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038Y1 - 거울이 부설된 액자 - Google Patents

거울이 부설된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038Y1
KR200259038Y1 KR2020010026973U KR20010026973U KR200259038Y1 KR 200259038 Y1 KR200259038 Y1 KR 200259038Y1 KR 2020010026973 U KR2020010026973 U KR 2020010026973U KR 20010026973 U KR20010026973 U KR 20010026973U KR 200259038 Y1 KR200259038 Y1 KR 2002590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irror
wall
ground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화
Original Assignee
정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화 filed Critical 정상화
Priority to KR2020010026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0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0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038Y1/ko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명유리, 사진(또는 그림), 거울이 순차적으로 겹쳐지는 끼움체가 별도의 조립 공구 및 부품 없이도 쉽게 결합되게 하는 한편, 쉽게 분리되게 하고, 세워놓고자 하는 곳의 지면에 가로 또는 세로의 방향으로 직접 세워 놓고 사진을 보거나 거울을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설치한 지면에서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거울이 부설된 액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울이 부설된 액자{PICTURE FRAME}
본 고안은 거울이 부설된 액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틀체를 사각체로 형성되게 하되, 힘을 가하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게 연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되게 하여 투명유리, 사진, 거울이 순차적으로 겹쳐지는 끼움체가 별도의 조립 공구 및 부품 없이도 쉽게 결합되게 하는 한편 쉽게 분리되게 하고, 틀체의 각변이 광폭이 되게 하여 세워놓고자 하는 곳의 지면에 가로 또는 세로의 방향으로 직접 세워 놓고 사진 또는 그림을 보거나 거울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거울이 부설된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額子)는 사진, 그림, 글씨 등을 벽에 걸거나 세워질 지면에 세워지게 하는 틀을 말하며, 종래 책상, 경대, 책꽂이 등에 세워지게 하는 액자는 사진(그림)이 뒷면에 겹쳐지는 투명유리의 둘레면을 지지하게 되는 틀체와, 사진이 투명유리에 밀착되게 하는 후면판과, 후면판의 뒷면에 설치되어 틀체가 지면에 세워질 수 있게 하는 받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액자는, 첫째, 후면판을 틀체에서 분리한 후 사진을 투명유리에 겹쳐지게 하여 투명유리와 사진이 틀체에 일치되게 한 상태에서 후면판을 다시 조립되게 하여야 하고, 둘째, 후면판을 틀체에 결합하기 위해 나사를 조임 하거나 또는 작은 크기의 걸림핀을 회전시켜야 함으로써, 조립에 따른 공구 및 부품이 필요하게 되며, 셋째, 후면판 뒷면의 받침에 의해 경사지게 세워짐으로써, 후면을 활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사진(그림)의 교체시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게 되었고, 액자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투명유리, 사진, 거울이 순차적으로 겹쳐지는 끼움체가 별도의 조립 공구 및 부품 없이도 쉽게 결합되게 하는 한편, 쉽게 분리되게 하고, 세워놓고자 하는 곳의 지면에 가로 또는 세로의 방향으로 직접 세워 놓고 사진을 보거나 거울을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설치한 지면에서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거울이 부설된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동일한 크기의 사각판체인 투명유리, 사진, 거울이 순차적으로 겹쳐지는 끼움체와; 상, 하, 좌, 우의 벽이 사각체를 이루면서 형성되고, 힘을 가하는 방향으로 각 벽이 변형될 수 있게 연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상기 끼움체의 둘레면이 끼움 되어 고정되게 일정한 깊이와 폭을 이루는 끼움홈이 상기 각 벽의 내부면에 연속되게 형성되는 틀체로 구성되는 거울이 부설된 액자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틀체의 변형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를 세워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틀체
111 ... 끼움홈 120 ... 끼움체
121 ... 투명유리 122 ... 사진
123 ... 거울
다음 본 고안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거울이 부설된 액자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거울이 부설된 액자의 본체(100)는 틀체(110)와, 끼움체(120)로 구성된다.
상기 틀체(110)는 상, 하, 좌, 우의 벽이 수직 수평을 이루면서 사각체로 형성되고, 도 5a 및 도 5b 도시와 같이 힘을 가하는 방향으로 각 벽이 쉽게 변형될 수 있게 연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각 벽의 내부면에 끼움홈(111)이 연속하여 형성된다. 상기 각 벽은 두께에 대해 폭이 크게 형성되고, 교차되는 곳은 1/4원호를 이루게 되며, 끼움홈(111)은 각 벽의 내부면 중앙 부근에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111)은 각 벽에 일정한 깊이 및 폭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한편, 연속하여 형성되며, 교차되는 곳이 1/4원호를 이루게 된다.
상기 끼움체(120)는 투명유리(121)와, 사진(122) 및 거울(123)이 동일한 크기의 사각판체로 형성되어 겹쳐지게 되는데, 각 모서리가 1/4원호를 이루게 되며, 도 3 도시와 같이 각 둘레면이 상기 끼움홈(11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도 4 및 도 5 도시와 같이 가로의 방향 또는 세로의 방향을 이루면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고, 연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지면에서 미끄러짐이 방지되며, 전면에는 사진(122)이, 그 후면에는 거울(123)이 구비되어 사진(122)을 볼 수 있는 한편, 돌려서 거울(123)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 도시와 같이 투명유리(121), 사진(122), 거울(123)이 순차적으로 겹쳐지게 되는 끼움체(120)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틀체(100)를 도 5a 및 도 5b 도시와 같이 변형시키면서 결합하게 되는데, 끼움체(120)의 어느 일부위를 먼저 대응하게 되는 끼움홈(111)에 삽입하고, 이어서 끼움된 반대부분을 변형시켜 마저 삽입하면 되는 것으로, 상기 틀체(110)는 끼움체(120)가 결합됨으로써, 정형화된 사각틀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또한 끼움체(120)의 분리시도 마찬가지로 틀체(110)의 어느 일부위를 힘을 가하여 잡아당기면서 점차적으로 끼움체(120)가 끼움홈(111)에서 분리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투명유리, 사진, 거울을 겹쳐지게 한 상태에서 별도의 조립 공구 및 부품 없이도 쉽게 결합되게 할 수 있는 한편, 쉽게 분리되게 할 수 있고, 지면에 대해 가로 또는 세로의 방향을 이루면서 수직으로 직접 세워놓을 수 있으며, 사진을 볼 수 있는 한편, 거울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세워진 지면에서 미끄러져 움직이게 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동일한 크기의 사각판체인 투명유리(121), 사진(122), 거울(123)이 순차적으로 겹쳐지는 끼움체(120)와;
    상, 하, 좌, 우의 벽이 사각체를 이루면서 형성되고, 힘을 가하는 방향으로 각 벽이 변형될 수 있게 연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상기 끼움체(120)의 둘레면이 끼움 되어 고정되게 일정한 깊이와 폭을 이루는 끼움홈(111)이 상기 각 벽의 내부면에 연속되게 형성되는 틀체(1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이 부설된 액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110)는 사각을 이루는 각 벽이 두께에 대해 폭이 크게 형성되어,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고, 지면에서 미끄러짐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이 부설된 액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110)는 각 벽이 교차되는 부분과, 끼움홈(111)이 교차되는 부분이 1/4원호를 이루게 되고, 이에 대응하게 상기 끼움체(120)는 각 모서리가 1/4원호를 이루면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이 부설된 액자.
KR2020010026973U 2001-09-04 2001-09-04 거울이 부설된 액자 KR2002590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973U KR200259038Y1 (ko) 2001-09-04 2001-09-04 거울이 부설된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973U KR200259038Y1 (ko) 2001-09-04 2001-09-04 거울이 부설된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038Y1 true KR200259038Y1 (ko) 2001-12-31

Family

ID=7306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973U KR200259038Y1 (ko) 2001-09-04 2001-09-04 거울이 부설된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0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906B1 (ko) 2011-12-02 2013-12-02 김명수 보강부재가 구비된 액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906B1 (ko) 2011-12-02 2013-12-02 김명수 보강부재가 구비된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6863B1 (en) Combination video monitor and detachable picture frame
US20070006504A1 (en) Picture frame having an inner frame movably received in an outer frame for exhibiting a planar drawing or a three dimensional object
US5279056A (en) Frame
US6694656B2 (en) Frame system for object display
US10117531B1 (en) Adjustable framing
USD346594S (en) Point of sale touch display screen
US3771246A (en) Picture display device
JP6390996B2 (ja) 物品掲示具
US4571790A (en) Casket with attachable corners
US4211022A (en) Picture frame
US5195263A (en) Picture frame
KR200259038Y1 (ko) 거울이 부설된 액자
US20040261307A1 (en) Shadow box having multiple display surfaces and shadow box kit
USD387040S (en) Display with a television camera for electronic computers
US6074027A (en) Combination type antique display shelf
WO2017177669A1 (zh) 横竖两用的固定支架
USD492401S1 (en) Louvered vent with screen
US6550166B1 (en) License plate frame and method of use
USD353284S (en) Watchstrap display
US5603528A (en) Photo album usable as a picture stand
KR200185092Y1 (ko) 개폐식 액자
US5040394A (en) Key chain with decorative function
KR200274850Y1 (ko) 조립식 액자
KR200242041Y1 (ko) 액자
KR200185094Y1 (ko) 사진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