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740U - 경량의 조립식패널 - Google Patents

경량의 조립식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740U
KR20180002740U KR2020170001180U KR20170001180U KR20180002740U KR 20180002740 U KR20180002740 U KR 20180002740U KR 2020170001180 U KR2020170001180 U KR 2020170001180U KR 20170001180 U KR20170001180 U KR 20170001180U KR 20180002740 U KR20180002740 U KR 201800027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racket
shape
partition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훈
Original Assignee
박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훈 filed Critical 박상훈
Priority to KR2020170001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740U/ko
Publication of KR201800027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7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간의 구획하는 활용도가 높은 방음이 가능한 조립식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이 연결설치되어 건물 실내의 구획벽을 형성하는 패널부재 및 상기 패널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패널부재가 가로방향, 세로방향 및 사선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갖는 구획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공하는 브라켓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경량의 조립식패널{Prefabricated light weight panel}
본 고안은 공간의 구획하는 활용도가 높은 방음이 가능한 조립식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의 칸막이공사에 사용되는 칸막이로는 경량 석고 칸막이, 철판 칸막이, 메탈 스터드 칸막이, 아이소 월 칸막이, 방음 칸막이 등이 있다.
경량 석고 칸막이는 배연탈황(FDG) 석고를 주원료로 만든 짚라이트 (Gyplite)사이에 충진재를 넣어서 생산한 경량 칸막이로서, 충격에 강하며 불연성·방음성이 우수하고 해체, 절단이 간편하며 표면은 벽지나 페인트 등으로 마감하게 된다.
또한, 철판 칸막이는 S.G.P(STEEL GYPSUM PARTITION)라고도 하는데, 이는 2장의 패널로 심재로는 단열성·방음성을 갖는 불연 석고보드를 사용하며, 석고보드는 각 부재와의 결합이 우수하며 방음성을 높이는 특징을 갖고 있다.
석고보드는 통상 두께 12mm, 열전도율 0.10Kcal/㎡h℃이며, 포스트를 감싸는 샌드위치 구조의 S.G.P중간에 약 38㎜의 공기층을 형성, 단열성을 높인 것이다.
또한, 메탈 스터드 칸막이는 경량 철골을 이용하여 불연재료인 석고보드의 방화성 및 차음성을 이용한 경량의 내화 단열벽으로 내진구조, 비구조재에 적합하며, 종래의 습식 벽에 비하여 경제적이고 표면미장효과가 우수하다.
아이소 월 칸막이는 샌드위치 판넬을 사용하는데, 이는 단열성과 보온성을 갖는 E.P.S(Expended Poly Stylene)에 금속시트를 접합시킨 것으로, 각종 공장이나 사무실 또는 주택 등에 경제적인 칸막이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칸막이들은 석회, 글라스 울, 또는 화재에 약한 발포 스티렌 등을 소재로 사용하였으므로 환경오염의 문제 및 화재의 위험성이 상존하였으며, 화재시 연기와 유해가스의 발생으로 인한 치명적인 문제점이 수반되었으며, 방음성의 측면에 있어서도 음을 차단하는 효과는 있으나 음을 흡수하는 기능은 거의 없어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칸막이의 기본적인 기능이 취약한 단점이 있었고, 경량 석고 또는 메탈 스터드 칸막이는 습기에 취약하고, 내충격성이 떨어서 파손되거나 갈라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칸막이의 시공후 별도의 페인트 칠이나 도배 등의 공사를 해주어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555129호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수용성 무기질 난연제에 함침 건조된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난연성의 폴리에스터 보드(2)와, 이 폴리에스터 보드(2)의 양 외측에 부착되는 보강용 강판(3,3')과, 이 강판(3,3')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테두리재(4,4',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용 강판의 외측에 수용성 무기질 난연제에 함침 건조된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터 라미네이트(6,6')와, 이 폴리에스터 라미네이트(6,6')의 표면에 부착되는 표면 마감층(7,7')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여, 건물 내부의 칸막이 설치시 도장이나 벽지 등 별도의 마감재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그대로 마무리가 가능하며, 기존의 칸막이에 비해서 우수한 내충격성을 가지고, 방음은 물론 흡음성도 가져 차음효과가 높으며, 화재시에도 연기와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건물의 외벽이나 그 건물의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으로 사용시에 요철결합부와 결합하는 강판이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건물의 공간을 계획적으로 구획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건물의 외벽이나 그 건물의 내부의 공간을 구획시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뿐만 아니라, 사선(대각선) 방향으로도 설치가 가능하여 공간의 활용을 효과적으로 구획할 수 있는 조립식패널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경량의 조립식패널은 사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이 연결설치되어 건물 내에 소정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구획벽을 형성하는 패널부재 및 상기 패널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패널부재가 가로방향, 세로방향 및 사선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갖는 구획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공하는 브라켓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부재는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정사각형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건물 벽면에 고정설치되되 대각으로 서로 마주보는 꼭지점을 잇는 임의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삼각형 형상을 갖는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으로 분리되는 설치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이 서로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제1브라켓 또는 상기 제2브라켓 중 어느 하나가 건물 벽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는 접착제, 판 상으로 이루어지되 양측이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편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부재는 상기 접착제에 의해 건물에 고정접착되는 상기 제1브라켓 또는 상기 제2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사선방향으로 구획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부재는 속이 빈 사각의 틀 형상을 갖되 양측에 각각 상기 브라켓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형상유지틀, 상기 형상유지틀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브라켓부재 또는 다른 형상유지틀과 끼움 결합하는 제1끼움돌기, 상기 형상유지틀 타면에 형성되되 상기 설치브라켓 또는 다른 형상유지틀과 끼움 결합하는 제1끼움홈, 상기 형상유지틀 내부에 형상맞춤으로 구비되되 방음, 단열, 홍보 및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마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칸막이를 포함하며, 상기 칸막이는 상기 칸막이 전/후방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할 수 있게 종이재질의 트러스 구조(trussed structure)물이 구비된 보강층, 상기 보강층 전방 또는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서로 포개지도록 구비되되 방음, 차음 및 흡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판넬, 상기 제1판넬과 서로 포개지도록 설치되되 단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판넬, 상기 제2판넬과 서로 포개지도록 설치되되 육안으로 식별시에 심미감을 야기하거나 상기 제2판넬의 분진이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3판넬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판넬은 그 표면에 형성된 삽입홈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판 상의 홍보판넬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홍보판넬 표면에는 광고효과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문자나 이미지가 인쇄된 시트지가 부착되며, 상기 홍보판넬은 개별로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분리 가능한 두 분체로 이루어진 설치브라켓을 통해 칸막이를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 물론, 사선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공간활용이 용이하게 구획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경량의 조립식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량의 조립식패널의 형상유지틀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A-A' 및 B-B'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경량의 조립식패널의 칸막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에 대한 C 및 D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경량의 조립식패널의 홍보패널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경량의 조립식패널의 브라켓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경량의 조립식패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경량의 조립식패널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2에서 패턴부재와 패턴필름을 이용한 제1 구현예의 조립식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2에서 패턴부재와 패턴필름을 이용한 제2 구현예의 조립식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2에서 패턴부재와 패턴필름을 이용한 제3 구현예의 조립식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2에서 패턴부재와 패턴필름을 이용한 제4 구현예의 조립식패널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량의 조립식패널(이하, 간략하게 '조립식패널'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건물'이란 빌딩이나 체육관 등과 같이, 사전적인 의미인 사람의 주거는 물론, 물건을 보관하거나 관람객이 출입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동식 조립주택도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패널(1)은 패널부재(100) 및 브라켓부재(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패널부재(10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외벽이나 그 건물 내에 형성된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을 가로방향, 세로방향 및 사선방향으로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형상유지틀(110) 및 칸막이(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형상유지틀(110)은 속이 빈 사각의 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그 내부에는 후술하는 칸막이(120)가 고정설치되며, 그 양측은 설치브라켓(21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아울러 사각의 틀 형상을 갖는 형상유지틀(110) 측면에는 설치브라켓(210) 또는 다른 형상유지틀(110)과 결합하여 구획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1끼움돌기(111)와 제1끼움홈(113)이 서로 대칭되게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형상유지틀(110)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는 각각 칸막이(120) 양측이 삽입고정되는 절곡편(115)이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된 칸막이(120) 외면과 면 접촉하는 절곡편(115) 외면에는 가압돌기(117)가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칸막이(120)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칸막이(120)는 상술한 형상유지틀(110)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건물의 구획벽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보강층(121), 제1판넬(123), 제2판넬(125) 및 제3판넬(127)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강층(121)은 칸막이(120)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대응하여 파손이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육각형, 오각형 및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트러스구조(trussed structure)물이 구비되어 상기 칸막이(120) 전/후면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트러스 구조를 갖는 보강층(121)은 경량의 칸막이(120)를 구성하기 위해 종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두께를 제조단계에서 미리 설정하여 제조되도록 한다.
제1판넬(123)은 칸막이(120)의 방음(차음 및 흡음 포함)효과를 갖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다.
제1판넬(123)은 방음의 효과를 높이되 칸막이(120)에 의해 구획된 구획벽의 전/후 어느 방향에서도 방음이 될 수 있도록 상술한 보강층(121)을 중심으로 상기 보강층(121)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고정설치된다.
아울러 제1판넬(123)은 방음 효과를 높이기 위해 판 상으로 이루어진 여러 겹의 신슐레이트(thinsulate)를 소정두께로 압축하여 방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아트보드, 나무섬유흡음재, 목재흡음판, 폴리우레탄 등이 더 사용될 수 있다.
제2판넬(125)은 단열의 효과를 갖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통상의 석고보드, 스티로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불연성의 발포수지재를 사용하여 단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2판넬(125)은 상술한 제1판넬(123)과 마찬가지로 보강층(121)을 중심으로 제1판넬(123) 외면에 포개지도록 설치되어 단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3판넬(127)은 칸막이(120)의 표면을 이루는 마감재로 사용되되 제2판넬(125)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진(석고보드의 분진 등)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목재, 타일, PVC 재질의 필름, 철재, 금속, 시트지(도배지), 도장, 유리 및 석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제3판넬(127) 외면에는 홍보판넬(129)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삽입홈(127a)이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홍보판넬(129)은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면적을 갖는 하나의 판으로 형성되어 삽입홈(127a)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판이 다수로 분할형성되어 삽입홈(127a)에 삽입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홍보판넬(129)이 파손시에 그 파손된 부분만 교체하여 유지보수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도 8 참조)
아울러 홍보판넬(129) 표면에는 문자나 이미지 등이 인쇄된 시트지가 부착되어 광고효과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거나 명화 등이 인쇄된 시트지를 부착하여 액자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사용자는 홍보판넬(129)에 못질을 실시하여 옷걸이 등을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에 못이 사용된 홍보판넬(129) 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제1 내지 제3판넬(127)은 모두 불연성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칸막이(120)의 용도 즉, 건물의 외벽을 형성하거나 건물 실내의 공간을 구획하는 용도에 따라 어느 하나의 두께를 조절하거나 생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보강층(121)을 중심으로 전/후면에 한 쌍이 아닌, 어느 하나의 면에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보강층(121)을 포함한 제1 내지 제3판넬(127)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칸막이(120) 양측은 상술한 형상유지틀(110)의 절곡편(115)과 끼움 결합하는 홈부(127b)가 형성되되 상기 홈부에 결합한 절곡편(115) 외면은 걸림이 없도록 칸막이(120) 외면과 평탄면을 이루게 설치된다.
아울러 홈부(127b)는 제2판넬(125)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제3판넬(127) 양측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홈부(127b)를 형성한 이후에 제2판넬(125)의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부재(2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패널부재(100)가 구획벽으로 사용될 수 있게 건물에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설치브라켓(210) 및 부착수단(2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설치브라켓(210)은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평단면이 정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 설치브라켓(210)은 대각선으로 배치되는 꼭지점을 잇는 임의의 기준선(이음부:L)을 중심으로 하여 삼각형 형상의 제1브라켓(211) 및 제2브라켓(211,213)의 두 분체로 분리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칸막이(120)가 사선방향으로 길이를 갖게 구획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각각의 제1 및 제2브라켓(211,213) 외면에는 제1끼움돌기(111)와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하는 제2끼움홈(219)과 제1끼움홈(113)과 형상맞춤으로 결합하는 제2끼움돌기(217)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구획벽을 형성하는 칸막이(120)의 방향이 정해질 수 있게 형상유지틀(110)이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제1 및 제2브라켓(211,213)은 서로 마주보게 접하는 임의의 기준선(L)을 중심으로 후술하는 연결편(221)이 삽입되는 결합홈(215)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215)에 삽입된 연결편(221)에 의해 제1 및 제2브라켓(211,213)인 하나의 설치브라켓(210)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브라켓(211,213)이 결합한 설치브라켓(210)을 통해 구획벽이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패널부재(100)를 설치하거나 필요에 따라 상기 설치브라켓(210)을 제1 또는 제2브라켓(211,213)을 분리하여 그 중 어느 하나를 벽체에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패널부재(100)가 사선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도 10 및 도 11 참조)
한편, 제2끼움돌기(217) 및 제2끼움홈(219)이 형성된 설치브라켓(210)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시에 상기 제2끼움돌기(217) 또는 제2끼움홈(219)과 결합하는 가이드브라켓(230)이 설치되어 상기 설치브라켓(210)이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가이드브라켓(230)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끼움돌기(217) 및 제2끼움홈(219)과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수단은 필요에 따라서 형상유지틀(110)에 형성된 제1끼움돌기(111) 및 제1끼움홈(113)과 결합하여 구획벽의 길이를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수단(220)은 제1 및 제2브라켓(211,213)의 두 분체로 이루어진 설치브라켓(210)이 분리되지 않게 결합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211,213)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브라켓(211,213)이 벽면에 고정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연결편(221) 및 접착제(22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연결편(221)은 판 상으로 이루어지되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설치브라켓(2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 체결공(223)이 천공형성된다.
한편, 접착제(225)는 두 분체로 분리형성된 제1 및 제2브라켓(211,213) 외면에 각각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이형지에 의해 그 접착제(225)가 감싸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시에는 상기 이형지를 제거 후, 건물의 벽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패널(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분리 가능한 두 분체로 이루어진 설치브라켓(210)을 통해 칸막이(120)를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 물론, 사선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공간 활용이 용이하게 구획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경량의 조립식패널은 패턴부재(400)와 패턴필름(500)을 더 포함하는데,
우선, 도 12에서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이 연결 설치된 상기 패널부재(100)에서
상기 패턴부재(400)는 상기 패널부재(100)의 일면에 이의 일부 또는 전부(全部)를 덮는 형태로 부착되는 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특히 상기 패턴부재(400)는 삼각 또는 사각 형상인 다수의 조각부재(400A)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 패턴부재(400)는 원형이나 비(非)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패턴필름(500)은 상기 패턴부재(400) 일면에 이의 일부 또는 전부(全部)를 덮는 형태로 부착되는 것으로, LPM(Low Pressure Melamineㅇ저압 합침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패턴필름(500)은 상기 패턴부재(400)를 이루게 되는 다수의 조각부재(400A) 전체에 부착되는 하나의 필름 구조이거나 또는 각 조각부재(400A)와 상응한 크기로 여러 조각 나누어져 있는 필름 구조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각부재(400A)를 연결하는 형태의 필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패턴필름(500)의 표면에는 다양한 색상과 다양한 문양이 인쇄된 문양부(500A)가 더 구비되며, 상기 문양부(500A)는 상기 패턴필름(500)이 하나의 필름 구조일 경우 전체적으로 구현되는 문양이 인쇄될 수 있고, 상기 패턴필름(500)이 여러 조각의 필름 구조일 경우 각 조각 필름마다 다른 문양이 인쇄되거나 상기 패턴부재(400)에 부착 시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구현되는 문양이 인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제1 구현예의 조립식패널은
도 13의 [가]에서와 같이, 상기 패널부재(100)의 일면 상하에 각각 좌우로 긴 형태의 조각부재(400A)를 부착하고,
도 13의 [나]에서와 같이, 좌우로 긴 형태의 조각부재(400A) 사이에 상하로 긴 형태의 조각부재(400A)를 좌우로 밀착되게 부착하며,
도 13의 [다]에서와 같이, 각 조각부재(400A)의 일면에 상기 패턴필름(500)을 부착한다. 이때 상기 패턴필름(500)의 표면에 또 다른 패턴필름(500)을 덧대어 부착할 수도 있다.
제2 구현예의 조립식패널은
도 14의 [가]에서와 같이, 상기 패널부재(100)의 일면에 격자 형태로 조각부재(400A)를 부착하고,
도 14의 [나]에서와 같이, 격자 형태로 배치된 조각부재(400A) 중 일부에 직각삼각 형태의 조각부재(400A)를 덧대어 부착하며,
도 14의 [다]에서와 같이, 직각삼각 형태의 조각부재(400A)에 이의 형상과 상응한 패턴필름(500)을 부착한다. 이때 격자 형태로 배치된 조각부재(400A)에도 이의 형성과 상응한 패턴필름(500)을 부착할 수 있다.
제3 구현예의 조립식패널은
도 15의 [가]에서와 같이, 상기 패널부재(100)의 일면 상하에 각각 좌우로 긴 형태의 조각부재(400A)를 부착하고,
도 15의 [나]에서와 같이, 좌우로 긴 형태의 조각부재(400A) 사이에 직사각 및 정사각 형태의 조각부재(400A)를 서로 밀착되게 부착하며,
도 15의 [다]에서와 같이, 직사각 및 정사각 형태의 조각부재(400A)에 이들이 이루는 형상과 상응한 패턴필름(500)을 부착한다. 이때 각 조각부재(400A) 마다 이들에 상응한 형상의 패턴필름(500)을 개별적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제4 구현예의 조립식패널은
도 16의 [가]에서와 같이, 상기 패널부재(100)의 일면 하부에 좌우로 긴 형태의 조각부재(400A)를 부착하고, 또 이의 상부에 좌우로 일정 간격을 두고 사이사이에 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하로 긴 형태의 조각부재(400A)를 부착하며,
도 16의 [나]에서와 같이, 상하로 긴 형태의 조각부재(400A)의 일면에 상기 패턴필름(500)을 부착한다. 이때 상기 공간(S)에도 이와 상응한 형상의 패턴필름(500)을 부착할 수 있고, 또 하부에 좌우로 긴 형태의 조각부재(400A)에도 이와 상응한 형상의 패턴필름(500)을 부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패널은 이상에서 전술한 구현예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 패턴부재(400)와 상기 패턴필름(500)의 다양한 형상과 조합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고안에 따른 경량의 조립식패널
100: 패널부재 110: 형상유지틀
111: 제1끼움돌기 113: 제1끼움홈
115: 절곡편 117: 가압돌기
120: 칸막이 121: 보강층
123: 제1판넬 125: 제2판넬
127: 제3판넬 129: 홍보판넬
200: 브라켓부재 210: 설치브라켓
211: 제1브라켓 213: 제2브라켓
215: 결합홈 217: 제2끼움돌기
219; 제2끼움홈 220; 부착수단
221: 연결편 223: 체결공
230: 가이드브라켓 L: 기준선
400: 패턴부재 400A: 조각부재
500: 패턴필름 500A: 문양부

Claims (5)

  1. 건물의 실내를 구획하는 조립식패널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패널은
    사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이 연결 설치되어 건물 내에 소정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구획벽을 형성하는 패널부재(100); 및
    상기 패널부재(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패널부재(100)가 가로방향, 세로방향 및 사선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갖는 구획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공하는 브라켓부재(200);를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부재(200)는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정사각형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건물 벽면에 고정 설치되되 대각으로 서로 마주보는 꼭짓점을 잇는 임의의 기준선(L)을 중심으로 삼각형 형상을 갖는 제1브라켓(211)과 제2브라켓(213)으로 분리되는 설치브라켓(210); 및
    상기 제1브라켓(211)과 상기 제2브라켓(213)이 서로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제1브라켓(211) 또는 상기 제2브라켓(213) 중 어느 하나가 건물 벽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수단(220)을 포함하되,
    상기 부착수단(220)은 상기 제1브라켓(211)과 상기 제2브라켓(213)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는 접착제(225), 판 상으로 이루어지되 양측이 상기 제1브라켓(211)과 상기 제2브라켓(213)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편(221)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부재(100)는 상기 접착제(225)에 의해 건물에 고정 접착되는 상기 제1브라켓(211) 또는 상기 제2브라켓(213)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사선방향으로 구획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조립식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100)는
    속이 빈 사각의 틀 형상을 갖되 양측에 각각 상기 브라켓부재(2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형상유지틀(110), 상기 형상유지틀(110)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브라켓부재(200) 또는 다른 형상유지틀(110)과 끼움 결합하는 제1끼움돌기(111), 상기 형상유지틀(110) 타면에 형성되되 상기 설치브라켓(210) 또는 다른 형상유지틀(110)과 끼움 결합하는 제1끼움홈(113), 상기 형상유지틀(110) 내부에 형상맞춤으로 구비되되 방음, 단열, 홍보 및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마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칸막이(120)를 포함하며,
    상기 칸막이(120)는 상기 칸막이(120) 전/후방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할 수 있게 종이재질의 트러스 구조(trussed structure)물이 구비된 보강층(121), 상기 보강층(121) 전방 또는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서로 포개지도록 구비되되 방음, 차음 및 흡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판넬(123), 상기 제1판넬(123)과 서로 포개지도록 설치되되 단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판넬(125), 상기 제2판넬(125)과 서로 포개지도록 설치되되 육안으로 식별 시에 심미감을 야기하거나 상기 제2판넬(125)의 분진이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3판넬(127)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조립식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판넬(127)은 그 표면에 형성된 삽입홈(127a)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판 상의 홍보판넬(129)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홍보판넬(129) 표면에는 광고효과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문자나 이미지가 인쇄된 시트지가 부착되며, 상기 홍보판넬(129)은 개별로 분리가능하게 분할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127a)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조립식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이 연결 설치된 상기 패널부재(100)의 일면에 이의 일부 또는 전부(全部)를 덮는 형태로 부착되는 패턴부재(400)와, 상기 패턴부재(400) 일면에 이의 일부 또는 전부(全部)를 덮는 형태로 부착되는 패턴필름(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조립식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재(400)는 삼각 또는 사각 형상인 다수의 조각부재(400A)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턴필름(500)의 표면에는 문양부(500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조립식패널.
KR2020170001180U 2017-03-13 2017-03-13 경량의 조립식패널 KR201800027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180U KR20180002740U (ko) 2017-03-13 2017-03-13 경량의 조립식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180U KR20180002740U (ko) 2017-03-13 2017-03-13 경량의 조립식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740U true KR20180002740U (ko) 2018-09-21

Family

ID=6370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180U KR20180002740U (ko) 2017-03-13 2017-03-13 경량의 조립식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74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831B1 (ko) * 2019-10-22 2020-09-08 박상훈 조립식 경량 패널
KR20220066683A (ko) 2020-11-16 2022-05-24 정준교 스윙형 벽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831B1 (ko) * 2019-10-22 2020-09-08 박상훈 조립식 경량 패널
KR20220066683A (ko) 2020-11-16 2022-05-24 정준교 스윙형 벽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1339B1 (ko) 연결부의 화염침투방지 기능이 향상된 샌드위치패널
JP2002364104A (ja) 耐火間仕切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80002740U (ko) 경량의 조립식패널
KR200397710Y1 (ko) 실내 벽면마감용 판넬구조
JP6034050B2 (ja) 鉄骨梁の耐火被覆構造
KR101126353B1 (ko) 방화문 및 그 방화문 제조방법
ITMI20001388A1 (it) Sistema di sospensione per pannelli di controsoffitti
JP6463321B2 (ja) パネル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カーテンウォール
KR100604411B1 (ko) 복합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이중벽 칸막이의 시공 방법
KR200332657Y1 (ko)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KR100555129B1 (ko)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JP2008240355A (ja) 柱または梁と耐火間仕切壁との取り合い構造及び方法
JP2019027092A (ja) 天井パネル
KR200480772Y1 (ko) 방화문 및 방화벽용 단열패널
JPH11159053A (ja) 建築用パネル
KR102153831B1 (ko) 조립식 경량 패널
JP2003064813A (ja) 乾式間仕切壁構造
KR200389820Y1 (ko) 건축용 내벽체
KR200359829Y1 (ko) 방음 패널
KR200355452Y1 (ko) 벽면장치용 칸막이 판넬의 조립시스템
ITMI20130135U1 (it) Sistemi di elementi finiti per un sistema di camera all'interno di una camera.
KR20100093715A (ko) 방음 및 단열성을 갖는 내장재
JPH0657854A (ja) 軽量耐火遮音間仕切壁
KR101177348B1 (ko)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KR200359827Y1 (ko) 방음벽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