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452Y1 - 벽면장치용 칸막이 판넬의 조립시스템 - Google Patents

벽면장치용 칸막이 판넬의 조립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452Y1
KR200355452Y1 KR20-2004-0011608U KR20040011608U KR200355452Y1 KR 200355452 Y1 KR200355452 Y1 KR 200355452Y1 KR 20040011608 U KR20040011608 U KR 20040011608U KR 200355452 Y1 KR200355452 Y1 KR 200355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panels
frame
panel
partit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수
Original Assignee
박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수 filed Critical 박용수
Priority to KR20-2004-0011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4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4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being achieved without any restraining forces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3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stituted of gypsum elements
    • E04B2002/725Corner or angle connection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간이 넓게 확보된 주거 및 업무용 오피스텔을 비롯한 빌딩등의 건물 실내에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단열 및 방음효과를 높이거나 혹은 한개의 방을 두개 이상으로 구획하고자 할때 그 공간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설치하여 칸막이 벽면을 구축할수 있도록 한 벽면 장치용 칸막이 판넬의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와같은 본 고안 벽면 장치용 칸막이 판넬의 조립 시스템은 판넬과 판넬을 서로 끼워 맞추는 단순 연결방식이므로 누구나 쉽고 빠르게 조립할수 있게되는 동시에 해체 역시 조립 방식의 역순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품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도 쉽게 분해하여 다른 장소에서도 새것과 동일한 조건으로 사용할수 있고, 특히 전,후면 판넬이 불연소재(N.F BOARD)로 이루어지고 전,후면 판넬 사이에는 벌집 모양의 공간을 다수 형성한 하니콤 패드가 접착되기 때문에 열에 강함은 물론 단열 및 방음 효과를 강화시켜 칸막이 판넬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칸막이 판넬의 조립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벽면장치용 칸막이 판넬의 조립시스템{The set up wall system of a partition board}
본 고안은 공간이 넓게 확보된 주거 및 업무용 오피스텔을 비롯한 빌딩등의 건물 실내에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단열 및 방음효과를 높이거나 혹은 한개의 방을 두개 이상으로 구획하고자 할때 그 공간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설치하여 칸막이 벽면을 구축할수 있도록 한 벽면 장치용 칸막이 판넬의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와같은 본 고안 벽면 장치용 칸막이 판넬의 조립 시스템은 판넬과 판넬을 서로 끼워 맞추는 단순 연결방식이므로 누구나 쉽고 빠르게 조립할수 있게되는 동시에 해체 역시 조립 방식의 역순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품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도 쉽게 분해하여 다른 장소에서도 새것과 동일한 조건으로 사용할수 있고, 특히 전,후면 판넬이 불연소재(N.F BOARD)로 이루어지고 전,후면 판넬 사이에는 벌집 모양의 공간을 다수 형성한 하니콤 패드가 접착되기 때문에 열에 강함은 물론 단열 및 방음 효과를 강화시켜 칸막이 판넬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칸막이 판넬의 조립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국가기관의 공무를 수행하는 청사 건물을 비롯하여 공공시설로 사용되는 공항 터미널 및 일반업무를 수행하는 사무실 전용 빌딩과 오피스텔 또는 백화점등여러 형태의 건축물이 있음을 알수 있는데, 이러한 건축물의 실내구조는 그 건축물의 규모나 조건에 따라 시방서에 설계가 된대로 형성하는 콘크리트 옹벽면이 구축되는가 하면 어떤 경우에는 건축물이 완공된 후 입주하는 입주자와 건물주의 합의에 따라 입주자가 요구하는 평수만큼 칸막이 판넬로 벽면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칸막이 판넬중 실내 인테리어를 고려한 무늬목이나 오크등의 나무재질은 그 가격이 상당히 고가이므로 그 사용성이 극히 제한되어 있고 통상적으로 보편화 되어있는 칸막이 판넬은 그 내부에 스티로폼 입자판이나 폴리우레탄 스폰지, 유리솜(글라스울)등의 충진제를 전,후면 철판 사이에 삽입한 형태의 샌드위치 판넬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샌드위치 판넬은 그 설치 작업시 전기 또는 산소용접기 및 절단기등의 많은 장비가 필요하고 그에 따른 작업인원도 많이 필요하여 공사비가 많이 드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따르게 되고, 특히, 충진제의 재료들중 스치로품 입자판이나 폴리우레탄 스폰지등은 열에 매우 약하여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불길을 빠르게 확사시킬뿐 아니라 다량의 유독가스를 발생시켜 인명피해는 물론 재산상의 손실과 대기오염 물결을 방출하여 환경파괴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판넬과 판넬의 연결이 끼워 맞춤식으로 간편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설치 및 해체 작업시 산소용접기나 절단기등의 장비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단순히 전동 스크류 드라이버 하나만 갖고 쉽고 빠르게 조립할수 있어 이에 대한 작업인원 및 장비의 구비조건에 대한 공사비를 대폭 절감토록 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다른 목적은 화재 발생시에도 불길의 확산을 지연 및 차단하고 유독가스의 발생이 없어 환경과 인명을 보호할수 있는 불연 칸막이 판넬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 칸막이 판넬 조립시스템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칸막이 판넬의 연결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3은 건물 실내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장치되는 본 고안 칸막이 판넬 조립 시스템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 칸막이 판넬 조립 시스템의 코너부 연결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 칸막이 판넬을 상부 천정 판넬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후면 판넬 2 : 하니콤패드 3,3a : 좌,우 연결후레임
9 : 상부마감 후레임 9a : 하부마감 후레임 14 : 코너 후레임
17 : 상부바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칸막이 판넬 조립시스템의 분리상태를 요부 상세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2, 도 3, 도 4, 도 5는 본 고안 칸막이 판넬 조립시스템의 각부 실시예를 타나낸 것이다.
불연소재인 전,후면 판넬(1)(1a)의 내부에 벌집모양의 다수 공간으로 교차 구획된 하니콤 패드(2)를 접착하고 전,후면 판넬(1)(1a)의 끝단부에는 좌,우 연결후레임(3)(3a)을 끼워 맞춤하되, 좌측 연결 후레임(3)은 중앙으로 돌부(4)와 그 양측으로 요홈부(5)(6)를 형성하며 반대측의 양단에는 전,후면 판넬(1)(1a)의 끝단부가 끼워지는 끼움홈(7)(8)을 형성하고, 우측 연결 후레임(3a)은 상기와는 반대로 중앙에 요홈부(4a)와 그 양측으로 돌부(5a)(6a)를 형성하며 반대측의 양단에는 상기와 같이 전,후면 판넬(1)(1a)의 끝단부가 끼워지는 끼움홈(7a)(8a)을 형성하며, 전.후면 판넬(1)(1a)의 상측으로는 상부 마감 후레임(9)을 결합하고 하측으로는 하부 마감 후레임(9)을 결합하되,
상부 마감 후레임(9)은 양측 끼움편(10)(10a)과 연장되는 밀착편(11)(11a)으로 구성하고, 하부 마감 후레임(9a)은 하부 끼움편(12)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밀착편(13)으로 구성하며,
우측 연결후레임(3a)에 밀착 연결되는 코너 후레임(14)에는 연결편(15)(15a)을 90°직각 방향으로 형성하여 중앙에는 날개편(16)으로 구성하고,
하니콤 패드(2)가 접착된 전.후면 판넬(1)(1a)을 상부 천정판넬로 사용하기위한 상부바(17)는 상측으로 " C " 형강(18)과 밀착하는 수평편(19)과 하측으로 전,후면 판넬(1)(1a)이 얹혀지는 절곡편(20)으로 구성한 것이다.위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전.후면 판넬(1)(1a)은 불연성인 발포체 N.F. BOARD 로서 판넬(1)(1a)의 내부로 벌집모양의 다수 공간으로 교차구획된 하니콤 패드(2)를 접착시켜 단열 및 방음효과의 충진제 기능을 행하도록 하고,
상기의 전,후면 판넬(1)(1a)의 끝단부에는 각각 좌측연결후레임(3)의 끼움홈(7)(8)과 우측연결후레임(3a)의 끼움홈(7a)(8a)을 일치시켜 상호간에 결합하면 도2에서와 같은 단위 판넬로 제작완료 되는 것이며,
이같은 단위 판넬을 이용하여 벽체를 구성하는 칸막이 판넬로 설치하는 작업과정은 전.후면 판넬(1)(1a)의 테두리 역할을 하는 좌측연결후레임(3)과 우측연결후레임(3a)을 단순히 계합 연결시키면 벽면으로 설치가 간편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인 바,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좌측연결후레임(3)의 중앙돌부(4)와 양측 요홈부(5)(6)를 우측연결후레임(3a)의 중앙요홈부(4a)와 양측돌부(5a)(6a)에 계합 끼워 맞추면서 계속 연결 설치하면 벽면으로 설치되는 것인 바, 이때 벽면으로 설치되는 전.후면 판넬(1)(1a)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기 상부마감후레임(9)과 하부마감후레임(9a)을 끼워 맞추게 되면 벽면으로 설치되는 칸막이 판넬이 보다 견고하고 미려한 상태가 되는 것이고, 상기의 상부마감후레임(9)은 전.후면 판넬(1)(1a)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양측 끼움편(10)(10a) 사이로 전,후면 판넬(1)(1a)이 끼워지고 끼움편(10)(10a)과 연장되는 밀착편(11)(11a) 천정면에 밀착되어 지므로 설치상태가 보다 견고해지는 것이며,
이상태에서 벽면을 구성하는 칸막이 판넬을 직각으로 꺾어 연결시킬 경우는 우측연결후레임(3a)에 코너후레임(14)의 일측 연결편(15)을 연결하고 타측 연결편(15a)역시 전.후면 판넬(1)(1a)이 연결된 다른쪽의 우측연결후레임(3a)을 연결시키게 되면 외측으로는 코너후레임(14)의 만곡면이 내측으로는 날개편(16)이 연결부위를 미려하게 마감처리 함으로써 벽면으로서의 칸막이 판넬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각 연결부위 즉, 좌.우측연결후레임(3)(3a), 코너후레임(14), 상부마감후레임(9), 하부마감후레임(9a)에는 다수곳에 스크류피스를 체결시켜 천정과 바닥 사이에 설치된 칸막이 판넬을 설치완료된 상태에서 보다 견고토록 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전.후면 판넬(1)(1a)을 천정판넬로 사용하기 위하여는 도5에서와 같이 천정을 가로지르는 "C"형강(18)에 상부바(17)의 수평편(19)을 밀착시켜 볼트 및 너트등으로 고정하고 하부의 절곡편(20)으로는 전,후면 판넬(1)(1a)의 끝단부를 얹히게 되면 이역시 천정판넬로 계속 연결시켜 사용할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고안의 벽면장치용 칸막이 판넬의 조립 시스템은 제작할때 미리 설치코자 하는 장소의 조건과 규격에 따라 규격품으로 제작하고 설치는 상술한 바와같이 계합 연결식으로 끼워 맞춤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산소용접기 및 절단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단순히 전동 스크류 드라이버 만으로 쉽고 빠르게 설치할수 있고 해체시에도 상기와 역순으로 해체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작업인원 및 장비의 구비조건에 대한 공사비를 대폭 절감할수 있는 효과와, 불연소재인 N.F.BOARD로 전후면 판넬을 구성하고 그 사이에는 벌집모양의 다수공간을 격자형으로 형성한 하니콤 패드를 접착하였기 때문에 화재시 불길의 번짐을 지연 및 차단하고 유독가스의 발생이 없게 되어 인명손실과 재산상의 손실을 최소화 할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전.후면 판넬 표면 상에는 불연피막(탭핑,도장등)층으로 다시 한번 마감 처리하면 불연성이 가일층 향상될뿐 아니라 기존 샌드위치 판넬보다 외관이 미려함은 물론 그 수명 또는 배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불연소재인 전,후면 판넬(1)(1a)의 내부에 벌집모양의 다수 공간으로 교차 구획된 하니콤 패드(2)를 접착하고 전,후면 판넬(1)(1a)의 끝단부에는 좌,우 연결 후레임(3)(3a)을 끼워 맞춤하되, 좌측 연결 후레임(3)은 중앙으로 돌부(4)와 그 양측으로 요홈부(5)(6)를 형성하며 반대측의 양단에는 전,후면 판넬(1)(1a)의 끝단부가 끼워지는 끼움홈(7)(8)을 형성하고, 우측 연결 후레임(3a)은 상기와는 반대로 중앙에 요홈부(4a)와 그 양측으로 돌부(5a)(6a)를 형성하며 반대측의 양단에는 상기와 같이 전,후면 판넬(1)(1a)의 끝단부가 끼워지는 끼움홈(7a)(8a)을 형성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장치용 칸막이 판넬의 조립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전.후면 판넬(1)(1a)의 상측으로는 상부 마감 후레임(9)을 결합하고 하측으로는 하부 마감 후레임(9)을 결합하되,
    상부 마감 후레임(9)은 양측 끼움편(10)(10a)과 연장되는 밀착편(11)(11a)으로 구성하고, 하부 마감 후레임(9a)은 하부 끼움편(12)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밀착편(13)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벽면장치용 칸막이 판넬의 조립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우측 연결후레임(3a)에 밀착 연결되는 코너 후레임(14)에는 연결편(15)(15a)을 90°직각 방향으로 형성하여 중앙에는 날개편(16)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장치용 칸막이 판넬의 조립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하니콤 패드(2)가 접착된 전.후면 판넬(1)(1a)을 상부 천정판넬로 사용하기 위한 상부바(17)는 상측으로 " C " 형강(18)과 밀착하는 수평편(19)과 하측으로 전,후면 판넬(1)(1a)이 얹혀지는 절곡편(2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장치용 칸막이 판넬의 조립시스템.
KR20-2004-0011608U 2004-04-26 2004-04-26 벽면장치용 칸막이 판넬의 조립시스템 KR200355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608U KR200355452Y1 (ko) 2004-04-26 2004-04-26 벽면장치용 칸막이 판넬의 조립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608U KR200355452Y1 (ko) 2004-04-26 2004-04-26 벽면장치용 칸막이 판넬의 조립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452Y1 true KR200355452Y1 (ko) 2004-07-06

Family

ID=49347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608U KR200355452Y1 (ko) 2004-04-26 2004-04-26 벽면장치용 칸막이 판넬의 조립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45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67B1 (ko) 2012-07-06 2013-03-22 주식회사 서린 벽체 연결용 클램프, 벽체 연결용 클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
KR101461432B1 (ko) * 2013-03-13 2014-11-13 주식회사 일양오피오 냉장,냉동고의 판넬조립구 및 판넬조립방법
KR200479589Y1 (ko) * 2015-04-13 2016-02-17 주식회사 하나폴리캠 칸막이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파티션
KR20160087786A (ko) 2016-07-06 2016-07-22 하이센스전시문화 주식회사 회전 대칭형 연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67B1 (ko) 2012-07-06 2013-03-22 주식회사 서린 벽체 연결용 클램프, 벽체 연결용 클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
KR101461432B1 (ko) * 2013-03-13 2014-11-13 주식회사 일양오피오 냉장,냉동고의 판넬조립구 및 판넬조립방법
KR200479589Y1 (ko) * 2015-04-13 2016-02-17 주식회사 하나폴리캠 칸막이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파티션
KR20160087786A (ko) 2016-07-06 2016-07-22 하이센스전시문화 주식회사 회전 대칭형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9564B2 (ja) 耐火間仕切壁及びその施工方法
CN112127659A (zh) 便于快速拆装的多层建筑
KR200355452Y1 (ko) 벽면장치용 칸막이 판넬의 조립시스템
JP6664908B2 (ja) 建築用板材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4545924B2 (ja) 耐火建物構造
KR20180002740U (ko) 경량의 조립식패널
KR200332657Y1 (ko)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JPH08100471A (ja) 外壁パネルおよびその施工構造
JPH0921225A (ja) 内装パネル材の構造とその施工方法
JP6941364B2 (ja) パネル構造体及びそれを備えた組立式シェルター
KR100555129B1 (ko)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KR20160131967A (ko) 내화성을 갖는 조립식 경량 칸막이
JP4295640B2 (ja) 既存外装壁の耐震改修構造
JP7467007B2 (ja) ブース及びブースの構築方法
JPH0720248Y2 (ja) 建築物の遮音構造
JP2604447Y2 (ja) 建物の小屋裏界壁構造
CN210857815U (zh) 一种装饰用复合围护墙板结构
KR200163845Y1 (ko) 칸막이용 골조
JP3119760B2 (ja) 建物ユニットの界壁構造および建物ユニットの界壁施工方法
KR200200374Y1 (ko) 칸막이용 판넬
JP2633152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耐火構造
JPH06220921A (ja) ユニット式建物
JP4317775B2 (ja) 既存外装壁の耐震改修方法
JP3150572U (ja) 間仕切り壁構造
WO2011123082A2 (en) Ready wall for noise and heat ins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