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881Y1 - 액자형 보드 - Google Patents

액자형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881Y1
KR200383881Y1 KR20-2005-0004312U KR20050004312U KR200383881Y1 KR 200383881 Y1 KR200383881 Y1 KR 200383881Y1 KR 20050004312 U KR20050004312 U KR 20050004312U KR 200383881 Y1 KR200383881 Y1 KR 2003838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body
joint portion
fram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철
Original Assignee
김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철 filed Critical 김용철
Priority to KR20-2005-0004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8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8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8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2001/146Photograph stands comprising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tand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에 걸거나 테이블에 세우도록 하는 각종 형태 및 용도를 갖는 액자 형상의 것에 대하여 그 제작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액자형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특징적인 구성은, 소정 두께와 면적 및 형상을 갖는 판체; 상기 판체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판체에 대하여 연접하는 부위를 기준하여 일정 각도범위로 굽어지는 지지대; 일측이 상기 판체 또는 지지대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서 연접하여 일정 각도범위로 굽어지고, 상대측 방향 소정 부위가 형성 위치에 상대적으로 대응하는 상기 지지대 또는 판체와 결합하는 보조 지지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판체 또는 지지대에 대한 상기 보조 지지대의 결합은 상기 판체에 대한 상기 지지대의 굽은 각도를 유지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액자형 보드를 이루는 판체에서 지지대와 보조 지지대가 일체로서 연장 형성되어 이들이 판체로부터 소망하는 각도로 굽어져 상호 결합 유지되는 구성을 이룸에 따라 단일의 사출 금형으로 제조가 용이한 경제적 이점 뿐 아니라 포장의 단순화와 적재부피를 축소되며, 판체를 포함하여 단일체로서 연접하는 각 구성부를 이용한 제품의 활용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자형 보드{A frame board}
본 고안은 액자형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에 걸거나 테이블에 세우도록 하는 각종 형태 및 용도를 갖는 액자 형상의 것에 대하여 그 제작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액자형 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형 보드는, 전면의 이용을 위하여 그 배면을 통해 벽에 걸거나 테이블에 세우는 등의 형태로 사용한다.
이러한 액자형 보드에 대한 종래의 기술 구성은, 소정 형상을 갖는 판체의 가장자리 부위에 각종 문양을 갖는 테두리를 갖는 것이 있고, 배면에는 그 사용에 따라 벽면에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걸이홈 또는 걸이홀을 형성한 것이 있으며, 테이블 등에 세우기 위한 지지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블 등에 액자형 보드를 세워 사용하기 위한 지지대는 액자형 보드를 구성하는 판체와 구분되는 별도의 구성으로서 마련된다.
대체적인 지지대의 구성은 판체의 특정 부위에 대하여 볼트 또는 핀이나 리벳 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하여 테이블 상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이러한 구성한 구성에 더하여 테이블 상면에 대한 판체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체결수단을 조절토록 하거나 그 결합 위치를 조절토록 하는 방법 및 별도의 지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부품을 더 구비하여 이를 통해 조절하는 것이 대체적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액자형 보드에 따르면, 일정 형상의 판체와 지지대와 체결수단 및 간격 조절수단이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서 제작이 필요하다.
더불어 다른 용도로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시 별도의 구성부품을 마련하기 위한 각각의 사출금형과 제작을 필요로 할 뿐 아니라 이들 구성을 조립하기 위한 번거로움이 있는 등 비경제적인 문제를 갖는다.
또한 액자형 보드를 포장함에 있어서도, 상술한 각 구성부품에 대한 개별적 포장 및 포장 부피가 증대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판체를 벽에 걸거나 테이블에 세우기 위한 각 활용방안에 대하여 판체를 포함한 각 구성이 단일체로서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금형과 제작공수 및 포장시간의 단축과 적재부피의 축소 등을 포함한 제조비용을 절감토록 하고, 이로부터 테이블에 거치시키기 위한 지지대의 각도가 선택적으로 조절 및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판체 및 일체로 이루어진 각 구성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용도 또는 형태로서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등 활용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액자형 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소정 두께와 면적 및 형상을 갖는 판체; 상기 판체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판체에 대하여 연접하는 부위를 기준하여 일정 각도범위로 굽어지는 지지대; 일측이 상기 판체 또는 지지대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서 연접하여 일정 각도범위로 굽어지고, 상대측 방향 소정 부위가 형성 위치에 상대적으로 대응하는 상기 지지대 또는 판체와 결합하는 보조 지지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판체 또는 지지대에 대한 상기 보조 지지대의 결합은 상기 판체에 대한 상기 지지대의 굽은 각도를 유지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판체와 지지대가 상호 연접하는 부위와 상기 판체와 보조 지지대가 상호 연접하는 부위 또는 상기 지지대와 보조 지지대가 상호 연접하는 부위는, 각각 어느 하나를 기준하여 상대측이 유연하게 굽어지도록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한 관절부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대는, 상기 판체의 영역 내에서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상기 관절부를 형성하고, 일정 폭과 길이 및 형상으로 상기 판체를 관통하며 길이 방향 양단이 상기 관절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어지는 절개홀을 형성하여, 상기 관절부와 절개홀이 이루는 경계의 내측으로 상기 판체로부터 구분되는 부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지지대는, 상기 판체 또는 지지대 중 어느 하나의 영역 내에서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상기 관절부를 형성하고, 일정 폭과 길이 및 형상으로 상기 관절부 형성 위치의 상기 판체 또는 지지대를 관통하며 길이 방향 양단이 상기 관절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어지는 절개홀을 형성하여, 상기 관절부와 절개홀이 이루는 경계의 내측으로 그 형성 위치의 상기 판체 또는 지지대로부터 구분되는 부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가 연접하는 상기 관절부를 제 1 관절부로 하고, 상기 보조 지지대가 연접하는 상기 관절부를 제 2 관절부로 구분할 때 상기 판체의 영역 내에 형성한 상기 제 2 관절부는, 상기 지지대의 측부에 대응하는 상기 절개홀과 일정 간격으로 근접하게 형성하고, 상기 보조 지지대 상에는 상기 지지대의 굽는 각도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 1 관절부를 기준으로 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홀을 소정 간격으로 더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의 측벽에는 상기 제 1 관절부를 기준하여 굽어짐에 따라 상기 각 결합홀에 순차적으로 대응하여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더 돌출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대의 영역 내에서 상기 제 2 관절부를 통해 연접하는 상기 보조 지지대의 단부에는 돌기 또는 홀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의 굽은 각도와 상기 보조 지지대의 굽은 각도에 의해 상기 보조 지지대의 단부가 대응하는 상기 판체의 배면에는 상기 돌기 또는 홀에 대응하여 걸림 결합하는 끼움홀 또는 끼움돌기를 복수 개수와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상호 끼워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판체와 지지대 사이, 상기 판체와 보조 지지대 사이 또는 상기 지지대와 보조 지지대 사이의 상기 절개홀 상에는 일정 굵기로 그 폭 방향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리브를 더 형성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판체를 세우도록 상기 지지대 및 상기 보조 지지대를 굽히는 과정에서 절단하여 사용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대는, 상기 판체의 적어도 어느 일측 가장자리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이은 상기 관절부를 통해 연장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보조 지지대는 상기 판체의 하측 가장자리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이은 상기 관절부를 통해 연장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수적으로 상기 판체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돌출되어 고리 형상을 이루는 손잡이를 일체로서 더 형성하고, 상기 판체의 배면에는 벽면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걸이홈을 일체로서 더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체에는 전면으로 노출되는 화이트보드를 더 구비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상기 판체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굵기의 테두리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에는 상기 화이트보드 및 이미지를 갖는 보드 형상의 것을 상기 판체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선택적으로 끼워져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홀을 더 형성함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판체는 이웃하는 측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관절부에 의해 상호 구분하여 상기 관절부를 기준하여 일정 부분이 포개어지게 접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상기 판체의 전면 또는 배면에는 일정 영역을 구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을 더 형성토록 하여 상호 포개어지는 사이에서 보드마카를 포함한 도구를 수용하는 공간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판체는 그 성형과정에서 상기 화이트보드가 일체로 융착하여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보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내지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보드의 구성 및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 사시도와 배면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구성으로부터 다른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과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액자형 보드의 활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자형 보드(10a, 10b, 30a, 30b)는, 먼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두께와 면적 및 형상을 갖는 판체(12a, 12b, 32a, 32b)와 이 판체(12a, 12b, 32a, 32b)에서 일체로서 이루어져 연접하는 부위를 기준하여 일정 각도범위로 굽어지는 지지대(14a, 14b, 34a, 34b)를 구비한다. 또한 상술한 판체(12a, 12b, 32a, 32b) 또는 지지대(14a, 14b, 34a, 34b) 중 어느 하나에는 그와 일체로서 연접하여 일정 각도범위로 굽어지고, 상대측 방향 소정 부위가 형성 위치에 상대적으로 대응하는 지지대(14a, 14b, 34a, 34b) 또는 판체(12a, 12b, 32a, 32b)와 결합하는 보조 지지대(16a, 16b, 16c, 36a, 36b)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술한 보조 지지대(16a, 16b, 16c, 36a, 36b)는 판체(12a, 12b, 32a, 32b)와 지지대(12a, 12b, 32a, 32b)의 사이에서 어느 일측은 판체(12a, 12b, 32a, 32b) 또는 지지대(14a, 14b, 34a, 34b) 중 어느 하나와 연접하고, 상대측 부위는 다른 하나와 결합하여 판체(12a, 12b, 32a, 32b)에 대한 지지대(14a, 14b, 34a, 34b)의 굽은 각도를 유지시키는 구성을 이룬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술한 판체(12a, 12b, 32a, 32b)와 지지대(14a, 14b, 34a, 34b)가 상호 연접하는 부위는 물론이고, 판체(12a, 12b, 32a, 32b)와 보조 지지대(16a, 16b, 16c, 36a, 36b)가 상호 연접하는 부위 또는 지지대(14a, 14b, 34a, 34b)와 보조 지지대(16a, 16b, 16c, 36a, 36b)가 상호 연접하는 부위는, 각각 어느 하나를 기준하여 상대측이 유연하게 굽어지도록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한 관절부(18a, 18b, 18c, 38a, 38b, 38c, 38d)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액자형 보드(10a, 10b, 30a, 30b)를 이루는 각 구성부의 소재가 유연하게 굴곡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상술한 관절부(18a, 18b, 18c, 38a, 38b, 38c, 38d)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이라고 할 수 없겠으나 관절부(18a, 18b, 18c, 38a, 38b, 38c, 38d)는 판체(12a, 12b, 32a, 32b)에 대한 지지대(14a, 14b, 34a, 34b) 또는 판체(12a, 12b, 32a, 32b)에 대한 보조 지지대(16a, 16b, 16c, 36a, 36b) 및 지지대(14a, 14b, 34a, 34b)에 대한 보조 지지대(16a, 16b, 16c, 36a, 36b)의 굽힘에 있어서 판체(12a, 12b, 32a, 32b)의 평평한 형상을 유지토록 함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관절부(18a, 18b, 18c, 38a, 38b, 38c, 38d)의 유무에 관계없이 판체(12a, 12b, 32a, 32b)의 평평한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배면을 포함하여 특정 부위에 허니컴 구조의 보강리브(도시 안됨)를 더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관절부(18a, 18b, 18c, 38a, 38b, 38c, 38d)와 관절부(18a, 18b, 18c, 38a, 38b, 38c, 38d) 주연 부위는 각 구성부의 굽힘에 대하여 간섭됨을 방지하도록 보강리브의 형성 위치 및 형상에 대한 설계가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액자형 보드(10a, 10b, 30a, 30b)의 실시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한 액자형 보드(10a, 10b)의 구성은, 지지대(14a, 14b)와 보조 지지대(16a, 16b, 16c)가 판체(12a, 12b) 내의 일부 영역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대(14a, 14b)는, 그 형상과 형성위치에 대응하는 판체(12a, 12b)의 소정 부위에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관절부(18a, 18b)를 형성하고, 이 관절부(18a, 18b)의 양단에서 희망하는 지지대(14a, 14b)의 형상을 따라 판체(12a, 12b)를 관통하는 절개홀(20a, 20b, 20c)을 형성함으로써 그 상술한 관절부(18a, 18b)와 함께 외측의 판체(12a, 12b)와 구분되는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술한 절개홀(20a, 20b, 20c)은 일정 폭과 길이 및 형상으로 판체(12a, 12b)를 관통하며 길이 방향 양단이 관절부(18a, 18b)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어지고, 이로부터 지지대(14a, 14b)의 형상은 관절부(18a, 18b)와 절개홀(20a, 20b, 20c)이 이루는 경계의 내측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한 상술한 절개홀(20a, 20c)에 의한 지지대(14a, 14b)의 형상은, 알파벳 " T "자 형상으로 나타나 있으나 그 형상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도시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더불어 보조 지지대(16a, 16b, 16c)는, 그 형상과 형성위치가 상술한 지지대(14a)의 내측 있는 제 1 예와 상술한 지지대(14a, 14b)에 일정 간격으로 근접하는 판체(12a) 상에 형성한 제 2 예 및 상술한 지지대(14a, 14b)의 측부에서 관절부(18b)와 함께 연장 형성한 제 3 예로 구분할 수 있다.
상술한 제 1 예 따른 보조 지지대(16a)는, 도 1 또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4a)의 내측 영역 내에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관절부(18b)를 형성한다. 그리고 관절부(18b)의 양단에서 희망하는 보조 지지대(16a)의 형상을 따라 지지대(14a)를 관통하는 절개홀(20b)을 형성함으로써 관절부(18b)와 절개홀(20b)이 이루는 영역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 예의 구성에서 판체(12a)와 지지대(14a) 및 보조 지지대(16a) 사이의 결합관계 구성은, 지지대(14a)의 영역 내에서 제 2 관절부(18b)를 통해 일측이 연접하는 보조 지지대(16a)의 상대측 단부에는 걸림돌기 또는 걸림홀(22a)을 형성하고, 지지대(14a)의 굽은 각도와 보조 지지대(16a)의 굽은 각도에 의해 보조 지지대(16a)의 단부가 대응하는 판체(12a)의 배면에는 상술한 걸림돌기 또는 걸림홀(22a)과 대응하여 걸림 결합되는 걸림홀 또는 걸림돌기(24a)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호 끼워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걸림돌기(24a)와 걸림홀(22a)의 배치관계는, 판체(12a)의 전면에 화이트보드(26)가 장착됨에 대응하여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걸림돌기(24)는 판체(12a)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보조 지지대(16a)의 단부에는 걸림홀(22a)을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걸림돌기(24a)와 걸림홀(22a)의 배치에 있어서, 판체(12a)에 걸림홀을 형성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보조 지지대(16a) 상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의 돌출길이는 걸림홀을 통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걸림홀을 대신하여 걸림홈으로 대체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제 2 예는, 도 1 또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4a)가 연접하는 관절부(18a)를 편의상 제 1 관절부라 하고, 보조 지지대(16b)가 연접하는 관절부(18b)를 제 2 관절부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2 관절부(18b)는 제 1 관절부(18a)를 기준하여 굽어지는 지지대(14a)의 측부 즉, 절개홀(20a)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근접한 위치에 형성한다. 또한 보조 지지대(16b)에는 제 1 관절부(18a)를 기준한 지지대(16a)의 굽는 각도에 대응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홀(22b)을 소정 간격으로 형성한 것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지지대(16b)는 측부에 제 1 관절부(18a)를 기준하여 굽어짐에 따라 그 굽은 각도에 대응하여 각 결합홀(22b)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걸림돌기(24b)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제 3 예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체(12b)에 대하여 지지대(14b)가 연접하는 관절부(18a)를 편의상 제 1 관절부라 하고, 보조 지지대(16c)가 연접하는 관절부(18b)를 제 2 관절부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2 관절부(18b)는 제 1 관절부(18a)를 기준하여 굽어지는 지지대(12b)의 측부에 연접하도록 연장 형성한다. 또한 절개홀(20c)은 제 1 관절부(18a)의 양단에서 보조 지지대(16c)의 외측 경계와 지지대(14b)의 경계 영역을 따라 형성한다. 그리고 보조 지지대(16c)의 측부에는 걸림돌기(24c)를 형성하고, 판체(12b)에는 제 2 관절부(18b)를 기준하여 보조 지지대(16c)의 굽어지는 각도에 따라 걸림돌기(24c)와 대응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홀(22c)을 소정 간격으로 형성한 것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의 구성에 더하여 판체(12a, 12b)와 지지대(14a, 14b) 사이, 판체(12a, 12b)와 보조 지지대(16a, 16b, 16c) 사이 또는 지지대(14a, 14b)와 보조 지지대(16a, 16b, 16c) 사이를 구분하는 각 절개홀(20a, 20b, 20c) 상에는 일정 굵기로 절개홀(20a, 20b, 20c)의 폭 방향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연결리브(28)를 더 형성한다. 이러한 연결리브(28)는 판체(12a, 12b)를 세우도록 지지대(14a, 14b) 및 보조 지지대(16a, 16b, 16c)를 굽히는 과정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절단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액자형 보드(30a, 30b)는, 상술한 지지대(34a, 34b)와 보조 지지대(36a, 36b)가 판체(32a, 32b)의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관절부(38a, 38b, 38c, 38d)를 통해 연이어 연장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대(34a, 34b)는 판체(32a, 32b)의 적어도 어느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이은 관절부(38a, 38b, 38c, 38d)를 통해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상한 형상을 이루고, 상술한 보조 지지대(36a, 36b)는 판체(32a, 32b)의 하측 가장자리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이은 관절부(38a, 38b, 38c, 38d)를 통해 연장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대(34a, 34b)와 보조 지지대(36a, 36b)는 판체(32a, 32b)의 배면으로 굽어져 상호 결합하는 구성을 이룬다. 이러한 지지대(34a, 34b)와 보조 지지대(36a, 36b) 사이의 결합구성을 살펴보면, 지지대(34a, 34b)의 소정 위치에는 걸림홀(40a) 또는 걸림홈(40b)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보조 지지대(36a, 36b)의 측부에는 상술한 걸림홀(40a) 또는 걸림홈(40b)에 대하여 걸림 결합이 있도록 하는 걸림돌기(42)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액자형 보드(10a, 10b, 30a, 30b)의 구성에 더하여 판체(12a, 12b, 32a, 32b)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일정한 굵기의 테두리부(44a, 44b, 44c, 44d)를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테두리부(44a, 44b, 44c, 44d)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일체로서 돌출시킨 고리 형상의 손잡이(46)를 더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판체(12a, 12b, 32a, 32b)의 배면에는 벽면에 걸 수 있도록 하는 홈 또는 홀 형상의 걸이부(48)를 일체로서 더 형성함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판체(12a, 12b, 32a, 32b)의 전면에는 화이트보드(26)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화이트보드(26)는 판체(12a, 12b, 32a, 32b)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테두리부(44a, 44b, 44c, 44d)의 일측에 화이트보드(26) 및 이미지를 갖는 다른 보드(26') 형상의 것을 판체(12a, 12b, 32a, 32b)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끼워 넣거나 그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장착홀(50)을 더 형성함으로써 선택적으로 보드 형상의 것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효과적이다.
특히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액자형 보드(30a, 30b)는, 화이트보드(26)를 포함한 액자형 보드(30a, 30b)의 성형과정에서 사출금형 내의 설정위치에 정렬시킨 상태에서 판체(32a, 32b)로서 형성되는 수지와 일체로 융착되게 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과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판체(12a, 12b)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개수로 구분되게 형성하고, 이들 중 이웃하는 측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부(18c)에 의해 펼쳐질 수 있고, 또는 굽어짐에 의해 상호간에 적어도 일정 부분이 포개어지게 접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각 판체(12a, 12b)의 가장자리 또는 상호 대향하여 접히는 부위 중 특정 부위에 상호간에 접힌 상태를 유지토록 걸림돌기(24d) 또는 걸림홀(22d)을 포함한 연결수단(52)을 더 형성 또는 구비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결수단(52)으로서 별도의 자석을 더 구비하는 것으로 이용될 수 있고, 밴드 형상의 것이나 고리 형상의 것을 부가적으로 더 구비하거나 판체(12a, 12b)의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연장 형성한 것으로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이웃하는 판체(12a, 12b)를 펼쳐서 사용하거나 벽면에 늘어뜨려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호간에 포개어지게 접을 경우 그 운반과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각 판체(12a, 12b) 노출되는 각 전면이 전· 후 배치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그 활용도를 보다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판체(12a, 12b, 32a, 32b)의 전면 또는 배면의 소정 부위에는 일정 영역을 분리 구분토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54)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들 격벽(54)에 의해 분리 구분되는 영역은, 도 1 또는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판체(12a, 12b)들이 상호 포개어짐에 의해 보드마카를 포함한 각종 도구의 수용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의 설명에서 언급하지 않았으나 도면에 도시한 도면 부호 (24e)는 지지대(14a, 14b) 또는 보조 지지대(16a, 16b)의 배면으로부터 돌출시켜 간이손잡이로서 활용토록 하는 걸림돌기(24e)이며, 이는 지지대(14a, 14b) 또는 보조 지지대(16a, 16b)를 굽히도록 하는 과정에서 초기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판체(12a, 12b)로부터 들뜬 위치까지 굽히도록 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액자형 보드를 이루는 판체에서 지지대와 보조 지지대가 일체로서 연장 형성되어 이들이 판체로부터 소망하는 각도로 굽어져 상호 결합 유지되는 구성을 이룸에 따라 단일의 사출 금형으로 제조가 용이한 경제적 이점 뿐 아니라 포장의 단순화와 적재부피의 축소가 이루어지며, 판체를 포함하여 단일체로서 연접하는 각 구성부를 이용한 제품의 활용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그 변형이나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보드의 구성 및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판체 중 지지대와 보조지지대 사이의 연결 관계 실시예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한 Ⅳ-Ⅳ 선을 기준하여 액자형 보드를 이루는 각 구성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구성으로부터 다른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액자형 보드의 활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Claims (15)

  1. 소정 두께와 면적 및 형상을 갖는 판체;
    상기 판체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판체에 대하여 연접하는 부위를 기준하여 일정 각도로 굽어지는 지지대;
    일측이 상기 판체 또는 지지대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서 연접하여 일정 각도로 굽어지고, 상대측 방향 소정 부위가 다른 하나와 결합하는 보조 지지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판체 또는 지지대에 대한 상기 보조 지지대의 결합은 상기 판체에 대한 상기 지지대의 굽은 각도가 유지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와 지지대가 상호 연접하는 부위와 더불어 상기 판체와 보조 지지대가 상호 연접하는 부위 또는 상기 지지대와 보조 지지대가 상호 연접하는 부위 중 어느 한 부위는, 각각 어느 하나를 기준하여 상대측이 유연하게 굽어지도록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한 관절부로 이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액자형 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판체의 영역 내에서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상기 관절부를 형성하고, 일정 폭과 길이 및 형상으로 상기 판체를 관통하며 길이 방향 양단이 상기 관절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어지는 절개홀을 형성하여, 상기 관절부와 절개홀이 이루는 경계의 내측으로 상기 판체로부터 구분되는 부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액자형 보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대는, 상기 판체 또는 지지대 중 어느 하나의 영역 내에서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상기 관절부를 형성하고, 일정 폭과 길이 및 형상으로 상기 관절부 형성 위치의 상기 판체 또는 지지대를 관통하며 길이 방향 양단이 상기 관절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어지는 절개홀을 형성하여, 상기 관절부와 절개홀이 이루는 경계의 내측으로 그 형성 위치의 상기 판체 또는 지지대로부터 구분되는 부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액자형 보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연접하는 상기 관절부를 제 1 관절부로 하고, 상기 보조 지지대가 연접하는 상기 관절부를 제 2 관절부로 구분하고,
    상기 판체의 영역 내에 형성한 상기 제 2 관절부는, 상기 지지대의 측부에 대응하는 상기 절개홀과 일정 간격으로 근접하게 형성하고, 상기 보조 지지대 상에는 상기 지지대의 굽는 각도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 1 관절부를 기준으로 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홀을 소정 간격으로 더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의 측벽에는 상기 제 1 관절부를 기준하여 굽어짐에 따라 상기 각 결합홀에 순차적으로 대응하여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더 돌출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액자형 보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연접하는 상기 관절부를 제 1 관절부로 하고, 상기 보조 지지대가 연접하는 상기 관절부를 제 2 관절부로 구분하고,
    상기 지지대의 영역 내에서 상기 제 2 관절부를 통해 연접하는 상기 보조 지지대의 단부에는 돌기 또는 홀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의 굽은 각도와 상기 보조 지지대의 굽은 각도에 의해 상기 보조 지지대의 단부가 대응하는 상기 판체의 배면에는 상기 돌기 또는 홀에 대응하여 걸림 결합하는 끼움홀 또는 끼움돌기를 복수 개수와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상호 끼우는 것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액자형 보드.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와 지지대 사이, 상기 판체와 보조 지지대 사이 또는 상기 지지대와 보조 지지대 사이의 상기 절개홀 상에는 일정 굵기로 그 폭 방향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리브를 더 형성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판체를 세우도록 상기 지지대 및 상기 보조 지지대를 굽히는 과정에서 절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액자형 보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판체의 적어도 어느 일측 가장자리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이은 상기 관절부를 통해 연장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액자형 보드.
  9. 제 2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대는 상기 판체의 하측 가장자리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이은 상기 관절부를 통해 연장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액자형 보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돌출되어 고리 형상을 이루는 손잡이를 일체로서 더 형성하고, 상기 판체의 배면에는 벽면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걸이홈을 일체로서 더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액자형 보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에는 전면으로 노출되는 화이트보드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액자형 보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굵기의 테두리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에는 상기 화이트보드 및 이미지를 갖는 보드 형상의 것을 상기 판체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선택적으로 끼워져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홀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액자형 보드.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는 이웃하는 측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관절부에 의해 상호 접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액자형 보드.
  14. 제 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의 전면 또는 배면에는 일정 영역을 구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액자형 보드.
  15. 제 8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는 상기 화이트보드가 그 성형과정에서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액자형 보드.
KR20-2005-0004312U 2005-02-17 2005-02-17 액자형 보드 KR2003838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312U KR200383881Y1 (ko) 2005-02-17 2005-02-17 액자형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312U KR200383881Y1 (ko) 2005-02-17 2005-02-17 액자형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881Y1 true KR200383881Y1 (ko) 2005-05-10

Family

ID=4368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312U KR200383881Y1 (ko) 2005-02-17 2005-02-17 액자형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8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919B1 (ko) 2009-10-22 2010-08-31 임성희 액자
KR200483484Y1 (ko) * 2016-03-21 2017-05-19 이경순 받침대의 접힘 상태가 유지되는 액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919B1 (ko) 2009-10-22 2010-08-31 임성희 액자
KR200483484Y1 (ko) * 2016-03-21 2017-05-19 이경순 받침대의 접힘 상태가 유지되는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9741B1 (en) Collapsible container
US9468294B2 (en) Structure of expandable corrugated storage shelf system
US5125867A (en) Toy blocks made of folded material with attached protrusions
KR200383881Y1 (ko) 액자형 보드
JP3811526B2 (ja) 連結式ケース及びそのケースの製造方法
US20050016091A1 (en) Tenon-snap joint structure for glass panel mounting frames
JP7315203B2 (ja) 段ボール製棺
KR102113337B1 (ko) 봉제 파티션
KR101056522B1 (ko) 장식용 조립식상자
JP2002002667A (ja) 段ボール製トレー
KR20170002780U (ko) 사각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KR102276961B1 (ko) 종이액자용 템플릿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종이액자
KR100318048B1 (ko) 조립식칸막이
KR200489871Y1 (ko) 종이 액자
JPH11222233A (ja) 組立式コンテナ
KR200402534Y1 (ko) 힌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박스
JP2007099325A (ja) 組立式コンテナ用パネルセットおよび組立式コンテナ
JP2003335335A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KR200241706Y1 (ko) 수납함
KR200195589Y1 (ko) 간이구조물용 부재
CN117446338A (zh) 一种分配器
JP4015515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AU2022338503A1 (en) Composite board, furni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JP2571154Y2 (ja) 組立棚用の棚板
KR200152602Y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바구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