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119U - 다단형 액자 - Google Patents

다단형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119U
KR20150000119U KR2020130005349U KR20130005349U KR20150000119U KR 20150000119 U KR20150000119 U KR 20150000119U KR 2020130005349 U KR2020130005349 U KR 2020130005349U KR 20130005349 U KR20130005349 U KR 20130005349U KR 20150000119 U KR20150000119 U KR 201500001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inge member
front panel
insertion groove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성진
Original Assignee
위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성진 filed Critical 위성진
Priority to KR2020130005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119U/ko
Publication of KR201500001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11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8Picture frame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88Picture frames where the picture is inserted through a slit in one of the frame member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일측면에 개방 형성되어 내용물이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부와; 전면에 개구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를 통해 삽입된 내용물이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복수개의 액자들이, 힌지부재를 통하여 360도 회동 가능한 상태로 다단으로 연결되는 다단형 액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단형 액자{Multistage picture frame}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장의 내용물이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딩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복수개의 액자가 다단으로 연결되어 내용물이 용이하게 교체되도록 하고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는 다단형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 포스터, 광고지 또는 달력 등의 내용물이 잘 보이도록 삽입하여 가정이나 회사 등의 벽에 걸리거나 테이블 등에 스탠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액자는 상기와 같은 내용물을 교체하는 경우 액자 프레임의 뒷면에 결합된 뒷판을 고정부재 등의 해체 작업을 통해 고정해제 한 후 새로운 내용물을 교체한 후 다시 뒷판을 고정부재 등을 통하여 고정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상기 내용물이 달력 등과 같이 주기적으로 교체되어야 하는 경우 더욱 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종래의 액자는 벽걸이 타입으로 벽에 거치되거나 또는 테이블 등에 별도의 각도유지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지지부재를 통하여 스탠딩된 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그 사용 형태가 매우 단조로워 다양한 활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액자는 단일 프레임 구조 즉, 하나의 액자에 하나의 내용물만이 표현되도록 하고 있어 상기 내용물이 시리즈 등과 같은 연속성 또는 연관성을 가지는 경우 복수개의 단일 프레임 구조를 액자들을 이용하여 해당 내용물이 하나씩 표현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액자를 구입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실용신안 등록 제20-0226870호 등에는, 메인액자와 보조액자가 상호간 경첩을 통해 연결되어 보조액자가 메인액자를 향하여 소정 각도 절첩되도록 하여 스탠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경첩에 의해 보조액자가 메인액자의 반대방향으로 절첩시 간섭이 발생되어 다양한 각도로 절첩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액자들을 다양하게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장의 내용물이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딩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액자를 제공하여 내용물의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와 같은 액자가 다단으로 복수개가 연결된 상태에서 벽에 걸리거나 다양한 각도를 가지면서 절첩되는 동작을 통해 스탠딩되도록 하여 액자의 다양한 형태의 활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다단형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일측면에 개방 형성되어 내용물이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부와; 전면에 개구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를 통해 삽입된 내용물이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복수개의 액자들이, 힌지부재를 통하여 360도 회동 가능한 상태로 다단으로 연결되는 다단형 액자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액자는, 전면판넬과 후면판넬이 상호간 걸림 구조를 가지면서 결합된다.
상기 전면판넬은, 상기 표시부를 형성하기 위해 중앙부위가 개구된 직사각 또는 정사각 형상의 틀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상기 삽입부를 형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삽입홈;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편; 상기 프레임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힌지부재가 삽입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 형성되어 삽입홈에 힌지부재 삽입시 힌지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인접한 액자의 프레임이 다단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결착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면판넬은, 중앙부위에 복수개의 개구부를 가지는 직사각 또는 정사각 형상의 판넬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에 상기 삽입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전면판넬의 삽입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 상기 베이스의 플랜지 내측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상기 전면판넬의 걸림편이 탈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걸림홈; 및 상기 베이스의 상측 및 하측 플랜지에 상기 전면판넬의 삽입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착구에 결착된 힌지부재를 이용한 회동 동작시 힌지부재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는, '3'자 형상을 가지는 몸체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착구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지도록 하는 한 쌍의 결착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복수장의 내용물이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딩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액자를 제공하여 내용물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액자가 힌지부재를 통하여 다단으로 복수개가 연결된 상태에서 벽걸이 타입으로 활용되거나 또는, 다양한 각도를 가지면서 절첩 또는 회동되는 동작을 통해 스탠딩되도록 하여 액자의 다양한 형태의 활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액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단형 액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1의 다단형 액자에 있어서 A-A'와 B-B'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다단형 액자가 벽걸이 타입으로 활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과 도 7은 각각 도 1의 다단형 액자가 스탠드 타입으로 활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액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단형 액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1의 다단형 액자에 있어서 A-A'와 B-B'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1의 다단형 액자가 벽걸이 타입으로 활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과 도 7은 각각 도 1의 다단형 액자가 스탠드 타입으로 활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액자는, 일측면에 개방 형성되어 내용물(200)이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부(100a)와, 전면에 개구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00a)를 통해 삽입된 내용물(200)이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부(100b)를 가지는 복수개의 액자(100)들이 힌지부재(300)를 통하여 360도 회동 가능한 상태로 다단으로 연결된다.
상기 액자(100)는, 내용물(200)이 일측면으로부터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하여 내용물(200)의 용이한 교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판넬(110)과 후면판넬(120)이 상호간 걸림 구조를 가지면서 결합된다.
상기 전면판넬(110)은, 상기 표시부(100b)를 형성하기 위해 중앙부위가 개구된 직사각 또는 정사각 형상의 틀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111), 상기 프레임(111)의 일측면에 상기 삽입부(100a)를 형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삽입홈(112), 상기 프레임(111)의 내측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후술된 후면판넬(120)의 걸림홈(123)에 탈착 가능한 상태로 걸림 결합되는 복수개의 걸림편(113), 상기 프레임(111)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후술된 힌지부재(300)가 삽입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삽입홈(114) 및 상기 삽입홈(114)에 형성되어 삽입홈(114)에 힌지부재(300) 삽입시 힌지부재(300)의 결착홈(320)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인접한 액자의 프레임이 다단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결착구(115) 등을 포함한다.
상기 후면판넬(120)은, 상기 전면판넬(110)의 프레임(111)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며 중앙부위에 복수개의 개구부를 가지는 직사각 또는 정사각 형상의 판넬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121), 상기 베이스(121)의 일측면에 상기 삽입부(100a)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전면판넬(110)의 삽입홈(11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122), 상기 베이스(121)의 플랜지(121a) 내측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상기 전면판넬(110)의 걸림편(113)이 탈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걸림홈(123), 상기 베이스(121)의 상측 및 하측 플랜지(121a)에 상기 전면판넬(110)의 삽입홈(114)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착구(115)에 결착된 힌지부재(300)를 이용한 회동 동작시 힌지부재(300)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홈(124), 상기 베이스(121)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액자가 벽걸이 타입으로 활용시 벽 등의 거치부재가 삽입되도록 하는 거치공(125) 및 상기 베이스(121)의 삽입홈(122)에 소정 크기로 형성되어 내용물(200)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홈(126)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액자(100)에 의하면, 전면판넬(110)과 후면판넬(120)이 걸림편(113)과 걸림홈(123)의 걸림 구조를 통해 간단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부(100a)를 통해 전면판넬(110)과 후면판넬(120) 사이의 공간으로 슬라이딩 삽입된 내용물(200)이 표시부(100b)를 통해 외부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후면판넬 또는 뒷판의 분리 작업 없이도 내용물(200)의 교체 작업이 간편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재(300)는, 상기와 같이 전면판넬(110)과 후면판넬(120)의 걸림 구조를 통해 결합된 복수개의 액자(100)들이 다단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3'자 형상을 가지는 몸체(310)에 상기 액자(100)의 결착구(115)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지도록 하는 한 쌍의 결착홈(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재(300)는, 상기 복수개의 액자(100)들이 각각, 제1 내지 제3액자(100A,100B,100C)로 구분되는 경우, 제1액자(100A)와 제2액자(100B) 및 제2액자(100B)와 제3액자(100C)의 상호간 인접한 부위에 형성된 결착구(115)들이 결착홈(320)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힌지부재(300)가 제1액자(100A)와 제2액자(100B) 및 제2액자(100B)와 제3액자(100C)의 상호간 인접한 부위에 구성되는 경우, 제1액자(100A)의 상측과 제3액자(100C)의 하측에 구성된 결착구(115)에는 'C'자 형상의 몸체와 결착홈을 가지는 마감 또는 장식용 힌지부재(300A)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힌지부재(300)에 의하면, 상호간 인접한 액자(100)들의 결착구(115)가 '3'자 형상을 가지는 몸체(310)의 결착홈(320)이 끼워지도록 하여 복수개의 액자(100)들이 다단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310)가 '3'자 형상을 가짐으로써, 액자(100)들이 360도 각도를 가지면서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가운데에 위치된 제2액자(100B)를 중심으로 양측에 제1 및 제3액자(100A,100C)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스탠딩되도록 하거나 삼각 기둥 형상을 유지하면서 스탠딩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활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자(100)들의 상측면과 하측면의 모서리 부위는 라운드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힌지부재(300)를 통한 액자(100)들의 360도 회동 동작시 모서리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면판넬(120) 베이스(121)의 플랜지(121a) 외측면 즉, 제1액자(100A) 또는 제3액자(100C)의 베이스(121)의 상측 플랜지(121a) 바닥면에는 각도조절홈(미도시)이 더 형성되어, 상기 액자(100)들이 삼각 기둥 형상으로 스탠딩되는 경우 제3액자(100C) 또는 제1액자(100A)의 하측 플랜지(121a) 또는 상측플랜지(121a)가 지지되어 해당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 내지 제3액자(100A 내지 100C)가 힌지부재(300)를 통하여 다단으로 연결 구성되는 경우, 제1액자(100A)에는 한 가족의 족보계를 나타내는 내용물(200)이 끼워지도록 하고, 제2액자(100B)에는 한 가족의 월 별 행사에 촬영된 가족사진을 나타내는 내용물(200)이 끼워지도록 하며, 제3액자(100C)에는 한 가족의 월 별 행사를 나타내는 달력에 대응된 내용물(200)이 끼워지도록 하는 등, 상호간 연속성 또는 연관성 있는 내용물(200)들이 각각의 액자에 끼워져 표시되도록 하여 각각의 액자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간편함과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자(100)들의 전면판넬(110)과 후면판넬(120) 사이의 공간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내용물(200)이 복수장 겹쳐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하여 내용물(20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용물(200)이 복수장 겹쳐지는 경우 맨 앞장에는 투명한 보호필름이 더 구비되어 내용물을 보호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액자의 조립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면판넬(110)과 후면판넬(120)이 걸림편(113)과 걸림홈(123)의 걸림 구조를 통해 간단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에 의해 복수개의 액자(100A 내지 100C)가 조립된다.
이후, 복수개의 액자(100A 내지 100C)를 종방향으로 다단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제1액자(100A)와 제2액자(100B) 및 제2액자(100B)와 제3액자(100C)의 상호간 인접한 부위에 형성된 결착구(115)가 힌지부재(300)의 결착홈(320)에 끼워지고, 제1액자(100A)의 상측과 제3액자(100C)의 하측에 구성된 결착구(115)가 마감 또는 장식용 힌지부재(300A)의 결착홈에 끼워져, 복수개의 액자(100A 내지 100C)들이 다단으로 연결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액자(100A 내지 100C)들이 다단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의 액자에 구성된 삽입부(100a)를 통해 해당 내용물(200)들이 각각 슬라이딩 삽입되어 표시부(100b)를 통해 외부로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다단형 액자는, 제1액자(100A)의 후면판넬(120)에 형성된 거치공(125)에 벽 등에 구성된 못 등과 같은 거치부재가 끼워지는 경우 벽걸이 타입으로 활용될 수 있고, '3'자 형상을 가지는 힌지부재(300)의 연결을 통하여 제2액자(100B)를 중심으로 제1 및 제3액자(100A,100C)가 소정 간격을 유지하거나 삼각 기둥 형상을 유지하면서 스탠딩 타입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복수장의 내용물(200)이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딩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액자(100)를 제공하여 내용물(20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상기와 같은 액자(100)가 힌지부재(300)를 통하여 다단으로 복수개가 연결된 상태에서 벽에 걸리거나 다양한 각도를 가지면서 절첩 또는 회동되는 동작을 통해 스탠딩되도록 하여 액자의 다양한 형태의 활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일측면에 개방 형성되어 내용물(200)이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부(100a)와;
    전면에 개구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00a)를 통해 삽입된 내용물(200)이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부(100b)를 가지는 복수개의 액자(100)들이,
    힌지부재(300)를 통하여 360도 회동 가능한 상태로 다단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100)는,
    전면판넬(110)과 후면판넬(120)이 상호간 걸림 구조를 가지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액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넬(110)은,
    상기 표시부(100b)를 형성하기 위해 중앙부위가 개구된 직사각 또는 정사각 형상의 틀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111);
    상기 프레임(111)의 일측면에 상기 삽입부(100a)를 형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삽입홈(112);
    상기 프레임(111)의 내측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편(113);
    상기 프레임(111)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힌지부재(300)가 삽입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삽입홈(114); 및
    상기 삽입홈(114)에 형성되어 삽입홈(114)에 힌지부재(300) 삽입시 힌지부재(300)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인접한 액자의 프레임이 다단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결착구(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액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넬(120)은,
    중앙부위에 복수개의 개구부를 가지는 직사각 또는 정사각 형상의 판넬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121);
    상기 베이스(121)의 일측면에 상기 삽입부(100a)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전면판넬(110)의 삽입홈(11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122);
    상기 베이스(121)의 플랜지(121a) 내측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상기 전면판넬(110)의 걸림편(113)이 탈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걸림홈(123); 및
    상기 베이스(121)의 상측 및 하측 플랜지(121a)에 상기 전면판넬(110)의 삽입홈(114)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착구(115)에 결착된 힌지부재(300)를 이용한 회동 동작시 힌지부재(300)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홈(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액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300)는,
    '3'자 형상을 가지는 몸체(3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착구(115)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지도록 하는 한 쌍의 결착홈(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액자.
KR2020130005349U 2013-07-01 2013-07-01 다단형 액자 KR201500001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349U KR20150000119U (ko) 2013-07-01 2013-07-01 다단형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349U KR20150000119U (ko) 2013-07-01 2013-07-01 다단형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119U true KR20150000119U (ko) 2015-01-09

Family

ID=52476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349U KR20150000119U (ko) 2013-07-01 2013-07-01 다단형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11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948Y1 (ko) 2015-07-22 2016-12-12 황덕형 벽걸이 액자
KR102566756B1 (ko) * 2022-11-21 2023-08-11 이재성 액자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948Y1 (ko) 2015-07-22 2016-12-12 황덕형 벽걸이 액자
KR102566756B1 (ko) * 2022-11-21 2023-08-11 이재성 액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7306B1 (en) Protective apparatus for tablet electronic device
EP3178354A1 (en) Rotatable picture frame
US5016752A (en) Picture and negative storage container
US20130043778A1 (en) Case having an interchangeable cover
US9144279B2 (en) Rugged cases for tablets
US5659991A (en) Picture frame
KR20150000119U (ko) 다단형 액자
AU2015359362A1 (en) Tablet computer case with detachable stand
US20040226210A1 (en) Display and storage device
JP2015046074A (ja) 保護カバー
KR200474944Y1 (ko)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진열 평대
US20160331156A1 (en) Picture Frames
KR101721623B1 (ko) 미술용 사진 구도기
US10716414B2 (en) Rotatable picture frame
KR101767823B1 (ko) 다용도 전시대
KR200185092Y1 (ko) 개폐식 액자
KR20150118284A (ko) 덮개가 닫혀지거나 열려진 상태에서도 사진이 모두 게시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액자
KR200477945Y1 (ko) 퍼즐 전용 액자
CN100472581C (zh) 可兼摆示数位影像装置的相框
KR200241983Y1 (ko) 액자
KR20140033941A (ko) 개선된 액자 프레임
US20210003286A1 (en) Digital Mantelpiece
CN209120282U (zh) 视频展台
JP3095602U (ja) 簡易可搬型仏壇
JPH09117355A (ja) 写真立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