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264B1 -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264B1
KR101346264B1 KR1020130083442A KR20130083442A KR101346264B1 KR 101346264 B1 KR101346264 B1 KR 101346264B1 KR 1020130083442 A KR1020130083442 A KR 1020130083442A KR 20130083442 A KR20130083442 A KR 20130083442A KR 101346264 B1 KR101346264 B1 KR 101346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linker
wire
support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주
Original Assignee
(주)성원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원이엔씨 filed Critical (주)성원이엔씨
Priority to KR1020130083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2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선의 팽창 수축시 절연애자도 신축성을 갖도록 하여 과도한 응력집중에 의한 절연애자 파손을 막고 안전성을 확보하며, 장수명화를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에 관한 것이다.
발명에 따르면, 수축된 상태의 전선을 지지하는 제1권취구와 팽창된 상태의 전선을 지지하는 제2권취구의 권취력을 달리하여 전선을 지지함으로서, 수축이 큰 상태에서는 전선의 지지를 느슨하게 하고, 팽창이 큰 상태에서는 늘어진 전선을 능동적으로 감아 일정한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전신주에 고정된 전선의 외관미를 유지하면서도 그 수명을 가능한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애자 자체도 신축 팽창이 가능하므로 장력 변화시 응력집중을 막고, 파손, 파괴를 방지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하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A ELECTRIC POLE CHANGING THE POSITION OF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선의 팽창 수축시 절연애자도 신축성을 갖도록 하여 과도한 응력집중에 의한 절연애자 파손을 막고 안전성을 확보하며, 장수명화를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에 관한 것이다.
전신주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과 통전하는 전선을 지지하면서 가정이나 회사 등 전기가 필요한 곳으로 상기 전선을 안내한다.
그런데, 상기 전선은 비교적 고압의 전류가 흐르므로, 절연체인 전신주를 통해 누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신주와 상기 전선이 직접 맞닿지 않도록 하고 절연성이 우수한 연결체를 매개로 전선을 고정한다.
이러한 절연체를 애자라고 한다.
결국, 상기 애자를 통해 연결된 전선은 전신주와는 직접 맞닿아 고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신주의 일 지점에 정확히 고정 배치된다.
한편, 전선을 간단히 설명하면,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와 같은 금속라인을 합성수지로 감아 절연한 것이다.
따라서, 주변환경의 온도에 따라 상기 금속라인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이웃하는 전신주 사이에 위치하는 전선은 계절에 따라 아래로 늘어지거나 팽팽하게 당겨져서 그 모습을 달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줄이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애자를 장력을 갖는 스프링 또는 일정한 하중을 갖는 중량체와 연결하여서, 여름철 전선이 늘어지면 스프링의 탄발력 또는 중량체의 하중으로 상기 전선을 당기고 겨울철 전선이 팽팽해지면 전선의 장력으로 늘어짐이 해소되면서, 계절변화에 관계없이 전선의 배치가 항시 일정함을 유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스프링과 중량체와 같은 부재를 이용해 전선의 팽창과 수축에 대응할 경우 전선은 지속적인 하중을 받아 금속라인이 조금씩 늘어나게 되고, 결국에는 금속라인의 구경이 줄면서 그 길이는 늘어나게 되어 상기 금속라인의 저항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전선의 저항 상승은 송전의 손실률을 높이므로 전선을 일정한 주기로 교체해줘야 하는 불편을 낳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0714999호(2007.04.27.)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로 개시된 등록특허는 전선에 연결된 애자의 단부에 연결되어 전신주에 고정하는 구조로서, 전선의 수축, 팽창시 애자와 함께 당기거나 늘려주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수축 팽창하지 않고 리지드(Rigid)하게 배치된 애자는 전선의 장력 변화시 순간적인 응력집중에 의해 애자 자체가 파단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높다.
즉, 애자가 수직하게 설치된 것이 아니라, 전선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714999호(2007.04.27.)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온도에 반응하여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 전선을 항시 일정한 외관을 유지하도록 연결함에 있어 상황에 따라 전선이 받는 장력을 조절하여 전선이 받는 부담을 줄이고, 이를 통해 전선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자 자체에도 신축 팽창 기능을 부여하여 전선의 장력 변화에 따라 함께 동일한 대응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애자 자체에 순간적으로 걸리는 응력집중에 따른 파단,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도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와 연통하여 수평하게 형성되고 말단은 외부로 개구되는 수평로와, 일단이 상기 수평로와 연통하고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와 연통하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상향로와, 상기 수용공간과 수평로 사이에 돌출형성되고 하기 제2와이어가 수평하게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전면에 돌출된 안내형 돌부와, 상기 상향로와 수평로가 만나는 지점에 돌출된 걸림형 돌부와, 상기 수평로의 상부에서 동방향으로 개구된 안착공간과, 상기 안착공간의 개구부에 편심된 회전중심을 가지며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회전중심이 탄발지지되고 마찰이 큰 탄성재질의 합성수지재인 바퀴를 갖는 감속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와이어를 감는 권취력을 가지며, 상기 상향로를 따라 위치하는 상기 제1와이어의 말단에 걸림홈을 갖는 제1링커가 연결되되, 상기 제1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제1링커가 상기 걸림형 돌부에 걸렸을 때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제한되는 제1권취구;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2와이어를 감되 상기 제1권취구의 권취력보다 작은 권취력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로를 따라 위치하는 상기 제2와이어의 말단에 상방으로 개구된 고리형상을 이루는 제2링커가 연결되는 제2권취구; 일단이 상기 안내형 돌부와 맞물려 상방으로 밀릴 수 있는 곡면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판이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링커가 상기 판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링커와 맞물리는 고정축과, 상기 걸림형 돌부에 지지된 제1링커를 밀어내려 상기 판 사이로 안내하는 가압돌부와, 상기 판 사이로 밀린 상기 제1링커의 걸림홈과 맞물리는 걸림축과, 상기 수평로를 따라 상기 하우징 밖으로 인출되는 이동시 상기 걸림축과 맞물린 상기 제1링커를 밀어올려 상기 걸림형 돌부 안으로 누르는 누름대를 구비한 제1지지대; 일단이 상기 제1지지대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지지대; 일단이 상기 제2지지대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애자와 연결되는 제3지지대; 상기 수평로 및 상향로의 내벽에 상기 제1,2,3지지대의 외면과 맞닿아 그 이동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2,3지지대가 상기 내벽과 직접 맞닿지 않도록 지지하는 바퀴를 갖는 다수의 폴리; 및 일단은 상기 안착공간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3지지대와 고정되며, 외면은 상기 안착공간의 안쪽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으로 되어서, 상기 안착공간의 개구부를 통해 인출될수록 상기 감속대의 바퀴 외주면과 맞물려서 회전하는 상기 바퀴에 의해 인출이 저지되는 고정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애자는 제1,2,3,4애자로 분할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애자는 서로 나사체결되는 애자커버와 애자본체로 이루어지며, 애자본체의 중앙에는 구멍이 뚫려 있고, 상기 제2,3애자는 애자커버와 애자본체가 서로 합쳐진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중앙에 구멍이 뚫려 있고, 상기 제4애자는 일체형이되, 일측면에 연결구가 돌출되고, 중앙에는 구멍이 뚫리되 구멍이 형성된 내경에는 애자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애자본체 및 제2,3,4애자의 중앙 구멍을 관통하여 결속구가 끼워지되, 상기 결속구의 선단에는 상기 애자본체에 걸림되는 절곡단부가 형성되고, 후단 외주면에는 상기 제4애자의 애자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결속구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단부와 애자본체, 애자본체와 제2애자, 제2애자와 제3애자, 제3애자와 제4애자 사이에는 제1,2,3,4튜브가 개재되어 전선의 장력 변화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애자가 자체적으로 팽창, 수축되면서 가해지는 힘을 완충 분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를 제공한다.
발명에 따르면, 수축된 상태의 전선을 지지하는 제1권취구와 팽창된 상태의 전선을 지지하는 제2권취구의 권취력을 달리하여 전선을 지지함으로서, 수축이 큰 상태에서는 전선의 지지를 느슨하게 하고, 팽창이 큰 상태에서는 늘어진 전선을 능동적으로 감아 일정한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전신주에 고정된 전선의 외관미를 유지하면서도 그 수명을 가능한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애자 자체도 신축 팽창이 가능하므로 장력 변화시 응력집중을 막고, 파손, 파괴를 방지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하는 효과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에 애자가 고정되어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의 제 1, 2, 3 지지대 간의 연결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은 애자의 이동에 따른 전신주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원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 는 도 3 에 도시한 동작모습의 다음 동작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6 은 도 5의 원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714999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714999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714999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애자의 구조를 개선하여 팽창 수축할 수 있도록 개선한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714999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는 일단이 전선(10)과 연결된 애자(20)의 타단과 고정되어서, 완철 또는 전신주의 몸체에 직접 체결/고정되는 연결기구(10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기구(100)와 애자(20)는 제1,2,3지지대(140, 150, 160)를 매개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기구(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11)과 상기 수용공간(111)과 연통하는 수평로(112) 및 상향로(113)를 구비한 하우징(110)과, 제1,2권취구(120, 130)와, 상기 제1,2권취구(120, 130)와 제1,2와이어(121, 131)를 매개로 각각 연결되는 제1,2.3지지대(140, 150, 16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신주에 고정된 완철 또는 전신주 몸체에 직접 고정되며, 내측에는 수용공간(111)과, 상기 수용공간(111)으로부터 수평하게 연통하는 수평로(112)와, 일단이 상기 수평로(112)의 일지점과 연통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111)과 연통하는 상향로(113)를 포함한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11)과 수평로(112) 및 상향로(113)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서로 연통하고, 상기 수평로(112)의 말단은 하우징(110)의 바깥으로 개구된다.
상기 수용공간(111)은 제1권취구(120)와 제2권취구(130)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으로, 상기 제1권취구(120)는 상향로(113)의 타단이 위치하는 수용공간(111)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권취구(130)는 수평로(112)와 수용공간(111)이 연통하는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제1,2권취구(120, 130)는 일방향 회전에 대한 탄발력을 갖는 기구로, 태엽과 같이 회전력에 대한 탄성을 갖는 탄발부재(미도시함)가 회전축(미도시함)과 연결되어서, 상기 회전축이 탄발부재의 탄발방향에 역행하여 회전하면 탄발부재가 이에 탄발한다. 상기 제1,2권취구(120, 130)의 구조는 널리 알려졌으며, 일상에서도 이를 응용한 도구가 많으므로, 제1,2권취구(120, 13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권취구(120)와 제2권취구(130)의 권취력은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제1,2권취구(120, 130)에 각각 내장된 탄발부재의 탄발력이 차이를 갖는 것인데, 본 발명에 따른 제1,2권취구(120, 130)의 권취력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우선, 제1권취구(120)는 전선(10)이 높은 온도에서 충분히 팽창할 경우 전선(10)의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잡아당기기 위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큰 권취력을 가져야 한다. 반면, 제2권취구(130)는 전선(10)이 낮은 온도에서 수축할 경우 무리하게 전선(10)을 당기지 않아 전선(10)에 여유를 주기 위한 것으로, 비교적 작은 권취력을 가져야 한다. 즉, 상기 제1권취구(120)의 권취력은 전선(10)을 말아 감아야 하고, 제2권취구(130)는 전선(10)이 팽팽해지면서 긴장하는 것을 풀어주어야 하므로, 상기 제1,2권취구(120, 130)는 서로 다른 탄발정도를 갖는 탄발부재가 적용되어야 한다.
상술한 제1,2권취구(120, 130)는 각각 제1,2와이어(121, 131)가 감겨 고정되고, 상기 제1,2와이어(121, 131)의 말단에는 제1링커(122)와 제2링커(132)가 연결된다. 즉, 상기 제1,2권취구(120, 130)의 권취력은 제1,2와이어(121, 131)를 통해 상기 제1,2링커(122, 132)에 전달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와이어(121)는 수용공간(111)의 상부에 위치한 제1권취구(120)로부터 인출되어 상향로(113)를 따라 수평로(112)로 인입되고, 상기 제2와이어(131)는 수용공간(111)의 하부에 위치한 제2권취구(130)로부터 인출되어 수평로(112)로 직접 인입된다. 또한, 상기 제1,2와이어(121, 131)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수평로(112) 및 상향로(113)를 따라 배선되므로, 방향전환에 의한 제1,2와이어(121, 131)와 내벽 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폴리(116a, 116b)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는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말단이 개구된 상기 수평로(112)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1링커(122) 또는 제2링커(132)와 연결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지지대(140, 140')는 양단에 각각 제1,2홈(140a, 140b)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한쌍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짝을 이루는 제1지지대(140, 140')의 일단에 형성된 제1홈(140a)으로 고정축(141)이 연결되면서 서로 고정된다. 따라서, 제1지지대(140, 140')는 안쪽에 상기 고정축(141)의 길이만큼의 폭을 갖는 공간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공간으로 걸림축(142)과 가압돌부(143)가 배치 고정된다.
상기 걸림축(142)은 제1지지대(140, 140')에 형성된 제3홈(140c)과 맞물려 배치 고정되고, 상기 가압돌부(143)는 제1지지대(140, 140')에 형성된 맞물림홈(144)과 맞물려 배치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3홈(140c)은 제1지지대(140, 140')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맞물림홈(144)은 상기 제3홈(140c)에 인접하는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위치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2지지대(150)는 상기 제1지지대(140, 140')의 타단에 형성된 제2홈(140b)에 대응하는 회동홈(153)을 일단에 갖추고, 상기 제2홈(140b) 및 회동홈(153)을 각각 동축으로 연결하는 제1힌지(151)를 매개로 상기 제1지지대(140, 140')와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3지지대(160)는 애자(20)와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제2힌지(152)를 매개로 상기 제2지지대(150)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결국,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는 제2지지대(150)를 중심으로 모두 회동가능하게 고정 연결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기구(100)를 그 동작에 따라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히 한다.
미 설명한 인출번호 "154"는 "절개면"으로, 상기 제2지지대(150)의 외면이 일정범위만큼 함몰된 것이며, 상기 수평로(112) 및 상향로(113)에서 회동할 때 내벽과의 접촉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미 설명한 인출번호 "145"는 "누름대"로, 상기 제1링커(122)를 누르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한다.
도 3은 애자의 이동에 따른 전신주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원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참조한 도 1(a)와 도 1(b)는 각각 상기 연결기구(100)로부터 애자(20)가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때와 조금은 가까워져 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즉, 한겨울 온도가 낮은 날 전선(10)이 수축되면서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160)를 잡아당기고, 이로 인해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가 수평로(112)로부터 인출된다.
이렇게 인출된 제1지지대(140)는 상기 고정축(141)에 상기 제2링커(132)가 맞물리면서 제2권취구(130)의 권취력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후, 온도가 오르면서 전선(10)의 수축이 완화되면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가 전선(10)으로부터 받는 장력의 비중이 줄고 상대적으로 상기 제2권취구(130)가 가하는 장력의 비중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대(140)는 상기 제2권취구(130)의 권취력으로 수평로(112)를 따라 하우징(110)의 안쪽으로 이동한다. 물론, 상기 제1지지대(140)와 연결된 제2,3지지대(150, 160), 애자(20) 및 전선(10) 모두가 이동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권취구(130)의 권취력은 제1,2,3지지대(140, 150, 160), 애자(20) 및 전선(10)을 능동적으로 잡아당겨 감는 정도의 크기는 아니고, 수축된 전선(10)이 이완되면서 늘어난 길이를 감는 정도의 크기에 불과하다. 따라서, 전선(10)이 받게 되는 수축에 의한 긴장을 완화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전선(10)의 수축에 의한 긴장이 사라지고 팽창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1지지대(140)의 가압돌부(143)가 제1링커(122)와 맞닿는다.
상기 제1링커(122)는 수평로(112)와 상향로(113)가 만나는 지점에 돌출된 걸림형 돌부(115b)와 맞물려 지지된다. 즉, 제1권취구(120)의 권취력을 받는 제1링커(122)가 상기 제1권취구(120)의 권취력에 저항하여 상기 걸림형 돌부(115b)의 일지점에 고정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가압돌부(143)와 맞닿는 제1링커(122)의 전면은 상기 가압돌부(143)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하방으로 이동한다.(도 4(a) 참조) 이렇게 미끄러지는 제1링커(122)는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122a)과 상기 걸림축(142)이 맞물린다.(도 4(b) 참조)
한편, 상기 고정축(141)과 맞물린 제2링커(132)는 수평로(112)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수용공간(111)과 수평로(112)의 교점에 위치한 스토퍼(114)와 맞닿는다. 상기 스토퍼(114)는 제2링커(132)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1지지대(140)의 일단과 만나는 안내형 돌부(115a)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대(140)의 일단은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형 돌부(115a)는 제1지지대(140)의 유선형 일단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된다. 결국, 상기 안내형 돌부(115a)와 맞닿은 제1지지대(140)의 일단은 상기 안내형 돌부(115a)를 타고 오르면서 상기 상향로(113)를 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114)는 제2링커(132)와 맞닿아 그 이동을 정지시켜야 하므로 걸림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간(111)과 수평로(112)는 상기 스토퍼(114)에 의해 분리된다. 하지만, 상기 제2링커(132)와 제2권취구(130)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131)가 관통해야 하므로, 상기 스토퍼(114)는 관통구멍(114a)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링커(132)는 상방이 개구된 고리형상으로 되어서, 상방을 향하는 고정축(141)이 간섭없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동작모습의 다음 동작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원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상기 제1지지대(140)는 상향로(113)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의 구동력은 상기 제1권취구(120)로, 권취력이 상기 제2권취구(130)의 권취력보다 커 능동적으로 제1와이어(121)를 되감고, 상기 제1와이어(121)의 말단에 연결된 제1링커(122)는 걸림축(142)을 잡고 당긴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대(140)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향로(113)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권취구(120)는 지속적으로 제1와이어(121)를 되감고,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는 수평로(112) 및 상향로(113)를 따라 이동하면서 도 5(b)와 같이 된다. 즉, 상기 제2지지대(150) 또한 상기 상향로(113)로 진입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지지대(140)와 제2지지대(150)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므로, 그 이동에 간섭을 받지 않는다.
한편, 안쪽에 일정한 폭을 갖는 상기 제1지지대(140)와는 달리 제2지지대(150)는 상기 제1지지대(140) 안쪽에 위치하는 하나의 몸체이므로, 상기 제1지지대(140) 사이에 위치하는 제2링커(132)와 맞닿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링커(132)는 상기 제2지지대(15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말단이 회동편(132a)으로 분리되고, 힌지축(132b)를 매개로 고정된다. 즉, 상기 제2지지대(150)와 제2링커(132)가 맞닿으면, 상기 회동편(132a)이 제2링커(132)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동하면서 접히는 것이다. 결국,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대(150)는 별다른 간섭없이 상향로(113)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링커(132)는 접힐 수는 있지만, 도 6(a)와 같이 펴진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축(141)과 맞물려 제1,2,3지지대(140, 150, 160)를 지지해야 하므로, 도 6(b)와 같이 접힐 수는 있지만 펼쳐지지는 않는다. 이를 위해 상기 회동편(132a)에는 돌부(132c)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편(132a)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커(132)의 일지점에는 상기 돌부(132c)가 맞물리는 홈부(132d)가 형성되어서, 상기 회동편(132a)은 접힐 수는 있지만 펼쳐지지는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는 제1권취구(120)의 권취력을 따라 상기 하우징(110)의 안쪽으로 내입되어 늘어난 전선(10)의 길이만큼을 잡아 지지하게 된다.
물론, 전선(10)이 다시 팽팽해지면 상기 제1권취구(120)의 권취력은 전선(10)의 수축력보다 작으므로, 제1와이어(121)가 풀리면서 제1,2,3지지대(140, 150, 160)가 하우징(111)으로부터 인출되고, 특히 상기 제1지지대(140)는 상향로(113)로부터 벗어나 수평로(112)로 진입하면서 상기 고정축(141)이 제2링커(132)와 맞물리고, 상기 제1링커(122)는 제1지지대(140)를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형 돌부(115b)를 경유한 후 상기 누름대(145)에 의해 눌리면서 상기 걸림형 돌부(115b)로 밀려 들어가 배치된다. 물론, 제1링커(122)는 걸림축(142)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상기 제1지지대(140)와 분리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와이어(121)의 길이는 상기 제1링커(122)가 걸림형 돌부(115b)를 갓 지난 위치만큼까지 이어지는 길이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는 상기 수평로(112) 및 상향로(113)의 내벽에 활차(180)를 더 배치한다. 상기 활차(180)는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의 외면과 맞닿는 바퀴가 상기 내벽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돌출되어,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의 이동시 제1,2,3지지대(140, 150, 160)의 외벽이 상기 내벽과 직접 마찰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상기 활차(180)는 상술한 구조를 갖는 연결기구(100) 내 제1,2,3지지대(140, 150, 160)가 그 이동시 상기 수평로(112) 및 상향로(113)와 맞닿게 되는 모든 위치에 배치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의 원활한 이동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막대(170)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는 고정막대(17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막대(170)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안착공간(117)에 내장되며, 상기 수평로(112)의 개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된다.
상기 고정막대(170)의 일단은 상기 안착공간(117)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3지지대(16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3지지대(160)는 상방으로 도출된 고정부(161)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막대(170)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161)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가 겨울철 전선(10)의 냉각으로 상기 수평로(112)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고정막대(170)의 타단이 상기 고정부(161)를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막대(170)의 타단은 상기 안착공간(117)으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상기 고정막대(170)의 일단은 안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된다. 한편, 상기 안착공간(117)의 개구부에는 감속대(119)가 배치된다.
상기 감속대(119)는 편중된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항시 도 5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토션스프링으로 지지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감속대(119)는 상기 안착공간(117)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편중된 회전중심을 갖는 원형의 바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감속대(119)는 탄성 및 마찰력을 가지면서 고정막대(170)의 외면과 맞닿을 시에 고정막대(170)의 이동을 따라 함께 회전하고,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막대(170)가 일정범위 이상으로 외부에 돌출되면 상기 감속대(119)의 바퀴 외주면과 상기 고정막대(170)의 외경이 커지는 외면이 서로 맞닿으면서 상기 고정막대(170)의 지속적인 인출을 점진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즉, 상기 감속대(119)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바퀴의 외주면과 고정막대의 외면이 서로 밀착되고, 상기 고정막대(170)가 인출될수록 그 밀착력이 커지면서, 상기 고정막대(170)의 인출이 저지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고정막대(170)는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된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감속대(119)의 고정력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연결기구(100)로부터 멀어지는 애자(20)와 연결기구(100)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제1,2,3지지대(140,150, 160)가 과도하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가 하중에 의해 기울어져 내리는 것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막대(170)는 하나의 바아로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으로 보인 본 발명에 따른 고정막대(170)의 실시예를 보이면, 상기 고정막대(170)는 제1막대(171), 제2막대(172), 제3막대(173) 및 제4막대(17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막대(171), 제2막대(172) 및 제3막대(173)의 내측에는 각각 수용홈(171a, 172a, 173a)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수용홈(171a, 172a, 173a)에는 이웃하는 막대가 삽입된다.
또한, 삽입된 이웃하는 막대가 분리되지 못하도록, 상기 수용홈(171a, 172a, 173a)의 일단과 막대 외면의 타단에는 서로 맞물려서 이어진 제1,2,3,4막대(171, 172, 173, 174)들이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턱(a, b, c, d)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막대(170)가 상기 안착공간(117)으로부터 흔들림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공간(117)에는 가이드바(118)가 형성되고, 상기 제1,2,3홈(171, 172, 173)은 상기 가이드바(118)가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는 인입홈(e, f, g)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고정막대(170)가 안테나방식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는 일반적인 구조를 실시예로 제시한 것이며, 이에 한정됨 없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는 상술한 구조를 그대로 갖추되, 애자(20)의 구조를 바꾸어서 애자(20)도 전선(10)의 장력 변화에 맞춰 수축과 팽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애자(20)에 순간적으로 집중되는 응력 때문에 애자(20)가 파단 혹은 파손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추가 실시예에 따른 애자(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변형된다.
도 7 에 따르면, 애자(20)는 전선(10)이 연결 고정되는 제 1 애자(800), 상기 제 1 애자(800)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 2, 3 애자(830,840) 및 연결구(852)를 갖는 제 4 애자(850), 그리고 상기 제 1, 2, 3, 4 애자(800, 830, 840, 850)를 결속하여 하나의 애자(20) 조립체를 구성하는 결속구(8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 1 애자(800)는 애자커버(810)와 애자본체(820)로 분리 조립될 수 있는 분리형이고, 나머지는 하나의 몸체로 된 일체형이며, 제4애자(850)는 후측면에 연결구(852)를 구비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애자본체(820)와, 제 2, 3, 4 애자(830, 840, 850)는 중앙부에 구멍이 뚫려 상기 결속구(860)를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먼저, 제 1 애자(800)를 살펴보면, 상기 제 1 애자(800)는 애자커버(810)와 애자본체(820)가 서로 나사 체결되는 형태로 상호 조립되어 하나의 몸체를 갖는 제 1 애자(800)를 구성한다.
이 경우, 상기 애자커버(810)와 애자본체(820)의 나사 결합부위는 서로 마주보는 면 상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3 애자(830, 840)는 단순히 끼워지는 형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제 4 애자(850)는 상기 결속구(860)의 단부에 나사체결되도록 구멍 내주면을 따라 애자나사산(854)이 형성되고, 이 애자나사산(854)이 체결되는 결속구(860)의 외주면에는 결속구나사산(864)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3 애자(830, 840)는 도시된 예와 같이 2 개가 구비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3 개, 4 개 등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규격화하여 설계할 수 있고, 각 규격에 맞춰 결속구(860)의 길이를 설계하면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속구(860)의 선단에는 절곡단부(862)가 구비되는데, 상기 절곡단부(862)는 상기 결속구(86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애자(800)를 구성하는 애자커버(810)에 애자본체(820)가 나사결합으로 끼워졌을 때 애자본체(820)의 내벽면에 걸리도록 하여 제 1 애자(8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절곡단부(862)와 상기 애자본체(820)의 내벽면 사이에는 제 1 튜브(910)가 개재되고, 상기 애자본체(820)와 제 2 애자(830) 사이에는 제 2 튜브(920)가 개재되며, 상기 제 2 애자(830)와 제 3 애자(840) 사이에는 제 3 튜브(930)가 개재되고, 상기 제 3 애자(840)와 제 4 애자(850) 사이에는 제 4 튜브(940)가 개재되어 애자(20)가 수축 팽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 1, 2, 3, 4튜브(910, 920, 930, 940)는 도우넛 형상의 풍선과 같은 것으로서, 내부에는 공기가 채워지고, 실리콘 재질로 되어 있어 쉽게 찢어지지 않는 것이며, 내장된 상태 혹은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므로 파손도 쉽게 생기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연결구(852)에는 제 3 지지대(160)가 결속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애자(20)는 전선(10)이 팽창하게 되면 애자(20) 쪽으로 가압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러면 애자(20)를 구성하는 제 1, 2, 3, 4 애자(800, 830, 840, 850)들 사이에 구비된 제 1, 2, 3, 4 튜브(910, 920, 930, 940)들이 수축하면서 전선(10)의 장력을 1 차 흡수하고, 나머지 힘은 다시 상술한 본 발명 연결기구(100)로 전달되어 완충하게 된다.
이때, 제 1, 2, 3, 4튜브(910, 920, 930, 940)는 초기에 힘을 받았을 때 1 차 수축되면서 완충하였다가 연결기구(100)가 다시 당기게 되면 2 차로 팽창되면서 다시 완충하게 된다. 즉,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면서 전선(10)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수축시에는 반대로 동작하는데, 결국 최종적인 완충, 이완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된다.
이를 통해, 전선(10)의 장력변화로 인해 순간적으로 애자(20)에 가해지는 응력 집중을 막을 수 있어 애자(20)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10 ; 전선 20 ; 애자
100 ; 연결기구 110 ; 하우징
111 ; 수용공간 112 ; 수평로
113 ; 상향로 114 ; 스토퍼
115a ; 안내형 돌부 115b ; 걸림형 돌부
116a, 116b ; 폴리 117 ; 안착공간
118 ; 가이드바 119 ; 감속대
120 ; 제1권취구 130 ; 제2권취구
140 ; 제1지지대 150 ; 제2지지대
160 ; 제3지지대 170 ; 고정막대
171 ; 제1막대 172 ; 제2막대
173 ; 제3막대 174 ; 제4막대
180 ; 활차

Claims (1)

  1. 상하로 형성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와 연통하여 수평하게 형성되고 말단은 외부로 개구되는 수평로와, 일단이 상기 수평로와 연통하고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와 연통하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상향로와, 상기 수용공간과 수평로 사이에 돌출형성되고 하기 제2와이어가 수평하게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전면에 돌출된 안내형 돌부와, 상기 상향로와 수평로가 만나는 지점에 돌출된 걸림형 돌부와, 상기 수평로의 상부에서 동방향으로 개구된 안착공간과, 상기 안착공간의 개구부에 편심된 회전중심을 가지며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회전중심이 탄발지지되고 마찰되는 탄성재질의 합성수지재인 바퀴를 갖는 감속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와이어를 감는 권취력을 가지며, 상기 상향로를 따라 위치하는 상기 제1와이어의 말단에 걸림홈을 갖는 제1링커가 연결되되, 상기 제1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제1링커가 상기 걸림형 돌부에 걸렸을 때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제한되는 제1권취구;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2와이어를 감되 상기 제1권취구의 권취력보다 작은 권취력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로를 따라 위치하는 상기 제2와이어의 말단에 상방으로 개구된 고리형상을 이루는 제2링커가 연결되는 제2권취구; 일단이 상기 안내형 돌부와 맞물려 상방으로 밀릴 수 있는 곡면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판이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링커가 상기 판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링커와 맞물리는 고정축과, 상기 걸림형 돌부에 지지된 제1링커를 밀어내려 상기 판 사이로 안내하는 가압돌부와, 상기 판 사이로 밀린 상기 제1링커의 걸림홈과 맞물리는 걸림축과, 상기 수평로를 따라 상기 하우징 밖으로 인출되는 이동시 상기 걸림축과 맞물린 상기 제1링커를 밀어올려 상기 걸림형 돌부 안으로 누르는 누름대를 구비한 제1지지대; 일단이 상기 제1지지대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지지대; 일단이 상기 제2지지대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애자와 연결되는 제3지지대; 상기 수평로 및 상향로의 내벽에 상기 제1,2,3지지대의 외면과 맞닿아 그 이동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2,3지지대가 상기 내벽과 직접 맞닿지 않도록 지지하는 바퀴를 갖는 다수의 폴리; 및 일단은 상기 안착공간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3지지대와 고정되며, 외면은 상기 안착공간의 안쪽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으로 되어서, 상기 안착공간의 개구부를 통해 인출될수록 상기 감속대의 바퀴 외주면과 맞물려서 회전하는 상기 바퀴에 의해 인출이 저지되는 고정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애자는 제1,2,3,4애자로 분할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애자는 서로 나사체결되는 애자커버와 애자본체로 이루어지며, 애자본체의 중앙에는 구멍이 뚫려 있고,
    상기 제2,3애자는 애자커버와 애자본체가 서로 합쳐진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중앙에 구멍이 뚫려 있고,
    상기 제4애자는 일체형이되, 일측면에 연결구가 돌출되고, 중앙에는 구멍이 뚫리되 구멍이 형성된 내경에는 애자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애자본체 및 제2,3,4애자의 중앙 구멍을 관통하여 결속구가 끼워지되, 상기 결속구의 선단에는 상기 애자본체에 걸림되는 절곡단부가 형성되고, 후단 외주면에는 상기 제4애자의 애자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결속구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단부와 애자본체, 애자본체와 제2애자, 제2애자와 제3애자, 제3애자와 제4애자 사이에는 제1,2,3,4튜브가 개재되어 전선의 장력 변화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애자가 자체적으로 팽창, 수축되면서 가해지는 힘을 완충 분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20130083442A 2013-07-16 2013-07-16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1346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442A KR101346264B1 (ko) 2013-07-16 2013-07-16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442A KR101346264B1 (ko) 2013-07-16 2013-07-16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6264B1 true KR101346264B1 (ko) 2014-01-07

Family

ID=50144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442A KR101346264B1 (ko) 2013-07-16 2013-07-16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2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736B1 (ko) * 2014-08-28 2014-12-26 주식회사 창조기술단 배전선로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214B1 (ko) 2008-08-11 2008-11-06 주식회사 유진전기감리 전주의 가공선로 고정용 지지애자
KR100890063B1 (ko) 2008-12-04 2009-03-25 홍봉선 가공배전선 지지용 전주
KR100940121B1 (ko) 2009-09-15 2010-02-03 (주)전우엔지니어링 가공배전선 안착 앵커를 갖춘 전주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214B1 (ko) 2008-08-11 2008-11-06 주식회사 유진전기감리 전주의 가공선로 고정용 지지애자
KR100890063B1 (ko) 2008-12-04 2009-03-25 홍봉선 가공배전선 지지용 전주
KR100940121B1 (ko) 2009-09-15 2010-02-03 (주)전우엔지니어링 가공배전선 안착 앵커를 갖춘 전주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736B1 (ko) * 2014-08-28 2014-12-26 주식회사 창조기술단 배전선로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2805B1 (en) Bead chain type pull cord mechanism for a window shade
AU2016210705B2 (en) Skew adjustment mechanism for a window covering
US9346653B1 (en) Cord retractor
KR100714999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0752427B1 (ko) 도구 지지체
US20140274516A1 (en) Housing device
US20120153091A1 (en) Apparatus for cable management synchronized with telescopic motion
AU2013206330A1 (en) Curtain
KR101346264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1476736B1 (ko) 배전선로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KR101580277B1 (ko)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
KR101523900B1 (ko) 케이블 트레이용 롤러장치
US7490791B1 (en) Reel structure
US10856652B2 (en) Telescopic column with internal cable
CN108183399B (zh) 电力设备安装绝缘架
EP2630888B1 (en) Combined parasol and storage housing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torage housing
CN202014057U (zh) 架设输电线路用的滑轮
US20180023339A1 (en) Cordless window covering
KR100702509B1 (ko) 배전형 전신주의 전선 연결구조
CN211951883U (zh) 一种管道探测装置
CN201115466Y (zh) 风扇伞
CN102227064B (zh) 架设输电线路用的跨越架
KR200359293Y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용 로프 권취장치
CN209462564U (zh) 一种采用天线的智能无线蓝牙耳机
JP2017093914A (ja) 物干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