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998Y1 - 경량액자 - Google Patents

경량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998Y1
KR200420998Y1 KR2020060011446U KR20060011446U KR200420998Y1 KR 200420998 Y1 KR200420998 Y1 KR 200420998Y1 KR 2020060011446 U KR2020060011446 U KR 2020060011446U KR 20060011446 U KR20060011446 U KR 20060011446U KR 200420998 Y1 KR200420998 Y1 KR 2004209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ttached
lightweight
lightweight fram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선
Original Assignee
김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선 filed Critical 김광선
Priority to KR2020060011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9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9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9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33Picture frames made of shee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7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using adhesives, suction or magnet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94Picture frames comprising means allowing the frame to be supported on a horizontal surfac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개시된 경량액자는 사진이 배면에 개재되는 투명창이 구비된 경량틀과; 상기 경량틀의 배면에 당김테그가 노출되도록 부착되고, 2 변측에 삽입틈이 형성된 덮개와; 상기 경량틀의 배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면에 부착된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부착 대상면에 탈 부착되는 점착부재와; 상기 자성체에 부착되면서 덮개의 삽입틈에 삽입 설치되도록 형성된 받침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경량액자는 일정 두께를 갖는 종이재나, 스치로폼재 등으로 제작되고, 자성체와 점착부재 2가지를 구비시킴으로써 금속판, 유리, 목재 등에 안전사고 우려없이 안정되게 부착되며, 받침대를 이용해 테이블에도 세워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성향의 사용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경량액자틀, 경량액자, 사진, 자성체, 점착테이프,

Description

경량액자 { PICTURE FRAME }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량액자를 배면측에서 도시한 일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경량액자를 배면측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경량액자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도 3에서 A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서 경량액자를 가로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서 경량액자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에서 경량액자의 덮개판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2에서 경량액자의 벽면 부착전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경량액자의 벽면 부착후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경량액자 3:배면지
10:경량틀 11:투명창
12:부착홈 13:덮개홈
20:덮개 22:삽입홈
30:자성체 40:점착부재
41:금속판 42:테이프
50:받침대 53:꺽임판부
54:받침판부
본 고안은 경량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두께를 갖는 종이재나, 스치로폼재 등으로 제작되고, 자성체와 점착부재 2가지를 구비시킴으로써 금속판, 유리, 목재 등에 안전사고 우려없이 안정되게 부착되며, 받침대를 이용해 테이블에도 세워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성향의 사용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경량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그림·글씨·사진 따위를 넣어 벽에 걸거나 책상 위에 올려 놓게 된다. 근래에는 장식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갖는 액자가 제안되고 있다.
즉, 벽면에 거는 액자는 각각 1개씩 개별적으로 벽면에 걸며, 끈이나 체인 등으로 액자 여러 개를 연결 구성한 것도 알려져 있다. 이 외에 나무나, 금속프레임, 도자기로 제작된 액자도 있는데, 이들은 무겁기 때문에 벽에 먼저 못을 박은 후 걸게 된다. 또 유리, 냉장고에 액자를 부착하고자 할 때에는 이형지를 이용 부착하여야 하나 액자가 중량이면 사용할 수 없음은 물론 혹 부착시켜 두더라도 벽에 걸어둔 액자가 충격에 의하여 밑으로 떨어져 안전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량의 액자로는 걸어둘 장소가 한정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 두께를 갖는 종이재나, 스치로폼재 등으로 제작되고, 자성체와 점착부재 2가지를 구비시킴으로써 금속판, 유리, 목재 등에 안전사고 우려없이 안정되게 부착되며, 받침대를 이용해 테이블에도 세워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성향의 사용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경량액자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진이 배면에 개재되는 투명창이 구비된 경량틀과;
상기 경량틀의 배면에 당김테그가 노출되도록 부착되고, 일측 가장자리에 삽입틈이 형성된 덮개와;
상기 경량틀의 배면에서 복수 위치에 일정 깊이 내단에 부착된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중 어느 하나에 탈 부착되도록 구비된 점착부재와;
상기 자성체에 부착되면서 덮개의 삽입틈에 삽입 설치되도록 형성된 받침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액자를 제공한다.
상기 경량틀에는 투명창 전면 주위로 창 형태의 이미지가 부착되어 표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경량틀은 일정 두께이면서 경량인 보드판지나 수지판재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다.
상기 받침대는 경량 금속판재로, 삽입날이 형성되면서 절곡된 부착판부와, 이 부착판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받침판부로 형성된다.
상기 경량틀에는 전면에 무늬, 꽃, 도시 바탕사진,동물 바탕사진, 바다 바탕사진, 암벽 바탕사진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량액자를 배면측에서 도시한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경량액자를 배면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경량액자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A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서 경량액자를 가로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서 경량액자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2에서 경량액자의 덮개판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2에서 경량액자의 벽면 부착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경량액자의 벽면 부착후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경량액자(2)는 사진이 배면에 개재되는 투명창이 구비된 경량틀(10)과; 상기 경량틀(10)의 배면에 당김테그(23)가 노출되도록 부착되고, 일 측 가장자리에 삽입틈(24)이 형성된 덮개(20)와; 상기 경량틀(10)의 배면에서 복수 위치에 부착되어 구비된 자성체(30)와; 상기 자성체(30)중 어느 하나에 탈 부착되어 구비된 점착부재(40)와; 상기 자성체(30)에 부착되고 덮개의 틈새에 삽입되는 받침대(50)로 구성된다.
상기 경량틀(10)에는 사진(F)이 배면에 개재되는 투명창(11)이 형성되고, 배면의 2 변측에 자성체(30)가 구비되도록 부착홈(12)이 형성된다. 부착홈(12)은 경량틀(10)을 가로나 세로로 위치시킬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한 부착홈(12)에는 자성체(30)가 부착되어 설치되며, 이 자성체(30)에는 받침대(50)나 점착부재(40)가 가변적으로 부착된다. 그리고 부착홈(12) 주변에는 지지팁(12-1)이 부착되어 있어 점착부재(40)를 이용하여 벽면에 부착시 벽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덮개(20)는 경량틀(10)의 배면에 당김테그(23)가 상시 노출되도록 부착되고, 일측 가장자리에 삽입틈(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덮개(20)에는 부착홈(12)과 마주하는 위치에 받침대(50)가 부착되도록 삽입홈(22)이 형성된다. 이 삽입홈(22)과 부착홈(12)을 통해 자성체(30)에 받침대(50)가 부착되어 경량액자(2)를 받치게 된다.
상기 덮개(20)는 보드판지나 스치로폼 등의 수지판재로 제작되어 닫게 되면, 경량틀(10)의 배면에 형성된 덮개 홈(13)에 기밀하게 조립된다.
상기한 자성체(30)에는 부착되는 점착부재(40)가 구비된다. 점착부재(40)는 반복적인 탈,부착이 가능하며, 일면에는 금속판(41)과 이면에는 점착성을 갖는 테 이프(42)가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테이프(42)에는 도시생략된 이형지가 부착된 상태로 제품이 출하된다. 점착부재(40)는 경량액자(2)를 벽에 부착하기 전에 자성체(30)에서 떼어낸 후 정해진 벽에 이형지를 분리한 후 부착시켜 두면 된다.
상기 경량액자(2)는 사진의 내용에 따라 가로나 세로 자세로 자성체(30)를 이용 미리 부착시켜 둔 점착부재(40)에 부착시키면 된다.
상기 경량틀(10)에는 투명창(11)의 정면 주위로 창 형태의 이미지가 부착되어 표현된다. 경량틀(10)에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하게 준비된 이미지 창이 부착된다. 상기 경량틀(10)의 문양, 무늬 주변의 이미지는 무늬, 꽃, 도시사진, 동물 사진, 바다사진, 암벽사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표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투명창(11)은 박막의 투명수지재로, 경량틀(10)에 부착되어 사진은 손상이나 긁힘으로부터 보호된다.
상기 경량틀(10)은 일정 두께이면서 경량인 보드판지나 스치로폼 등 수지재 판재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다. 경량틀(10)은 무게가 가볍게 제작되기 때문에 점착부재(40)를 이용하여 유리나 거울, 벽면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받침대(50)는 경량 금속판재로 제작되며, 삽입날(51)이 형성되면서 절곡된 부착판부(53)와, 이 부착판부(53)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받침판부(54)로 형성된다.
상기 부착홈(12)에는 자성체(30)가 배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부착된다. 이에 따라 자성체(30)에 부착되는 점착부재(40)는 배면보다 미미하게 더 돌출된다.
상기한 점착부재(40)가 배면의 표면보다 높음에 따라 부착면에 대한 부착력이 좋아져 벽면에 경량액자(2)의 견고한 부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30)는 고무자석이나, 금속자석 중 어느 하나이다.
경량액자(2)는 가볍기 때문에 점착부재(40)에 의하여 집안의 금속판인 냉장고, 에어컨 등과, 유리, 벽면에 부착시킬 수 있어 인테리어 기능인 장식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 경량액자(2)는 원형뿐만 아니라 삼각형, 별형, 마름모꼴형으로 형성하여 다양화할 수 있으며, 경량액자(2)의 경량틀(10) 부분에 바탕이 되는 면에 자연 풍경, 도시, 별자리, 꽃 등의 컬러 이미지 사진 등으로 다양화시켜 심미감을 극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미설명 부호 F는 사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경량틀(10)의 배면에 형성된 덮개(51)를 담깅테그(23)를 당겨 열고, 사진(F)을 투명창(11)에 배면지(3)와 함께 올려놓고 덮개(20)를 억지 끼워 맞춰 닫는다. 상기한 덮개(20)는 경량틀(10)의 덮개홈(13)에 조립되어 닫히게 된다.
이렇게 사진을 투명창(11)에 위치시키고 덮개(20)를 닫은 상태에서 경량액자(2)를 테이블 등에 올려놓고자 하면, 받침대(50)를 덮개(20)에 형성된 삽입홈(22)에 위치시킨 후 부착판부(53)를 덮개(20)의 안쪽면에 삽입시켜 둔다.
상기한 받침대(50)의 설치가 완료되면 경량액자(2)를 테이블에 세워 놓을 수 있게 된다. 이는 덮개(20)가 경량틀(10)의 덮개홈(13)에 견고하게 맞물려서 조립되 기 때문에 받침대(50)는 경량인 경량액자(2)를 받침판부(54)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경량액자(2)를 테이블에 세워놓지 않고, 냉장고나, 유리, 거울, 벽면에 부착시켜 놓고자 할 때에는 받침대(50)를 따로 서랍 등에 보관하여 놓거나, 아니면, 경량틀(10) 배면의 자성체(30)에 받침판부(54)를 이용 부착시켜 두면 된다.
상기 상태에서 경량액자(2)에서 가로나 세로 자세 중 선택된 한 자세가 되도록 점착부재(40)를 자성체(30)에 부착시킨 후 도시생략된 이형지를 떼어내고 부착시키거나, 아니면 먼저, 점착부재(40)에서 이형지를 떼어내고 벽에 미리 부착시켜 둔 다음, 자성체(30)를 이용해서 경량액자(2)를 벽에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뿐만 아니라, 원형, 삼각형, 별형, 마름모꼴형 등 다양한 종류로 경량액자를 형성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량액자는 하드지나 스치로폼재 등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중량이 미미하여 상기한 점착부재로 충분히 부착력이 유지된다. 따라서 부착장소를 가리지 않고 사용자의 주변에 부착시켜 두면 장기간 두고 볼 수 있게 됨은 물론, 장식 효과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경량액자의 경량틀 부분에 바탕이 되는 면에 자연 풍경, 도시, 별자리, 꽃 등의 이미지를 컬러나 흑백으로 다양화하여 사용함으로써 심미감의 극대화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량액자는 가볍기 때문에 자성체에 부착되는 점착부재 만으로도 집안의 금속판, 냉장고, 에어컨, 유리, 거울, 벽면 등에 부착할 수 있어 장식 효과 를 발휘하게 된다.
경량소재의 액자임에 따라 점착부재의 점착력으로 부착력이 충분히 유지되지만 외부충격으로 혹시 떨어지더라도 안전사고의 우려가 없다.
또, 자성체에 부착시키면서 덮개의 삽입틈에 삽입시킨 받침대를 이용 탁자등에 세워놓는 것도 가능하다.
경량액자는 원형뿐만 아니라 삼각형, 별형, 마름모꼴형으로 형성되어 디자인을 다양화 할 수 있다.
경량액자의 경량틀 부분에 바탕이 되는 면에 자연 풍경, 도시, 별자리, 꽃 등의 이미지를 다양화시켜 심미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사진이 배면에 개재되는 투명창이 구비된 경량틀과;
    상기 경량틀의 배면에 당김테그가 노출되도록 부착되고, 일측 가장자리에 삽입틈이 형성된 덮개와;
    상기 경량틀의 배면에서 복수 위치에 일정 깊이 내단에 부착된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중 어느 하나에 탈 부착되도록 구비된 점착부재와;
    상기 자성체에 부착되면서 덮개의 삽입틈에 삽입 설치되도록 형성된 받침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액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점착부재는 일면에 금속판과, 그 이면에 이형지를 구비하면서 점착력으로 부착되는 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액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량틀은 일정 두께이면서 경량인 보드판지나 스치로폼재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액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경량 금속판재로 제작되며, 삽입날이 형성되면서 절곡된 부착 판부와, 이 부착판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받침판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액자.
  5.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경량틀에는 전면에 무늬, 꽃, 도시 바탕사진,동물 바탕사진, 바다 바탕사진, 암벽 바탕사진 중 어느 하나가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액자.
KR2020060011446U 2006-04-28 2006-04-28 경량액자 KR2004209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446U KR200420998Y1 (ko) 2006-04-28 2006-04-28 경량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446U KR200420998Y1 (ko) 2006-04-28 2006-04-28 경량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998Y1 true KR200420998Y1 (ko) 2006-07-07

Family

ID=41769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446U KR200420998Y1 (ko) 2006-04-28 2006-04-28 경량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9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077B1 (ko) * 2016-08-12 2018-04-18 이인주 액자식 pet 필름 거울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077B1 (ko) * 2016-08-12 2018-04-18 이인주 액자식 pet 필름 거울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9458B2 (en) Flexible artwork display system
US8484873B2 (en) Front-loading display system
US8146280B2 (en) Decorative frame assembly and method
US20130160340A1 (en) Device for and method of holding and displaying sheet articles
US5495686A (en) Decorative device with a smooth opaque magnetic surface for magnets
US20080098664A1 (en) Home furnishing enhancement system
KR200420998Y1 (ko) 경량액자
US3557480A (en) Picture holder and display
JP2014094259A (ja) 壁張が可能なフォトフレーム
KR200435943Y1 (ko) 액자 조립체
KR200464293Y1 (ko) 휴대폰의 카드 거치판
GB2445919A (en) Adhesive photograph frame
KR200388828Y1 (ko) 메달 액자
KR100992152B1 (ko) 전시용 액자
CN209915574U (zh) 一种装饰物承载装置
KR20040004227A (ko) 축하 및 조문 기능을 갖는 경조 장식물
US9640093B1 (en) Image display platform that connects to the cemetery monument vase and or its mounting
JP3195424U (ja) 額縁及び額縁型広告媒体
JP3106480U (ja) 縦横使用可能な簡易スタンド
KR20130003173U (ko) 액자가 형성된 거울
JP2007021005A (ja) 額縁
JP3110539U (ja) 簡易スタンド
EP1863371A1 (en) Display device
KR20160000721U (ko) 서로 다른 느낌을 부여하는 양면사용이 가능한 액자
JP3187724U (ja) 額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