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898B1 - 방진 및 내진용 인서트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방진 및 내진용 인서트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898B1
KR101001898B1 KR1020080044985A KR20080044985A KR101001898B1 KR 101001898 B1 KR101001898 B1 KR 101001898B1 KR 1020080044985 A KR1020080044985 A KR 1020080044985A KR 20080044985 A KR20080044985 A KR 20080044985A KR 101001898 B1 KR101001898 B1 KR 101001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plate
spring
hole
inse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130A (ko
Inventor
김성구
김수연
김건아
김수혁
유현남
Original Assignee
김성구
김수연
유현남
김수혁
김건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구, 김수연, 유현남, 김수혁, 김건아 filed Critical 김성구
Priority to KR1020080044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898B1/ko
Publication of KR20090119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2009/186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arrangements for damping vib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통공(110)이 천공된 플레이트(101)와, 상기 통공(110)과 일직선으로 플레이트(101)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가 개방된 볼트 하우징(120)과, 상기 볼트 하우징(120)에 내장되는 고장력 볼트(122)로 이루어지는 인서트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볼트 하우징(120) 내측 상부에 스프링 결합구(121a)가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결합구(121a)에 끼워져 고장력 볼트(122)에 탄발력이 작용되도록 결합되는 인출 스프링(121)과, 상기 인출 스프링(121)의 탄발력에 의해 통공(110)을 통해 나사부(122a)가 돌출되도록 볼트 하우징(120)에 내장되어 지는 고장력 볼트(122)로 구성되는 방진 및 내진용 인서트 플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처럼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조립식으로 설치가 쉽고 간편하며, 설비 배관 및 중량물, 건축 구조물에 미치는 지진이나 진동, 유체 흐름에 의한 배관 자체의 진동 및 신축팽창을 흡수하여 건축 구조물 및 설비 배관을 보호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방진, 내진, 배관, 인서트 플레이트

Description

방진 및 내진용 인서트 플레이트{Insert plate for with vibration proof or aseismatic structure}
본 발명은 방진 및 내진용 인서트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으로 현장에서 설치가 쉽고 간편하며, 설비 배관 및 중량물, 건축 구조물에 미치는 지진이나 진동, 유체 흐름에 의한 배관 자체의 진동 및 신축팽창을 흡수하여 건축 구조물 및 설비 배관을 보호하도록 하는 방진 및 내진용 인서트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서트 플레이트는 아파트나 고층건물의 지하층에 설치되는 각종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지하층의 콘크리트 내에 매설되고 그 하부에 결합되는 배관 행거와 함께 배관을 일정간격 유지하여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이처럼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는 배관의 수평 상태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 배관 내의 유체 흐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배관의 이완 또는 처짐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종래 인서트 플레이트(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 상기 플레이트(1)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용 리브(3); 상기 플레이트(1)의 각 모서리에 천공된 고정공(2); 상기 고정공(2)에 삽입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설치되는 거푸집에 결합되는 못(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과 같은 종래의 인서트 플레이트(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층(A; 천장) 내부에 설치되며 그 저면에 배관 행거(11)를 용접·결합하여 배관(12)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인서트 플레이트(10)는 거푸집 제거시 콘크리트층(A) 외부로 노출된 못(4)에 의해 작업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로 인해 상기 못(4)을 제거하는 작업이 별도로 필요한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10)에 배관 행거(11)를 용접·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작업이 번거로우며, 배관 내의 유체 흐름에 의한 진동 및 신축팽창을 흡수하지 못하고 그대로 배관 행거(11)를 통해 인서트 플레이트(10)에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설비 배관 및 건축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는 지진이나 진동, 유체 흐름에 의한 배관 자체의 진동 및 신축팽창을 흡수하지 못하고 그 충격이 배관 행거(11) 및 인서트 플레이트(10)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배관 및 건축 구조물이 파손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통공이 천공된 플레이트와, 상기 통공과 일직선으로 플레이트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가 개방된 볼트 하우징과, 상기 볼트 하우징에 내장되는 고장력 볼트로 이루어지는 인서트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볼트 하우징 내측 상부에 스프링 결합구가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결합구에 끼워져 고장력 볼트에 탄발력이 작용하도록 결합되는 인출 스프링과, 상기 인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통공을 통해 나사부가 돌출되도록 볼트 하우징에 내장되어 지는 고장력 볼트로 구성되는 방진 및 내진용 인서트 플레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 상기 고장력 볼트의 하부에는 플레이트에 지지된 상태로 고장력 볼트의 머리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방진스프링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방진 및 내진용 인서트 플레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고장력 볼트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장너트와, 상기 장너트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후크볼트로 구성되는 방진 및 내진용 인서트 플레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조립식으로 설치가 쉽고 간편하며, 설비 배관 및 중량물, 건축 구조물에 미치는 지진이나 진동, 유체 흐름에 의한 배관 자체 의 진동 및 신축팽창을 흡수하여 건축 구조물 및 설비 배관을 보호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은 거푸집 설치 후, 콘크리트 타설시 철근 구조물인 환봉에 직접 결합·고정됨으로 별도의 장치(못)가 필요치 않으며, 인서트 플레이트에 내장된 방진 스프링에 의해 지진이나 진동, 유체 흐름에 의한 배관 자체의 진동 및 신축팽창을 흡수하여 배관 및 중량물, 건축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인서트 플레이트와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배관 행거를 조립식으로 쉽고 간편하게 설치함으로써 제작설치 및 인건비, 작업시간 단축으로 인해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통공(110)이 천공된 플레이트(101)와, 상기 통공(110)과 일직선으로 플레이트(101)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가 개방된 볼트 하우징(120)과, 상기 볼트 하우징(120) 내측 상부에 스프링 결합구(121a)가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결합구(121a)에 끼워져 고장력 볼트(122)에 탄발력이 작용되도록 결합되는 인출 스프링(121)과, 상기 인출 스프링(121)의 탄발력에 의해 통공(110)을 통해 나사부(122b)가 돌출되도록 볼트 하우징(120)에 내장되어 지는 고장력 볼트(122)와, 상기 고장력 볼트(122)의 하부 외측에 삽입되어 플레이트(101)에 지지된 상태 로 고장력 볼트(122)의 머리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방진스프링(123)으로 구성되어 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장력 볼트(122)의 나사부(122b)에 나사결합되는 장너트(130)와, 상기 장너트(130)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후크볼트(140)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플레이트(101)의 상단에는 환봉 지지용 크립(102)이 네모서리에 형성되어 지는데, 이는 건축물의 기초를 형성하기 위한 철근 구조물인 환봉에 직접 체결 및 고정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10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환봉 지지용 크립(102)의 상부에는 돌출된 고리(미도시)가 형성되어 이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철근 구조물에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통공(110)은 볼트 하우징(1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장력 볼트(122)를 플레이트(101)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볼트 하우징(120)은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플레이트(101)의 상단에 통공(110)과 같은 수직선상에 설치되어 진다.
상기 인출 스프링(121)은 볼트 하우징(120)의 상부 내측 저면에 형성된 스프링 결합구(121a)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인출 스프링(121)은 상기 고장력 볼트(122)를 볼트 하우징(120)에 내장한 상태로 거푸집을 설치하였다가 콘크리트의 양생이 끝나고 거푸집을 제거할 때 고장력 볼트(122)의 나사부(122a)가 볼트 하우징(120)으로부터 통공(110)을 통해 플레이트(101) 하부로 쉽게 노출되도록 밀어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설치시에는 고장력 볼트(122)가 인출 스프링(121)을 압축하고 있다가 거푸집이 제거되면 고장력 볼트(122)를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압력이 사라지게 되어 인출 스프링(121)의 탄발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쉽게 고장력 볼트(122)가 통공(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또한 상기 고장력 볼트(122)에는 방진 스프링(123)이 삽입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방진 스프링(123)은 고장력 볼트(122)에 가해지는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상기 방진 스프링(123)은 방진 고무(123a)로 대체할 수도 있으며, 방진 스프링(123)의 상하는 와셔(122a)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방진 스프링(123)이나 방진고무(123a)에 의해 지진이나 진동, 배관 내의 유체 흐름에 의한 진동 및 신축팽창을 흡수하여 설비 배관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장력 볼트(122)에 장너트(130)를 체결시 상기 고장력 볼트(122)가 볼트 하우징(120) 내에서 헛돌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고장력 볼트(122) 머리의 너비는 상기 볼트 하우징(120)의 내부 너비와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장력 볼트(122)의 하부에 장너트(130)를 나사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장너트(130)의 하부에는 후크 볼트(140)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후크 볼트(140)는 배관이 설치되는 배관 행거를 현수(懸垂)상태로 지지함으로써 건물의 진동이나 흔들림에 대해 배관 행거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크 볼트(140)와 배관 행거 사이에는 체인이나 와이어 로프 같은 현수 부재(150)에 의해 현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배관이 설치되는 배관 행거의 좌우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진동이나 흔들림에 대해 배관 행거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 - 종래 인서트 플레이트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 - 종래 인서트 플레이트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 3 - 본 발명 인서트 플레이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 - 도 3의 결합 사시도.
도 5 - 도 4의 V-V선 단면도.
도 6 - 본 발명 인서트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 - 본 발명 인서트 플레이트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8 - 본 발명 인서트 플레이트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종래 인서트 플레이트
1: 플레이트 2: 고정공
3: 지지용 리브 4: 못
11: 배관 행거 12: 배관
A: 콘크리트층
100: 본 발명 인서트 플레이트
101: 플레이트 102: 환봉 지지용 크립
110: 통공 120: 볼트 하우징
121: 인출 스프링 121a: 스프링 결합구
122: 고장력 볼트 122a: 와셔
122b: 나사부 123: 방진 스프링
123a: 방진 고무 130: 장너트
140: 후크 볼트 150: 현수부재

Claims (3)

  1. 통공(110)이 천공된 플레이트(101)와, 상기 통공(110)과 일직선으로 플레이트(101)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가 개방된 볼트 하우징(120)과, 상기 볼트 하우징(120)에 내장되는 고장력 볼트(122)와, 상기 볼트 하우징(120) 내측 상부에 스프링 결합구(121a)가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결합구(121a)에 끼워져 고장력 볼트(122)에 아래 방향으로 탄발력이 작용하도록 결합 되는 인출 스프링(121)과, 상기 고장력 볼트(122)를 상부 방향으로 탄발력이 작용하도록 결합되는 방진스프링(123)으로 이루어지는 인서트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방진스프링(123)은 플레이트(101)의 상부 면에 지지 된 상태로 고장력 볼트(122)의 머리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고장력 볼트(122)는 인출 스프링(121)의 탄발력에 의해 플레이트(101)의 통공(110)을 통해 플레이트(101) 하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된 고장력 볼트(122)의 나사부(122a)에는 장너트(130)가 나사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장너트(130)의 상단은 플레이트(101)의 하단에 밀착되도록 하되 상기 장너트(130)의 하부에는 역시 나사결합되는 후크볼트(140)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후크볼트(140)에는 현수부재(150)가 매달리도록 하여 상기 현수부재(150)에 의해 배관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및 내진용 인서트 플레이트.
  2. 삭제
  3. 삭제
KR1020080044985A 2008-05-15 2008-05-15 방진 및 내진용 인서트 플레이트 KR101001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985A KR101001898B1 (ko) 2008-05-15 2008-05-15 방진 및 내진용 인서트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985A KR101001898B1 (ko) 2008-05-15 2008-05-15 방진 및 내진용 인서트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130A KR20090119130A (ko) 2009-11-19
KR101001898B1 true KR101001898B1 (ko) 2010-12-17

Family

ID=41602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985A KR101001898B1 (ko) 2008-05-15 2008-05-15 방진 및 내진용 인서트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8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460A1 (ko) * 2017-05-19 2018-11-22 주식회사 메이크순 건축 슬래브용 인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3412B2 (en) 2011-08-26 2013-06-04 Lynn Toedte Spring bolt hang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742A (ja) * 1999-08-26 2001-03-1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スプリングハンガー
KR200261928Y1 (ko) * 1998-11-06 2002-05-13 도회만 행거설치용앵커고정구
KR200314236Y1 (ko) * 2003-02-21 2003-05-22 임동희 안마용 솔레노이드 진동기
KR200404747Y1 (ko) * 2005-10-20 2005-12-27 신일공영(주) 천장판넬 고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928Y1 (ko) * 1998-11-06 2002-05-13 도회만 행거설치용앵커고정구
JP2001065742A (ja) * 1999-08-26 2001-03-1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スプリングハンガー
KR200314236Y1 (ko) * 2003-02-21 2003-05-22 임동희 안마용 솔레노이드 진동기
KR200404747Y1 (ko) * 2005-10-20 2005-12-27 신일공영(주) 천장판넬 고정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460A1 (ko) * 2017-05-19 2018-11-22 주식회사 메이크순 건축 슬래브용 인서트
KR20180126973A (ko) * 2017-05-19 2018-11-28 주식회사 메이크순 건축 슬래브용 인서트
KR102011716B1 (ko) 2017-05-19 2019-08-19 주식회사 메이크순 건축 슬래브용 인서트
US11002005B2 (en) 2017-05-19 2021-05-11 Makesoon Inc. Insert for construction sla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130A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908B1 (ko) 내진 스프링 안전 행거
KR101870213B1 (ko) 내진 및 방진용 배관 지지 행거
JP2007239306A (ja) 免震ダンパーの取付方法
KR101927204B1 (ko) 내진장치가 설치된 컨테이너 하우스용 화장실
KR20100066099A (ko) 내진패킹을 구비한 배관고정장치
KR100962993B1 (ko) 방진 및 내진용 배관고정장치
KR101001898B1 (ko) 방진 및 내진용 인서트 플레이트
KR102239265B1 (ko) 내진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870212B1 (ko) 내진 및 방진용 배관 홀더
KR101898619B1 (ko) 내진기능을 갖는 물탱크의 클램핑장치
KR102003597B1 (ko) 기계설비배관의 내진 및 방진지지장치
KR100592218B1 (ko) 도로배수관로 교차구간의 보호시설구조
JP2020002688A (ja) 橋梁の変位制限装置
KR101019387B1 (ko) 방진 및 내진을 위한 배관 행거용 배관고정구
KR101841927B1 (ko) 물탱크 고정용 내진유닛
KR102043168B1 (ko) 방진 또는 완충 기능을 구비한 외벽패널 조립체
US20210277681A1 (en) Damping system utilizing space between stair chamber and inner building
JP5348945B2 (ja) 建築物の免震構造
KR101942181B1 (ko) 내진용 매립형 지지대
KR102452614B1 (ko) 스프링브래킷을 이용한 내진패널구조
KR101874818B1 (ko) 물탱크 고정용 내진유닛
KR200375145Y1 (ko) 내진형 교량점검로용 난간
JP3180347U (ja) 後付け耐震補強構造体および後付け耐震補強金物ユニット
KR102439580B1 (ko) 다기능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06072B1 (ko) 배관 고정용 내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