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451Y1 - 액자 - Google Patents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451Y1
KR200233451Y1 KR2020000037202U KR20000037202U KR200233451Y1 KR 200233451 Y1 KR200233451 Y1 KR 200233451Y1 KR 2020000037202 U KR2020000037202 U KR 2020000037202U KR 20000037202 U KR20000037202 U KR 20000037202U KR 200233451 Y1 KR200233451 Y1 KR 200233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cture
pictures
opening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관
Original Assignee
김대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관 filed Critical 김대관
Priority to KR2020000037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4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451Y1/ko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장의 사진 또는 그림이 동시에 수납되어 이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액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일측에 힌지결합부(8)가 마련되고 중앙부에는 개구부(6)가 형성된 전면프레임(2)과, 이 전면프레임(2)의 힌지결합부(8)에 힌지결합되고 그 내측면 중앙부에는 다수장의 사진을 동시에 수납할 수 있도록 소정깊이의 홈으로 형성된 사진수납부(10)가 마련된 후면프레임(4)과, 상기 전면프레임(2)의 개구부(6)에 구비된 유리판(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후면프레임(2,4)을 개폐하여 후면프레임(4)의 사진수납부(10)에 구비된 다수장의 사진 또는 그림(14) 중 원하는 사진 또는 그림(14)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액자{picture frame}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장의 사진 또는 그림이 동시에 수납되어 이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 또는 그림 등을 수납하여 벽 등에 걸어서 전시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액자는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한 장의 사진 또는 그림만이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기존에 내장되어 있는 사진이나 그림 등의 작품을 새로운 작품으로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벽에 걸려있는 액자를 내려서 새 작품과 교체후 다시 벽에 걸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새로운 그림이나 사진 등의 작품을 수납하는 과정에서는 액자의 후면판을 드라이버 등과 같은 도구로 나사를 풀은 다음 개폐를 하게 되고, 그 후에 새로운 그림이나 사진 등을 수납한 후 액자의 후면판을 다시 드라이버 등과 같은 도구로 체결하여 벽 등에 걸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액자의 개폐가 용이하면서도 다수장의 사진 또는 그림이 동시에 수납되어 언제든지 원하는 사진 또는 그림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따른 작용상태 분리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전면프레임 4. 후면프레임
6. 개구부 8. 힌지결합부
10. 사진수납부 12. 유리판
본 고안에 따르면, 일측에 힌지결합부(8)가 마련되고 중앙부에는 개구부(6)가 형성된 전면프레임(2)과, 이 전면프레임(2)의 힌지결합부(8)에 힌지결합되고 그 내측면 중앙부에는 다수장의 사진을 동시에 수납할 수 있도록 소정깊이의 홈으로 형성된 사진수납부(10)가 마련된 후면프레임(4)과, 상기 전면프레임(2)의 개구부(6)에 구비된 유리판(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후면프레임(2,4)을 개폐하여 후면프레임(4)의 사진수납부(10)에 구비된 다수장의 사진 또는 그림(14) 중 원하는 사진 또는 그림(14)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자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따른 작용상태 분리사시도이고, 도 2와 도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와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액자는 일측에 힌지결합부(8)가 마련되고 중앙부에는 개구부(6)가 형성된 전면프레임(2)과, 이 전면프레임(2)의 힌지결합부(8)에 힌지결합되고 그 내측면 중앙부에는 다수장의 사진을 동시에 수납할 수 있도록 소정깊이의 홈으로 형성된 사진수납부(10)가 형성된 후면프레임(4)과, 상기 전면프레임(2)의 개구부(6)에 구비된 유리판(12)과, 상기 전후면프레임(4) 사이에 구비되고 힌지결합부(8)에 힌지결합되는 중간프레임(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프레임(2)은 대략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에는 힌지결합부(8)가 마련되어 상기 후면프레임(4) 및 중간프레임(5)과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2)의 중앙부에는 대략 사각형태의 개구부(6)가 형성되며, 이 전면프레임(2)의 개구부(6) 배면에는 사진을 보호하기 위한 유리판(12)이 구비된다.
상기 후면프레임(4)은 그 일측에 상기 전면프레임(2)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8)가 마련되고, 그 내측면 중앙부에는 다수장의 사진 또는 그림을 동시에 수 납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된 사진수납부(10)가 마련된다. 또한, 이 사진수납부(10)의 둘레부에는 상기 중간프레임(5)이 결합될 수 있는 중간프레임 결합홈(11)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프레임(5)은 상기 전후면프레임(4) 사이에 구비되고 그 일측에는 힌지결합부(8)가 마련되어 상기 전후면프레임(4)에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중간프레임(5)은 후면프레임(4)에 형성된 중간프레임 결합홈(11)에 밀착결합되어 사진수납부(10)에 수납된 사진 또는 그림(14)이 고정되도록 해주며, 그 중앙부에는 상기 사진수납부(10)에 수납된 사진 또는 그림(14)이 투시될 수 있는 대략 사각형태의 개구부(7)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상기 액자는 전후면프레임(4)과 그 사이에 구비된 중간프레임(5)이 서로 힌지결합되어 그 개폐가 용이하고, 상기 후면프레임(4)의 내측면에는 다수장의 사진 또는 그림을 동시에 수납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된 사진수납부(10)가 마련되어 이 사진수납부(10)에 다수장의 사진 또는 그림(14)을 수납하여 두었다가 필요시에 원하는 사진을 맨 앞으로 올려 놓기만 하면 되므로 사진 또는 그림의 교체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액자는 전후면프레임과 중간프레임의 일측이 서로 힌지결합되어 그 개폐가 용이하고, 다수장의 사진 또는 그림을 동시에 수납할 수 있어 언제든지 원하는 사진 또는 그림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일측에 힌지결합부(8)가 마련되고 중앙부에는 개구부(6)가 형성된 전면프레임(2)과, 이 전면프레임(2)의 힌지결합부(8)에 힌지결합되고 그 내측면 중앙부에는 다수장의 사진을 동시에 수납할 수 있도록 소정깊이의 홈으로 형성된 사진수납부(10)가 마련된 후면프레임(4)과, 상기 전면프레임(2)의 개구부(6)에 구비된 유리판(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후면프레임(2,4)을 개폐하여 후면프레임(4)의 사진수납부(10)에 구비된 다수장의 사진 또는 그림(14) 중 원하는 사진 또는 그림(14)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KR2020000037202U 2000-12-14 2000-12-14 액자 KR200233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202U KR200233451Y1 (ko) 2000-12-14 2000-12-14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202U KR200233451Y1 (ko) 2000-12-14 2000-12-14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451Y1 true KR200233451Y1 (ko) 2001-09-29

Family

ID=7308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202U KR200233451Y1 (ko) 2000-12-14 2000-12-14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4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7738A (en) Refrigerator door display lens
US20080010887A1 (en) Display frame
US20070089343A1 (en) Picture frame
KR200233451Y1 (ko) 액자
KR200270217Y1 (ko) 사진교환이 간편한 자석부착식 액자
US20040226210A1 (en) Display and storage device
KR200224471Y1 (ko) 사진을 교체 가능한 액자
KR200440181Y1 (ko) 앨범 보관용 액자
KR200185092Y1 (ko) 개폐식 액자
KR200433829Y1 (ko) 액자
KR200432199Y1 (ko) 액자
US6053309A (en) Compressed far-sighted eyeglasses within a case
KR200241983Y1 (ko) 액자
KR19980058722U (ko) 액자
KR200245967Y1 (ko) 액자
KR200259038Y1 (ko) 거울이 부설된 액자
JPH0641565U (ja) 写真立て
JP2764806B2 (ja) 写真立て
KR20180074954A (ko)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
KR200200697Y1 (ko) 링 바인더식 앨범 액자
KR200173658Y1 (ko) 부착식 액자
KR200317252Y1 (ko) 거울 내장형 액자
KR200237747Y1 (ko) 액자 겸용 증서 및 그림 보관함
USD499578S1 (en) Boat sunglass display with header and storage box
KR19990037143U (ko)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