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139B1 -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과 링철근 연결용 링커 - Google Patents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과 링철근 연결용 링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139B1
KR101640139B1 KR1020150109558A KR20150109558A KR101640139B1 KR 101640139 B1 KR101640139 B1 KR 101640139B1 KR 1020150109558 A KR1020150109558 A KR 1020150109558A KR 20150109558 A KR20150109558 A KR 20150109558A KR 101640139 B1 KR101640139 B1 KR 101640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ing reinforcing
reinforcing bars
excavation hole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이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호 filed Critical 이창호
Priority to KR1020150109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철탑의 기초를 이루는 철근구조물의 시공방법과 철근구조물의 링철근 연결을 위한 링커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링철근이 연결라인을 매개로 병렬 연결된 링철근 세트를 굴착공에 삽입하는 제1단계; 링철근이 서로 이격하며 굴착공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제2단계; 서로 이웃하는 링철근을 주철근으로 연결해 고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과 링철근 연결용 링커{METHOD FOR CONSTRUCTING THE FOUNDATION OF STEEL TOWER AND LINKER FOR RING IRONS}
본 발명은 송전철탑의 기초를 이루는 철근구조물의 시공방법과 철근구조물의 링철근 연결을 위한 링커에 관한 것으로서, 철근구조물의 시공을 위해 구축한 굴삭공에서 관형 철근구조물을 정밀하고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는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과 링철근 연결용 링커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송전용 철탑(이하 '송전철탑')은 154kV에서 765kV에 이르는 초고압 전류의 송전 전용 전선(이하 '송전선')을 거치한다. 이러한 송전철탑은 절연간격 유지와 용지확보 등을 이유로 산악지역이나 주거지역을 벗어난 개활지 등에 주로 설치된다.
송전철탑은 대형 철재 구조물로서 태풍이나 일정 강도 이하의 지진에도 입설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하도록 송전철탑의 입설 지반에 기초를 구축하고 그 위에 입설한다. 일반적으로 산간지역에 설치되는 송전철탑은 작업공간이 좁고 공사에 필요한 재료 및 장비 등의 운반이 어렵기 때문에 굴착 및 작업환경의 제약이 적은 심형 기초 공법을 주로 활용한다.
이와 같은 심형 기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2769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반 송전철탑 기초공사의 공정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굴착 지점을 선정 및 굴착한 후(S10)에 주체부를 형성하게 될 부분에 상단 라이너 플레이트(10, Liner Plate)를 설치하고, 구체부를 형성하게 될 부분에 하단 라이너 플레이트(20)를 설치한다. 하단 라이너 플레이트(20)의 경우 외곽을 콘크리트로 타설한다(S20). 이때 설치되는 상단/하단 라이너 플레이트(10, 20)는 도 2(기초공사에 사용되는 라이너 플레이트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의 (a)도면과 같은 형상을 구비한 것으로, 주름진 측벽을 이루는 측벽부(21), 측벽부 상단 및 하단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결합공(24)을 구비한 상단 수평결합부(22-1) 및 하단 수평결합부(22-2), 측벽부(21)의 전후단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결합공(24)을 구비한 수직결합부(23)로 이루어진다.
도 2의 (a)도면과 같은 라이너 플레이트는 수직결합부(23)를 서로 맞대고 수직결합부(23)의 결합공(24)으로 삽입된 나사 등에 의해 연결되어서 도 2(b)와 같은 원통 형상을 이루게 되며, 굴착 지점 내로 주변 토양이 흘러들어오지 않게 하는 방벽 역할을 한다.
구체부를 형성하는 하단 라이너 플레이트 중 최상부의 라이너 플레이트 아래로 굴착이 이루어진 후, 최상부의 라이너 플레이트의 하단 수평결합부(22-2)에는 다음 라이너 플레이트의 상단 수평결합부(22-1)가 체결되고, 연결된 라이너 플레이트끼리는 수직결합부에 의해 체결되어 원통 형상을 이루고 주변 토양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굴착이 진행된다(S30).
정해진 깊이만큼 굴착이 진행되고 하단 라이너 플레이트의 설치가 완료되면, 구체부를 지탱하기 위한 철근구조물(30)을 가설하는 철근 공사가 진행된다(S40).
철근 공사가 완료되면 각입재(40)를 구체부에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S50). 구체부의 경우, 그 직경이 2.5 ~ 5.5 m 정도이며 깊이는 약 7 m 정도로 이루어지고, 주체부는 구체부보다 직경이 1 m 정도 더 크게 이루어지며 깊이는 1~2 m 정도로 형성된다. 라이너 플레이트의 경우에는 그 높이가 50 cm 정도의 것이 사용된다.
이후, 주체부에서는 각입재(40) 주변을 철근으로 보강한 후 콘트리트를 타설해서 도 3과 같은 심형기초(1)를 완성하고, 그 상층에 철탑을 입설 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철탑의 기초 공사는 굴착 공정, 철근구조물 조립 공정, 각입재 삽입 공정, 콘크리트 타설 공정 등으로 크게 구분되고, 굴착공의 직경과 깊이 등은 입설하는 철탑의 제원, 입설 지반의 종류 등에 따라 결정된다. 물론, 기초의 뼈대를 이루기 위해 굴착공에 가설하는 철근구조물(30)도 그 크기가 굴착공에 맞춰 제작되므로, 굴착공의 직경과 깊이가 길수록 철근구조물 또한 직경과 길이 등을 증가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철근구조물(30)은 가설 대상 굴착공의 크기에 맞춰서 지상 또는 굴착공 내에서 그 제작이 이루어진다. 지상 제작은 주변이 개방된 넓은 작업공간에서 철근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작업환경이 청정하며 철근을 횡방향으로 조립해서 뉜 상태의 철근구조물(30)로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철근구조물(30)을 조립할 때 호흡곤란 및 추락 등의 위험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완성된 철근구조물(30)을 굴착공(S)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철근구조물(30)의 길이에 상응하는 높이로 철근구조물(30)을 들어올려야 하므로, 도 4(지상에서 완성한 철근구조물을 굴착공에 삽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대형 크레인을 활용해야 하는 비효율성이 있다.
한편, 굴착공(S)에서의 철근구조물(30) 시공은 철근구조물(30)을 굴착공(S)에 삽입하는 별도의 공정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철근구조물(30) 시공이 굴착공(S)의 좁은 공간에서 진행되므로 작업자의 작업환경에 불리함이 있고, 도 5(굴착공에서 철근을 조립하면서 철근구조물을 완성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철근(31a)을 굴착공(S)을 따라 종방향으로 조립하면서 주철근(32)으로 연결해 기립 상태의 철근구조물(30)로 완성해야 하므로, 작업자가 굴착공(S)의 바닥으로 추락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더욱이 철근구조물을 시공하는 작업자에게 링철근(31a)과 주철근(32)을 굴착공(S)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므로 링철근(31a) 등의 낙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가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굴착공(S)에서 링철근(31a) 및 주철근(32)을 받은 작업자는 조립 위치를 일일이 체크해서 링철근(31a) 및 주철근(32)의 상호 연결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철근구조물(30)을 시공하는 공정에 곤란함은 물론 적지않은 시공시간을 소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철근구조물(30)의 시공을 위해서 링철근(31a)의 이송, 링철근(31a)의 배치위치 측정, 링철근(31a)과 주철근(32)의 조립 등을 매번 반복해야 하므로, 송전철탑 기초용 철근구조물(30)의 전체 시공시간이 크게 연장되는 문제 또한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0-0542141호(2006.01.11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송전철탑의 기초 시공 중에 진행되는 철근구조물 시공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진행하고, 작업의 안정성 또한 개선하는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과 링철근 연결용 링커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링철근이 연결라인을 매개로 병렬 연결된 링철근 세트를 굴착공에 삽입하는 제1단계;
링철근이 서로 이격하며 굴착공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제2단계;
서로 이웃하는 링철근을 주철근으로 연결해 고정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송전철탑의 기초를 이루는 다수의 링철근을 한 세트로 연결해서 굴착공에 우선 삽입한 후에 지정된 높이에 배치하므로, 철근구조물 시공을 위해 링철근을 굴착공 안으로 일일이 이송해야 하는 불편과 위험성이 없고, 이를 통해서 철근구조물 시공의 신속함과 정확성 및 안전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링철근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라인이 체인 형태를 이루어서 링철근 간의 간격을 손쉽게 확인하며 배치할 수 있고, 후크 형태의 링커를 매개로 연결라인와 링철근을 연결해서 연결라인와 링철근 간의 탈착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 송전철탑 기초공사의 공정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기초공사에 사용되는 라이너 플레이트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송전철탑의 심형 기초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지상에서 완성한 철근구조물을 굴착공에 삽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굴착공에서 철근을 조립하면서 철근구조물을 완성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에서 링철근 세트를 굴착공에 삽입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굴착공에 삽입한 링철근 세트의 배치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굴착공에 삽입한 링철근 세트의 위치를 맞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링철근 세트의 고정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에서 주철근을 링철근에 고정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에서 연결라인을 해체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링커와 연결라인 간의 연결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링커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링커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에서 링철근 세트를 굴착공에 삽입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은, 링철근 세트(31)을 조립하는 단계와, 굴착공(S)으로 링철근 세트(31)를 삽입하는 단계와, 링철근 세트(31)에 구성된 다수 링철근(31a, 31b)을 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와, 주철근(32)을 매개로 링철근(31a, 31b)을 고정하는 단계와, 연결라인(50)을 해체하는 단계로 크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구조물 시공방법을 실시 예를 이용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1. 링철근 세트를 조립하는 단계
본 실시 예에서 링철근 세트(31)는 병렬 배치된 다수의 링철근(31a, 31b)과, 링철근(31a, 31b)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라인(50)로 구성된다. 연결라인(50)은 링철근(31a, 31b)을 서로 연결한 상태로 다수의 링철근(31a, 31b)을 함께 모으거나 종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가요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결라인(50)은 로프 또는 와이어 또는 체인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링철근(31a, 31b)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의 체인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한편, 연결라인(50)이 로프인 경우, PP 인라인 로프, PP 모노 로프, 폴리에틸렌 로프, 나이론 로프, 비닐론 로프, 마 로프 등의 산업용 로프가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수 링철근(31a, 31b)의 중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로프 종류에서는 자체 중량 대비 인장 강도가 우수한 나이론 로프를 사용한다.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링철근 세트(31)를 구성한 링철근(31a, 31b)의 상호 간격은, 굴착공(S)의 깊이, 링철근(31a, 31b)의 규격, 링철근(31a, 31b)의 개수, 모르타르의 종류, 송전철탑용 기초에 요구되는 강도 등에 맞춰 결정된다. 따라서, 송전철탑용 기초를 시공하기 위해서 사전에 제작하는 링철근 세트(31)의 링철근(31a, 31b) 간격은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로프 또는 철사 재질의 연결라인(50)을 이용해서 종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다수의 링철근(31a, 31b)을 도 8에서 보인 바와 같이 굴착공(S) 내에 분산해 배열하되, 자 등을 이용해서 링철근(31a, 31b)의 간격을 맞춘 후에 로프 또는 철사로 묶는 작업을 진행한다.
링철근 세트(31)의 링철근(31a, 31b)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연결라인(50)을 다수의 고리가 일렬로 연결돼 이루는 체인 형태로 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체인은 일정한 사이즈의 고리가 일렬로 연결돼 이루어져서, 다수의 링철근(31a, 31b)을 서로 연결된 상태로 함께 모으거나 종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연성을 갖는다. 또한 체인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규격의 고리가 일렬로 연결되므로, 링철근(31a, 31b)의 간격에 대응하는 고리의 개수를 확인해서 해당 고리에 링철근(31a, 31b)을 곧바로 연결할 수 있고, 링철근(31a, 31b)을 연결해야 하는 체인의 길이를 자 등으로 일일이 재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링철근(31a, 31b)을 연결해야 할 간격이 고리 7개의 길이에 대응한다면, 7개의 고리 단위로 링철근(31a, 31b)을 연결라인(50)에 연결하면 된다.
한편, 체인 형태의 연결라인(50)와 링철근(31a, 31b)은 별도의 링커(70)를 매개로 연결한다. 체인은 고리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체인 자체만으로 링철근(31a, 31b)을 묶는 것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연결라인(50)와 링철근(31a, 31b)은 별도의 링커(70)를 매개로 연결한다. 본 실시 예에서 링커(70)는 일명 반생이 철사가 적용될 수 있다. 특히, 22 mm 이상의 직경인 링철근(31a, 31b)을 지지하면서 연결라인(50)의 고리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링커(70)는 #18의 규격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링커(70)의 규격은 예시한 규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링철근(31a, 31b)의 중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링커(70)를 철사로 했으나 이외에 다른 형태의 링커가 적용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한다.
설계에 맞춰 링철근(31a, 31b)을 연결라인(50)로 모두 연결해서 하나의 링철근 세트(31)를 완성하면, 링철근 세트(31)를 굴착공(S)으로 삽입하기 위해서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묶음선(L)으로 링철근(31a, 31b)을 모아 묶는다. 결국 굴착공(S)에 내설되어야 할 철근구조물의 높이에 상관없이 상기 철근구조물을 구성하는 모든 개수의 링철근(31a, 31b)을 링철근 세트(31) 1개로 모두 모아 묶어서 굴착공(S)에 손쉽게 삽입할 수 있다.
2. 링철근 세트를 삽입하는 단계
다수의 링철근(31a, 31b)이 연결라인(50)을 매개로 연결돼 이룬 링철근 세트(31)를 굴착공(S)에 삽입한다. 여기서 굴착공(S)은 주체부 굴착공과 구체부 굴착공으로 구성되고, 주체부 굴착공과 구체부 굴착공은 각각 라이너 플레이트(10, 20)에 의해 지지된다. 굴착공(S) 구조는 배경기술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구조물 시공방법은 링철근 세트(31)의 이송과 굴착공(S)으로의 삽입을 위해서 링철근 세트(31)를 들어올릴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중장비만 있으면 되므로, 소형 크레인은 물론 심지어 굴착기만으로도 철근구조물의 모든 링철근(31a, 31b)을 굴착공(S)으로 이송하고 삽입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점에 의해서 대형 크레인의 출입이 사실상 불가능한 산악지대의 철탑 기초 시공에도 응용할 수 있다.
링철근 세트(31)를 리프트용 와이어(60)에 연결하고 중장비의 동력으로 굴착공(S)에 삽입한다. 한 명 이상의 작업자는 굴착공(S)에 위치하면서 링철근 세트(31)가 굴착공(S) 바닥의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도록 링철근 세트(31)의 삽입을 안내할 수 있다. 그러나 굴착공(S)으로의 링철근 세트(31) 삽입 시에 링철근 세트(31)의 낙하 위험성이 있으므로, 링철근 세트(31)를 굴착공(S)에 우선 삽입하고 작업자는 삽입이 완료된 이후에 굴착공(S)으로 진입할 수 있다.
도 9는 굴착공에 삽입한 링철근 세트의 배치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굴착공에 삽입한 링철근 세트의 위치를 맞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링철근 세트의 고정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3. 링철근을 배치하는 단계
작업자는 굴착공(S)에서 묶음선(L)을 해체해서 링철근 세트(31)의 링철근(31a, 31b)을 모두 분리하고, 리프트용 와이어(60)를 상단에 위치한 링철근(31a)에만 연결한다.
리프트용 와이어(60)의 연결위치를 상단의 링철근(31a)으로 변경하면 중장비 등을 이용해서 리프트용 와이어(60)를 인상한다. 리프트용 와이어(60)가 인상할 때 링철근 세트(31)의 구성 링철근(31a, 31b)은 도 8 및 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이 굴착공(S)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병렬 배치된다.
리프트용 와이어(60)의 인상으로 링철근(31a, 31b)이 굴착공(S) 내에 삽입되면, 하단에 위치한 링철근(31b)을 굴착공(S) 바닥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조정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굴착공(S) 바닥의 중심점(C)을 확인해서 표시하고, 하단 링철근(31b)의 중심을 바닥 중심점(C)에 맞춘다. 이렇게 하단 링철근(31b)이 맞춰지면 하단 링철근(31b)이 해당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관파이프(80) 등으로 고정한다. 단관파이프(80)는 양단이 굴착공(S) 내벽에 끼워져 고정되고, 하단 링철근(31b)을 덮어 누르는 형태로 고정한다. 본 실시 예에서 1개의 단관파이프(80) 만을 하단 링철근(31b) 고정에 적용했지만, 2개 이상의 단관파이프를 하단 링철근(31b) 고정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하단 링철근(31b)은 토사를 매설해서 고정할 수도 있고, 가장자리를 따라 벽돌 등을 감싸는 방식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참고로, 철근구조물 시공 과정에서 하단 링철근(31b)이 제 위치를 이탈하는 외력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하단 링철근(31b)에는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지지력만이 있으면 족하며, 견고한 고정수단을 하단 링철근(31b) 고정에 반드시 적용할 필요는 없다.
한편, 상단 링철근(31a)은 상기 중장비가 리프트용 와이어(60)를 매개로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으나, 상기 중장비를 상단 링철근(31a)의 단순 지지를 위해서 굴착공(S) 인근에 지속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굴착공(S) 입구에 별도의 지지대(미도시)를 구축하고 리프트용 와이어(60) 또는 별도의 수직지지로프 등으로 상단 링철근(31a)을 연결해서, 굴착공(S) 내에 링철근(31a, 31b)이 병렬하는 배치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하단 링철근(31b)의 고정 방식과 같이 일단 또는 양단이 굴착공(S) 내벽에 고정된 단관파이프에 상단 링철근(31a)이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고, 라이너 플레이트에 연결된 반생이 철사에 상단 링철근(31a)를 묶어서 연결할 수도 있다. 결국, 상단 링철근(31a)과 하단 링철근(31b)은 굴착공(S) 내 지정된 위치를 유지하면서 작업자가 철근구조물 조립을 설계에 따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고정이 이루어지는 상단 링철근(31a)과 하단 링철근(31b)은 각각 링철근 세트(30)의 최상단 링철근과 최하단 링철근인 것이 바람직하나, 병렬로 일렬 배치된 링철근 세트(30)의 다수 링철근(31a, 31b)이 굴착공(S)에 나열된 상태를 유지하며 주철근(32)을 순차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윗부분의 링철근을 굴착공(S) 상부에 고정하고 상대적으로 아랫부분의 링철근을 굴착공(S) 하부에 고정한다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작업자가 상단 링철근(31a)과 하단 링철근(31b) 그리고 필요에 따라 다른 위치의 링철근도 굴착공(S)의 중심과 링철근(31a, 31b)의 중심을 측정해서 서로 맞추는 방식으로 링철근(31a, 31b)을 배치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이, 굴착공(S)의 입구에 현수대(91)를 배치하고, 현수대(91)에서 굴착공(S)의 중심에 대응하는 일지점에 현수로프(92)를 연결하며, 현수로프(92)의 하단에는 무게추(93)를 연결해서, 현수로프(92)가 굴착공(S) 바닥의 무게중심을 향해 연직해 현수하도록 한다. 결국, 굴착공(S) 입구의 중심점을 1회 확인해서 현수로프(92)를 현수시키는 것만으로도 현수로프(92)가 굴착공(S)의 각 높이에서의 중심점을 가리키므로, 작업자는 링철근(31a, 31b)의 중심과 현수로프(92)를 맞춰가면서 굴착공(S)을 따라 다수의 링철근(31a, 31b)을 손쉽게 수평 배치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에서 주철근을 링철근에 고정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4. 주철근을 매개로 링철근을 고정하는 단계
링철근 세트(31)의 하단 링철근(31b)을 포함한 적어도 1개 이상의 링철근(31a, 31b)의 위치가 고정되면, 굴착공(S)에 위치하는 작업자는 주철근(32, 32')을 링철근(31a, 31b)에 고정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굴착공(S)의 작업자는 하단 링철근(31b)과 다음 상층의 링철근을 주철근(32, 32')으로 서로 연결해 고정하는 것을 시작으로, 작업자는 하부에서 상부 순으로 링철근(31a, 31b)과 주철근(32, 32')을 연결해 고정해서, 모든 링철근(31a, 31b)이 주철근(32, 32')을 매개로 고정되는 하나의 철근구조물로 완성한다. 주철근(32, 32')과 링철근(31a, 31b)은 일반적인 반생이 철사 등의 묶음용 철사(33)에 의해 서로 묶여져 연결된다.
한편, 주철근(32, 32')은 길이의 한계 때문에 1개의 주철근만으로는 굴착공(S)에 일렬로 배치된 모든 링철근(31a, 31b, 31c)을 일체로 연결할 수 없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주철근(32, 32')은 겹치기 방식으로 일렬 연결한다. 주철근(32, 32') 간의 연결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링철근(31c)과 함께 묶음용 철사(33)에 의해 묶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주철근(32, 32')끼리만 묶음용 철사(33)에 의해 묶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참고로, 링철근(31a, 31b, 31c)을 주철근(32, 32')에 고정할 때에는 고정 대상인 링철근(31a, 31b, 31c)의 위치를 먼저 확인한다. 링철근(31a, 31b, 31c)의 배치 높이는 이미 연결라인(50)에 의해 지정됐으므로, 연결라인(50)의 중심이 굴착공(S)의 중심에 일치하는지만 확인하면 족하다. 한편, 링철근(31a, 31b, 31c)의 수평 위치는 링철근(31a, 31b, 31c)의 중심과 굴착공(S)의 중심을 일일이 측정해 맞춤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굴착공(S)의 중심으로 현수된 현수로프(92)에 링철근(31a, 31b, 31c)의 중심을 맞춤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에서 연결라인을 해체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5. 연결라인을 해체하는 단계
링철근(31a, 31b, 31c)과 주철근(32, 32')의 연결 고정으로 철근구조물을 완성하면, 링철근(31a, 31b, 31c)을 연결한 연결라인(50)을 링철근(31a, 31b, 31c)으로부터 해체한다. 연결라인(50)은 연성을 갖는 재질 또는 구성이므로, 굴착공(S)으로 타설된 모르타르의 양생시 중공을 형성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서 견고성이 요구되는 철탑 기초인 철근 콘크리트를 부실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철근구조물을 완성하면 연결라인(50)을 해체해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라인(50)은 로프 또는 체인일 수 있는데, 로프인 경우에는 링철근(31a, 31b, 31c)과의 묶임을 풀어서 해체하고, 체인인 경우에는 상기 체인과 링철근(31a, 31b, 31c)을 연결한 링커(70) 자체를 절단하거나 링철근(31a, 31b, 31c)과의 묶임을 풀어서 해체한다.
연결라인(50)의 해체는 철근구조물의 조립을 모두 완성한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링철근(31a, 31b, 31c)을 주철근(32, 32')과 서로 연결하면, 해당 링철근(31a, 31b, 31c)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라인(50)을 우선 해체한다. 따라서 상단 링철근(31a)까지 주철근(32, 32')으로 모두 연결하면, 작업자가 다시 굴착공(S) 바닥으로 내려갈 필요 없이 굴착공(S) 입구에서 연결라인(50)을 그대로 빼내서 철근구조물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링커와 연결라인 간의 연결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링커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링커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링커(70')는 체인 방식의 연결라인(50)와 탈착이 용이한 한 쌍의 후크(71, 71')와, 한 쌍의 후크(71, 71')를 서로 연결하면서 링철근(31a, 31b, 31c)의 일 지점을 감싸는 연결와이어(72)를 포함한다.
후크(71, 71')는 체인 방식의 연결라인(50) 중 하나 이상의 고리에 손쉽게 연결하면서도 해체 또한 용이한 갈고리 형상을 이루되, 작업자가 후크(71, 71')를 상기 고리에 손쉽게 걸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작업자의 조작 없이는 후크(71, 71')가 상기 고리로부터 해체되지 않도록 막는 펜스(71a)를 포함한다. 여기서 펜스(71a)는 후크(71, 71') 본체에 형성된 회전축대(71b)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힌지스프링(71c)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발한다. 즉, 상기 고리가 후크(71, 71')와 엮이기 위해서 출입하는 입구부분에 펜스(71a)가 상기 입구부분을 항시 폐구하는 방향으로만 탄발하도록 회전하게 연결되어서, 후크(71, 71')가 상기 고리와 엮일 때에는 펜스(71a)가 걸림 없이 회전하고, 후크(71, 71')로부터 상기 고리가 이탈하려 하면 펜스(71a)가 상기 입구부분을 폐구해서 저지하는 것이다. 물론 펜스(71a)가 힌지스프링(71c)의 탄발로 상기 입구부분을 개방하지 않도록, 펜스(71a)의 회전을 걸어 저지하는 걸림턱을 후쿠(71, 71') 본체에 형성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후크(71, 71')는 연결라인(50)의 1개 링에 모두 연결할 수도 있고, 2개의 링에 각각 분리해 연결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한 쌍의 후크(71, 71')는 연결와이어(72)를 매개로 연결된다. 연결와이어(72)는 링철근(31a, 31b, 31c)의 일지점을 감싸거나 풀 수 있는 연성이면서도 링철근(31a, 31b, 31c)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와이어(72)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일 수 있으며, 후크(71, 71')와의 연결 방식에 따라 그 재질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결와이어(72)는 공지,공용의 플렉시블 케이블 등이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5에서 보인 바와 같이 후크(71, 71')의 단부에는 연결와이어(72)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는 걸림돌기(71d)가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와이어(72)의 말단은 상기 중공으로 삽입되어 걸림돌기(71d)에 1회 이상 감기고, 이렇게 감겨서 서로 겹치는 연결와이어(72)의 말단은 후크(71, 71')의 하우징이 가하는 악력으로 밀착하면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를 위해서 연결와이어(72)의 표면은 마찰계수가 높은 합성수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본 실시 구조를 위해서 연결와이어(72)가 반드시 합성수지재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금속 와이어를 꼬아서 연결와이어(72)를 완성한 후에 후크(71, 71')의 중공에 삽입해서 용접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후크(71, 71')와 연결와이어(72')의 고정을 위해서 나사결합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후크(71, 71')의 단부는 암나사(71e)를 이루고, 연결와이어(72')의 말단은 암나사(71e)와 맞물리는 수나사(72a)를 이루어서, 암나사(71e)와 수나사(72a)의 결속으로 후크(71, 71')와 연결와이어(72')를 고정할 수 있다.
하지만, 후크(71, 71')와 연결와이어(72, 72')의 상호 간 고정은 용접 또는 접착제 등을 매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다수의 링철근이 연결라인을 매개로 병렬 연결된 링철근 세트를 굴착공에 삽입하는 제1단계;
    링철근이 서로 이격하며 굴착공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제2단계;
    서로 이웃하는 링철근을 주철근으로 연결해 고정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연결라인을 링철근 세트로부터 해체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링철근 세트는 다수의 링철근이 한 묶음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링철근 세트를 굴착공의 하부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묶음을 해제하고 서로 이웃하는 링철근이 이격하도록 상단 링철근을 들어 굴착공의 상부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연결라인의 해체 지점은 주철근이 고정된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
  6. 다수의 링철근이 연결라인을 매개로 병렬 연결된 링철근 세트를 굴착공에 삽입하는 제1단계; 링철근이 서로 이격하며 굴착공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제2단계; 서로 이웃하는 링철근을 주철근으로 연결해 고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라인은 체인이고,
    상기 연결라인와 링철근은 링커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링커는 연결라인을 구성한 고리에 탈착하는 한 쌍의 후크와, 상기 한 쌍의 후크를 양단에 각각 고정하며 링철근의 일지점을 감싸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고리가 출입하는 입구를 폐구하도록 탄발하여 회전하는 펜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말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와이어는 중공에 삽입되어 걸림돌기에 1회 이상 감겨 상호 밀착하면서 후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
  11. 다수의 링철근이 연결라인을 매개로 병렬 연결된 링철근 세트를 굴착공에 삽입하는 제1단계; 링철근이 서로 이격하며 굴착공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제2단계; 서로 이웃하는 링철근을 주철근으로 연결해 고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단계는, 굴착공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링철근에서 상단에 위치한 링철근의 중심을 굴착공의 입구 중심에 맞춰 배치하고, 상기 중심에 현수로프의 상단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현수로프의 하단에 무게추를 연결하고, 굴착공에 연직 방향으로 현수하는 단계; 하단에 위치한 링철근의 중심을 무게추에 맞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링철근을 주철근으로 고정하기 전에 각 층의 링철근의 중심을 현수로프에 맞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
  13. 삭제
KR1020150109558A 2015-08-03 2015-08-03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과 링철근 연결용 링커 KR101640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558A KR101640139B1 (ko) 2015-08-03 2015-08-03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과 링철근 연결용 링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558A KR101640139B1 (ko) 2015-08-03 2015-08-03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과 링철근 연결용 링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139B1 true KR101640139B1 (ko) 2016-07-15

Family

ID=56506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558A KR101640139B1 (ko) 2015-08-03 2015-08-03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과 링철근 연결용 링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1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618A (ko) 2020-01-14 2021-07-22 한국전력공사 딥 러닝 기법을 이용한 철탑 기초 제원 예측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6570A (ja) * 1998-03-13 1999-09-21 East Japan Railway Co コンクリート杭
KR20050041796A (ko) * 2003-10-31 2005-05-04 홍건영 보강토 옹벽
KR100542141B1 (ko) 2005-01-20 2006-01-11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송전선 철탑의 산악형 기초 구조물
JP2007205125A (ja) * 2006-02-06 2007-08-16 Kajima Corp 籠体および籠体を用いた杭と柱部材の接続方法、構造
KR20100117486A (ko) * 2009-04-24 2010-11-03 배지환 파일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6570A (ja) * 1998-03-13 1999-09-21 East Japan Railway Co コンクリート杭
KR20050041796A (ko) * 2003-10-31 2005-05-04 홍건영 보강토 옹벽
KR100542141B1 (ko) 2005-01-20 2006-01-11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송전선 철탑의 산악형 기초 구조물
JP2007205125A (ja) * 2006-02-06 2007-08-16 Kajima Corp 籠体および籠体を用いた杭と柱部材の接続方法、構造
KR20100117486A (ko) * 2009-04-24 2010-11-03 배지환 파일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618A (ko) 2020-01-14 2021-07-22 한국전력공사 딥 러닝 기법을 이용한 철탑 기초 제원 예측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4744B2 (ja) 吊り具装置、鉄筋籠の天端位置決め治具、鉄筋籠の吊り上げ方法、及び鉄筋籠の建込方法
KR101457114B1 (ko)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
KR101184226B1 (ko) 철근망 구조물 연결장치 및 철근망 구조물 연결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68167B1 (ko) 콘크리트말뚝의 두부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07091007B (zh) 钢筋混凝土烟囱内砌外提模板施工工法
KR101640139B1 (ko) 송전철탑의 기초용 철근구조물 시공방법과 링철근 연결용 링커
CN211037053U (zh) 管井悬吊保护结构
KR101021302B1 (ko) 기초 공사용 파일 및 그의 시공방법
JP2016030930A (ja) 鉄筋交差連結具
CN104878929B (zh) 钢筋混凝土钢管柱施工方法
KR101227680B1 (ko)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의 연결방법
CN109057503B (zh) 一种施工方便的高强度混凝土电杆
KR100974513B1 (ko) 심초공법
CN113089654B (zh) 复杂土层挖孔桩施工工艺及施工用钢护筒
CN112195913B (zh) 一种钢筋笼在山地施工过程中用的定位装置及其施工方法
KR20200003568A (ko) 거치형 띠장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신속 관로 시공 방법
KR10112613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 조립체
KR200422931Y1 (ko) 강관 파일의 두부 보강구조
KR102351779B1 (ko)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
JP6387778B2 (ja) 地中連続壁の芯材を建て込む際に用いられる吊治具、地中連続壁の芯材の建込方法、及び地中連続壁の芯材の建込システム
CN106150171B (zh) 一种钢筋混凝土筒仓内部模板支撑平台及其应用
CN114775692A (zh) 一种检查井周围路面加固结构及加固方法
KR10130450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장치
KR100227537B1 (ko) 대형판 거푸집 및 동바리 현수식 역타설 거푸집 공법
CN214994081U (zh) 管道井防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