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657B1 - 불연(不燃)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불연(不燃) 패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657B1
KR101494657B1 KR20140001889A KR20140001889A KR101494657B1 KR 101494657 B1 KR101494657 B1 KR 101494657B1 KR 20140001889 A KR20140001889 A KR 20140001889A KR 20140001889 A KR20140001889 A KR 20140001889A KR 101494657 B1 KR101494657 B1 KR 101494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lower plate
panel
plate
parti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1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부근
Original Assignee
네오우드스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우드스틸(주) filed Critical 네오우드스틸(주)
Priority to KR20140001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건물의 지붕이나 외벽 또는 내벽에 설치되거나 인테리어 작업시 실내의 천장이나 실내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로 설치되면서 단열(斷熱)이나 방음(防音)용으로 사용되는 불연 패널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 금속판재와 하부 금속판재 사이에 채워지는 글래스울(Glass wool)이나 암면(Rock wool)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ALC:Autoclave Light-Weight Concrete)로 이루어진 충전재(充塡材)가 상부와 하부판재의 내면에 대하여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와 하부의 판재 사이에 끼워지는 별도의 금속재 또는 비철금속재 구획판에 의하여 나뉘어지는 공간내에 충전재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화재발생시 불이 전혀 옮겨 붙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새로운 불연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금속재 또는 비철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요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마다 연속되게 형성된 상부판재 및 하부판재와; 상기 상부판재와 하부판재상의 마주하는 요홈부에 끼워져 결합된 후 요홈부와 함께 일측으로 수평되게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판재와 하부판재 사이의 공간부를 분할하는 금속재 또는 비철금속재의 구획판과; 글래스울(Glass wool), 암면(Rock wool) 및 경량 기포콘크리트(ALC:Autoclave Light-Weight Concrete)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획판에 의하여 나뉘어진 상부판재와 하부판재 사이의 공간부에 채워진 상태에서 단열과 방음 및 불연기능을 수행하는 충전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불연(不燃) 패널 및 그 제조방법{Nonflammability panel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ame}
본 발명은 불연(不燃)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지붕이나 외벽 또는 내벽에 설치되거나 인테리어 작업시 실내의 천장이나 실내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로 설치되어 단열(斷熱)이나 방음(防音)용으로 사용되는 불연 패널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판재와 하부판재 사이에 채워지는 글래스울(Glass wool)이나 암면(Rock wool) 또는 경량 기포콘크리트(ALC:Autoclave Light-Weight Concrete)로 이루어진 충전재(充塡材)가 상부와 하부판재의 내면에 대하여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와 하부판재 사이에 끼워지는 별도의 금속재 또는 비철금속재 구획판에 의하여 나뉘어지는 공간내에 충전재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화재발생시 불이 전혀 붙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유독가스 또한 전혀 발생되지 않도록 한 불연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패널은 건물의 지붕이나 내·외벽 또는 실내의 천장이나 인테리어 작업시에 칸막이로 사용되어 우천시 빗물이 건축물의 벽면쪽으로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고, 외부의 열이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건물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단열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층간 소음(騷音) 등을 차단하는 방음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최근의 건축용패널에는 상기한 단열기능이나 방음기능에 더하여 화재발생시 쉽게 불이 붙지 않도록 하는 불연(不燃) 또는 난연(難燃)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 같은 건축용 패널(10)은 통상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 또는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재로 이루어진 상부판재(12)와 하부판재(14)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판재(12)와 하부판재(14) 사이에는 스티로폼, 우레탄폼, 글래스울(Glass wool), 암면(Rock wool), 경량 기포콘크리트(ALC:Autoclave Light-Weight Concrete)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충전재(充塡材:16)가 채워지며, 상기의 충전재(16)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상부판재(12)와 하부판재(14)의 내면에 긴밀하게 접착되도록 하기 위한 접착제(18)가 도포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불연 패널(10)에서는 화재발생시 충전재(16)와 상·하부 판재(12)(14)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18)가 높은 열기에 녹으면서 다량의 유독성 가스가 발생되는 것은 물론, 인화성(引火性)이 강화되어 화염이 쉽게 옮겨 붙게 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또, 건축용 패널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71847호(명칭:건축용 패널)가 제안되었다.
상기 공개특허 제10-2008-0071847호의 선행기술은 '보온 및 단열을 위한 충전재의 상면 및 하면에 상부 및 하부 금속판이 각각 부착되어 일체화된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시공시 인접한 다른 건축용 패널과의 결합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연결부를 고리형상으로 형성하여 서로 밀착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에서도 또한 상부 및 하부 금속판 사이에 채워지는 충전재가 상부 및 하부 금속판에 접착제로 부착되기 때문에 화재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상부 및 하부 금속판 사이의 공간이 구획되지 않고 단일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재시 충전재의 어느 한 곳에 불이 붙는 경우 순식간에 충전재 전체로 화염이 전이되면서 다량의 유독가스가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물의 지붕이나 외벽 또는 내벽에 설치되거나 인테리어 작업시 실내의 천장이나 실내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로 설치되면서 단열(斷熱)이나 방음(防音)용으로 사용되는 불연 패널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판재와 하부판재 사이에 채워지는 글래스울(Glass wool)이나 암면(Rock wool)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ALC:Autoclave Light-Weight Concrete)로 이루어진 충전재(充塡材)가 상부와 하부판재의 내면에 대하여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와 하부판재 사이에 끼워지는 별도의 금속재 또는 비철금속재 구획판에 의하여 나뉘어지는 공간내에 충전재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화재발생시 불이 옮겨 붙지 않도록 하고, 유독가스가 전혀 발생되지 않도록 한 새로운 불연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새로운 불연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속재 또는 비철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요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마다 연속되게 형성된 상부판재 및 하부판재와; 상기 상부판재와 하부판재상의 마주하는 요홈부에 끼워져 결합된 후 요홈부와 함께 일측으로 수평되게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판재와 하부판재 사이의 공간부를 분할하는 금속재 또는 비철금속재의 구획판과; 글래스울(Glass wool), 암면(Rock wool) 및 경량 기포콘크리트(ALC:Autoclave Light-Weight Concrete)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획판에 의하여 나뉘어진 상부판재와 하부판재 사이의 공간부에 채워진 상태에서 단열과 방음 및 불연기능을 수행하는 충전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판재와 하부판재의 내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가지면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요홈부를 일정 간격 마다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요홈부 형성단계; 상기 요홈부가 윗쪽을 향하도록 하부판재를 수평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윗쪽으로부터 하부판재상의 각각의 요홈부에 금속재 또는 비철금속재로 이루어진 구획판의 하단을 끼워 결합하는 구획판 결합단계와; 상기 구획판에 의하여 분할되는 하부판재상의 공간부에 윗쪽으로부터 글래스울(Glass wool), 암면(Rock wool) 및 경량 기포콘크리트(ALC:Autoclave Light-Weight Concrete)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충전재를 끼워 삽입하는 충전재 삽입단계와; 상부판재상의 요홈부가 아랫쪽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판재의 요홈부에 끼워진 구획판의 상단이 상부판재상의 요홈부에 끼워져 결합되록 하는 상부판재 결합단계와; 상기 구획판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판재 및 하부판재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요홈부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평되게 절곡시켜 구획판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요홈부 절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상부판재와 하부판재의 내면의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면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마주하는 요홈부에는 금속재 또는 비철금속재의 구획판이 끼워져 상부판재와 하부판재 사이의 공간부를 분할하는 한편, 상기 구획판에 의하여 나뉘어진 공간부에는 단열 과 방음 및 불연기능을 수행하는 충전재가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끼워져 수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화재발생시 화염이 전혀 옮겨 붙지 않게 되는 것은 물론,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건축용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건축용 패널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지붕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구획판이 요홈부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구획판이 요홈부에 끼워진 후 일측으로 수평되게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벽면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구획판이 요홈부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구획판이 요홈부에 끼워진 후 일측으로 수평되게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천장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불연 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단계별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불연 패널(40)에서는 금속재 또는 비철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상부판재(42) 및 하부판재(44)가 마련되는데, 상기 상부판재(42)와 하부판재(44)의 서로 마주하는 면상에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면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요홈부(46)(46')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마다 연속되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판재(42)와 하부판재(44)상의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요홈부(46)(46')에는 상기 상부판재(42)와 하부판재(44) 사이의 공간부(48)를 분할하는 금속재 또는 비철금속재의 구획판(50)이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요홈부(46)(46')와 함께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한쪽으로 수평되게 절곡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구획판(50)에 의하여 나뉘어진 상부판재(42)와 하부판재(44) 사이의 공간부(48)에는 글래스울(Glass wool), 암면(Rock wool) 및 경량 기포콘크리트(ALC:Autoclave Light-Weight Concrete)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시공 후 단열과 방음 및 불연기능을 수행하는 충전재(52)가 채워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재(42)와 하부판재(44)의 일측단 사이에 시공시 이웃하는 불연 패널과 서로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결홈(54)이 형성되고, 타측단 사이에는 이웃하는 불연 패널상의 연결홈(54)에 끼워지는 크기를 갖는 연결돌부(5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 패널(40)의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 또는 비철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평판형태의 상부판재(42)와 하부판재(44)의 내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가지면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요홈부(46)(46')를 일정 간격 마다 연속적으로 형성한다(요홈부 형성단계).
그런 다음, 상기 요홈부(46')가 윗쪽을 향하도록 하부판재(44)를 수평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윗쪽으로부터 하부판재(44)상의 각각의 요홈부(46')에 금속재 또는 비철금속재로 이루어진 구획판(50)의 하단을 끼워 결합한다(구획판 결합단계).
이 상태에서 상기 구획판(50)에 의하여 분할되는 하부판재(44)상의 공간부(48)에 윗쪽으로부터 글래스울(Glass wool), 암면(Rock wool) 및 경량 기포콘크리트(ALC:Autoclave Light-Weight Concrete)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충전재(52)를 끼워 삽입하고(충전재 삽입단계), 상기 상부판재(42)상의 요홈부(46)가 아랫쪽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판재(44)의 요홈부(46')에 끼워진 구획판(50)의 상단이 상부판재(42)상의 요홈부(46)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다(상부판재 결합단계).
이와 같이 상부판재(42)를 결합한 다음, 상기 구획판(5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판재(42) 및 하부판재(44)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요홈부(46)(46')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평되게 절곡시켜 구획판(50)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면(요홈부 절곡단계), 본 발명에 따른 불연 패널(40)이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한 요홈부 형성단계에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재(42) 또는 하부판재(44)의 양측단 사이에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의 연결홈(54)과 연결돌부(56)를 절곡·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건물의 지붕, 벽면 및 천장에 적용될 수 있는 불연 패널의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예시된 형태이외에 건물의 구조 또는 외관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슴은 물론이다.
42 : 상부판재 44 : 하부판재
46,46' : 요홈부 48 : 공간부
50 : 구획판 52 : 충전재
54 : 연결홈 56 : 연결돌부.

Claims (2)

  1. 삭제
  2. 상부판재(42)와 하부판재(44)의 내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가지면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요홈부(46')를 일정 간격 마다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요홈부 형성단계;
    상기 요홈부(46')가 윗쪽을 향하도록 하부판재(44)를 수평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윗쪽으로부터 하부판재(44)상의 각각의 요홈부(46')에 금속재 또는 비철금속재로 이루어진 구획판(50)의 하단을 끼워 결합하는 구획판 결합단계와;
    상기 구획판(50)에 의하여 분할되는 하부판재(44)상의 공간부(48)에 윗쪽으로부터 글래스울(Glass wool), 암면(Rock wool) 및 경량 기포콘크리트(ALC:Autoclave Light-Weight Concrete)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충전재(52)를 끼워 삽입하는 충전재 삽입단계와;
    상부판재(42)상의 요홈부(46)가 아랫쪽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판재(44)의 요홈부(46')에 끼워진 구획판(50)의 상단이 상부판재(42)상의 요홈부(46)에 끼워져 결합되록 하는 상부판재 결합단계와;
    상기 구획판(5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판재(42) 및 하부판재(44)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요홈부(46)(46')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평되게 절곡시켜 구획판(50)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요홈부 절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 패널의 제조방법.
KR20140001889A 2014-01-07 2014-01-07 불연(不燃)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494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1889A KR101494657B1 (ko) 2014-01-07 2014-01-07 불연(不燃) 패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1889A KR101494657B1 (ko) 2014-01-07 2014-01-07 불연(不燃) 패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657B1 true KR101494657B1 (ko) 2015-03-05

Family

ID=53025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1889A KR101494657B1 (ko) 2014-01-07 2014-01-07 불연(不燃)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6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667B1 (ko) * 2019-01-31 2019-09-03 주식회사 태우이엔지 Sgp패널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sgp패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758Y1 (ko) * 2003-02-27 2003-06-18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흡음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구비된 지붕판넬
KR20080071847A (ko) * 2007-01-31 2008-08-05 주식회사기린산업 건축용 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758Y1 (ko) * 2003-02-27 2003-06-18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흡음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구비된 지붕판넬
KR20080071847A (ko) * 2007-01-31 2008-08-05 주식회사기린산업 건축용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667B1 (ko) * 2019-01-31 2019-09-03 주식회사 태우이엔지 Sgp패널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sgp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257B1 (ko)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구조 및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를 위한 외장재 시공방법
KR101729703B1 (ko) 건물외벽의 화재차단용 마감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84036B1 (ko) 화재 확산 차단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JP4021156B2 (ja) 耐火間仕切壁の耐火目地構造
JP7134426B2 (ja) 耐火部材及び耐火構造
JP6433358B2 (ja) 耐火扉
KR100701614B1 (ko) 내화성의 조립식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4657B1 (ko) 불연(不燃)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6463321B2 (ja) パネル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カーテンウォール
KR102175746B1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외벽용 단열패널
JP2008240355A (ja) 柱または梁と耐火間仕切壁との取り合い構造及び方法
KR101569656B1 (ko) 건축용 패널의 내화 보강 방법
KR200390694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01835071B1 (ko) 내화성을 갖는 조립식 경량 칸막이
JP2013068077A (ja) 防火区画壁
JP4700215B2 (ja) 防火区画壁
EP3561189B1 (en) A partition wall, especially for creation of a fire compartment in rooms of buildings
KR100720999B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200389563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200391703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JP6946028B2 (ja) 建物
JP5216117B2 (ja) 集合住宅の開口部に設けた耐火壁構造及び間取り変更方法
KR20150071342A (ko) 건축물용 조립식 내장재 패널
JP7283712B2 (ja) 耐火部材
KR200355440Y1 (ko) 조립식 방음벽의 외장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