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162A - 송전 철탑 상향 장치 및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송전 철탑 상향 장치 및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162A
KR20230007162A KR1020210088060A KR20210088060A KR20230007162A KR 20230007162 A KR20230007162 A KR 20230007162A KR 1020210088060 A KR1020210088060 A KR 1020210088060A KR 20210088060 A KR20210088060 A KR 20210088060A KR 20230007162 A KR20230007162 A KR 20230007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astening
support plate
transmission
horizont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우준
윤성민
이성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88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7162A/ko
Publication of KR20230007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 철탑의 인상 시에 사용되는 송전 철탑 상향 장치 및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송전 철탑 상향 장치는 송전 철탑의 수평재에 설치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되고 단부가 송전 철탑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조립봉, 그리고 상기 조립봉의 단부에 연결되고 대상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조립봉을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간편하고 안전하게 인상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능률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조립봉의 이탈 및 추락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송전 철탑 상향 장치 및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LIFTING DEVICE FOR STEEL TOWER AND INSTAL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송전 철탑 상향 장치 및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 철탑의 인상 시에 사용되는 송전 철탑 상향 장치 및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전력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전력을 송전하기 위한 설비의 개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고, 도시화에 따라 시설물이 점점 대형화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설물의 대형화에 의해서 시설물과 송전선 간의 안전 이격 거리가 확보되지 못해 접촉 위험성이 늘어나고 있고, 안전 이격 거리를 확보하지 못함에 따라 양질의 전력 공급 및 고장 발생 역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송전선과 시설물 간의 안전 이격 거리 확보를 위해 송전 철탑의 인상이 필요하다.
그런데, 송전 철탑의 인상을 위해서는 별도의 임시 송전 철탑이나 신설 송전 철탑을 세워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은, 임시 송전 철탑 또는 신설 송전 철탑의 설치를 위해서는 용지 확보 곤란, 안전 이격 거리 미달로 인한 안전사고, 설비고장 우려와 큰 비용 발생 등의 어려움이 있어 송전 철탑 인상을 위한 송전 철탑 인상 장비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 송전 철탑 인상을 위한 철골 자재의 상방 운반 방식은 승강기 방식, 크레인 방식, 조립봉 방식 등이 있다.
승강기 방식은 별도의 승강기를 송전 철탑 인상과 함께 축조해서 송전 철탑의 인상 높이로 철골 자재를 운반하는 방식으로, 송전 철탑 전용 자재는 물론 승강기 전용 자재도 함께 이송해야 하고, 송전 철탑 인상과 더불어 승강기를 축조해야 하며, 송전 철탑을 모두 인상한 이후에는 승강기를 해체해야 하는 작업의 불리함이 있으므로, 특수한 인상 환경과 조건 이외에는 주로 활용하지 않는다.
크레인 방식은 크레인을 활용해서 송전 철탑 전용 자재를 운반하는 방식으로, 자재의 상방 운반이 용이하고 신속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송전 철탑이 인상되는 산악지대로의 접근성이 곤란하고 송전 철탑의 시공비용이 증가한다는 불리함이 있으므로, 송전 철탑이 주로 산악지대에 축조되는 우리나라에서는 활용에 제한이 있다.
조립봉 방식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립봉(20)을 송전 철탑의 기본적인 지지 축인 주주재(10)에 취부해서 크레인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데릭(derrick) 공법으로 통칭한다. 종래의 조립봉 방식은 크레인 기능을 위해서 조립봉(20) 위치 및 기타 와이어만 있으면 족하므로, 산악지대에서의 작업에 제약이 없고 송전 철탑의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 조립봉 방식은 송전 철탑 주주재(10)의 어느 한 쪽에 조립봉(20)을 취부하고, 상기 조립봉(20)의 상단에는 인상 와이어(30)를 이동 가능하게 매달며, 상기 인상 와이어(30)에 철골 자재를 연결해서, 상기 인상 와이어(30)의 이동으로 철골 자재가 운반되어 송전 철탑을 조립할 수 있게 하는 공법이다.
여기서, 조립봉의 상단으로 경유하는 인상 와이어의 일단은 윈치에 연결되어서 상기 위치의 당김으로 철골 자재의 운반을 위한 인력이 발생하고, 상기 인상 와이어의 타단은 철골 자재에 연결되어서 상기 인력에 의해 상기 철골 자재를 상방으로 당겨 운반할 수 있다.
한편, 조립봉은 송전 철탑의 주주재에 와이어, 벨트 또는 브래킷 등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체결된다. 즉, 철골 자재를 충분한 높이까지 축조하면 조립봉을 필요한 높이만큼 이동시키기 위해서 우선 작업자는 상기 고정부재를 풀어 조립봉을 주주재와 분리하고, 조립봉을 직접 이동시킨 후에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고정부재로 다시 수작업으로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봉의 인상 및 설치 작업이 어렵고,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640141호 (2016.07.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인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송전 철탑 상향 장치 및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 상향 장치는, 송전 철탑의 수평재에 설치되는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되고, 단부가 송전 철탑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조립봉; 및 상기 조립봉의 단부에 연결되고, 대상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수단은, 일측이 상기 수평재에 설치되고, 복수로 마련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지지부; 복수의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배치된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부에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수평재의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체결위치가 조절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장홀로 형성된 지지부 체결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상기 지지부 체결슬릿과 동일한 방향으로 장홀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체결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가 상기 지지부 체결슬릿과 상기 지지플레이트 체결슬릿에 삽입되어 위치가 변경되게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는, 일측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삽입 형성된 삽입홈에 상기 수평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로 체결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립봉의 하중에 의한 굽힘 변형을 보강하도록, 양측단에서 상기 수평재와 수직한 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보강플랜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립봉의 하중에 의한 굽힘 변형을 보강하도록, 상기 수평재와 체결되는 영역의 중심에서 상기 수평재의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립봉은, 상기 지지수단에 체결되는 하부몸체; 및 일측단은 상기 하부몸체에 체결되고, 타측단에는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고 송전 철탑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은, 송전 철탑의 수평재에 복수의 지지부를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는 지지부 설치단계; 상기 지지부에 지지플레이트를 배치한 후 체결부로 상기 지지부에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지지플레이트 설치단계;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조립봉의 하부몸체를 체결하는 조립봉 하부몸체 체결단계; 및 상기 조립봉의 하부몸체에 상기 조립봉의 상부몸체를 체결하는 조립봉 상부몸체 체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봉 상부몸체의 단부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송전 철탑 상향 장치 및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에 따르면, 간편하고 안전하게 인상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능률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송전 철탑의 수평재에 지지수단을 통하여 조립봉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어 조립봉의 이탈 및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립봉을 이용한 송전 철탑 상향 작업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전 철탑 상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전 철탑 상향 장치에서 지지부가 송전 철탑의 수평재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전 철탑 상향 장치에서 지지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전 철탑 상향 장치에서 지지부에 지지플레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전 철탑 상향 장치에서 지지부에 지지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전 철탑 상향 장치에서 지지부와 지지플레이트가 간격이 조절되며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전 철탑 상향 장치에서 지지플레이트에 조립봉의 하부몸체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전 철탑 상향 장치에서 조립봉의 하부몸체에 상부몸체가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전 철탑 상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송전 철탑 상향 장치에서 지지부가 송전 철탑의 수평재에 설치된 상태, 도 4는 상기 지지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상기 지지부에 지지플레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지지부와 지지플레이트가 간격이 조절되며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조립봉의 하부몸체가 설치된 상태, 도 9는 상기 조립봉의 하부몸체에 상부몸체가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전 철탑 상향 장치(100)는 송전 철탑(10)의 수평재(12)에 설치되는 지지수단(200)과, 상기 지지수단(200)에 설치되고 단부가 송전 철탑(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조립봉(300), 그리고 상기 조립봉(300)의 단부에 연결되고 대상체(P)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케이블(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체(P)는 송전 철탑 상향을 위한 부재들일 수 있다.
상기 송전 철탑(10)은 복수의 주주재(11)가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주주재(11)를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재(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재(12)는 서로 이웃하는 주주재(11)를 연결하여 사각형을 이루도록 체결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200)은 상기 송전 철탑(10)의 수평재(12)에 설치되어 상기 조립봉(30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수단(200)은 일측이 상기 수평재(12)에 설치되고 복수로 마련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지지부(210)와, 복수의 상기 지지부(210)의 타측에 배치된 지지플레이트(220), 그리고 상기 지지부(210)에 상기 지지플레이트(220)를 체결하는 체결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210)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수평재(12)에 체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220)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210)는 서로 마주보게 적어도 한쌍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삽입 형성된 삽입홈(211)에 상기 수평재(12)가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215)로 상기 수평재(12)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210)의 삽입홈(211)에 상기 수평재(12)를 삽입 배치한 후 상기 체결부재(215)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평재(12)를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215)는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10)는 상기 조립봉(300)의 하중에 의한 굽힘 변형을 보강하도록, 양측단에서 상기 수평재(12)와 수직한 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보강플랜지(2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210)는 길이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220)와 상기 조립봉(300)의 하중에 의한 굽힘 모멘트 하중이 인가되어, 굽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부(210)의 양측단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보강플랜지(212)를 형성하여 굽힘 변형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였다.
또한, 상기 지지부(210)는 상기 조립봉(300)의 하중에 의한 굽힘 변형을 더 보강하도록, 상기 수평재(12)와 체결되는 영역의 중심에서 상기 수평재(12)의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보강리브(21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210)는 상기 수평재(12)와 체결되는 부분에서 굽힘 변형에 대한 강성을 더 보강할 수 있도록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리브(213)를 더 구비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지지부(21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20)와 상기 조립봉(300)을 보다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1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20)는 체결위치가 상대적으로 조절되게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송전 철탑(10)은 위로 올라갈수록 상기 수평재(12)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므로, 서로 마주보게 상기 수평재(12)에 체결된 상기 지지부(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21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20)는 상기 수평재(12) 간의 간격이 달리지는 건에 대응하여 서로 체결위치가 조절된다.
이를 위하여 일 예로, 상기 지지부(210)의 타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장홀로 형성된 지지부 체결슬릿(214)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220)에서 상기 지지부 체결슬릿(214)과 동일한 방향으로 장홀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체결슬릿(2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230)가 상기 지지부 체결슬릿(214)과 상기 지지플레이트 체결슬릿(221)에 삽입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10) 간의 간격이 바뀌어도, 상기 지지부(210)에 상기 지지플레이트(220)를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230)는 볼트(231)와 너트(2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봉(300)은 상기 지지수단(200)에 설치되고, 단부가 송전 철탑(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립봉(300)은 상기 지지수단(200)의 지지플레이트(220)에 체결되는 하부몸체(310)와, 일측단은 상기 하부몸체(310)에 체결되고 타측단에는 상기 케이블(400)이 연결되고 송전 철탑(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상부몸체(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조립봉(300)은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상부몸체(320)와 하부몸체(310)로 분리한 상태로 이동 및 설치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봉(300)의 상부몸체(320)와 하부몸체(3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조립봉(300)의 상부몸체(320)의 단부에는 대상체(P)를 이동시키는 케이블(40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도르래(3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전 철탑 상향 장치(100)는 수평재(12)에 복수의 지지부(210)를 통해 상기 지지플레이트(220)를 설치하고, 평판 형태의 상기 지지플레이트(220)에 상기 조립봉(300)을 설치할 수 있어, 상기 조립봉(300)을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간편하고 안전하게 인상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능률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조립봉(300)의 이탈 및 추락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은 송전 철탑의 수평재에 복수의 지지부를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는 지지부 설치단계(S110)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플레이트를 배치한 후 체결부로 상기 지지부에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지지플레이트 설치단계(S12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조립봉의 하부몸체를 체결하는 조립봉 하부몸체 체결단계(S130), 그리고 상기 조립봉의 하부몸체에 상기 조립봉의 상부몸체를 체결하는 조립봉 상부몸체 체결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 설치단계(S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 지지부(210)의 삽입홈(211)에 수평재(12)를 삽입한 후 체결부재(215)로 상기 지지부(210)와 상기 수평재(12)를 일체로 체결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 설치단계(S12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재(12)에 설치된 복수의 지지부(210)에 지지플레이트(220)를 안착한 후 체결부(230)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210)에 상기 지지플레이트(220)를 체결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지지부(210)는 상기 수평재(12)가 설치된 높이에 따라 서로 간격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상기 지지플레이트(220)에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체결슬릿(221)과 상기 지지부(210)에 형성된 지지부 체결슬릿(214)에 의해 상기 체결부(230)의 체결위치를 달리할 수 있어 상기 수평재(12)의 간격이 변하여도 그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220)를 상기 지지부(2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립봉 하부몸체 체결단계(S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220)에 상기 조립봉(300)의 하부몸체(310)를 체결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조립봉 상부몸체 체결단계(S1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220)에 설치된 상기 조립봉(300)의 하부몸체(310)에 상기 조립봉(300)의 상부몸체(320)를 조립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조립봉(300)의 상부몸체(320)와 하부몸체(310)는 복수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은 상기 조립봉 상부몸체의 단부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 설치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설치단계(S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봉(300)의 상부몸체(320)의 단부에 구비된 도르래(321)에 케이블(400)을 배치시키고, 상기 케이블(400)을 당겨서 대상체(P)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송전 철탑 상향 장치 200 : 지지수단
210 : 지지부 211 : 삽입홈
212 : 보강플랜지 213 : 보강리브
214 : 지지부 체결슬릿 215 : 체결부재
220 : 지지플레이트 221 : 지지플레이트 체결슬릿
230 : 체결부 300 : 조립봉
310 : 하부몸체 320 : 상부몸체
321 : 도르래 400 : 케이블

Claims (10)

  1. 송전 철탑의 수평재에 설치되는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되고, 단부가 송전 철탑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조립봉; 및
    상기 조립봉의 단부에 연결되고, 대상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케이블;
    를 포함하는 송전 철탑 상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일측이 상기 수평재에 설치되고, 복수로 마련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지지부;
    복수의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배치된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부에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 상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수평재의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체결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 상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장홀로 형성된 지지부 체결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상기 지지부 체결슬릿과 동일한 방향으로 장홀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체결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가 상기 지지부 체결슬릿과 상기 지지플레이트 체결슬릿에 삽입되어 위치가 변경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 상향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측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삽입 형성된 삽입홈에 상기 수평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 상향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립봉의 하중에 의한 굽힘 변형을 보강하도록, 양측단에서 상기 수평재와 수직한 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보강플랜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 상향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립봉의 하중에 의한 굽힘 변형을 보강하도록, 상기 수평재와 체결되는 영역의 중심에서 상기 수평재의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보강리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 상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봉은,
    상기 지지수단에 체결되는 하부몸체; 및
    일측단은 상기 하부몸체에 체결되고, 타측단에는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고 송전 철탑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상부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 상향 장치.
  9. 송전 철탑의 수평재에 복수의 지지부를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는 지지부 설치단계;
    상기 지지부에 지지플레이트를 배치한 후 체결부로 상기 지지부에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지지플레이트 설치단계;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조립봉의 하부몸체를 체결하는 조립봉 하부몸체 체결단계; 및
    상기 조립봉의 하부몸체에 상기 조립봉의 상부몸체를 체결하는 조립봉 상부몸체 체결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봉 상부몸체의 단부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 설치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
KR1020210088060A 2021-07-05 2021-07-05 송전 철탑 상향 장치 및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 KR20230007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060A KR20230007162A (ko) 2021-07-05 2021-07-05 송전 철탑 상향 장치 및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060A KR20230007162A (ko) 2021-07-05 2021-07-05 송전 철탑 상향 장치 및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162A true KR20230007162A (ko) 2023-01-12

Family

ID=84923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060A KR20230007162A (ko) 2021-07-05 2021-07-05 송전 철탑 상향 장치 및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71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141B1 (ko) 2015-09-11 2016-07-15 이창호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와, 이를 이용한 조립봉의 설치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141B1 (ko) 2015-09-11 2016-07-15 이창호 송전 철탑 축조용 조립봉의 슬라이딩 벨트와, 이를 이용한 조립봉의 설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683B1 (ko) 갱폼 인양용 가이드레일 장치
JPH0585681A (ja) エレベータホイストウエイ作業プラツトホー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構成部品の据付方法
JP5847239B2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設置方法および装置
AU2006225212A1 (en) Method of mounting a support means of a lift cage to a lift cage and to a lift shaft as well as a lift installation and a support means which are mounted by means of this method
US7261184B2 (en) Elevator system and triangulated support structure for the same
JP2018070362A (ja)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CN112955398B (zh) 用于安装升降机设备的方法
WO2017018927A1 (en) Construction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JP4557401B2 (ja) エレベータ
KR20230007162A (ko) 송전 철탑 상향 장치 및 송전 철탑 상향 장치 설치방법
JP2005272116A (ja) 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装置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50102795A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
CN215666760U (zh) 一种用于施工升降机的滑动式水平附墙装置
JP4654075B2 (ja) タワークレーンの基礎受け梁構造
CN216105499U (zh) 一种用于曳引式施工升降机的可调节跨度的天梁
KR102309285B1 (ko)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EP1647512A1 (en) Working scaffold system of elevator
JP3822084B2 (ja) 高層建物の建設揚重システム
CN114822890A (zh) 核电站设备闸门安装方法
CN212562551U (zh) 一种拉杆式后撑型钢悬挑卸料平台
KR10051433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13501404A (zh) 一种超高施工升降机及用于超高施工升降机的附墙方法
CN218479564U (zh) 一种屈曲约束支撑构件辅助安装装置
EP4332049A1 (en) A lifting system for lifting components to an elongated structure
CN219477900U (zh) 一种可拼装调整高度的标准支架节点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