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181Y1 - 앨범 보관용 액자 - Google Patents

앨범 보관용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181Y1
KR200440181Y1 KR2020070019048U KR20070019048U KR200440181Y1 KR 200440181 Y1 KR200440181 Y1 KR 200440181Y1 KR 2020070019048 U KR2020070019048 U KR 2020070019048U KR 20070019048 U KR20070019048 U KR 20070019048U KR 200440181 Y1 KR200440181 Y1 KR 200440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lbum
plate
back plat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근
Original Assignee
유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근 filed Critical 유상근
Priority to KR2020070019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1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1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A47G1/143Pivotable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66Frontloading 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수납되는 앨범을 보다 용이하게 넣거나 꺼낼 수 있도록 전면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액자문틀이 힌지 결합된 앨범 보관용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앨범 보관용 액자는 뒷면이 뒷판에 의해 막히고, 앨범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액자틀과 ; 상기 액자틀의 전면에 설치되데, 일측은 힌지수단에 의해 상기 액자틀에 힌지 고정되고, 타측에는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앨범이 노출될 수 있는 투시창이 형성된 액자문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액자, 앨범, 개폐가능, 액자문틀, 액자틀

Description

앨범 보관용 액자{frame for albums hanger}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앨범을 벽에 걸어 전시 또는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앨범 보관용 액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납되는 앨범을 보다 용이하게 넣거나 꺼낼 수 있도록 전면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액자문틀이 힌지 결합된 앨범 보관용 액자에 관한 것이다.
어떤 기록의 저장수단으로 사진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사진의 경우 앨범(album)이라는 보관 수단을 이용하여 보관되고 있다.
또한, 자주보는 사진이나 그림의 경우에는 액자에 넣어 벽이나 탁자 또는 책상에 걸거나 세워 보관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앨범에 보관된 사진은 액자에 넣어 수시로 볼 수 있도록 전시하기 위해서는 앨범에 보관된 사진이나 그림을 앨범으로부터 꺼내어 액자에 넣어야 하므로 많은 번거로움이 있어 액자에는 항상 같은 그림이나 사진만이 전시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들로 액자를 겸할 수 있는 앨범이나, 앨범을 넣어 관할 수 있는 액자 등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것들 중 앨범을 넣어 관한 수 있게 한 앨범용 액자의 경우 단순히 액자틀의 두께만을 두껍게 하여 내부에 앨범을 넣을 수 있게 한 것으로 펼쳐진 사진을 바꾸기 위해서는 액자를 벽에서 떼어 뒷판을 분리한 후 앨범을 액자로부터 꺼내어 원하는 사진이 보이게 펼 친 후 다시 액자틀에 넣고, 뒷판을 덮어야 함으로 사진을 바꾸는 데 많은 불편이 있었다.
더욱이 기존의 앨범용 액자의 경우 뒷판을 분리하기 위해 다수의 고정수단을 해체하여야 하고, 이렇게 고정수단의 해체 작업이 번거로워 사진을 바꾸어 전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앨범을 액자로부터 용이하게 꺼내어 전시할 사진이나 그림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한 앨범 보관용 액자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액자 틀에 개폐 가능하게 액자문틀을 힌지 결합하여 액자문틀을 개방한 후 앨범의 해당페이지로 넘겨 전시될 수 있는 그림이나 사진이 바뀌게 한 후 액자문틀을 닫는 것으로 전시되는 내용을 쉽게 바꿀 수 있게 한 앨범 보관용 액자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앨범 보관용 액자는 뒷면이 뒷판에 의해 막히고, 앨범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액자틀과 ; 상기 액자틀의 전면에 설치되데, 일측은 힌지수단에 의해 상기 액자틀에 힌지 고정되고, 타측에는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앨범이 노출될 수 있는 투시창이 형성된 액자문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액자 틀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고정된 액자문틀을 설치하여 용이하게 액자문틀을 개폐시킬 수 있음으로서 내부의 앨범을 용이하게 꺼내거나 넣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앨범의 페이지를 쉽게 넘길 수 있어 전시되는 내용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액자문틀을 외부로 들어나는 면에 형성함으로서 벽에 결린 액자를 떼어내지 않고 액자문틀만을 열은 후 앨범을 넘겨 사진이나 그림을 바꿀수 있게 함으로서 더욱 쉽게 전시 내용을 바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앨범 보관용 액자를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앨범 보관용 액자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앨범 보관용 액자의 일예를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앨범 보관용 액자에 앨범을 넣은 상태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앨범 보관용 액자를 액자문틀을 개방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앨범 보관용 액자에 앨범을 넣은 상태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고안에 따른 앨범 보관용 액자의 다른 일예를 사시도이고, 도 7은 고안에 따른 앨범 보관용 액자의 또 다른 일예를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앨범 보관용 액자는 앨범이 넣어지는 공간을 갖는 액자틀(1)과, 상기 액자틀(1)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hinge) 결합된 액자문틀(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액자틀(1)은 도 1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앨범이 넣어지는 공간이 형성된 틀체로서 뒷면이 뒷판(11)에 의해 막히고 전면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뒷판(11)은 얇은 판체로서 액자틀(1)의 뒷면 가장자리에 가장자리를 고정수단으로 고정하여 액자틀(1)에 고정된다.
상기 액자틀(1)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액자문틀(2)은 액자틀(1)의 내부에 넣어진 앨범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앨범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측이 액자틀(1)에 힌지 고정되어 있어 액자틀(1)에 대하여 개폐될 수 있다.
즉, 상기 액자문틀(2)은 힌지수단(22)에 의해 액자틀(1)과 결합되어 있어 힌지수단(22)을 중심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이 힌지수단(22)의 반대쪽에는 잠금수단(21)이 설치되어 있어 액자문틀(2)이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이 없이는 액자틀(1) 로부터 열리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힌지수단(22)은 도 1, 2, 4, 5 및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첩을 이용하거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핀을 이용할 수 있다.
경첩으로 힌지수단(22)을 구성할 경우에는 액자틀(1)과 액자문틀(2)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경첩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힌지핀을 힌지수단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자틀(1)과 액자문틀(2)의 서로 대향되는 부분에 힌지핀이 끼워질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고 힌지핀을 설치하여야 함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액자문틀(2)이 액자틀(1)의 내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작게 형성하여 액자문틀(2)의 바깥쪽 벽과 액자틀(1)의 안쪽 벽이 서로 대면된 상태가 되고, 이 서로 대향되는 면을 가로질러 힌지핀을 설치하여 액자문틀(2)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앨범 보관용 액자에 있어서, 액자문틀(2)이 힌지 고정되는 부분은 도시한 바와 같이 액자틀(1)의 상부나 하부 또는 좌우측의 어느 부분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자의 내부에 앨범을 넣을 경우 앨범이 액자틀(1)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렇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앨범을 눌러주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렇게 앨범을 눌러주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뒷판(11)의 내면에는 앨범의 뒷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앨범가압판(11a)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앨범가압판(11a)은 탄성으로 갖는 판체를 굽혀 형성된 것으로 뒷판(11) 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앨범의 뒷면을 지지하여 앨범이 액자문틀(2)측으로 밀리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뒷판(11)의 외면에는 액자틀(1)을 세워놓았을 때 액자틀(1)이 넘어지지 않게 하는 받침대(11b)가 절첩 가능하게 더 설치될 수 있다.
액자는 벽에 걸어놓은 상태로 사용되나 탁자나 테이블에 세워놓은 상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렇게 세워진 상태로 사용할 경우 액자가 전면으로 넣어질 수 있으므로 액자를 뒤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세워놓을 때 액자의 뒤를 받쳐 줄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11b)를 더 설치하였다.
상기 받침대(11b)는 상기한 바와 같이 뒷판(11)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뒷판(11)에 대하여 접혀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받침대(11b)의 단부가 뒷판(11)으로부터 벌어질 수 있도록 상단이 뒷판(11)에 힌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액자문틀(2)은 상기한 바와 같이 액자의 내부에 들어있는 앨범의 해당 페이지가 외부로 보이게 투시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투시창으로 이물질이 들어가 앨범을 오염시킬 수 있다.
이렇게 투시창을 통해 이물질이 액자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액자문틀(2)의 중앙에 형성된 투시창에는 투명판(2a)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앨범이 얇은 투명 필름 등으로 구성되어 사진이나 그림이 보호될 경우에는 상기 투명판(2a)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액자틀(1)과 액자문틀(2) 사이에 설치된 잠금장치(21)는 다양하게 변형 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나, 그 일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액자문틀(2)에 설치된 걸림고리(21a)와, 액자틀(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고리(21a)에 걸리는 걸고리(21b)로 구성되거나, 상기 액자문틀(2)과 액자틀(1)에 서로 마주보고 설치된 금속판(21c)과 자석판(21d)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21)를 걸림고리(21a)와 걸고리(21b)로 구성될 경우에는 걸고리(21b)를 회동시켜 걸림고리(21a)에 걸고리(21b)가 걸리게 함으로서 액자문틀(2)이 액자틀(1)에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21)를 금속판(21c)과 자석판(21d)으로 구성할 경우 어느 일측에 설치된 자석판(21d)의 자력에 의해 금속판(21c)이 당겨짐으로 액자문틀(2)이 액자틀(1)에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앨범 보관용 액자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앨범 보관용 액자의 일예를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앨범 보관용 액자에 앨범을 넣은 상태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앨범 보관용 액자를 액자문틀을 개방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앨범 보관용 액자에 앨범을 넣은 상태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고안에 따른 앨범 보관용 액자의 다른 일예를 사시도이고,
도 7은 고안에 따른 앨범 보관용 액자의 또 다른 일예를 사시도이고,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액자틀
11 : 뒷판 11a : 앨범가압판 11b : 받침대
1a : 손잡이
2 : 액자문틀
21 : 잠금장치 21a : 걸림고리 21b : 걸고리
2a : 투명판 22 : 힌지수단

Claims (5)

  1. 뒷면이 뒷판(11)에 의해 막혀지고, 앨범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액자틀(1)과 ;
    상기 액자틀(1)의 전면에 설치되데, 일측은 힌지수단(22)에 의해 상기 액자틀(1)에 힌지 고정되고, 타측에는 잠금장치(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앨범이 노출될 수 있는 투시창이 형성된 액자문틀(2)을 포함하여 구성되데,
    상기 뒷판(11)의 내면에는 앨범의 뒷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판스프링 형태의 앨범가압판(11a)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보관용 액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문틀(2)의 중앙에 형성된 투시창은 투명판(2a)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보관용 액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22)은 경첩 또는 힌지핀임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보관용 액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21)은 액자문틀(2)에 설치된 걸림고리(21a)와, 액자틀(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고리(21a)에 걸리는 걸고리(21b)로 구성되거나,
    상기 액자문틀(2)과 액자틀(1)에 서로 마주보고 설치된 금속판(21c)과 자석판(21d)임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보관용 액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뒷판(11)의 외면에는 액자틀(1)을 세워놓았을 때 액자틀(1)이 넘어지지 않게 하는 받침대(11b)가 절첩 가능하게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보관용 액자.
KR2020070019048U 2007-11-27 2007-11-27 앨범 보관용 액자 KR2004401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048U KR200440181Y1 (ko) 2007-11-27 2007-11-27 앨범 보관용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048U KR200440181Y1 (ko) 2007-11-27 2007-11-27 앨범 보관용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181Y1 true KR200440181Y1 (ko) 2008-05-28

Family

ID=4164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048U KR200440181Y1 (ko) 2007-11-27 2007-11-27 앨범 보관용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1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63Y1 (ko) * 2018-11-19 2020-04-09 강미현 내부 액자가 구비된 앨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63Y1 (ko) * 2018-11-19 2020-04-09 강미현 내부 액자가 구비된 앨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555B2 (en) Case having an interchangeable cover
US5283967A (en) Multi-purpose display frame
US86677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tem
US4250640A (en) Picture frames
KR200440181Y1 (ko) 앨범 보관용 액자
US20180184818A1 (en) Transparent Display Frame
JP4118925B2 (ja) スタンド付き額縁
US20040226210A1 (en) Display and storage device
US20090300960A1 (en) Picture storage protection unit
KR200432199Y1 (ko) 액자
JP5054216B1 (ja) スケッチブック用額縁
JP3093980U (ja) アルバム用額
KR200233451Y1 (ko) 액자
KR200185092Y1 (ko) 개폐식 액자
KR20150000119U (ko) 다단형 액자
KR200237747Y1 (ko) 액자 겸용 증서 및 그림 보관함
US20230389726A1 (en) Hinged display frame for a greeting card
KR200200697Y1 (ko) 링 바인더식 앨범 액자
KR200242317Y1 (ko) 액자
JP3123040U (ja) 収納箱付額縁
KR100849996B1 (ko) 사진교체가 용이한 액자 겸 경대
KR200284614Y1 (ko) 액자가 구비된 수납장
ES2372129B1 (es) Proyector o dispensador de imágenes unido y contenido en cuadro de arte decorativo.
KR200275054Y1 (ko) 액자
JP3073280U (ja) 写真立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