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490B1 - 액자 - Google Patents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490B1
KR100674490B1 KR1020050001773A KR20050001773A KR100674490B1 KR 100674490 B1 KR100674490 B1 KR 100674490B1 KR 1020050001773 A KR1020050001773 A KR 1020050001773A KR 20050001773 A KR20050001773 A KR 20050001773A KR 100674490 B1 KR100674490 B1 KR 100674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cture frame
opening
closing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3148A (ko
Inventor
서경종
Original Assignee
서경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종 filed Critical 서경종
Publication of KR20050103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7Picture frames having means for fixing the picture or backing to the frame, e.g. clips, nails or the lik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액자는 각종 그림, 문서 및 액세서리 소도구 등의 전시물을 수납하여 전시하는 액자에 있어서,
양측단을 대칭으로 테이퍼지게 형성시키고 일측면에는 내입홈(111)을 길이방향으로 형성시키면서 그 후방으로 돌출턱(112)을 일체로 형성시킨 틀부재(110)를 복수개로 구비하여 이를 한개 조로 조합시킨 틀(100)과, 상기 틀(100)의 내입홈(111)에 결합되는 투명창(120)과, 상기 틀(100)의 후방에 경첩(131)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판(130)으로 구성한다.
액자, 전시물, 보관,

Description

액자{Fram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액자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액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액자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액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액자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액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자 11 : 전시물
100 : 틀 110 : 틀부재
111 : 내입홈 112 : 돌출턱
114 : 이격판
120 : 투명창 130 : 개폐판
131 : 경첩 132 : 잠금쇠
133 : 걸이구 140 : 지지대
141 : 숫나사 142 : 고정구
143 : 암나사공 144 : 수납홈
150 : 보호판
본 발명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림, 각종 문서 및 액세서리 소도구 등을 내부에 수납하여 전시 및 감상할 수 있는 액자의 틀에 투명창을 흔들림 없이 견고히 결합시키고 수납되는 전시물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액자는 유화(油畵) ·소묘(素描) ·수채화 ·판화 등의 회화작품을 끼워, 보존과 전시(展示), 이동을 위하여 쓰여지는 틀을 말하는 것으로서, 그림 이외에도 각종 증서나 문서 등의 표지를 틀의 내부에 표구하여 이를 전시 및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액자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형체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직. 수평방향의 각 변에 틀부재(110)를 위치시킨 다음 틀부재(110)의 양끝단을 테이퍼지게 절개시킨 부분을 맞대어 복수개의 틀부재(110)가 상호 한개 조로 조합하여 장방형체의 틀(100) 형상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틀부재(110)의 전면에는 걸림턱(113)을 형성시켜 틀(100) 내부에 투명창(120)이 걸려 수납될 수 있도록 하고 그 후방으로 수납되는 전시물(11)과 투명창(120) 사이에는 전시물(11)에 시선을 집중시키기 위한 중심부가 개구된 이격판(114)을 내입시키되 전시물(11)은 틀(100)의 후방에 결합한 개폐판(130)의 전면에 테이프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킨다.
여기서 개폐판(130)은 틀(100)의 상·하부에 체결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잠금쇠(132)를 통하여 틀(100) 내부에 적층되어 수납된 개폐판(130), 이격판(114) 및 투명창(12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액자(10)는 전시될 전시물(11)을 표구 할 때나 교체할 때 잠금쇠(132)를 회전시켜 개폐판(130)을 틀(100)에서 완전 분리시킨 다음 액자(10)를 뒤집어 이격판(114)과 투명창(120) 및 전시물(11) 전부를 외부로 인출한 다음 전시물(11)을 교체한다.
또한, 교체한 전시물(11)을 액자(10) 내부에 수납할 때는 먼저 투명창(120)을 틀(100) 내부에 수납시킨 다음 그 후방으로 이격판(114), 전시물(11)을 부착한 개폐판(130)를 차례로 적층시킨 후 잠금쇠(132)를 회전시켜 개폐판(130)를 틀(100)에 고정 단속하는 것으로 액자(10)에 전시물(11)의 교체작업을 완료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액자는 전시물(11)을 교체 할 때 틀(100) 내부에 수납시킨 개폐판(130), 이격판(114), 투명창(120)을 전부 외부로 반출시킨 다음 전시물(11)을 교체 할 수 밖에 없어 전시물(11) 교체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시물(11) 교체 작업 시 부주의로 투명창(120)을 깨뜨리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액자(10)의 보관 및 유지보수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액자(10)에 소요되는 구성부품의 개수가 많아져 생산비용 및 제조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입홈을 형성시킨 복수개의 틀부재를 한개 조로 조합하여 다각형 형상의 틀을 완성시킬 때 틀부재의 내입홈에 투명창을 결합시켜 액자의 틀부재에 투명창이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액자에 전시물을 교체할 때마다 사용자의 부주위에 의해 투명창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액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자의 후방에 경첩을 통하여 커버를 결합하여 손쉽게 전시물 관리할 수 있는 액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자의 틀부재에 내입홈과 그 후방으로 돌출턱을 일체로 돌출시켜 간단하게 투명창 및 전시물을 한번에 고정시킬 수 있어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액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면에 지지대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벽에 걸어두거나 탁상에 올려놓을 수 있는 등 액자의 전시, 감상, 보관 및 공간 활용도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액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액자는 각종 그림, 문서 및 액세서리 소도구의 전시물을 수납하여 전시하는 액자에 있어서, 양측단을 대칭으로 테이퍼지게 형성시키고 일측면에는 내입홈을 길이방향으로 형성시키면서 그 후방으로 돌출턱을 일체로 형성시킨 틀부재를 복수개로 구비하여 이를 한개 조로 조합시킨 틀과, 상기 틀의 내입홈에 결합되는 투명창과, 상기 틀의 후방에 경첩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개폐판의 하부에는 내부 중심에 암나사공을 형성시킨 고정구를 고정시켜 일측단에 숫나사를 형성시킨 지지대를 선택적으로 체결하여 액자를 평탄한 지면 위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개폐판에 결합시킨 고정구의 측방으로 지지대와 동일한 크기의 수납홈을 형성시켜 액자를 벽에 걸어 둘 경우 지지대를 고정구에서 분리하여 수납홈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자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액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액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액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액자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액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5 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액자는 각종 그림, 문서 및 액세서리 소도구 등의 전시물을 수납하여 전시하는 액자에 있어서, 양측단을 대칭으로 테이퍼지게 형성시키고 일측면에는 내입홈(111)을 길이방향으로 형성시키면서 그 후방으로 돌출턱(112)을 일체로 형성시킨 틀부재(110)를 복수개로 구비하여 이를 한개 조로 조합시킨 틀(100)과, 상기 틀(100)의 내입홈(111)에 결합되는 투명창(120)과, 상기 틀(100)의 후방에 경첩(131)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판(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삭제
여기서, 복수개의 틀부재(110)는 테이퍼지게 형성시킨 양측단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시켜 일정한 도형을 이루고 그 중심부가 개구된 상태로 형상화시킨 틀(100)을 완성한다.
이때. 틀부재(110)의 테이퍼진 양측단의 테이퍼 각도를 원하는 다각형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정하면 삼각형. 육각형 등의 틀(100)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틀(100)의 형상은 다각형으로 국한하는 하지 않고 원형 및 타원형으로도 그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틀(100)의 형상을 사각형으로 할 때에는 툴부재(110) 양측단의 테이퍼각도를 45도로 절개하여 각각의 틀부재(110)의 양측단을 맞붙여 틀(100) 형상이 직사각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육각형 일 때에는 틀부재(110) 양측단의 테이퍼각도를 30도로 절개하여 틀부재(110)의 다각형 형상을 선택적으로 손쉽게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납홈(144) 및 돌출턱(112)를 일체로 형성시킨 틀부재(110)를 다수개로 하여 이를 한개 조로 다각형 형상으로 조합시킬 때 투명창(120)을 다수개의 틀부재(110)에 각각 형성된 수납홈(111) 내부에 내입시켜 틀(100)과 투명창(120)의 고정력을 보다 견고히 하여 투명창(120)이 흔들리거나 외부로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였다.
여기서, 전시물(11)의 시선 집중을 위하여 종래에는 이격판(114)을 별도로 구비하여 액자(10)의 구성부품의 수가 추가되었으나, 본 발명의 액자(10)는 틀부재(110)에 돌출턱(112)을 일체로 형성시켜 구성부품의 개수를 줄이고 또한 틀부재(110)에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서 전시물(11)의 교체 시 외부로 전시물(11)만 반출시켜 교체함으로서 전시물(11)의 교체작업이 수월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개폐판(130)의 하부에는 내부 중심에 암나사공(143)을 형성시킨 고정구(142)를 고정시켜 일측단에 숫나사(141)를 형성시킨 지지대(140)를 선택적으로 체결하여 액자(10)를 평탄한 지면 위에 안정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개폐판(130)에 결합시킨 고정구(142)의 측방에 지지대(140)와 동일한 크기의 수납홈(144)을 형성시키고 틀(100)의 상부에 걸이구(133)를 결합하여 액자(10)를 벽에 걸어 둘 경우 지지대(140)를 고정구(142)에서 분리하여 수납홈(144)에 수납한 다음 걸이구(133)를 통하여 액자(10)를 벽에 걸어둘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틀(100)의 하부에는 나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잠금쇠(132)를 결합하여 개폐판(130)이 틀(100)의 내부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잠금쇠(132)를 개폐판(130) 측으로 회전시켜 틀(100)에 개폐판(130)이 수납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자(10)는 전시물(11)을 교체할 때 잠금쇠(132)를 하방으로 회전시킨 다음 개폐판(130)을 틀(100)의 내부에서 회전시켜 이탈시키고 경사진 돌출턱(112)의 경사면에 의하여 수납상태가 고정된 전시물(11)을 외부로 반출하여 다른 전시물(11)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전시 방법에 있어 액자(10)를 평탄한 지면 등의 탁상위에 안착시킬 경 우에는 고정구(142)의 나사공(143)에 지지대(140)를 체결 결합하여 액자(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액자(10)를 벽에 걸 경우에는 고정구(142)에서 지지대(140)를 분리한 후 개폐판(130)에 형성시킨 수납홈(144)에 지지대(140)를 삽입하여 수납한 다음 개폐판(130)의 상부에 결합시킨 걸이구(133)를 통하여 벽 등에 걸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액자(10)의 전시, 감상 보관 등의 효과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액자(10)를 포장하여 보관 및 운반할 경우 투명창(120)의 전면에 보호판(150)을 맞대어 액자를 운반 시 외부의 충격에 의해 투명창(120)이 깨지는 문제점을 방지함과 동시에 투명창(120)을 보호하기 위한 액자(10)의 포장크기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자의 다른 실시예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판(130)의 뒷면에 보호판(150)의 두께 만큼의 가로로 지지홈(152)을 형성하여 지지대(140) 없이 보호판(150)을 지지홈(152)에 끼움으로써 보호판(150)이 액자(10)의 지지판 역활로 액자(10)를 세울수 있도록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자는 내입홈을 형성시킨 복수개의 틀부재를 한개 조로 조합하여 다각형 형상의 틀을 완성시킬 때 틀부재의 내입홈에 투명창을 결합시켜 액자의 틀부재에 투명창이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액자에 전시물을 교체할 때마다 액자 외부로 투명창을 인출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부주위에 의해 투명창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자의 후방에 경첩을 통하여 커버를 결합하여 손쉽게 전시물 관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액자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액자의 틀부재에 내입홈과 그 후방으로 돌출턱을 일체로 돌출시켜 간단하게 투명창 및 전시물을 한번에 고정시킬 수 있어 별도의 고정용 구성부품이 필요치 않아 액자의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액자의 후면에 지지대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액자를 벽에 걸어두거나 탁상에 올려놓을 수 있는 등 액자의 전시, 감상, 보관 및 공간 활용도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액자의 후면에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고 지지홈을 형성하여 보호판을 사용하여 지지홈에 끼워 지지판을 구성 할 수 있어 보호판을 따로 보관할 필요없이 보호판을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각종 그림, 문서 및 액세서리 소도구 등의 전시물을 수납하여 전시하는 액자에 있어서,
    양측단을 대칭으로 테이퍼지게 형성시키고 일측면에는 내입홈(111)을 길이방향으로 형성시키면서 그 후방으로 돌출턱(112)을 일체로 형성시킨 틀부재(110)를 복수개로 구비하여 이를 한개 조로 조합시킨 틀(100)과,
    상기 틀(100)의 내입홈(111)에 결합되는 투명창(120)과,
    상기 틀(100)의 후방에 경첩(131)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판(130)으로 구성되고,
    상기 개폐판(130)의 하부에는, 평탄한 지면 위에 안정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도록 내부 중심에 암나사공(143)을 형성시킨 고정구(142)를 고정시켜 일측단에 숫나사(141)를 형성시킨 지지대(140)를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130)에는 고정구(142)의 측방에 상기 지지대(140)를 수납하도록지지대(140)와 대체로 같은 크기의 수납홈(14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4. 삭제
KR1020050001773A 2004-04-23 2005-01-07 액자 KR100674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283 2004-04-23
KR20040028283 2004-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148A KR20050103148A (ko) 2005-10-27
KR100674490B1 true KR100674490B1 (ko) 2007-01-25

Family

ID=37281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773A KR100674490B1 (ko) 2004-04-23 2005-01-07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44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148A (ko)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5069B2 (en) Customization eyewear system for eyewear with multi-compartments
USD560396S1 (en) Cabinet for audio/video components
USD575531S1 (en) Wall-mountable structure
US10888181B1 (en) Shadow box assembly
USD524948S1 (en) Electrophoresis device
KR100674490B1 (ko) 액자
KR200464550Y1 (ko) 양면 분리형 액자
USD541189S1 (en) Pumpkin display device
KR20120013855A (ko) 자력착탈식 액자
US20070062088A1 (en) Picture frame
CA2499172A1 (en) Frame lid and container assembly with frame lid
US20120204460A1 (en) Easy open picture frame
KR200241983Y1 (ko) 액자
US8336242B2 (en) Convertible diploma/certificate holder and wall display
USD491733S1 (en) Picture frame
JP3215969U (ja) 吊り下げアクセサリーの展示用フレーム
JPH0340214Y2 (ko)
KR100622072B1 (ko) 장식물 케이스
JP3225947U (ja) 新規のアルバム収容箱
KR200420998Y1 (ko) 경량액자
KR200381055Y1 (ko) 안경걸이기
KR200440181Y1 (ko) 앨범 보관용 액자
KR20120006999U (ko) 액자
US20230389726A1 (en) Hinged display frame for a greeting card
JP3848667B2 (ja) 被展示物立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