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4298A - 매립형 승강식 조명타워 - Google Patents

매립형 승강식 조명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4298A
KR20080094298A KR1020070038534A KR20070038534A KR20080094298A KR 20080094298 A KR20080094298 A KR 20080094298A KR 1020070038534 A KR1020070038534 A KR 1020070038534A KR 20070038534 A KR20070038534 A KR 20070038534A KR 20080094298 A KR20080094298 A KR 20080094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ed
wire
guide fram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0050B1 (ko
Inventor
김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성기업
김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성기업, 김윤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성기업
Priority to KR1020070038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050B1/ko
Publication of KR20080094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6Adjustable mountings using wires or co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2Adjustable mountings telescop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타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타워의 지주부가 지하로 수용됨과 동시에 지주부의 인출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매립형 승강식 조명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지지체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면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며 최상단에 배치되는 지지체에 조명부가 결합된 지주부; 상기 지주부가 지하로 매입되도록, 지중에 매설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지주부를 수용하는 고정관; 상기 지주부와 고정관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부가 한꺼번에 상기 고정관에서 인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지주부의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프레임;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드럼이 회전하면서 승강와이어를 권취함에 따라 각각의 지지체가 순차적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조명타워 램프의 교체 및 유지 보수를 위한 최적의 위치로 낮출 수 있게 되어 작업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강풍에 의한 지주부의 파손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지주부를 지상으로 분리해낼 수 있게 되어 조명타워의 관리가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조명타워, 조명탑, 승강, 지하, 매입

Description

매립형 승강식 조명타워{a rise and fall type lighting tow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의 하강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의 상승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종래 조명타워의 일 예를 보인 개략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주부
11, 12, 13 : 지지체 14 : 이동가이드
20 : 조명부
30 : 고정관
40 : 가이드프레임
41 : 레일 42 : 전선수납부
43 : 걸림턱 44 : 걸림고리
50 : 승강부
51 : 승강드럼 52 : 승강와이어
521 : 가변와이어 522 : 제1고정와이어
523 : 제2고정와이어
60 : 전선
본 발명은 조명타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가 가변되는 지주부가 지하에 매립되도록 한 매립형 승강식 조명타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장 등에는 야간 경기의 조명을 위해 조명타워가 설치되어지는데, 이러한 조명타워는 지주의 상단부에 다수의 조명등을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지주는 높이를 최대한 높게 하여 조명등에 의한 조명 범위의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명타워는 전기한 바와 같이 길이 조절이 되지 않는 높은 지주 상에 조명부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등의 청소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타워의 전체적인 유지 관리 및 보수의 어려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조명부를 포함하는 지주의 상단 부분은 바람에 취약하기 때문에 심한 흔들림으로 인하여 지주에 전단력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부러짐에 의한 지주의 조기 파손을 가져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에 의해 2006년 1월 27일 자로 한국특허출원 제2006-8849호로 "승강구동식 조명타워"가 제안된 바 있으며, 그 구성은 도 6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지지체(101)(102)(103)(104)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다단으로 결합된 지주부(100)가 형성되어지고, 각각의 지지체(101)(102)(103)(104)는 구동모터(200)의 구동력에 의한 와이어(201)(202)의 전동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인출되면서 높이가 조절되어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승강구동식 조명타워는 지주부의 하단이 지면에 고정됨에 따라 조명부의 최소 높이가 지지체의 높이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게 되고, 조명램프를 교체하거나 청소할 때에는 사다리 등의 별도의 장비를 이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지주부가 강풍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조명타워의 지주부가 지하로 수용됨과 동시에 지주부의 인출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주부가 고정관의 내측에서 원활히 승강 작동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부의 작동을 위한 전선이 지주부의 하부측에 수납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변와이어의 길이 변화에 의해 지주부의 높이 조절 이 간편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가이드프레임의 인출시에 승강와이어가 걸리적거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프레임의 인출을 위한 별도의 장비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지주부 및 가이드프레임을 고정관에서 인출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지지체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면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며 최상단에 배치되는 지지체에 조명부가 결합된 지주부; 상기 지주부가 지하로 매입되도록, 지중에 매설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지주부를 수용하는 고정관; 상기 지주부와 고정관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부가 한꺼번에 상기 고정관에서 인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지주부의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프레임;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드럼이 회전하면서 승강와이어를 권취함에 따라 각각의 지지체가 순차적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지주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지주부의 외측면에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가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부측으로 지주부가 하강될 때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수납되는 전선수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와이어;는 끝단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지주부의 하면에 고정된 안내롤러를 통과하면서, 가이드프레임의 상단 타측에 고정된 안내롤러를 통과하여 상기 승강드럼에 권취되는 가변와이어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단에 고정되고, 최외측 지지체의 상단에 고정된 안내롤러를 통과하여 타단이 외측에서 두 번째에 배치된 지지체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1고정와이어와, 지지체의 상단에 고정된 안내롤러를 통과하되, 일단이 그 외측 지지체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그 내측의 지지체의 하단에 고정되는 다수의 제2고정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드럼은 동일 축선상에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가변와이어가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면에 가이드프레임의 인출을 위한 걸림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10)의 하강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10)의 상승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상단에 조명부(20)가 결합되는 조명 타워의 지주부(10)가 하강된 상태에서 지하로 매입됨과 동시에 지주부(10)를 보수할 때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지하에 매설되는 고정관(30)과, 고정관(30)의 내측에서 상기 지주부(1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40) 및 상기 지주부(10)가 지중에 매입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부(50)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부(10)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조명부(20)가 지상에서 높이 떨어진 위치에서 빛을 비추도록 함과 동시에 조명부(20)를 수리하거나 강풍이 불 때 조명부(20)의 높이를 낮춰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지지체(11)(12)(13)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내측에 구비된 지지체가 외측의 지지체의 상부측로 슬라이딩되면서 상승되어 지주부(10)의 전제적인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며, 가장 안쪽에 배치된 지지체의 상단에는 다수의 조명램프가 결합된 조명부(20)가 고정되도록 하여 조명부(2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관(30)은 상기 지주부(10)가 하강될 때 지하로 매입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면이 개방된 관체로 형성되고, 상부 개방면이 지면에 노출되도록 하여 지주부(10)를 안전하게 수납하면서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개방면을 통해 지주부(10)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40)은 상기 지주부(10)가 고정관(30)의 내측에서 승강될 때의 마찰을 줄이면서, 지주부(10)를 보수할 때 지주부(10)가 고정관(30)에서 간편하게 인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주부(10)와 고정관(30)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레일(41)이 형성되며, 지주부(10)의 외측면에 상기 레일(41)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가이드(14)를 형성하여 레일(41)을 따라 지 주부(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고정관(30)의 내측으로 지주부(10)가 과도하게 밀려내려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지주부(10)의 하면을 지지한다.
상기 승강부(50)는 구동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지주부(1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구동모터(M)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승강드럼(51) 및 일측이 승강드럼(51)에 감겨지고 타측이 상기 지주부(10)에 연결되는 승강와이어(52)로 구성되도록 하여 구동모터(M)가 회전하면서 승강드럼(51)을 정,역회전 시킴에 따라 승강와이어(52)가 승강드럼(51)에 감겨지거나 풀려지면서 지주부(10)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M)가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주부(10)를 상승시키면 지주부(10)가 가이드프레임(40)을 따라 상승됨과 동시에 각각의 지지체가 상승되면서 조명부(20)의 높이가 지면에서 멀리 떨어지게 되어 넓은 면적에 빛을 비출 수 있게 되고, 구동모터(M)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주부(10)를 하강시키면 지주부(10)가 가이드프레임(40)을 따라 하강됨과 동시에 각각의 지지체(11)(12)(13)가 하강되면서 지주부(10)가 고정관(30)의 내측에 완전히 수납되게 되어 조명부(20)의 관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주부(10)의 전체적인 유지 보수를 할 경우에는 지주부(10)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가이드프레임(40)을 고정관(30)의 상부측으로 인출시키면 가이드프레임(40)에 결합된 지주부(10)가 한꺼번에 고정관(30)에서 인출되어 지주부(10)의 보수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술한 가이드프레임(40)의 하부측에는 상기 지주부(10)의 하단이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43)을 형성하고, 걸림턱(43)의 하부측에 조명부(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60)이 수납되는 전선수납부(42)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전선수납부(42)는 지주부(10)의 최대 상승 높이와 대응되게 구비된 전선(60)이 지주부(10)가 하강될 때 늘어진 수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전선(60)이 하강될 때 별도의 가이드 등을 장착하여 코일 형상을 이루면서 전선수납부(42)에 수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선(60)이 전선수납부(42)에 수납됨으로써, 전선(60)이 지주부(10)가 승강될 때 지주부(10)와 가이드프레임(40)의 틈새 등으로 밀려들어가 작동에 방해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승강와이어(52)는 상술한 승강드럼(51)에 감겨지거나 풀려지면서 길이가 변화하여 지주부(10)를 승강시키는 가변와이어(521)와, 일단이 가이드프레임(40)에 고정되고 타단이 외측에서 두번째 배치된 지지체(12)에 고정되는 제1고정와이어(522)와, 지지체(12)의 상단에 고정된 안내롤러를 통과하되 일단이 그 외측 지지체(11)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그 내측 지지체(13)의 하단에 고정되는 다수의 제2고정와이어(523)로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가변와이어(521)는 끝단이 가이드프레임(40)의 상단 일측에 고정되도록 하고,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지주부(10)의 하면에 고정된 안내롤러(R1)를 통과하면서 다시 상부측으로 연결되며, 가이드프레임(40)의 상단에 고정된 안내롤러(R2)를 통과하여 상술한 승강드럼(51)에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가변와이어(521)의 길이 변화에 따라 최외측의 지지체(11)가 가이드프레임(40)을 따라 승강 작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제1고정와이어(522)는 상기 가변와이어(521)의 길이 변화에 의해 외측에서 두번째에 배치된 지지체(12)를 승강시킴과 동시에 지주부(10) 및 가이드프레임(40)을 한꺼번에 고정관(30)에서 인출시킬 때 와이어의 걸리적거림이 없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가이드프레임(40)의 하부측에 고정되고, 최외측에 지지체(11)의 상단에 고정된 안내롤러(R3)를 통과하여 다시 하방으로 연결되면서 외측에서 두번째에 배치된 지지체(12)의 하단에 고정되도록 하여 최외측의 지지체(11)가 상승될 때 두번째 지지체(12)를 상승시키고, 최외측의 지지체(11)가 하강될 때 두번째 지지체(12)를 하강시키는 작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제2고정와이어(523)는 두번째 지지체(12)의 내측에 배치된 지지체(13)를 승강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두번째 이후의 지지체(12)(13)의 상단에 고정된 안내롤러(R4)를 통과하도록 하되, 일측 끝단이 안내롤러(R4)가 결합된 지지체(12)의 외측에 배치된 지지체(11)의 하단에 고정되도록 하고, 타측 끝단이 안내롤러(R4)가 결합된 지지체(12)의 외측에 배치된 지지체(13)에 고정되도록 하며, 지지부에 구비되는 지지체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 동일한 구성의 제2고정와이어가 반복되어 다수개가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가변와이어(521)가 승강드럼(51)에 감겨지거나 풀려지면서 길이가 조절될 때 각각의 지지체가 전체적으로 상승되거나 하강되는 작동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프레임(40)과 지주부(10)를 동시에 고정관(30)에서 인출할 때에도 고정관(30)에 고정되는 와이어가 사라지게 되어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이드프레임(40)과 지주부(10)를 동시에 고정관(30)에서 인출할 때에는 가변와이어(521)가 걸리적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동모터(M)의 회전축에서 승강드럼(51)을 분리함으로써, 가변와이어(521)가 자유로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승강드럼(51)은 구동모터(M)와 결합되는 회전축상에 한 쌍이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가변와이어(521) 또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이 구비되도록 하여 각각의 승강드럼(51)에 감겨지도록 함으로서, 구동모터(M)의 구동력이 안정적으로 지주부(10)에 전달되어 지주부(10)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어느 일측의 가변와이어(521)가 끊어질 경우에도 안정적인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프레임(40)의 상면에는 지주부(10)와 가이드프레임(40)을 고정관(30)에서 인출시킬 때 통상의 크레인 등에 고정하여 인출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크레인 등의 와이어가 고정되는 걸림고리(44)를 형성함으로써, 지주부(10)의 인출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주부와 고정관, 가이드프레임 및 승강부를 포함하여 조명타워의 지주부가 지하로 수용됨과 동시에 지주부의 인출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조명타워 램프의 교체 및 유지 보수를 위한 최적의 위치로 낮출 수 있게 되어 작업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강풍에 의한 지주 부의 파손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지주부를 지상으로 분리해낼 수 있게 되어 조명타워의 관리가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프레임에 레일을 형성하여 지주부가 고정관의 내측에서 원활히 승강 작동되도록 함으로서, 지주부가 이동될 때 발생되는 마찰이 최소화되어 지주부 및 가이드프레임의 파손을 줄일 뿐만 아니라, 지주부의 승강에 소요되는 동력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수납부를 형성하여 조명부의 작동을 위한 전선이 지주부의 하부측에 수납되도록 함으로서, 조명부의 최대 상승 높이와 대응되게 형성된 전선이 지주부의 승강 작동에 방해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체의 승강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와이어를 가변와이어와 제1고정와이어 및 제2고정와이어로 구성되도록 하여 가변와이어의 길이 변화에 의해 지주부의 높이 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가이드프레임의 인출시에 승강와이어가 걸리적거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서, 최소의 동력과 간단한 구조로 지주부가 승강되어 제작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지주부를 고정관에서 인출하는 작업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드럼과 가변와이어가 한 쌍이 구비되도록 하여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더욱 효율적으로 승강 작동에 사용되도록 함으로서, 지주부의 승강 작동이 더욱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어느 일측의 가변와이어가 끊어지거나 파손될 경우에도 안정적인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프레임에 걸림고리를 형성하여 가이드프레임의 인출을 위한 별도의 장비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통상의 크레인 등을 이용한 지주부의 인출 시에 지주부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6)

  1.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지지체(11)(12)(13)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면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며 최상단에 배치되는 지지체에 조명부(20)가 결합된 지주부(10);
    상기 지주부(10)가 지하로 매입되도록, 지중에 매설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지주부(10)를 수용하는 고정관(30);
    상기 지주부(10)와 고정관(30)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부(10)가 한꺼번에 상기 고정관(30)에서 인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지주부(10)의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프레임(40);
    구동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드럼(51)이 회전하면서 승강와이어(52)를 권취함에 따라 각각의 지지체(11)(12)(13)가 순차적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승강부(50);를 포함하는 매립형 승강식 조명타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40)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지주부(1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레일(41)이 구비되고, 상기 지주부(10)의 외측면에 상기 레일(41)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가이드(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40)의 하부측으로 지주부(10)가 하강될 때 상기 조명부(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60)이 수납되는 전선수납부(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조명타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와이어(52);는
    끝단이 상기 가이드프레임(40)의 상단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지주부(10)의 하면에 고정된 안내롤러(R1)와 가이드프레임(40)의 상단 타측에 고정된 안내롤러(R2)를 통과하여 상기 승강드럼(51)에 권취되는 가변와이어(521)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프레임(40)의 하단에 고정되고, 최외측 지지체의 상단에 고정된 안내롤러(R3)를 통과하여 타단이 외측에서 두 번째에 배치된 지지체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1고정와이어(522)와,
    지지체의 상단에 고정된 안내롤러(R4)를 통과하되, 일단이 그 외측 지지체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그 내측의 지지체의 하단에 고정되는 다수의 제2고정와이어(5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승강식 조명타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드럼(51)은 동일 회전축상에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가변와이어(521)가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승강식 조명 타워.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40)의 상면에 가이드프레임(40)의 인출을 위한 걸림고리(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승강식 조명타워.
KR1020070038534A 2007-04-19 2007-04-19 매립형 승강식 조명타워 KR100900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534A KR100900050B1 (ko) 2007-04-19 2007-04-19 매립형 승강식 조명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534A KR100900050B1 (ko) 2007-04-19 2007-04-19 매립형 승강식 조명타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298A true KR20080094298A (ko) 2008-10-23
KR100900050B1 KR100900050B1 (ko) 2009-06-01

Family

ID=4015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534A KR100900050B1 (ko) 2007-04-19 2007-04-19 매립형 승강식 조명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0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750B1 (ko) * 2015-08-07 2016-03-28 신도산업 주식회사 각도조절 가능한 차량용 투광장치
KR20190071132A (ko) * 2017-12-14 2019-06-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량의 진동을 이용한 승하강식 자가발전 가로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3503508A (zh) * 2021-07-09 2021-10-15 水新广 一种具有升降功能的投光灯塔
KR102527192B1 (ko) * 2022-05-03 2023-05-02 주식회사 화신이앤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승하강식 조명탑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5621A (ja) * 1991-02-13 1993-12-10 Hitachi Lighting Ltd 投光照明用昇降柱
KR960004998Y1 (ko) * 1993-03-29 1996-06-19 김익창 조명등 타워
KR0122921Y1 (ko) * 1995-04-26 1998-10-15 박준필 라이터의 격납장치
KR200287370Y1 (ko) 2002-05-30 2002-08-30 (주)필텍 격납장치에 격납되는 다단접이식 라이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750B1 (ko) * 2015-08-07 2016-03-28 신도산업 주식회사 각도조절 가능한 차량용 투광장치
KR20190071132A (ko) * 2017-12-14 2019-06-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량의 진동을 이용한 승하강식 자가발전 가로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3503508A (zh) * 2021-07-09 2021-10-15 水新广 一种具有升降功能的投光灯塔
KR102527192B1 (ko) * 2022-05-03 2023-05-02 주식회사 화신이앤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승하강식 조명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0050B1 (ko) 200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050B1 (ko) 매립형 승강식 조명타워
KR101257032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구조물
KR20130033628A (ko) 승강형 지주대
JP4637783B2 (ja) 照明装置
KR101589715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CN208620195U (zh) 一种便于调节高度的路灯
JP4562450B2 (ja) 照明装置
KR20100049889A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조명탑의 조명등 승강장치
KR101055452B1 (ko) 국기 게양장치
CN113091007B (zh) 一种便于检修的环保节能型路灯
JP4536560B2 (ja) ポール灯
KR100989152B1 (ko) 등기구 견인장치
KR20100020605A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조명탑의 다단식 지주 승강장치
KR200219169Y1 (ko) 기계식조명탑
CN211345115U (zh) 便携式市政led节能照明系统安装测试装置
JP5899586B2 (ja) 旗類掲揚・収納装置
JP3956451B2 (ja) 照明ポール
KR101587184B1 (ko) 승강식 조명타워
CN218237251U (zh) 一种便于更换灯泡的路灯
CN210717239U (zh) 改进型高杆灯
CN219227886U (zh) 一种可升降调节的高杆灯
KR20040062378A (ko)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 정렬장치
CN210771796U (zh) 一种三段式路灯
CN218001311U (zh) 一种升降式高杆灯
CN107044616A (zh) 一种led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