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355Y1 - 액자의 장식 매트 - Google Patents

액자의 장식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355Y1
KR200318355Y1 KR20-2003-0007485U KR20030007485U KR200318355Y1 KR 200318355 Y1 KR200318355 Y1 KR 200318355Y1 KR 20030007485 U KR20030007485 U KR 20030007485U KR 200318355 Y1 KR200318355 Y1 KR 2003183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mat
frame
picture frame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아트
Priority to KR20-2003-0007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3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3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7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decorative strips or layers on the frame member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진을 보관, 전시하는 액자의 내부에 사진을 고정하는 매트를 서로 공간을 두고 다단으로 적층 형성하여 취부되는 사진에 입체감을 갖도록 한 액자의 장식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액자의 프레임과 동일 형상으로 중앙에 천공부를 갖으며, 저면에는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갖는 양면 접착대를 갖는 매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차례로 적층하되, 상기 천공부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다단층을 형성함으로써, 액자 내부에 삽입된 사진과 서로 공간을 두고 다단으로 적층 형성된 장식매트에 의하여 시각적인 원근감과 입체감을 주게 되므로 상기 사진을 돋보이는 미감을 주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액자의 장식 매트{A PICTURE FRAME OF A DECORATED MAT }
본 고안은 액자의 장식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자의 내부에 사진(그림)을 지지하는 매트를 공간을 두고 다단으로 적층 형성하여 상기 취부되는 사진이나 그림에 입체감을 갖도록 한 액자의 장식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그림)을 보관, 장식하는 프레임으로, 상기 액자는 여러가지 형태가 있고, 그 내부에는 사진을 지지 고정하는 매트를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매트는 상기 사진(그림)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대부분이 소정의 폭과 넓이를 갖는 일종의 띠형 또는 스크린 형의 낱장으로 상기 사진(그림)의 테두리를 마감하는 형태로 지지 고정하게 된다.
더 나가서는 상기 형태의 매트들을 여러장 겹쳐서 접착하여 사진(그림)의 테두리를 마감하는 것도 있다.
이와같이 상기 액자의 내부에 삽입되어 사진(그림)을 고정 지지하는 매트는 모두가 상기 사진(그림)과의 평면적으로 배치되게 되어, 상기 매트에 의하여 지지 고정된 사진(그림) 모두가 평면적인 단순한 느낌만을 주게 되므로, 액자의 사진(그림)은 원근감이나 입체감을 전혀 주지 못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액자의 내부에 삽입되는 사진(그림)에 원근감 및 입체감을 줄 수 있도록 한 장식매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액자의 내부에 다단으로 공간을 갖고 적층한 장식매트를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장식 매트는 액자의 프레임과 동일 형상으로 중앙에 천공부를 갖으며, 저면에는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갖는 양면 접착대를 갖는 매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차례로 적층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천공부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다단층을 갖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액자 내부에 삽입된 사진이나 그림과 서로 공간을 두고 다단으로 적층 형성된 장식매트에 의하여 시각적인 원근감과 입체감을 주게 되므로상기 사진이나 그림을 돋보이는 미감을 주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 액자의 장식 매트 결합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 액자의 장식 매트 결합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액자의 장식 매트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액자 20,(20-1),(20-2)...(20-N); 매트
21; 천공부 22; 양면접착대
100; 장식 매트 30: 사진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 액자의 장식매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 는 본 고안 액자의 장식 매트 결합 단면도 이며, 도 3 은 본 고안 액자의 장식 매트 사용 상태도 로서, 본 고안은 액자(10)의 내부에 삽입된 사진(30)에 원근감과 입체감을 갖도록 장식매트(100)를 삽입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장식매트(100)는 사진(30)의 전방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트(20),(20-1),(20-2)...(20-N)를 적층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매트(20)는 삽입될 액자의 프레임과 동일 형상으로 구성하고, 중앙에는 천공부(21)를 구성하며, 저면에는 적층되는 면과 공간이 형성되게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갖는 양면 접착대(22)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매트(20),(20-1),(20-2)...(20-N)의 표면에는 다양한 장식문양을 각각 인쇄하게 된다.
상기 매트(20),(20-1),(20-2)...(20-N)의 천공부(21)는 삽입된 사진(30)으로 부터 전방으로 위치하면서 점점 크게 형성하여 다단층을 갖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사진(30)이 삽입될 액자(10)의 형상과 깊이에 따라 동일 형상으로 구성되고, 중앙에 사진(30)으로 부터 전방으로 가면서 점점 커지는 천공부(21)와, 저면에 양면접착대(22)를 갖는 각각의 매트(20),(20-1),(20-2)...(20-N)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장식매트(100)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단으로 적층 형성된 장식매트(100)를 통상의 액자(10)내부에 삽입한 후, 상기 장식매트(100)의 후방에 위치한 매트(20)의 양면접착대(22)에 사진(30)을 접착하여 주는 것으로 액자(10)를 완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사진(30)은 전면에 위치한 전방으로 가면서 점점 커지는 천공부(21)와 다단으로 공간를 갖고 적층된 매트(20),(20-1),(20-2)...(20-N)에 의한 장식매트(100)를 통해 상기 사진(30)의 주위 배경에 원근감과 입체감의 분위기를 형성해 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액자의 내부에 사진이나 그림을 지지 고정하는 매트를 전방으로 가면서 점점 커지는 천공부를 갖는 매트들을 매트들 간에 공간을 갖도록 하면서 다단으로 적층하여 장식매트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 사진이나 그림은 상기 다단으로 적층된 장식 매트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원근감과 입체감이 부여되게 되어 돋보이는 미감을 주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액자의 내부에 삽입되는 사진을 지지 고정하는 매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적층하여 장식매트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의 장식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삽입될 액자의 프레임과 동일 형상으로 구성하고, 중앙에는 천공부를 구성하며, 저면에는 적층되는 면과 공간이 형성되게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갖는 양면 접착대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의 장식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의 천공부는 사진으로 부터 전방으로 위치하면서 점점 크게하여 다단층을 갖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의 장식매트.
KR20-2003-0007485U 2003-03-13 2003-03-13 액자의 장식 매트 KR2003183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485U KR200318355Y1 (ko) 2003-03-13 2003-03-13 액자의 장식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485U KR200318355Y1 (ko) 2003-03-13 2003-03-13 액자의 장식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355Y1 true KR200318355Y1 (ko) 2003-06-27

Family

ID=49335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485U KR200318355Y1 (ko) 2003-03-13 2003-03-13 액자의 장식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3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58712A4 (en) * 2019-04-21 2022-12-28 Kool Brands, LLC DIGITAL FRAME BOX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58712A4 (en) * 2019-04-21 2022-12-28 Kool Brands, LLC DIGITAL FRAME BOX
US11602233B2 (en) 2019-04-21 2023-03-14 Kool Brands, LLC Digital shadow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18919S1 (en) Adhesive roll with pattern
US6889457B2 (en) Art ensemble
KR100780747B1 (ko) 입체감을 갖도록 하는 액자 및 그 제작방법
KR200318355Y1 (ko) 액자의 장식 매트
USD591794S1 (en) Panel display
USD503745S1 (en) Mask for a display unit and display unit for an electronic display board
JP3111722U (ja) 両面鑑賞額縁
JP3185117U (ja) 衝立装置
CN210454288U (zh) 多层叠加画芯装饰画
JP3234539U (ja) 観賞用物品
KR20000001083U (ko) 액자 겸용 앨범
JP4018098B2 (ja) 飾り用シート,装飾ケース,装飾付きカード及び飾り用シートの製作方法
KR200428342Y1 (ko) 장식용 책 모형
JP3012399U (ja) 装飾用額縁
JP3109819U (ja) 観賞用置物
JP3227906U (ja) 缶バッジの飾り立て
JP3107747U (ja) 写真を立体的に空間を持たせかつ装飾スペースのある額縁
JP3127951U (ja) ジグソーパズル
USD632268S1 (en) Equipment rack panel
JP3215079U (ja) マグネット吸着化粧板使用した衣服用額縁
JP3112214U (ja) 額縁の装着構造
TWM331341U (en) Multi-layered artistic frame structure
US20040261938A1 (en) Process for making a 3D picture frame
JP3128545U (ja) 写真入れ本型装飾体及び写真立て
JP2003038317A (ja) 屏 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