division KR200178672Y1 (ko) | 1999-03-24 | 1999-08-30 | 액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3221U true KR19990033221U (ko) | 1999-08-05 |
Family
ID=195740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04726U KR19990033221U (ko) | 1999-03-24 | 1999-03-24 | 액자 |
KR2019990018197U KR200178672Y1 (ko) | 1999-03-24 | 1999-08-30 | 액자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18197U KR200178672Y1 (ko) | 1999-03-24 | 1999-08-30 | 액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9990033221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1420A (ko) * | 2001-09-06 | 2003-03-15 | 이정국 | 손 및 발도장이 포함된 액자 |
KR20180000333U (ko) * | 2016-07-21 | 2018-02-01 | 송수용 |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3886Y1 (ko) * | 2016-08-22 | 2017-07-06 | 하이츠코리아 주식회사 | 액자 |
-
1999
- 1999-03-24 KR KR2019990004726U patent/KR19990033221U/ko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 1999-08-30 KR KR2019990018197U patent/KR20017867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1420A (ko) * | 2001-09-06 | 2003-03-15 | 이정국 | 손 및 발도장이 포함된 액자 |
KR20180000333U (ko) * | 2016-07-21 | 2018-02-01 | 송수용 |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78672Y1 (ko) | 2000-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89458B2 (en) | Flexible artwork display system | |
US6574880B2 (en) | Marker for indicating site for a fastener | |
US20130160340A1 (en) | Device for and method of holding and displaying sheet articles | |
US20070075211A1 (en) | Adjustable hanger and kit incorporating the same | |
US5916102A (en) | Removable tile display | |
US4310976A (en) | Picture display device | |
US4879824A (en) | Floating picture frame | |
KR200178672Y1 (ko) | 액자 | |
JPH0436006B2 (ko) | ||
US4761902A (en) | Universal picture support assembly and method | |
US10470595B2 (en) | Quick assembly photo frame | |
US6282828B1 (en) | Picture frame | |
US11636784B2 (en) |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arrangement of tiles | |
GB2204479A (en) | Article of furniture | |
CN210300443U (zh) | 一种无钉双面画框 | |
US4821438A (en) | Universal picture support assembly having glass retaining clips | |
US3876175A (en) | Wall mountings | |
US6065236A (en) | Picture framing system | |
US20210390888A1 (en) | Artistic tiles mountable to a surface | |
US4945706A (en) | Lightweight overhead beam for portable display structure | |
GB2229487A (en) | Dovetailed joint positioning means | |
JP3230173U (ja) | 設置具付き装飾・展示用品 | |
CN210508253U (zh) | 一种地脚板 | |
US7168175B1 (en) | Decorative frame molding | |
CN213696415U (zh) | 一种双面用立体相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