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326B1 - 체결력을 상승시킨 유볼트 - Google Patents

체결력을 상승시킨 유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326B1
KR102242326B1 KR1020180153451A KR20180153451A KR102242326B1 KR 102242326 B1 KR102242326 B1 KR 102242326B1 KR 1020180153451 A KR1020180153451 A KR 1020180153451A KR 20180153451 A KR20180153451 A KR 20180153451A KR 102242326 B1 KR102242326 B1 KR 102242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fastening
parts
weight
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6836A (ko
Inventor
장재형
Original Assignee
장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형 filed Critical 장재형
Priority to KR1020180153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326B1/ko
Publication of KR20200066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볼트에 관한 것으로써, 라운드형 구조물의 외주를 감싸며 체결 시, 상기 구조물의 외주와 닿는 부분에 대한 형상을 변형하여 체결력을 상승시킨 유볼트에 관한 것으로써, 체결하려는 라운드형 구조물의 외주와 닿는 유볼트의 라운드된 내측부분에 체결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가로형상 또는 세로형상 또는 원뿔형상 또는 다각뿔형상의 체결부가 형성된 체결력을 상승시킨 유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체결력을 상승시킨 유볼트{U-bolt with increased clamping force}
본 발명은 유볼트에 관한 것으로써, 라운드형 구조물의 외주를 감싸며 체결 시, 상기 구조물의 외주와 닿는 부분에 대한 형상을 변형하여 체결력을 상승시킨 유볼트에 관한 것이다.
우선,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아파트, 공장,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의 건설현장 등에서 지지구조물에 가설발판 등이 설치되며, 이러한 구조물을 지지하는 파이프의 교차지점에 대개 유볼트를 설치하여 파이프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종래의 유볼트는 대략 ∩자형을 이루는 유볼트몸체의 양단부에 나사선을 구비하고, 유볼트몸체를 원통형의 제1파이프에 감싸듯 끼운 후, 다시 유볼트몸체의 양단부를 제2파이프의 조립구멍에 삽입시킨 다음, 유볼트몸체의 양단부에 너트를 나사결합시켜 교차하는 제1,2파이프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볼트는 유볼트몸체와 제1파이프가 선접촉을 하여 접합력이나 마찰력에 취약하고, 교차하는 제1,2파이프가 서로 직접 접촉함으로써 심한 소음을 유발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전주를 건주시킬 시 지표면 하 05M 정도 지점에 전주용 근가를 설치하며 전력선과 풍압에 의하여 지지물에 가해지는 장력방향을 감안하여 직선개소에서는 선로방향으로 콘크리트 전주를 좌우 교대로 취부하고 각도 주 및 인류 주에서는 장력방향에 전주근가용 U-볼트를 사용하여 근가를 견고하게 취부 하여야 한다.
전주하부에 설치한 현행 U-볼트와 이를 고정하는 와샤 및 너트는 재질이 철재로서 지하에 매설되기 때문에 수분 침투와 이물질 접촉으로 인해 부식이 발생하여 전주를 철거 시 U볼트를 조이고 있는 너트와 U볼트의 부식으로 인해 근가 및 U볼트에 손상을 초래하여 재사용 할 수 없어 폐품으로 처리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유볼트를 이용하여 체결 시, 유볼트의 라운드부분 내측과 직접적으로 닿게 되는 구조물의 외주가 닿는 면적이 적거나 또는 지지 및 걸림 할 수 있는 부분의 형성이 없어 체결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등록번호 제20-0296557호의 '조류퇴치용 완철조립구조'와, 등록번호 제20-0429656호의 '파이프 고정용 유볼트'와, 공개번호 제20-2007-0000681호의 '완철밴드'와, 등록번호 제10-0923068호의 '전주근가 설치용 유볼트' 및 공개번호 제10-2011-0125350호의 '전주근가용 피복 유볼트'가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개선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해낸 것으로써, 체결하려는 라운드형 구조물의 외주와 닿는 유볼트의 라운드된 내측부분에 체결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가로형상 또는 세로형상 또는 원뿔형상 또는 다각뿔형상의 체결부가 형성된 체결력을 상승시킨 유볼트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라운드형 구조물의 외주를 감싸며 체결하는 유볼트에 있어서, 상기 유볼트는 반원형의 라운드부와, 상기 라운드부의 양측 끝부에 각각 연장을 이루는 결합부로 형성되되 상기 라운드부의 내측에는 세로방향의 홈 또는 돌출부가 하나 이상 형성된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을 상승시킨 유볼트를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체결력을 상승시킨 유볼트에 따르면, 유볼트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부로 인해 라운드형 구조물과 체결 시 체결력을 상승시킬 수 있고, 체결 후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큰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유볼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유볼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유볼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1의 A - A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유볼트의 구성 중 체결부에 흡착부가 구성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유볼트의 구성 중 체결부에 보조체결부가 구성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유볼트의 구성 중 체결부에 지지부가 구성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인 유볼트(10)는 라운드형 구조물의 외주를 감싸며 체결하는 유볼트에 있어서, 상기 유볼트는 반원형의 라운드부(100)와, 상기 라운드부(100)의 양측 끝부에 각각 연장을 이루는 결합부(200)로 형성되되 상기 라운드부(100)의 내측에는 세로방향의 홈 또는 돌출부가 하나 이상 형성된 체결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110)는 원뿔 또는 다각뿔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10)는 가로방향의 홈 또는 돌출부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체결부(110)인 세로방향 홈의 모서리부와, 원뿔 또는 다각뿔의 모서리부 및 가로방향 홈의 모서리부에는 라운드형 구조물과 동일한 라운드 형상의 흡착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체결부인 세로방향의 경사면과, 원뿔 또는 다각뿔의 경사면 및 가로방향의 경사면에는 보조체결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체결부(120)는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이 교차를 이루는 홈 또는 돌출부 및 원뿔과 다각뿔로 형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대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유볼트는 라운드형 구조물의 외주를 감싸며 체결한다.
상기 유볼트는 일측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라운드부와, 상기 라운드부의 양측 끝부에 각각 연장을 이루며 별도의 너트가 결합되는 결합부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유볼트의 구성요소 중에서 라운드부에 다양한 형상을 적용하여 상기 유볼트가 라운드형 구조물의 외주를 감싸며 체결한 후, 그 체결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유볼트(10)의 라운드부(100)와 결합부(200) 중에서 상기 라운드부(100)의 내측부분에 체결부(110)를 형성한다.
상기 체결부(110)는 세로방향의 홈 또는 돌출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거나 또는 가로방향의 홈 또는 돌출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거나 또는 원뿔 및 다각뿔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10)의 세로방향 홈 또는 돌출부와, 가로방향 홈 또는 돌출부는 상기 홈 또는 돌출부로 인해 양측면에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110)의 원뿔 및 다각뿔이 형성될 때에는 상기 원뿔 및 다각뿔의 형상에 맞게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세로방향, 가로방향, 원뿔 및 다각뿔의 경사면에는 보조체결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체결부(120)는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이 교차를 이루는 홈 또는 돌출부로 형성되거나 또는 원뿔과 다각뿔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10)의 세로방향 모서리부와, 가로방향 모서리부와, 원뿔 및 다각뿔의 모서리부에는 흡착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흡착부(111)는 반원의 형상 또는 체결부(110)에 닿는 라운드형 구조물의 외주와 동일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10)에는 합성수지재질로 전체 또는 일부분에 지지부(130)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30)에 적용되는 합성수지재질은 폴리디메틸실록산 45 ~ 65중량부, 디오가노 폴리실록산(액상) 20 ~ 35중량부, 촉매제 0.01 ~ 0.3중량부 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성물에는 폴리 아크릴산 나트륨 1 ~ 1.2중량부, 실리콘오일 8 ~ 20중량부, 메틸옥시미노실란(methyl oximino silane : MOS) 1.5 ~ 8중량부, 비닐옥시미노실란(vinyl oximino silane : VOS) 0.2 ~ 3중량부, 연무질 실리카 2 ~ 15중량부, 아미노실란 0.2 ~ 3중량부 가 혼합된 보조조성물이 혼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조성물에는 나일론 50 ~ 70 중량부와, 산화방지제 0.2 중량부 및 분산제 1 ~ 5 중량부가 혼합된 혼합물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볼트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부로 인해 라운드형 구조물과 체결 시 체결력을 상승시킬 수 있고, 체결 후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다.
10 : 유볼트
100 : 라운드부 110 : 체결부 111 : 흡착부
120 : 보조체결부 130 : 지지부
200 : 결합부

Claims (6)

  1. 라운드형 구조물의 외주를 감싸며 체결하되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세로방향의 홈 또는 돌출부인 체결부(110)가 형성된 라운드부(100)와, 상기 라운드부(100)의 양측 끝부에 각각 연장을 이루는 결합부(200)로 구성된 유볼트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10)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는 합성수지재질의 지지부(130)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130)의 합성수지재질은 폴리디메틸실록산 45 ~ 65중량부, 디오가노 폴리실록산(액상) 20 ~ 35중량부, 촉매제 0.01 ~ 0.3중량부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성물에는 나일론 50 ~ 70 중량부와, 산화방지제 0.2 중량부 및 분산제 1 ~ 5 중량부가 혼합된 혼합물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을 상승시킨 유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10)는 원뿔 또는 다각뿔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을 상승시킨 유볼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10)는 가로방향의 홈 또는 돌출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을 상승시킨 유볼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153451A 2018-12-03 2018-12-03 체결력을 상승시킨 유볼트 KR102242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451A KR102242326B1 (ko) 2018-12-03 2018-12-03 체결력을 상승시킨 유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451A KR102242326B1 (ko) 2018-12-03 2018-12-03 체결력을 상승시킨 유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836A KR20200066836A (ko) 2020-06-11
KR102242326B1 true KR102242326B1 (ko) 2021-04-19

Family

ID=7107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451A KR102242326B1 (ko) 2018-12-03 2018-12-03 체결력을 상승시킨 유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3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2777B2 (ja) * 1995-01-17 2000-02-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外輪部材の芯出し保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2777U (ja) * 1994-12-09 1995-06-27 収 松井 Uボルト
KR200450784Y1 (ko) * 2008-02-25 2010-11-01 주식회사 한진기술 유볼트
KR20100032717A (ko) * 2008-09-18 2010-03-26 심병섭 관체의 교차부위 체결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2777B2 (ja) * 1995-01-17 2000-02-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外輪部材の芯出し保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836A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7500B1 (en) Pole reinforcement
KR100550605B1 (ko) 전주용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근가구조
KR101110519B1 (ko) 배관 고정용 클램프
KR102140564B1 (ko) 도로변 배전 전신주 보호시스템
KR101816316B1 (ko) 버스웨이 구성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890063B1 (ko) 가공배전선 지지용 전주
KR100322053B1 (ko) 전선 케이블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100880880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KR102242326B1 (ko) 체결력을 상승시킨 유볼트
KR101498485B1 (ko) 펜스용 지주
KR102355163B1 (ko) 압축 완철밴드
US5147979A (en) Threadless floor electric wire junction box with water-proof protection
KR102184459B1 (ko) 교량 배수관 분기 연결구 및 그 시공방법
KR101206495B1 (ko)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KR101193412B1 (ko)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구조
KR200222355Y1 (ko) 입상용 고압케이블 보호장치
KR102172202B1 (ko) 지선이 설치된 전주
KR20010056711A (ko) 전주의 고압케이블 지지대
KR200416815Y1 (ko)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KR100601588B1 (ko) 조립식 지선 근가 구조
KR102548257B1 (ko)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 장치
KR20140013771A (ko) 작업 및 관리 안전성이 개선된 가로등주
KR101033840B1 (ko) 공동주택용 입상관 연결구조
KR20190118900A (ko) 볼트 보호캡
KR200356567Y1 (ko) 앵커볼트 보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