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4075B1 - 지중배전선 배치용 행거기구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선 배치용 행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4075B1
KR102684075B1 KR1020230060161A KR20230060161A KR102684075B1 KR 102684075 B1 KR102684075 B1 KR 102684075B1 KR 1020230060161 A KR1020230060161 A KR 1020230060161A KR 20230060161 A KR20230060161 A KR 20230060161A KR 102684075 B1 KR102684075 B1 KR 102684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upport
hanger
underground distributio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0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선경
Original Assignee
(주)한빛전력기술단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빛전력기술단 filed Critical (주)한빛전력기술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4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40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4Devices or coupling-pieces designed for easy formation of adjustable loops, e.g. choker hooks; Hooks or eyes with integral parts designed to facilitate quick attachment to cables or ropes at any point, e.g. by forming loops
    • F16G11/143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25Motor operated winches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 배치용 행거기구에 관한 것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패널(11)과,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치되며 한 쌍의 지지패널(11)을 이격하게 연결하는 렁(12)을 갖춘 거치대(10); 지지패널(11)의 내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홀(911)을 형성한 장착레일(91)과, 레일홀(911)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부(921)가 일측에 구성되고 지중배전선(C)을 안착 지지하는 보울(92)을 갖춘 받침대(90); 길이방향으로 중공의 개구라인(21)이 형성되고, 한 쌍의 지지패널(11)을 받치며 양단부가 돌출하도록 거치대(10)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빔(20); 거치대(10)에서 돌출된 지지빔(20) 단부의 상면을 덮는 수평판(31)과, 지지패널(11)의 전면을 밀착하게 덮도록 수평판(31)의 일단에서 상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제1입면판(32)과, 지지패널(11)의 상면을 밀착하게 덮도록 제1입면판에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 상부판(33)과, 지지빔(20) 단부의 전면을 밀착하게 덮도록 수평판(31)의 타단에서 하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전면부(341) 및 전면부(341)의 하단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된 현수부(342)로 구성된 제2입면판(34)과, 지지빔(20) 단부의 양측면을 각각 밀착하게 덮도록 수평판(31)의 양측단에서 하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면판(35)을 갖춘 한 쌍의 지지대(30); 상단이 지중관(B)의 천장에 고정되고, 하단이 수평판(31)을 1차 관통하고 개구라인(21)을 거쳐 지지빔(20)의 단부를 2차 관통해서 고정되는 한 쌍의 현수봉(40); 양단부에 각각 펜스형 플랜지(511)가 형성되고 로프(R)를 권취하며 현수부(3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51)과, 보빈(51)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된 회전축(521)을 구성한 구동모터(52)을 갖춘 윈치(50); 회전자(61)와, 회전자(61)가 공회전하도록 연결되는 롤링축(621)을 구성하고 로프(R)의 말단에 연결되는 고정대(62)를 갖춘 후크(60); 롤러(71)와, 롤러(71)의 양단을 한 쌍의 지지패널(11)에 각각 공회전하도록 연결시키는 고정핀(72)을 갖춘 아이들러(70); 제1고정플랜지(811)가 일단에 형성된 반원 형태의 제1걸이(81)와, 제1고정플랜지(811)와 고정 가능하게 접하는 제2고정플랜지(821)가 일단에 형성된 반원 형태의 제2걸이(82)와, 제1걸이(81)와 제2걸이(82)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83)을 갖추며, 지중배전선(C)의 둘레를 감싸는 한 쌍의 앵커용 링(80);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지중배전선 배치용 행거기구{HANGER MECHANISM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 배치용 행거기구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는 특정 지점까지의 안정된 배전을 목적으로 지중배전선이 설치되고, 상기 지중배전선은 트레이 등의 선반(이하 '트레이'로 칭함)에 거치된다.
일반적으로 지중배전선은 외력에 의한 훼손 및 관리 등을 위해서 지중에 매설되는 흄관 또는 지중관에 내설된다. 따라서 트레이 역시 흄관 또는 지중관을 따라 설치된다. 그런데 흄관, 특히 지중관에는 각종 배전선은 물론 상,하수관이 복합 설치되므로, 합선 및 누전의 위험성이 큰 지중배전선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작업자는 상대적으로 중량이 큰 지중배전선을 높은 위치의 트레이에 얹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트레이 상에서 지중배전선의 위치를 맞추는 작업 또한 노동부하가 컸다.
한편, 트레이에 얹혀지는 지중배전선은 길이가 무한일 수 없으므로 일정 구간마다 지중배전선의 연장 과정이 불가피했다. 이 경우 지중배전선과 지중배전선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지중배전선을 서로 연결하는 별도의 커넥터를 휴대하며 작업을 진행해야 했다. 그러나 커넥터를 일일이 확인해 휴대하고 지중배전선의 개수 대비 휴대하고 있는 커넥터의 개수가 부족할 경우 트레이에서 다시 내려와서 부족한 커넥터를 보충해야 하므로, 지중배전선의 연장 작업 또한 번거로움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0-2337856호(2021.12.10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지중배전선의 연장을 위한 커넥팅 작업을 노동의 무리함 없이 수월히 하면서도 고중량의 지중배전선을 트레이 상에 손쉽게 거치하며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배전선 배치용 행거기구의 제공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패널(11)과,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치되며 한 쌍의 지지패널(11)을 이격하게 연결하는 렁(12)을 갖춘 거치대(10);
지지패널(11)의 내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홀(911)을 형성한 장착레일(91)과, 레일홀(911)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부(921)가 일측에 구성되고 지중배전선(C)을 안착 지지하는 보울(92)을 갖춘 받침대(90);
길이방향으로 중공의 개구라인(21)이 형성되고, 한 쌍의 지지패널(11)을 받치며 양단부가 돌출하도록 거치대(10)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빔(20);
거치대(10)에서 돌출된 지지빔(20) 단부의 상면을 덮는 수평판(31)과, 지지패널(11)의 전면을 밀착하게 덮도록 수평판(31)의 일단에서 상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제1입면판(32)과, 지지패널(11)의 상면을 밀착하게 덮도록 제1입면판에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 상부판(33)과, 지지빔(20) 단부의 전면을 밀착하게 덮도록 수평판(31)의 타단에서 하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전면부(341) 및 전면부(341)의 하단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된 현수부(342)로 구성된 제2입면판(34)과, 지지빔(20) 단부의 양측면을 각각 밀착하게 덮도록 수평판(31)의 양측단에서 하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면판(35)을 갖춘 한 쌍의 지지대(30);
상단이 지중관(B)의 천장에 고정되고, 하단이 수평판(31)을 1차 관통하고 개구라인(21)을 거쳐 지지빔(20)의 단부를 2차 관통해서 고정되는 한 쌍의 현수봉(40);
양단부에 각각 펜스형 플랜지(511)가 형성되고 로프(R)를 권취하며 현수부(3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51)과, 보빈(51)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된 회전축(521)을 구성한 구동모터(52)을 갖춘 윈치(50);
회전자(61)와, 회전자(61)가 공회전하도록 연결되는 롤링축(621)을 구성하고 로프(R)의 말단에 연결되는 고정대(62)를 갖춘 후크(60);
롤러(71)와, 롤러(71)의 양단을 한 쌍의 지지패널(11)에 각각 공회전하도록 연결시키는 고정핀(72)을 갖춘 아이들러(70); 및
제1고정플랜지(811)가 일단에 형성된 반원 형태의 제1걸이(81)와, 제1고정플랜지(811)와 고정 가능하게 접하는 제2고정플랜지(821)가 일단에 형성된 반원 형태의 제2걸이(82)와, 제1걸이(81)와 제2걸이(82)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83)을 갖추며, 지중배전선(C)의 둘레를 감싸는 한 쌍의 앵커용 링(80);
를 포함하는 지중배전선 배치용 행거기구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의 연장을 위한 커넥팅 작업을 노동의 무리함 없이 수월히 하면서도 고중량의 지중배전선을 트레이 상에 손쉽게 거치하며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가 지중관에 설치된 일측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의 거치대가 이웃하는 다른 거치대와 이어지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의 받침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의 거치용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거치용 어셈블리가 조합돼 이루는 구조물의 측면도이고,
도 7은 상기 거치용 어셈블리와 윈치용 어셈블리 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의 후크가 로프에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의 윈치용 어셈블리가 지중배전선을 거치대까지 들어올리는 과정을 순차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의 앵커용 링이 지중배전선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에 구성된 앵커용 링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앵커용 링의 동작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3은 상기 앵커용 링이 설치된 지중배전선을 후크가 걸고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가 지중관에 설치된 일측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의 거치대가 이웃하는 다른 거치대와 이어지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T)는, 거치대(10)와 받침대(90)와 지지빔(20)과 한 쌍의 지지대(30)와 한 쌍의 현수봉(40)과 윈치(50)와 후크(60)와 아이들러(70) 및 한 쌍의 앵커용 링(8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요소를 갖춘 행거기구(T)는 거치대(10)에 위치한 특정 지중배전선(C)을 받침대(90)를 이용해서 지정된 구간별로 분리해 배치할 수 있고, 지중관(B)의 바닥(G)에 위치한 지중배전선(C)을 윈치(50)를 이용해서 거치대(10) 상에 무리 없이 안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행거기구(T)는 도 1과 같이 지중관(B)에 2개가 설치될 수 있으나, 지중관(B) 내에 행거기구(T)의 설치 개수와 위치는 본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행거기구(T1, T2)의 거치대(10)는 길이가 무한하지 않으므로 지중배전선(C)를 거치하기 위해 복수 개가 일렬로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서로 이웃하는 행거기구(T1, T2)의 거치대(10)는 간격 없이 일체로 연결되나, 본 실시 예에서는 서로 분리되도록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각 구성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거치대(10)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패널(11)과,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치되며 한 쌍의 지지패널(11)을 이격하게 연결하는 렁(12)을 갖춘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11)은 거치대(10)에 거치된 하나 이상의 지중배전선(C)이 이탈하지 않도록 펜스 기능을 수행한다. 렁(12)은 한 쌍의 지지패널(11)을 서로 이격하게 연결하며, 한 쌍의 지지패널(11)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지중배전선(C)을 받친다. 거치대(10)는 배전선 배선 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기구이므로, 거치대(10)의 구조와 재질 및 형태 등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의 받침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T)의 받침대(90)는 거치대(10)에 위치한 지중배전선(C) 중 하나 이상의 지중배전선(C)을 받친다. 따라서 수많은 지중배전선(C) 중 특정한 지중배전선(C)만을 거치대(10)에서 다른 지중배전선(C)과 분리해 배치할 수 있고, 현장 작업자는 이렇게 분리된 지중배전선(C)을 손쉽게 식별할 수 있다.
받침대(90)는 거치대(10)에 위치한 지중배전선(C)을 분리해 수용하도록 지지패널(11)의 내면에 설치되며, 장칙레일(91)과 보울(92)을 구성한다. 장착레일(91)은 지지패널(11)의 내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홀(911)을 형성한다. 본 실시 예에서 장착레일(91)은 지지패널(11)의 길이 방향을 길게 형성되며, 레일홀(911)은 한 쌍이 장착레일(9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다.
한편, 보울(92)은 레일홀(911)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부(921)가 일측에 구성되고 지중배전선(C)을 안착 지지한다. 보울(92)의 슬라이딩부(921)는 장착레일(91)을 따라 이동하므로, 거치대(10)에서 작업자는 보울(92)을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슬라이딩부(921)는 한 쌍의 레일홀(911)에 각각 맞물리는 한 쌍의 돌부가 상하로 돌출하게 형성된다.
보울(92)은 지중배전선(C)의 안착 구간은 오목한 '∪'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지중배전선(C)은 보울(92)을 통과하면서 들어 올려져 다른 지중배전선(C)과의 식별이 가능해진다. 장착레일(91)에 설치되는 보울(92)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된 지중배전선(C)의 단면 표시는 지중배전선(C)의 내부 형태를 그대로 표현한 것이 아닌 지중배전선(C)이 단선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에 불과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의 거치형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거치형 어셈블리가 조합돼 이루는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3과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T)의 지지빔(20)은, 길이방향으로 중공의 개구라인(21)이 형성되고, 한 쌍의 지지패널(11)을 받치며 양단부가 돌출하도록 거치대(10)에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지지빔(20)은 하나 이상의 지중배전선(C)이 거치된 고중량의 거치대(10)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중공을 갖는 구조를 이루고, 거치대(10)에서 돌출된 양단부는 각각 현수봉(40)과 연결된다. 결국, 거치대(10)는 현수봉(40)과의 직접적인 연결 없이 지지빔(20)에 의해 받쳐지므로, 거치대(10)의 교체가 용이하고 작업자는 거치대의 보수 관리가 유리해진다.
지지대(30)는, 거치대(10)에서 돌출된 지지빔(20) 단부의 상면을 덮는 수평판(31)과, 지지패널(11)의 전면을 밀착하게 덮도록 수평판(31)의 일단에서 상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제1입면판(32)과, 지지패널(11)의 상면을 밀착하게 덮도록 제1입면판에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 상부판(33)과, 지지빔(20) 단부의 전면을 밀착하게 덮도록 수평판(31)의 타단에서 하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전면부(341) 및 전면부(341)의 하단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된 현수부(342)로 구성된 제2입면판(34)과, 지지빔(20) 단부의 양측면을 각각 밀착하게 덮도록 수평판(31)의 양측단에서 하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면판(35)을 갖춘 한 쌍을 이룬다. 한 쌍의 지지대(30)는 거치대(10)를 이루는 한 쌍의 지지패널(11)에 각각 맞물리므로, 거치대(10)의 전후 및 상하 이동을 제한함은 물론 지지빔(20)의 전후, 좌우 및 상하 이동을 제한한다. 이에 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평판(31)은 현수봉(40)이 관통하는 지지빔(20) 단부의 상면을 덮으므로 지지빔(20)의 상향 이동을 저지한다. 제1입면판(32)은 지지패널(11)의 전면을 덮으므로 한 쌍의 지지대(30)가 거치대(10)의 전후 이동을 저지한다. 상부판(33)은 지지패널(11)의 상면을 덮으므로 수평판(31)과 함께 지지빔(20)의 상향 이동을 저지한다. 제2입면판(34)의 전면부(341)는 지지빔(20)의 전면을 덮으므로 지지빔(20)의 전후 이동을 저지한다. 한편, 전면부(341)의 하단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현수부(342)는 보빈(51; 도 7 참조)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측면판(35)은 지지빔(20)의 양측면을 덮으므로 지지빔(20)의 좌우 이동을 저지한다. 결국, 본 발명의 행거기구(T)는 지지대(30) 2개로 거치대(10)와 지지빔(20)의 움직임을 완전히 제압하고, 윈치(50)의 보빈(51)을 지지한다.
현수봉(40)은, 상단이 지중관(B)의 천장에 고정되고, 하단이 수평판(31)을 1차 관통하고 개구라인(21)을 거쳐 지지빔(20)의 단부를 2차 관통해서 고정되는 한 쌍을 이룬다. 본 실시 예에서 현수봉(40)의 하단은 볼트 구조를 이루고, 너트 등을 매개로 수평판(31) 및 지지빔(20)과 나사 결합한다. 결국, 현수봉(40)은 수평판(31) 및 지지빔(20)과 결합하며 지지빔(20)이 거치대(10)를 안정하게 받치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지지대(30)가 지지빔(20)과 일체를 이루도록 한다.
도 7은 상기 거치형 어셈블리와 윈치형 어셈블리 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의 후크가 로프에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의 윈치용 어셈블리가 지중배전선을 거치대까지 들어올리는 과정을 순차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T)의 윈치용 어셈블리는 윈치(50)와 후크(60)와 아이들러(70)로 구성된다. 각 구성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윈치(50)는, 양단부에 각각 펜스형 플랜지(511)가 형성되고 로프(R)를 권취하며 현수부(3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51)과, 보빈(51)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된 회전축(521)을 구성한 구동모터(52)을 갖춘다. 본 실시 예에서 보빈(51)은 로프(R)가 중앙으로 집중하도록 중앙의 외경이 바깥측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한다. 결국,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보빈(51) 곳곳에 로프(R)가 분산하거나 편향하게 권취되지 않으므로, 작업자는 지중배전선(C)을 거치대(10) 곳곳에 보다 쉽게 배치시킬 수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고중량의 보빈(51)이 현수부(342)에 안정하게 연결되도록, 현수부(342)에 보강판(343)을 추가 구성하고, 현수부(342)에 롤링 가능하게 설치된 보빈(51)이 원활히 회전하도록 현수부(342)와 보빈(51) 사이에 베어링(36)을 추가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치(50)의 구동모터(52)는 보빈(51)과 연결된 회전축(521)을 회전시킨다. 구동모터(52)의 온오프는 현장에서 작업자가 스위치(미도시함)를 조작해 이루어진다. 구동모터(52)는 회전축(521)의 양방향 회전을 가능하게 하므로, 보빈(51)에 권취된 로프(R)의 풀림과 권취가 가능하다. 구동모터(52)는 양방향 회전 구동을 위해 직류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후크(60)는, 회전자(61)와, 회전자(61)가 공회전하도록 연결되는 롤링축(621)을 구성하고 로프(R)의 말단에 연결되는 고정대(62)를 갖춘다. 후크(60)는 바닥(G)에 위치한 지중배전선(C)을 걸 수 있는 고리 형태이며, 단부에는 회전자(61)가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자(61)와 연결되는 고정대(62)는 롤링축(621)을 구성하므로, 회전자(61)에는 롤링축(621)이 삽입되는 롤링홀(미도시함)이 구성된다. 고정대(62)는 로프(R)의 말단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롤링축(621)은 상기 롤링홀에 끼워져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후크(60)는 로프(R)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로프(R)가 보빈(51)에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과정에서 꼬임이 이루어져도 고정대(62)와 회전자(61)는 공회전하며, 후크(60)는 제 자세를 유지하며 지중배전선(C)을 회전 없이 들어올리거나 잡아당기게 된다.
아이들러(70)는, 롤러(71)와, 롤러(71)의 양단을 한 쌍의 지지패널(11)에 각각 공회전하도록 연결시키는 고정핀(72)을 갖춘다. 아이들러(70)의 롤러(71)는 외부의 동력 없이 지지패널(11)에서 자유회전하며, 도 9과 같이 보빈(51)으로부터 인출된 로프(R)가 아이들러(70)를 거쳐 바닥(G)으로 현수된다. 결국, 후크(60)에 걸린 지중배전선(C)은 도 9의 (a)도면 및 (b)도면과 같이 로프(R)의 권취와 더불어 아이들러(70)를 향해 이동한다. 또한, 보빈(51)이 로프(R)를 지속해 권취하면 도 9의 (c)도면과 같이 지중배전선(C)은 롤러(71)를 경유해서 거치대(10)의 상면까지 이르고, 작업자는 거치대(10)까지 올라온 지중배전선(C)을 당겨서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인력으로 지중배전선(C)을 거치대(10)까지 들어올리지 않을 수 있고, 이를 통해 노동 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의 앵커용 링이 지중배전선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에 구성된 앵커용 링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앵커용 링의 동작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3은 상기 앵커용 링이 설치된 지중배전선을 후크가 걸고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행거기구(T)의 앵커용 링(80)은 제1걸이(81)와 제2걸이(82)와 힌지축(83)을 갖춘다. 앵커용 링(80)에 대해 좀 더 설명하면, 후크(60)는 거치대(10)에 올릴 지중배전선(C)을 바닥(G)에서 들어올리기 위한 일종의 고리이므로, 올리는 과정에서 지중배전선(C)의 자중에 의해 후크에서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다. 따라서 후크(60)에 걸린 지중배전선(C)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앵커용 링(80)의 제1걸이(81)는 제1고정플랜지(811)가 일단에 형성된 반원 형태이고, 제2걸이(82)는 제1고정플랜지(811)와 고정 가능하게 접하는 제2고정플랜지(821)가 일단에 형성된 반원 형태이며, 힌지축(83)은 제1걸이(81)와 제2걸이(82)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결국, 제1걸이(81)와 제2걸이(82)는 도 12와 같이 힌지축(83)을 중심으로 펼쳐지거나 접히고, 접히면 지중배전선(C)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를 이룬다.
지중배전선(C)의 외면은 합선 및 누전 방지를 위해 표면이 절연된다. 일반적으로 절연성 피복은 지중배전선(C)의 구부러짐을 위해 가요성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므로 피복 표면에 힘을 가하면 변형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 앵커용 링(80)은 내경이 지중배전선(C)의 외경보다 작게 해서, 앵커용 링(80)이 접히면 지중배전선(C)의 둘레를 강하게 물도록 한다. 결국, 앵커용 링(80)은 물고 있는 지중배전선(C)의 일지점을 부동하게 고정된다.
한편, 한 쌍의 앵커용 링(80)은 후크(60)의 두께에 상응하는 길이로 이격하게 배치하고, 후크(60)를 도 13과 같이 한 쌍의 앵커용 링(80) 사이로 넣어 지중배전선(C)을 건다. 결국, 후크(60)는 한 쌍의 앵커용 링(80)에 의해 걸려 미끄러지지 않으므로, 후크(60)는 지중배전선(C)을 안정적으로 걸어 들어올릴 수 있다.
참고로, 제1걸이(81)와 제2걸이(82)는 각각의 제1고정플랜지(811)와 제2고정플랜지(821)에 볼트를 끼워 고정하므로, 앵커용 링(80)의 접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해당 지중배전선(C)을 거치대(10)까지 들어올리면 앵커용 링(80)을 펼쳐서 지중배전선(C)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지중배전선(C)의 단면 표시는 지중배전선(C)의 내부 형태를 그대로 표현한 것이 아닌 지중배전선(C)이 단선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에 불과하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거치대 11; 지지패널 12; 렁
20; 지지빔 21; 개구라인 30; 지지대
31; 수평판 32; 제1입면판 33; 상부판
34; 제2입면판 35; 측면판 36; 베어링
40; 현수봉 50; 윈치 51; 보빈
52; 구동모터 60; 후크 61; 회전자
62; 고정대 70; 아이들러 80; 앵커용 링
81; 제1걸이 82; 제2걸이 83; 힌지축
90, 90'; 받침대 91; 장착레일 92; 보울

Claims (1)

  1.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패널(11)과,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치되며 한 쌍의 지지패널(11)을 이격하게 연결하는 렁(12)을 갖춘 거치대(10);
    지지패널(11)의 내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홀(911)을 형성한 장착레일(91)과, 레일홀(911)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부(921)가 일측에 구성되고 지중배전선(C)을 안착 지지하는 보울(92) 을 갖춘 받침대(90);
    길이방향으로 중공의 개구라인(21)이 형성되고, 한 쌍의 지지패널(11)을 받치며 양단부가 돌출하도록 거치대(10)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빔(20);
    거치대(10)에서 돌출된 지지빔(20) 단부의 상면을 덮는 수평판(31)과, 지지패널(11)의 전면을 밀착하게 덮도록 수평판(31)의 일단에서 상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제1입면판(32)과, 지지패널(11)의 상면을 밀착하게 덮도록 제1입면판에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 상부판(33)과, 지지빔(20) 단부의 전면을 밀착하게 덮도록 수평판(31)의 타단에서 하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전면부(341) 및 전면부(341)의 하단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된 현수부(342)로 구성된 제2입면판(34)과, 지지빔(20) 단부의 양측면을 각각 밀착하게 덮도록 수평판(31)의 양측단에서 하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면판(35)을 갖춘 한 쌍의 지지대(30);
    상단이 지중관(B)의 천장에 고정되고, 하단이 수평판(31)을 1차 관통하고 개구라인(21)을 거쳐 지지빔(20)의 단부를 2차 관통해서 고정되는 한 쌍의 현수봉(40);
    양단부에 각각 펜스형 플랜지(511)가 형성되고 로프(R)를 권취하며 거치대(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현수부(3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51)과, 보빈(51)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된 회전축(521)을 구성한 구동모터(52)을 갖춘 윈치(50);
    회전자(61)와, 회전자(61)가 공회전하도록 연결되는 롤링축(621)을 구성하고 로프(R)의 말단에 연결되는 고정대(62)를 갖춘 후크(60);
    롤러(71)와, 거치대(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롤러(71)의 양단을 한 쌍의 지지패널(11)에 각각 공회전하 연결시키는 고정핀(72)을 갖춘 아이들러(70); 및
    제1고정플랜지(811)가 일단에 형성된 반원 형태의 제1걸이(81)와, 제1고정플랜지(811)와 고정 가능하게 접하는 제2고정플랜지(821)가 일단에 형성된 반원 형태의 제2걸이(82)와, 제1걸이(81)와 제2걸이(82)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83)을 갖추며, 지중배전선(C)의 둘레를 감싸는 한 쌍의 앵커용 링(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 배치용 행거기구.
KR1020230060161A 2023-05-09 지중배전선 배치용 행거기구 KR102684075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4075B1 true KR102684075B1 (ko) 2024-07-12

Family

I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816B1 (ko) * 2019-12-10 2020-05-25 (주) 여명기술단 화재방지기능을 갖춘 건축물용 배전선 트렌치
KR102153679B1 (ko) * 2020-04-03 2020-09-09 주식회사 웅부기술단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
KR102206597B1 (ko) * 2020-04-23 2021-01-22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KR102316192B1 (ko) 2021-01-28 2021-10-25 백승훈 점검작업이 편리한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KR102520235B1 (ko) 2022-03-25 2023-04-11 더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신속한 화재확인이 가능한 전선접속형 154kv 지중송전라인 고정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816B1 (ko) * 2019-12-10 2020-05-25 (주) 여명기술단 화재방지기능을 갖춘 건축물용 배전선 트렌치
KR102153679B1 (ko) * 2020-04-03 2020-09-09 주식회사 웅부기술단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
KR102206597B1 (ko) * 2020-04-23 2021-01-22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KR102316192B1 (ko) 2021-01-28 2021-10-25 백승훈 점검작업이 편리한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KR102520235B1 (ko) 2022-03-25 2023-04-11 더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신속한 화재확인이 가능한 전선접속형 154kv 지중송전라인 고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88545A (en) Tower hoist
KR101257032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구조물
KR101877549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
US5975726A (en) High mast lighting system
KR101261457B1 (ko) 다수의 케이블 선출장치
KR101261458B1 (ko) 지중케이블 다회선 풀링장치
KR100923920B1 (ko) 케이블 포설용 써포트 로울러
CN114057009B (zh) 一种户外电缆沟高效布线装置及布线方法
KR102684075B1 (ko) 지중배전선 배치용 행거기구
KR102672263B1 (ko) 지중배전선의 안정적 배치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기구
KR102672265B1 (ko) 지중배전선 접속용 안전기능 향상 배전기기
KR102672264B1 (ko) 지중배전라인 설치형 전선 트레이기구
KR101108026B1 (ko) 갠트리 크레인 장치
KR100929659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CA2490396A1 (en) Carpet display rack
KR200401381Y1 (ko) 삭도용 수평 캐리지
KR100865942B1 (ko) 공동주택의 공용 조명기형 제어반
KR101103134B1 (ko) 리깅장치
CN110260232B (zh) 一种高杆灯及其装配方法
JP2012148048A (ja) ネット又はシート体の吊り張り装置、及びネット又はシート体の吊り張りシステム
KR200298347Y1 (ko) 무대 조명장치
KR101640141B1 (ko)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와, 이를 이용한 조립봉의 설치공법
JPH05246654A (ja) エレベータ制御ケーブルの架設装置
KR100867207B1 (ko) 공동주택의 실내조명용 전기구 설치대
CN215478801U (zh) 一种电缆放线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