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141B1 -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와, 이를 이용한 조립봉의 설치공법 - Google Patents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와, 이를 이용한 조립봉의 설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141B1
KR101640141B1 KR1020150129203A KR20150129203A KR101640141B1 KR 101640141 B1 KR101640141 B1 KR 101640141B1 KR 1020150129203 A KR1020150129203 A KR 1020150129203A KR 20150129203 A KR20150129203 A KR 20150129203A KR 101640141 B1 KR101640141 B1 KR 101640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supporters
supporter
assembly rod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이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호 filed Critical 이창호
Priority to KR1020150129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 철탑 축조시 철탑 전용 철골 자재를 수작업으로 상향 운반하기 위해 활용되는 조립봉을 지지하면서 조립봉의 기울임 작업을 정밀하면서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와, 슬라이딩 벨트를 이용해서 조립봉의 위치를 손쉽게 이동할 수 있는 설치공법에 관한 것으로, 주주재와 탈착하는 한 쌍의 서포터; 상기 서포터의 상호 연결을 위해서 서포터의 일단에 구성되어 서로 탈착하는 한 쌍의 링커; 및 지지로프를 걸도록 상기 서포터의 타단에 구성되는 걸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와, 이를 이용한 조립봉의 설치공법{SLIDING BELT OF ASSEMBLY BONG FOR BUILDING THE STEEL TOWER, INSTALLATION METHOD FOR THE ASSEMBLY BONG THEREOF}
본 발명은 송전 철탑 축조시 철탑 전용 철골 자재를 수작업으로 상향 운반하기 위해 활용되는 조립봉을 지지하면서 조립봉의 기울임 작업을 정밀하면서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와, 슬라이딩 벨트를 이용해서 조립봉의 위치가 이동 가능하도록 손쉽게 설치하는 설치공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절반 이상이 산악지대여서 송전선을 지지하는 대부분의 송전 철탑이 산악지대에 설치된다. 그런데, 송전선을 통하는 전기의 전압은 154kv, 345kv, 765kv 등의 고압이므로, 송전선을 지면으로부터 가능한 한 높게 위치시켜야 한다. 따라서 송전 철탑은 송전선을 충분한 높이에 배선할 수 있는 크기로 축조된다. 또한, 송전선은 자체적으로 큰 하중이고, 풍력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동하므로, 송전 철탑에 큰 외력을 가한다. 그러므로 송전 철탑은 상기 외력에 대응한 충분한 지지력을 갖도록 견고한 구조와 튼실한 자재로 축조되어야 한다.
결국, 송전 철탑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고강도 금속재를 상향으로 축조해 입설하면서 충분한 높이로 완성한다.
그런데, 송전 철탑을 충분한 지지력과 높이로 축조하기 위해서는 고중량의 철골자재를 상방으로 순차 조립해야 하고, 따라서 조립 위치를 향해 상기 철골자재를 상방으로 지속해서 운반해야 한다.
송전 철탑 축조를 위한 철골자재의 종래 상방 운반방식은 승강기 방식, 크레인 방식, 조립봉 방식 등이 있다. 승강기 방식은 별도의 승강기를 송전 철탑 축조와 함께 축조해서 송전 철탑의 축조 높이로 철골 자재를 운반하는 방식으로, 송전 철탑 전용 자재는 물론 승강기 전용 자재도 함께 이송해야 하고, 송전 철탑 축조와 더불어 승강기를 축조해야 하며, 송전 철탑을 모두 축조한 이후에는 승강기를 해체해야 하는 작업의 불리함이 있으므로, 특수한 축조 환경과 조건 이외에는 주로 활용하지 않는다. 크레인 방식은 크레인을 활용해서 송전 철탑 전용 자재를 운반하는 방식으로, 자재의 상방 운반이 용이하고 신속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송전 철탑이 축조되는 산악지대로의 접근성이 곤란하고 송전 철탑의 시공비용이 증가한다는 불리함이 있으므로, 송전 철탑이 주로 산악지대에 축조되는 우리나라에서는 활용에 제한이 있다. 조립봉 방식은 도 1(송전 철탑의 구성 자재를 조립봉으로 상방 운반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곧은 붐(boom) 형태의 조립봉을 송전 철탑의 기본적인 지지 축인 주주재에 취부해서 크레인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데릭(derrick) 공법으로 통칭한다. 조립봉 방식은 크레인 기능을 위해서 조립봉과 위치 및 기타 와이어만 있으면 족하므로, 산악지대에서의 작업에 제약이 없고 송전 철탑의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조립봉 방식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립봉 방식은 송전 철탑 주주재의 어느 한 쪽에 조립봉을 취부하고 상기 조립봉의 상단에는 인상 와이어를 이동가능하게 매달며 상기 인상 와이어에 철골 자재를 연결해서, 상기 인상 와이어의 이동으로 철골 자재가 운반되어 송전 철탑을 조립할 수 있게 하는 공법이다. 여기서, 조립봉의 상단으로 경유하는 인상 와이어의 일단은 윈치에 연결되어서 상기 위치의 당김으로 철골 자재의 운반을 위한 인력이 발생하고, 상기 인상 와이어의 타단은 철골 자재에 연결되어서 상기 인력에 의해 상기 철골 자재를 상방으로 당겨 운반한다.
한편, 조립봉은 송전 철탑의 주주재에 와이어, 벨트 또는 브래킷 등(이하 '고정부재')을 매개로 수작업 고정되므로, 철골 자재를 충분한 높이까지 축조하면 조립봉을 필요한 높이만큼 이동시키기 위해서 우선 작업자는 상기 고정부재를 풀어 조립봉을 주주재와 분리하고, 조립봉을 직접 이동시킨 후에 지정된 위치에 상기 고정부재로 다시 수작업 고정해야 한다. 조립봉 위치 이동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조립봉 위치의 종래 이동 방식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도 2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철골 자재를 주주재(11, 11')와 수평재(12)로 각각 조립해서 충분한 높이까지 축조하면, 조립봉(20)의 인상 와이어(50)가 더 높은 위치로 철골 자재를 운반할 수 있도록 조립봉(20)의 위치를 이동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 작업자는 도 2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조립봉(20)을 주주재(11)와 나란하게 배치하고, 하나 이상의 복대 로프(60, 60')로 조립봉(20)과 해당 주주재(11)를 함께 감아서 연결한다. 아울러 지선(40)을 풀어서 조립봉(20)의 위치 이동시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복대 로프(60, 60')는 주주재(11)에 설치되는 스텝볼트(13)에 걸쳐지도록 해서, 복대 로프(60, 60')가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본 예시에서 고정부재(30)는 브래킷 타입으로서 조립봉(20)과 고정부재(30)에 각각 형성된 힌지(21, 31)를 매개로 조립봉(20)이 회동하도록 연결한다. 한편, 인상 와이어(50)의 말단에는 철골 자재의 연결을 위한 갈고리(51)가 구성될 수 있는데, 갈고리(51)를 조립봉(20)에 형성된 고정쇠(23)에 연결해서 인상 와이어(50)를 정돈한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도 2의 (c)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조립봉(20)의 상단 가이드(22)를 경유한 인상 와이어(50)를 하단 가이드(24)를 경유하게 연결한다. 여기서 하단 가이드(24)는 인상 와이어(50)가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 형태일 수도 있으나, 단순히 인상 와이어(50)의 배선 방향을 전환하면 족하므로 핀 형태일 수도 있다. 계속해서, 하단 가이드(24)를 경유한 인상 와이어(50)를 주주재(11)의 상단을 향해 배선한 후에 그 방향이 다시 하단을 향하도록 전환한다. 이를 위해서 주주재(11)의 상단에 인상 와이어(50)의 배선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부재를 배치한다. 일반적으로 주주재(11)에는 작업자가 밟고 이동할 수 있도록 스텝볼트(13)가 설치되는데, 인상 와이어(50)의 배선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별도의 부재를 배치할 필요 없이 주주재(11)의 상단에 설치된 스텝볼트(13)로 상기 부재를 대신할 수 있다. 한편, 조립봉(20)을 주주재(11)에 고정했던 고정부재(30)는 조립봉(2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임시로 해체한다.
도 2의 (c)도면과 도 3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인상 와이어(50)를 당기면, 하단 가이드(24)와 스텝볼트(13)를 경유하도록 된 인상 와이어(50)의 배선 형태로 인해서 조립봉(20)은 주주재(11)를 따라 나란하게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조립봉(20)과 주주재(11)를 연결한 복대 로프(60, 60')는 조립봉(20)의 이탈을 방지한다.
계속해서, 도 3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조립봉(20)이 충분한 높이에 이르면 인상 와이어(50)를 풀어 제 위치로 배선하고, 조립봉(20)의 취부를 위해서 고정부재(30)로 조립봉(20)을 주주재(11)에 고정한다. 한편, 조립봉(20)의 상단에 지선(40)을 연결해서 조립봉(20)이 지정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서 작업자는 조립봉(20)이 제 위치를 유지하면서 안정되게 기울어지도록 복대 로프(60)를 천천히 풀되, 조립봉(2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주주재(11)와의 연결상태를 유지시켜야 한다. 따라서 복대 로프(60)를 푸는 작업은 충분한 경험과 기술을 갖는 자만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도 3의 (c)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조립봉(20)이 지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면 지선(40)을 단단히 고정해서 조립봉(20)이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복대 로프(60)는 완전히 분리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봉(20)을 이동하기 위해서는, 지선(40)을 해체하는 작업, 인상 와이어(50)를 배선하는 작업, 복대 로프(60)를 연결하는 작업, 고정부재(30)를 해체하는 작업, 조립봉(20)을 이동하는 작업, 고정부재(30)로 조립봉(20)을 취부하는 작업, 지선(40)을 연결하는 작업, 조립봉(20)을 기울이는 작업 등을 반드시 진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수의 작업자가 요구된다. 특히 복대 로프(60, 60')로 조립봉(20)을 주주재(11)에 연결할 때에는 지선(40)이 조립봉(20)으로부터 해체된 상태이므로, 조립봉(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수의 작업자가 조립봉(20)을 잡아야 한다. 또한 조립봉(20)을 기울일 경우에는 조립봉(20)이 제 위치를 유지하면서 주주재(11)와 분리되지 않도록, 작업자는 복대 로프(60)의 위치에서 해당 복대 로프(60)를 천천히 풀며 조립봉(20)의 하중을 버텨야 하므로, 상기 작업자는 이 작업에서 매우 숙달되고 풍부한 경험을 갖추어야 했다. 더욱이, 복대 로프(60)는 단순한 로프에 불과하므로, 조립봉(20)과 주주재(11)를 묶기 위해서는 복대 로프(60)를 다수 회 감아야 하고, 복대 로프(60)를 다시 풀 때에는 조립봉(20)이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기울어지도록 복대 로프(60)를 높은 숙련으로 풀어나가야 했다. 뿐만 아니라 조립봉(20)을 기울이는 동안에 조립봉(20)이 이탈하지 않도록 다수의 다른 작업자들이 해당 고층에서 조립봉(20)을 잡아 기울어짐을 안내해야 하므로, 작업자들의 추락 위험성 또한 산재하는 불리함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20-0435532호(2007.01.29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조립봉의 위치 이동을 최소한의 인력으로도 안전하고 정밀하며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와, 이를 이용한 조립봉의 설치공법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주재와 탈착하는 한 쌍의 서포터;
한 쌍의 상기 서포터를 서로 연결하도록, 서포터의 일단에 각각 구성되어서 서로 탈착하는 한 쌍의 링커; 및
한 쌍의 상기 서포터를 지지로프로 걸어 서로 연결하도록, 서포터의 타단에 구성되는 걸이;
를 포함하는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발명은,
지지로프로 서로 연결된 제1,2 서포터 중 제1 서포터를 주주재의 일면에 설치하는 제1단계;
상기 제2 서포터를 조립봉의 뒤로 돌려서 지지로프가 조립봉을 감싸 받치도록 하는 제2단계;
상기 제1,2 서포터에 각각 구성된 링커를 서로 연결해서 제2 서포터를 주주재의 타면에 설치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지지로프가 조립봉을 받치도록 지지로프의 자유단을 고정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설치공법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조립봉을 기울이거나 세울 때 로프를 일일이 묶거나 풀어야 하는 불편이 없고, 조립봉을 정확한 기울기로 기울이기 위해서 복대 로프를 정확하면서도 일정하게 풀 수 있는 숙련 기술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초보 작업자도 조립봉의 기울기 조정을 손쉽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봉과 주주재를 서로 묶기 위해서 지지로프로 연결된 한 쌍의 서포터를 조립봉와 주주재에 1회만 감아도 되므로, 종래 로프로 조립봉과 주주재를 수회에 걸쳐 감는 불편과 번거로움이 없다.
도 1은 송전 철탑의 구성 자재를 조립봉으로 상방 운반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2 및 도 3은 조립봉 위치의 종래 이동 방식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벨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벨트가 주주재에 설치되어서 조립봉을 지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벨트의 지지로프가 서포터에 연결되는 일실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송전 철탑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 벨트를 설치하기 직전에 조립봉의 배치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에서 슬라이딩 벨트를 설치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벨트의 지지로프를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연결고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벨트의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벨트의 또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벨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벨트가 주주재에 설치되어서 조립봉을 지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벨트의 지지로프가 서포터에 연결되는 일실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고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벨트(100)는 하단이 주주재(11)에 취부된 조립봉(20)을 손쉽고 안정하게 지지하면서 조립봉(20)의 기울기 또한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로, 주주재(11)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어 조립봉(20) 지지의 기초를 이루는 한 쌍의 서포터(110, 110')와, 한 쌍의 서포터(110, 110')를 횡렬하게 연결하는 링커(120, 120')와, 지지로프(140)를 연결하는 걸이(130, 130')와, 조립봉(20)을 직접 지지하면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지지로프(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의 서포터(110, 110')는 주주재(11)의 외면에 밀착하게 고정되며, 이를 위해서 평판 형상을 이룬다. 서포터(110, 110')는 구조적 지지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보(미도시함)가 보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송전 철탑의 주주재(11)는 90도 각도로 절곡된 'ㄱ' 단면의 형상이므로, 서포터(110, 110')는 주주재(11)의 2 외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을 이룬다. 또한 서포터(110, 110')는 조립봉(20)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의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본체(110)는 주주재(11)에 손쉽게 탈착하면서도 조립봉(20)에 안정한 안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텝볼트(13)가 삽탈하는 맞물림홈(111)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스텝볼트(13)는 작업자가 계단처럼 밟고 이동할 수 있도록 주주재(11)의 양측에 교대로 형성되는데, 스텝볼트(13)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한 쌍의 서포터(110, 110')를 동일한 높이 선상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서포터(110, 110') 모두에 맞물림홈(111)을 형성한다.
링커(120, 120')는 서로 탈착하도록 짝을 이루는 한 쌍이 서포터(110, 110')에 각각 구성되어서, 한 쌍의 서포터(110, 110')가 링커(120, 120')를 매개로 탈착하게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링커(120, 120') 중 '하나(120)'는 '후크 형상'이고, 다른 하나(120')는 후크 형상의 링커(120)가 관통해 걸리도록 서포터(110')에 형성된 '구멍 형상'으로 되어서, 상기 후크가 구멍에 걸리는 연결 구조를 이룬다. 본 실시 예에서 후크 형상의 링커(120)는 서포터(110)에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걸이(130, 130')는 지지로프(140)를 한 쌍의 서포터(110, 110')에 연결하며, 이를 위해 본 실시 예는 각 서포터(110, 110')에 구멍을 뚫어서 형성한다. 걸이(130, 130')는 지지로프(140)가 걸리면 조립봉(20)이 가하는 외력 등에 의해 풀리지 않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 예에서 걸이(130, 130')는 지지로프(140)가 한번 연결되면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로프(140)가 관통하는 구멍 형상을 이룬다. 본 실시 예는 3쌍의 걸이(130, 130')를 한 쌍의 서포터(110, 110')에 구성했으나, 1쌍 또는 2쌍 이상은 물론 서로 다른 개수의 걸이(130, 130')를 한 쌍의 서포터(110, 110')에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지지로프(140)의 길이조정이 원활하도록 지지로프(140)를 나누기 위해서 다수의 쌍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로프(140)는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주주재(11)에 설치된 한 쌍의 서포터(110, 110')에 각각 연결되어서 조립봉(20)을 감싸 지지한다. 본 실시 예는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지지로프(140)의 고정단을 한쪽 서포터(110)의 걸이(130) 중 1개에 고정한 후에 다른 쪽 서포터(110')의 걸이(130') 중 1개에 걸어 엮고, 다시 한쪽 서포터(110)의 걸이(130) 중 1개에 걸어 엮는 방식으로 반복해 건 후에 지지로프(140)의 자유단을 다른 쪽 서포터(110')의 걸이(130)에 고정했다. 결국, 링커(120, 120')를 매개로 연결된 서포터(110, 110')는 주주재(11)를 감싸고, 걸이(130, 130')를 매개로 연결된 지지로프(140)는 조립봉(20)을 감싸므로,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벨트(100)는 조립봉(20)을 주주재(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은 송전 철탑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 벨트를 설치하기 직전에 조립봉의 배치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에서 슬라이딩 벨트를 설치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벨트의 지지로프를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연결고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고해 설명한다.
1. 서포터 설치
도 2의 (a)도면 및 도 8에서 보인 바와 같이, 조립봉(20)에 허용된 높이까지 송전 철탑의 주주재(11, 11') 및 수평재(12)가 축조되면, 도 2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조립봉(20)의 취부 위치를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평재(12)를 밟고 이동해서 조립봉(20)을 주주재(11)와 나란하도록 민 후에 조립봉(20)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복대 로프(60, 60')로 일일이 감아 고정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복대 로프(60, 60')를 대신해서 슬라이딩 벨트(100)를 이용한다.
우선, 도 8에서와 같이 조립봉(20)을 당겨 올려서 해당 주주재(11)와 나란하게 세워 밀착시킨다. 조립봉(20)의 당김은 인력에 의할 수도 있으나, 윈치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미도시함)를 활용할 수도 있다.
조립봉(20)이 충분히 세워지면 슬라이딩 벨트(100)의 서포터(110, 110')들 중 하나인 제1 서포터(110)를, 도 9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주주재(11)의 일면 적정 위치에 고정된 스텝볼트(13)에 걸어 연결한다.
참고로, 제1,2 서포터(110, 110')는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지지로프(140)를 매개로 일체로 연결된 상태이다.
2. 조립봉 그랩핑
계속해서, 제1 서포터(110)를 주주재(11)의 일면에 안착하면, 도 9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남은 하나인 제2 서포터(110')도 지지로프(140)와 함께 조립봉(20)을 감싼다. 이후, 제,2 서포터(110, 110')를 주주재(11)의 양면에 모두 안착하면, 제1서포터(110)의 링커(120)에 제2서포터(110')의 링커(120')를 걸어 연결한다.
3. 슬라이딩 벨트 조임
작업자는 도 10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지지로프(140)의 자유단을 당겨서 제1,2 서포터(110, 110')가 긴밀하게 조여지게 하고, 이를 통해서 슬라이딩 벨트(100)가 조립봉(120)을 주주재(11)에 안정하게 밀착시키게 한다.
이후, 지지로프(140)가 충분히 조여지면 지지로프(140)의 자유단을 도 10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근처 스텝볼트(13) 또는 수평재(12) 또는 별도의 앵커(미도시함)에 묶어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자유단은 도 11에서 보인 고리(141)가 보강되어서, 상기 자유단을 묶어나 풀 때 작업자가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 예의 고리(141)는 지지로프(140)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후크(141a)와, 후크(141a)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141b)로 구성되어서, 도 11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스텝볼트(13)에 걸린 지지로프(140)에 쉽게 걸려 엮일 수 있다. 참고로, 도어(141b)는 코일스프링 등의 탄발체(미 도시)를 매개로 탄발 연결되어서, 상기 개구를 항시 폐구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조립봉(20)은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므로, 1개의 슬라이딩 벨트(100)만으로는 조립봉(20)과 주주재(11) 간의 연결이 불안정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봉(20)과 주주재(11)는 최소한 2 곳 이상의 연결이 이루어져야 하고, 상기 연결은 2개의 슬라이딩 벨트(100), 또는 1개의 슬라이딩 벨트(100)와 종래 복대 로프(60, 6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4. 조립봉 이동
도 2의 (c)도면 및 도 3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조립봉(20)을 지정된 높이로 이동한다. 이때, 조립봉(20)의 승강은 인력 또는 윈치 등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5. 조립봉 기울기의 제2조정
조립봉(20)이 지정된 높이로 이동하면, 도 3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고정부재(30)를 매개로 조립봉(20)의 하단을 주주재(11)에 취부한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조립봉(20)과 주주재(11)를 연결한 2개 이상의 슬라이딩 벨트(100) 중 1개를 해체하고, 남은 하나의 슬라이딩 벨트(100)를 활용해서 조립봉(20)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자가 지지로프(140)의 자유단을 풀어 잡고 당김을 조정하면, 조립봉(20)은 자중으로 인해서 고정부재(30)를 중심으로 기울어지게 된다(도 3의 (b)도면, 도 10의 (b)도면 참고). 이는 조립봉(20)을 조여 묶고 있는 지지로프(140)가 조립봉(20)의 자중에 의해서 걸이(130, 130')와 조립봉(20)을 슬라이딩하며 풀어지고, 작업자는 지지로프(140)의 자유단의 당김 정도를 줄여서 지지로프(140)의 풀어짐 정도를 조정하기 때문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벨트의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고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링커(120, 120") 중 하나의 링커(120")는 후크 형상의 링커(120)가 관통해 걸리는 구멍을 형성하도록 서포터(110')에 보강되는 '고리'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서포터(110, 110')는 서로 연결되면 흔들림 없는 안정된 연결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주주재(11)에 안착한 상태에서는 주주재(11)와의 흔들림 없는 안정된 밀착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후크 형상의 링커(120)와 고리 형상의 링커(120")가 서로 연결되면 안정된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후크 형상의 링커(120)는 일정 길이의 폭을 이루고 고리 형상의 링커(120")는 상기 폭에 상응하는 폭을 이루어서, 링커(120, 120")가 일단 연결되면 서포터(110, 110')를 흔들림 없이 그 상태로 유지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 후크 형상의 링커(120)는 서포터(110)와는 분리된 구성일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 예의 걸이(130a, 130a')는 지지로프(140)를 거는 별도의 '걸이'를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터(110, 110')에 보강한다. 본 실시 예를 통해서 서포터(110, 110')에 별도의 구멍을 뚫지 않고 독립된 '걸이'를 서포터(110, 110')에 보강할 수 있으므로, 조임과 풀림을 반복하는 지지로프(140)가 걸이(130a, 130a')를 통과하면서 일어나는 헤짐을 최소화하는 재질의 '걸이'로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
서포터(110, 110')와 걸이(130a, , 130a')는 도 12에서 보인 바와 같이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도 있고, 도 13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별도의 브래킷을 매개로 고정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벨트의 또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고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링커(120a, 120a')는 서로 탈착하도록 짝을 이루는 한 쌍이 서포터(110, 110')에 각각 구성되어서, 한 쌍의 서포터(110, 110')가 링커(120a, 120a')를 매개로 탈착하게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링커(120a, 120a')는 서로 이격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걸림돌기(121, 121')를 구비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쪽 링커(120a)의 걸림돌기(121)가 다른 쪽 링커(120a')의 걸림돌기(121') 사이에 끼워지도록, 다수의 걸림돌기(121, 121')는 서로 이격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걸림돌기(121, 121') 사이의 이격공간(122, 122')은 걸림돌기(121, 121')가 맞물릴 수 있는 충분한 크기를 이루어야 한다. 계속해서, 걸림돌기(121, 121')의 말단(121a, 121a')은 직겅이 확장한 형상으로 되어서, 한쪽 링커(120a)의 걸림돌기(121)가 다른 쪽 링커(120a')의 이격공간(122')에 삽입하면, 한쪽 링커(120a)의 걸림돌기(121)의 말단(121a')은 다른 쪽 링커(120a')의 걸림돌기(121')에 걸려서 맞물리고, 이를 통해서 한 쌍의 서포터(110, 110')는 링커(120a, 120a')를 매개로 견고하게 연결된다. 참고로, 좌측 서포터(110)는 스텝볼트(13)에 지지되므로, 우측 서포터(110')는 자중으로 내려앉게 된다. 결국, 좌측 서포터(110)의 링커(120a)의 이격공간(122)으로 삽입한 우측 서포터(110')의 링커(120a')의 걸림돌기(121')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해서 말단(121a')이 좌측 링커(120a)의 걸림돌기(121)에 걸린다. 또한, 링커(120a, 120a')의 두께와 이격공간(122)의 폭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해서, 걸림돌기(121, 121')가 서로 맞물려 연결되면 한 쌍의 서포터(110, 110')가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계속해서 본 실시 예의 맞물림홈(111')은 일방으로 개구된 홈 형상으로 되어서, 스텝볼트(13)로의 걸림이 손쉽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슬라이딩 벨트 110, 110'; 서포터 111; 맞물림홈
120, 120', 120a 내지 120e, 120a' 내지 120e' 링커
121, 121'; 걸림돌기 122, 122'; 이격공간 130, 130; 걸이
140; 지지로프

Claims (9)

  1. 주주재와 탈착하는 한 쌍의 서포터; 한 쌍의 상기 서포터를 서로 연결하도록, 서포터의 일단에 각각 구성되어서 서로 탈착하는 한 쌍의 링커; 한 쌍의 상기 서포터를 지지로프로 걸어 서로 연결하도록, 서포터의 타단에 구성되는 걸이;를 포함하는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주주재의 스텝볼트가 끼워지는 맞물림홈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중 하나에 구성된 링커는 후크 형상이고, 다른 하나에 구성된 링커는 서포터 내 천공 구멍 또는 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는 말단이 확장된 형상의 다수 걸림돌기가 일정한 이격공간을 이루며 일렬로 형성되되, 상기 이격공간은 다른 링커의 걸림돌기가 끼워지도록 되어서 각 링커의 걸림돌기가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로프의 원활한 조임과 풀림을 위해서 상기 지지로프를 분리해 배선하도록, 상기 걸이는 다수 개가 일렬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프를 각 서포터의 걸이에 교대로 걸어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프의 자유단에 고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
  8. 지지로프로 서로 연결된 제1,2 서포터 중 제1 서포터를 주주재의 일면에 설치하는 제1단계;
    상기 제2 서포터를 조립봉의 뒤로 돌려서 지지로프가 조립봉을 감싸 받치도록 하는 제2단계;
    상기 제1,2 서포터에 각각 구성된 링커를 서로 연결해서 제2 서포터를 주주재의 타면에 설치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지지로프가 조립봉을 받치도록 지지로프의 자유단을 고정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설치공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이후,
    상기 조립봉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립봉이 기울어지도록 자유단을 푸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설치공법.
KR1020150129203A 2015-09-11 2015-09-11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와, 이를 이용한 조립봉의 설치공법 KR101640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203A KR101640141B1 (ko) 2015-09-11 2015-09-11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와, 이를 이용한 조립봉의 설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203A KR101640141B1 (ko) 2015-09-11 2015-09-11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와, 이를 이용한 조립봉의 설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141B1 true KR101640141B1 (ko) 2016-07-15

Family

ID=5650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203A KR101640141B1 (ko) 2015-09-11 2015-09-11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와, 이를 이용한 조립봉의 설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1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162A (ko) 2021-07-05 2023-01-12 한국전력공사 송전 철탑 상향 장치 및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911Y1 (ko) * 2000-01-11 2000-06-15 윤희준 베란다용 발판
KR200435532Y1 (ko) 2006-09-14 2007-01-29 (자)자유이엔씨 철탑 조립용 회전식 붐
JP2009013765A (ja) * 2007-07-04 2009-01-22 Denro Corp 鉄塔の部材取替工法およびその工法で用いられる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911Y1 (ko) * 2000-01-11 2000-06-15 윤희준 베란다용 발판
KR200435532Y1 (ko) 2006-09-14 2007-01-29 (자)자유이엔씨 철탑 조립용 회전식 붐
JP2009013765A (ja) * 2007-07-04 2009-01-22 Denro Corp 鉄塔の部材取替工法およびその工法で用いられる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162A (ko) 2021-07-05 2023-01-12 한국전력공사 송전 철탑 상향 장치 및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61793B (en)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ation of guide rails in a lift shaft
US831724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an object in a building
KR101405010B1 (ko) 현수교의 보강형 인상을 위한 갠트리
RU2345196C2 (ru) Лен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набжения и эксплуатации
JP2013176263A (ja) ケーブル敷設システム、敷設方法、および敷設治具
US20150083879A1 (en) Loft block with aligned sheaves
CN104695752A (zh) 快速抢修塔系统及其架设方法
JP4637921B2 (ja) ゴンドラ用仮設ガイド装置および方法
KR101640141B1 (ko)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와, 이를 이용한 조립봉의 설치공법
US11686055B2 (en) Sheath for a structural cable of a construction work, methods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US8434740B2 (en) Apparatus (sheave) for guiding cable in and out of manholes and conduits
US20170298641A1 (en) Netting Structure
CN110668308A (zh) 竖用模板的吊装结构及吊装方法
JP6040446B2 (ja) 運搬用吊り滑車機構および吊り滑車機構使用の運搬方法
JP5339826B2 (ja) 送電鉄塔用足場
JP2016199997A (ja) 簡易クレーン
JP6134499B2 (ja) 台棒による鉄塔組立・解体工法及び装置
JP2012249437A (ja) 電線延線工法
JP2013146520A (ja) 防球用等のネット体又はシート体、及び防球用等のネット体又はシート体の吊り張り方法
JP2006288167A (ja) ケーブル架線用補助装置及びケーブル保持装置並びにケーブル架線方法
JP3208108U (ja) 仮設シート張設用の支持金具
US77266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nsioning and locking a safety strand
JP2005146772A (ja) 屋根支持構造体ユニットおよび大空間屋根構造物並びにこれらの施工法
KR101640139B1 (ko)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과 링철근 연결용 링커
CN218347025U (zh) 一种通信线缆快速架空敷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