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816B1 - 화재방지기능을 갖춘 건축물용 배전선 트렌치 - Google Patents

화재방지기능을 갖춘 건축물용 배전선 트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816B1
KR102114816B1 KR1020190163246A KR20190163246A KR102114816B1 KR 102114816 B1 KR102114816 B1 KR 102114816B1 KR 1020190163246 A KR1020190163246 A KR 1020190163246A KR 20190163246 A KR20190163246 A KR 20190163246A KR 102114816 B1 KR102114816 B1 KR 102114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g
support groove
trench
groove
referenc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화
박상호
Original Assignee
(주) 여명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여명기술단 filed Critical (주) 여명기술단
Priority to KR1020190163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방지기능을 갖춘 건축물용 배전선 트렌치에 관한 것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112)의 양측 상부에는 각각 회동홈(113, 113')이 형성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레일(110, 110');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레일(110, 110')을 연결해 고정하며 배전선을 안착하도록 사이드 레일(110, 110')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언더 렁(120); 상기 회동홈(113, 113')에서 하단부가 제1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설치되는 회동대(131, 131')와, 상기 언더 렁(120)과 2층 구조를 이루도록 가이드 레일(110, 110')을 따라 언더 렁(120)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오버 렁(132)과, 상기 오버 렁(132) 일단의 양측을 회동대(131, 131')의 상부에 각각 고정시키는 링커(133)로 구성된 상층 어셈블리(130, 130'); 상부가 상기 링커(13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회동대(131, 131')의 회동을 따라 관통홈(112)으로 인입출하게 현수되는 기준 추(141)와, 하부가 상기 기준 추(141)의 하부와 회전축대(141a)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기준 추(141)로부터 측방으로 벌어지는 서포터(142)와, 상기 기준 추(141)와 서포터(142)가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축대(141a)에서 탄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된 거치대(140); 사이드 레일(110, 110')과 언더 렁(120)과 상층 어셈블리(130, 130')와 거치대(140)가 이루는 구조물의 양측부와 상부를 덮는 'n' 형상을 이루고, 상면부에는 투명창(171)이 구성되며, 내측에는 소화제를 고압으로 충진한 연소성 탄성 재질의 보울(172)이 설치된 루프(170);를 포함하되, 지지홈(151a)이 형성되고 오버 렁(132)의 저면에 고정되는 본체(151)와, 장방형의 끼움공(152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151a)의 양측 내면에 구성되는 가이드레일(152, 152')로 구성된 베이스(150); 상기 지지홈(151a)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체(161)와, 상기 이동체(161)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하게 설치되며 끼움공(152a)에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돌기(162)와, 상기 돌기(162)가 끼움공(152a)을 따라 지지홈(151a)의 최저측에 위치하면 지지홈(151a)에 인입되고 돌기(162)가 지지홈(151a)의 최외측에 위치하면 지지홈(151a)으로부터 인출되어서 회전하도록 힌지(164)를 매개로 이동체(161)에 연결되며 오버 렁(132)을 받쳐 자세를 유지시키는 지지대(163)로 구성된 레그(160);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재방지기능을 갖춘 건축물용 배전선 트렌치{electricpower trench having for preventing a fire in a building}
본 발명은 화재방지기능을 갖춘 건축물용 배전선 트렌치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와 업무 및 생활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공동주택인 아파트와 대형 건축물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건축물은 실내에 모든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대부분의 사람이 살고 싶어하는 주택의 한 형태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에는 각종 전자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많은 전선이나 전화선 등의 배선이 복잡하게 설치된다.
종래 건축물을 시공할 때에는 전기선만 배선되면 되었으나, 최근에는 매체의 활용이 다양화, 고속화되면서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도 전화선,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MATV용 배전선 등 전기선을 제외한 다양한 약전용 전선들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각층 마다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마련하고 배전선 트레이 및 트렌치(이하 '트렌치')를 이용하여 배선하는 방식으로 설계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트렌치는 배전선을 단순히 수용해 지지하는 기능만을 갖추었을 뿐, 유사시 화재에 의한 방지 기능은 전혀 갖추고 있지 못했다. 따라서 누전에 의한 화재가 발생하거나 배전선 인근의 발화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면 배전선을 따라 화염이 전이되어 확산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트렌치에 설치된 배전선의 화재를 방지하면서도 발생한 화염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 시급히 요구되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0-0958548호(2010.05.18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배전선의 화재 발생을 방지하면서 발생한 화염의 확산을 억제하고, 다수의 배전선을 층별로 배선할 수 있고 하층에 배선된 배전선을 가리는 상층의 배전선도 손쉽게 거둬들어여 하층의 배전선을 간섭없이 관리할 수 있는 화재방지기능을 갖춘 건축물용 배전선 트렌치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112)의 양측 상부에는 각각 회동홈(113, 113')이 형성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레일(110, 110');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레일(110, 110')을 연결해 고정하며 배전선을 안착하도록 사이드 레일(110, 110')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언더 렁(120); 상기 회동홈(113, 113')에서 하단부가 제1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설치되는 회동대(131, 131')와, 상기 언더 렁(120)과 2층 구조를 이루도록 가이드 레일(110, 110')을 따라 언더 렁(120)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오버 렁(132)과, 상기 오버 렁(132) 일단의 양측을 회동대(131, 131')의 상부에 각각 고정시키는 링커(133)로 구성된 상층 어셈블리(130, 130'); 상부가 상기 링커(13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회동대(131, 131')의 회동을 따라 관통홈(112)으로 인입출하게 현수되는 기준 추(141)와, 하부가 상기 기준 추(141)의 하부와 회전축대(141a)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기준 추(141)로부터 측방으로 벌어지는 서포터(142)와, 상기 기준 추(141)와 서포터(142)가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축대(141a)에서 탄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된 거치대(140); 사이드 레일(110, 110')과 언더 렁(120)과 상층 어셈블리(130, 130')와 거치대(140)가 이루는 구조물의 양측부와 상부를 덮는 'n' 형상을 이루고, 상면부에는 투명창(171)이 구성되며, 내측에는 소화제를 고압으로 충진한 연소성 탄성 재질의 보울(172)이 설치된 루프(170);를 포함하되,
지지홈(151a)이 형성되고 오버 렁(132)의 저면에 고정되는 본체(151)와, 장방형의 끼움공(152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151a)의 양측 내면에 구성되는 가이드레일(152, 152')로 구성된 베이스(150);
상기 지지홈(151a)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체(161)와, 상기 이동체(161)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하게 설치되며 끼움공(152a)에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돌기(162)와, 상기 돌기(162)가 끼움공(152a)을 따라 지지홈(151a)의 최저측에 위치하면 지지홈(151a)에 인입되고 돌기(162)가 지지홈(151a)의 최외측에 위치하면 지지홈(151a)으로부터 인출되어서 회전하도록 힌지(164)를 매개로 이동체(161)에 연결되며 오버 렁(132)을 받쳐 자세를 유지시키는 지지대(163)로 구성된 레그(160);를 더 포함하는 화재방지기능을 갖춘 건축물용 배전선 트렌치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배전선의 화재 발생을 방지하면서 발생한 화염의 확산을 억제하고, 다수의 배전선을 층별로 배선할 수 있고 하층에 배선된 배전선을 가리는 상층의 배전선도 손쉽게 거둬들어여 하층의 배전선을 간섭없이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의 각 층별로 배전선이 배선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의 동작 모습을 순차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의 상층이 완전히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의 사이드 레일과 언더 렁 및 오버 렁을 덮는 루프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의 오버 렁을 지지하는 레그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레그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의 각 층별로 배전선이 배선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의 동작 모습을 순차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의 상층이 완전히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의 사이드 레일과 언더 렁 및 오버 렁을 덮는 루프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의 트렌치(100)는, 한 쌍의 사이드 레일(110, 110')과, 한 쌍의 사이드 레일(110, 110')를 연결하며 하층 배전선(C1)을 안착하는 다수의 언더 렁(120)과, 언더 렁(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오버 렁(132)을 구성한 상층 어셈블리(130, 130')와, 자중에 의해 오버 렁(132)으로부터 흘러내린 상층 배전선(C2)을 받아 지지하는 거치대(140)와, 오버 렁(132)에 고정되는 베이스(150)와, 베이스(150)와 연결되어서 오버 렁(132)과 접철되는 레그(160)와, 트렌치(100)를 덮는 루프(17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트렌치(100)는 2층을 이루는 렁(120, 132)에 다수의 배전선(C1, C2)을 안착시킬 수 있고, 오버 렁(132)을 여닫이 형태로 개폐 가능할 수 있으므로 언더 렁(120)에 안착된 하층 배전선(C1)도 간섭 없이 손쉽게 검사하고 조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각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이드 레일(110, 11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홈(112)이 형성되고, 관통홈(112)의 양측 상부에는 각각 회동홈(113, 113')이 형성되어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트렌치는 사이드 레일과 렁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본 실시의 트렌치(100)는 오버 렁(132)을 추가 구성하므로, 사이드 레일(110, 110')은 오버 렁(132) 설치를 위해서 관통홈(112)과 회동홈(113, 113')이 각각 형성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회동홈(113, 113')은 관통홈(112)의 상부에서 양측에 각각 턱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회동홈(113, 113')에 설치되는 회동대(131, 131')를 받치도록 한다.
언더 렁(120)은, 한 쌍의 사이드 레일(110, 110')을 연결해 고정하며 배전선을 안착하도록 사이드 레일(110, 110')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지의 트렌치에 구성되는 렁의 기능을 언더 렁(120)이 수행한다.
상층 어셈블리(130, 130')는, 회동홈(113, 113')에서 하단부가 제1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설치되는 회동대(131, 131')와, 언더 렁(120)과 2층 구조를 이루도록 가이드 레일(110, 110')을 따라 언더 렁(120)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오버 렁(132)과, 오버 렁(132) 일단의 양측을 회동대(131, 131')의 상부에 각각 고정시키는 링커(133)로 구성된다.
회동대(131, 131')는 회동홈(113, 113')에서 제1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며, 회동대(131, 131')에 고정된 오버 렁(132)이 트렌치(100)의 안쪽에서 바닥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스토퍼(미도시함)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축(A1)은 회동대(131, 131')의 하단부에 연결되어서 회동대(131, 131')의 상단부는 회동한다.
오버 렁(132)은 언더 렁(120)의 상층을 이루고, 일단이 링커(133)를 매개로 회동대(131, 131')에 고정된다. 따라서 오버 렁(132)은 회동대(131, 131')의 회동을 따라 도 4의 (b)도면과 같이 회동한다. 본 실시의 오버 렁(132)은 회동대(131, 131')와 'ㄱ' 자 형상을 이루며, 오버 렁(132)의 타단은 회동대(131, 131')의 상기 스토퍼에 의해 가이드 레일(110, 110')의 바닥으로 기울어짐 없이 제 자세를 유지한다.
본 실시의 트렌치(100)는 상층 어셈블리(130, 130')가 한 쌍의 가이드 레일(110, 110')에 각각 짝을 이루어 설치되므로, 상층 어셈블리(130, 130')의 각 오버 렁(132)은 그 타단이 서로 맞닿게 연결된다.
링커(133)는 전술한 대로 회동대(131, 131')와 오버 렁(132)을 'ㄱ' 형태로 고정한다.
한편, 본 실시의 상층 어셈블리(130, 130')는 오버 렁(132)의 상면을 덮는 커버(134)를 더 포함한다. 커버(134)는 쌍을 이루는 상층 어셈블리(130')를 향해 말단이 돌출하게 형성되어서, 커버(134)가 상층 어셈블리(130')에 걸려 지지되도록 한다. 이는 한 쌍의 상층 어셈블리(130, 130') 중 하나에만 베이스(150; 도 8 참조)와 레그(160; 도 8 참조)를 설치해도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150)와 레그(160)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거치대(140)는, 상부가 링커(13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회동대(131, 131')의 회동을 따라 관통홈(112)으로 인입출하게 현수되는 기준 추(141)와, 하부가 기준 추(141)의 하부와 회전축대(141a)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기준 추(141)로부터 측방으로 벌어지는 서포터(142)와, 기준 추(141)와 서포터(142)가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축대(141a)에서 탄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미도시함)으로 구성된다.
기준 추(141)는 상부가 링커(133)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현수된 연결 구조를 이루고, 도 4의 (b)도면과 같이 관통홈(112)에서 인입출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회동대(131, 131')가 가이드 레일(110, 110')에서 회동하면, 기준 추(141)는 제 자세를 유지하며 관통홈(112)을 통해 간섭없이 이동한다. 참고로, 본 실시의 기준 추(141)는 제 자세를 흔들림 없이 안정하게 유지하도록 기준치 이상의 중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포터(142)는 기준 추(141)의 하부에서 바깥 측방으로 돌출하게 형성된 회전축대(141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서포터(142)는 기준 추(141)와 접철하는 연결 구조를 이룬다. 본 실시의 서포터(142)는 상단이 절곡된 'ㄱ' 자 형상을 이루므로, 오버 렁(132)에서 흘러내리는 상층 배전선(C2)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한다.
한편, 회전축대(141a)는 토션스프링이 구성되어서, 기준 추(141)와 서포터(142)가 항시 접철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외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는 접철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력 이상의 외력을 받으면 기준 추(141)로부터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층 어셈블리(130, 130')의 오버 렁(132)이 언더 렁(120)과 나란하게 2층 구조를 이룬 상태에서는 도 4의 (a)도면과 같이 서포터(142)는 기준 추(141)에 접힌 상태를 유지하며 오버 렁(132)의 펜스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서포터(142)는 기준 추(141)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충분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프(170)는 사이드 레일(110, 110')과 언더 렁(120)과 상층 어셈블리(130, 130')와 거치대(140)가 이루는 구조물의 양측부와 상부를 덮는 'n' 형상을 이루고, 상면부에는 투명창(171)이 구성되며, 내측에는 소화제를 고압으로 충진한 연소성 탄성 재질의 보울(172)이 설치된다.
루프(170)는 언더 렁(120)과 오버 렁(132)에 안착된 배전선(C1, C2)이 상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서, 트렌치(100) 인근에 발생한 화염이 배전선(C1, C2)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트렌치(100)에 안착된 배전선(C1, C2)에 화재가 발생해도 외부 확산을 방지함은 물론 연소를 위해 필요한 공기의 유입을 최소화한다. 이를 위해 루프(170)는 내연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루프(170)는 상면부에 투명창(171)이 형성된다. 트렌치(100) 내에 화재가 발생하면 내연성 재질의 투명창(171)을 통해 관리자는 시각적으로 신속히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루프(170)는 도 6과 같이 소화제가 충진된 보울(172)이 내측에 구성된다. 보울(172)은 소화제가 고압으로 충진되므로, 탄성 재질의 보울(172)은 기준치 범위로 팽창한다. 또한 보울(172)은 연소 가능한 재질이므로, 트렌치(100) 내에 화재가 발생하면 보울(172)은 발생한 화재에 의해 일부 연소되고, 이 과정에서 보울(172)이 폭발하면서 소화제가 해당 루프(170)의 유효 범위 내에서 발포 및 확산된다. 결국, 트렌치(100)에 화재가 발생하면 해당 구간의 보울(172)로부터 소화제가 발포되어서 화재 초기에 소화가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100)의 동작을 순차로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언더 렁(120)과 오버 렁(132)에는 각각 하층 배전선(C1)과 상층 배전선(C2)이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도 4의 (a)도면과 같이 상층 배전선(C2)에 문제가 확인되면, 외부에 노출된 상층 배전선(C2)은 손쉽게 상층 배전선(C2)을 검수할 수 있다. 그런데 하층 배전선(C1)에 문제가 확인되면, 관리자는 도 4의 (b)도면과 같이 오버 렁(132)을 들어올려서 제1축(A1)을 중심으로 회동대(131)을 회전시킨다. 오버 렁(132)은 회동대(131)와 일체로 고정된 상태이므로, 오버 렁(132)의 회전각에 상응하게 회동대(131)가 회전한다.
회동대(131)가 회전하면 링커(133)의 제2축(A1)을 중심으로 기준 추(141)가 관통홈(112)으로부터 인출한다. 이때 회동대(131)는 제 자세를 유지하며 이동한다.
한편, 오버 렁(132)에 안착된 상층 배전선(C2)은 오버 렁(132)의 기울어짐에 의해 경사로를 따라 흘러내리고, 이 과정에서 상층 배전선(C2)은 도 4의 (b)도면과 같이 서포터(142)를 가압한다. 상층 배전선(C2)은 일정 개수 이상이 되면 해당 중량이 회전축대(141a)에 설치된 토션스프링의 탄력을 초과하므로, 서포터(142)는 기준 추(141)로부터 회전하게 벌어지게 되고, 도 5와 같이 상층 배전선(C2)은 서포터(142) 상에 수용된다. 참고로, 본 실시의 서포터(142)는 상단이 'ㄱ' 자 형상으로 돌출되어서, 오버 렁(132)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상층 배전선(C2)이 이탈 없이 서포터(142)에 모두 인입되도록 저지하고, 서포터(142)에 인입된 상태에서도 이탈 없이 제 자세를 유지하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의 상층 어셈블리(130, 130')는, 서로 이웃하는 상층 어셈블리(130, 130')의 회동대(131, 131')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대(135)를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상층 어셈블리(130, 130')는 동일한 사이드 레일(110, 110')에서도 각자가 개별 동작한다. 이 경우 관리자는 트렌치(100)에서 일부가 아닌 전체에서 하층 배전선(C2)을 관리하려면 상층 어셈블리(130, 130')를 일일이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의 상층 어셈블리(130, 130')는 서로 이웃하는 상층 어셈블리(130, 130')의 회동대(131, 131')를 연결대(135)로 연결해서, 관리자가 연결대(135)를 당기면 트렌치(100)에 구성된 모든 상층 어셈블리(130, 130')가 동작하면서 오버 렁(132)이 도 3과 같이 수직하게 펼쳐진다.
물론 관리자가 연결대(135)를 밀면, 회동대(131, 131')는 일괄적으로 동작하면서 오버 렁(132)이 도 2와 같이 수평하게 배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의 오버 렁을 지지하는 레그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은 상기 레그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본 실시의 트렌치(100)는, 지지홈(151a)이 형성되고 오버 렁(132)의 저면에 고정되는 본체(151)와, 장방형의 끼움공(152a)이 형성되고 지지홈(151a)의 양측 내면에 구성되는 가이드레일(152, 152')로 구성된 베이스(150); 지지홈(151a)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체(161)와, 이동체(161)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하게 설치되며 끼움공(152a)에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돌기(162)와, 돌기(162)가 끼움공(152a)을 따라 지지홈(151a)의 최저측에 위치하면 지지홈(151a)에 인입되고 돌기(162)가 지지홈(151a)의 최외측에 위치하면 지지홈(151a)으로부터 인출되어서 회전하도록 힌지(164)를 매개로 이동체(161)에 연결되며 오버 렁(132)을 받쳐 자세를 유지시키는 지지대(163)로 구성된 레그(160);를 더 포함한다.
베이스(150)는 레그(160)와 오버 렁(132)을 서로 연결시키는 매개체로서, 오버 렁(132)의 저면에 고정되는 본체(151)를 포함하고, 본체(151)는 지지홈(151a)이 형성되며, 양측 내면에는 가이드레일(152, 152')이 설치된다. 여기서 가이드레일(152, 152')은 장방형의 끼움공(152a)이 형성되어서, 가이드레일(152, 152')과 맞물려 연결되는 레그(160)는 지지홈(151a)에 인입출한다.
레그(160)는 오버 렁(132)을 받쳐 지지한다. 따라서 오버 렁(132)은 트렌치(100)의 내측에서 기울어짐 없이 수평 자세를 유지한다.
이를 위해 레그(160)는 지지홈(151a)에서 이동하는 이동체(161)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체(161)의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레일(152, 152')과 맞물리는 돌기(162)가 돌출 형성되어서, 이동체(161)는 가이드레일(152, 152')의 범위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지지대(163)는, 돌기(162)가 끼움공(152a)을 따라 지지홈(151a)의 최저측에 위치하면 지지홈(151a)에 인입되고, 돌기(162)가 지지홈(151a)의 최외측에 위치하면 지지홈(151a)으로부터 인출된다. 여기서 돌기(162)가 지지홈(151a)의 최저측에 위치한 경우는 도 9의 (a)도면과 같이 지지대(163)가 압력을 받아 이동체(161)가 지지홈(151a)에 깊이 이동했을 때이고, 돌기(162)가 지지홈(151a)의 최외측에 위치한 경우는 도 9의 (b)도면과 같이 오버 렁(132)이 들어올려져서 지지대(163)가 자중에 의해 지지홈(151a)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이다.
한편, 지지대(163)와 이동체(161)는 힌지(164)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지지대(163)가 도 9의 (b)도면과 같이 지지홈(151a)으로부터 인출되면 지지대(163)는 힌지(164)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하지만, 도 9의 (a)도면과 같이 지지대(163)가 지지홈(151a)으로 인입되면 지지대(163)는 지지홈(151a)에 걸려서 흔들림 없이 제 자세를 유지하고, 따라서 오버 렁(132)은 흔들림 없이 수평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한다.
베이스(150)와 레그(160)는 한 쌍의 상층 어셈블리(130, 130')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둘 중 하나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하나의 상층 어셈블리(130')에만 설치되는 경우에는 다른 하나의 상층 어셈블리(130)의 오버 렁(132)에 커버(134)를 덮어서, 커버(134)의 돌출 부분이 하나의 상층 어셈블리(130')에 걸리도록 한다.
결국, 하나의 상층 어셈블리(130')의 오버 렁은 베이스(150)와 레그(160)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하나의 상층 어셈블리(130)는 커버(134)가 상기 오버 렁에 걸리며 지지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트렌치 110, 110'; 사이드 레일 112; 관통홈
113, 113'; 회동홈 120; 언더 렁 130; 상층 어셈블리
131, 131'; 회동대 132; 오버 렁 133; 링커
134; 커버 135; 연결대 140; 거치대
141; 기준 추 142; 서포터 150; 베이스
151; 본체 151a; 지지홈 152, 152'; 가이드레일
152a; 끼움공 160; 레그 161; 이동체
162; 돌기 163; 지지대 164; 힌지

Claims (1)

  1.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112)의 양측 상부에는 각각 회동홈(113, 113')이 형성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레일(110, 110');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레일(110, 110')을 연결해 고정하며 배전선을 안착하도록 사이드 레일(110, 110')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언더 렁(120); 상기 회동홈(113, 113')에서 하단부가 제1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설치되는 회동대(131, 131')와, 상기 언더 렁(120)과 2층 구조를 이루도록 가이드 레일(110, 110')을 따라 언더 렁(120)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오버 렁(132)과, 상기 오버 렁(132) 일단의 양측을 회동대(131, 131')의 상부에 각각 고정시키는 링커(133)로 구성된 상층 어셈블리(130, 130'); 상부가 상기 링커(13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회동대(131, 131')의 회동을 따라 관통홈(112)으로 인입출하게 현수되는 기준 추(141)와, 하부가 상기 기준 추(141)의 하부와 회전축대(141a)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기준 추(141)로부터 측방으로 벌어지는 서포터(142)와, 상기 기준 추(141)와 서포터(142)가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축대(141a)에서 탄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된 거치대(140); 사이드 레일(110, 110')과 언더 렁(120)과 상층 어셈블리(130, 130')와 거치대(140)가 이루는 구조물의 양측부와 상부를 덮는 'n' 형상을 이루고, 상면부에는 투명창(171)이 구성되며, 내측에는 소화제를 고압으로 충진한 연소성 탄성 재질의 보울(172)이 설치된 루프(170);를 포함하되,
    지지홈(151a)이 형성되고 오버 렁(132)의 저면에 고정되는 본체(151)와, 장방형의 끼움공(152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151a)의 양측 내면에 구성되는 가이드레일(152, 152')로 구성된 베이스(150);
    상기 지지홈(151a)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체(161)와, 상기 이동체(161)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하게 설치되며 끼움공(152a)에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돌기(162)와, 상기 돌기(162)가 끼움공(152a)을 따라 지지홈(151a)의 최저측에 위치하면 지지홈(151a)에 인입되고 돌기(162)가 지지홈(151a)의 최외측에 위치하면 지지홈(151a)으로부터 인출되어서 회전하도록 힌지(164)를 매개로 이동체(161)에 연결되며 오버 렁(132)을 받쳐 자세를 유지시키는 지지대(163)로 구성된 레그(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방지기능을 갖춘 건축물용 배전선 트렌치.
KR1020190163246A 2019-12-10 2019-12-10 화재방지기능을 갖춘 건축물용 배전선 트렌치 KR102114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246A KR102114816B1 (ko) 2019-12-10 2019-12-10 화재방지기능을 갖춘 건축물용 배전선 트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246A KR102114816B1 (ko) 2019-12-10 2019-12-10 화재방지기능을 갖춘 건축물용 배전선 트렌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816B1 true KR102114816B1 (ko) 2020-05-25

Family

ID=7091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246A KR102114816B1 (ko) 2019-12-10 2019-12-10 화재방지기능을 갖춘 건축물용 배전선 트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8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276B1 (ko) 2020-09-04 2021-04-29 (주)한양기술단 합선방지기능을 갖춘 배전선용 건축물트렌치
KR102278295B1 (ko) * 2020-11-20 2021-07-16 (주)대광기술 주택가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단시스템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1427A (ja) * 1992-10-01 1994-04-28 Nichidou Denko Kk 配線用ダクト
JP3043982B2 (ja) * 1995-01-19 2000-05-22 トーマス アンド ベッツ コーポレーション ケーブル支持用トレイ
JP2004361060A (ja) * 2003-06-09 2004-12-24 Kawamura Electric Inc フレキシブルダクト
KR20080049915A (ko) * 2006-12-01 2008-06-05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위한 열발포소화성 방화 격벽
KR100913973B1 (ko) * 2008-04-16 2009-08-25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방염 케이블 트레이
KR100925556B1 (ko) * 2009-05-22 2009-11-05 (주) 지트시스템 케이블 트레이 설비
KR100925683B1 (ko) * 2008-01-24 2009-11-11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
KR100958548B1 (ko) 2010-03-22 2010-05-18 (주)케이아이씨 공동주택의 분리 수납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1026255B1 (ko) * 2011-01-25 2011-03-31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내부확인과 배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전기실 케이블 트렌치
KR101246281B1 (ko) * 2013-01-09 2013-03-26 주식회사 세광플러스 지중 송·배전 전선용 지지장치
KR20130006925U (ko) * 2012-05-23 2013-1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접철식 트레이 렁과 이를 가지는 래더 트레이
JP2015073349A (ja) * 2013-10-02 2015-04-16 株式会社ティ・エス・ケー ケーブル支持金物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1427A (ja) * 1992-10-01 1994-04-28 Nichidou Denko Kk 配線用ダクト
JP3043982B2 (ja) * 1995-01-19 2000-05-22 トーマス アンド ベッツ コーポレーション ケーブル支持用トレイ
JP2004361060A (ja) * 2003-06-09 2004-12-24 Kawamura Electric Inc フレキシブルダクト
KR20080049915A (ko) * 2006-12-01 2008-06-05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위한 열발포소화성 방화 격벽
KR100925683B1 (ko) * 2008-01-24 2009-11-11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
KR100913973B1 (ko) * 2008-04-16 2009-08-25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방염 케이블 트레이
KR100925556B1 (ko) * 2009-05-22 2009-11-05 (주) 지트시스템 케이블 트레이 설비
KR100958548B1 (ko) 2010-03-22 2010-05-18 (주)케이아이씨 공동주택의 분리 수납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1026255B1 (ko) * 2011-01-25 2011-03-31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내부확인과 배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전기실 케이블 트렌치
KR20130006925U (ko) * 2012-05-23 2013-1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접철식 트레이 렁과 이를 가지는 래더 트레이
KR101246281B1 (ko) * 2013-01-09 2013-03-26 주식회사 세광플러스 지중 송·배전 전선용 지지장치
JP2015073349A (ja) * 2013-10-02 2015-04-16 株式会社ティ・エス・ケー ケーブル支持金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276B1 (ko) 2020-09-04 2021-04-29 (주)한양기술단 합선방지기능을 갖춘 배전선용 건축물트렌치
KR102278295B1 (ko) * 2020-11-20 2021-07-16 (주)대광기술 주택가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812B1 (ko)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고정트레이
KR102114816B1 (ko) 화재방지기능을 갖춘 건축물용 배전선 트렌치
KR100845297B1 (ko) 발코니 난간 설치식 비상 탈출용 사다리
KR100615031B1 (ko) 건축물 층간 화재 방지시설
KR100676472B1 (ko)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진화장치
KR102114814B1 (ko) 감전사고 방지용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기구
KR100605337B1 (ko) 건축물 베란다 화재의 층간 확산 방지구조
KR100620779B1 (ko) 건축용 발코니 안전난간
KR100915006B1 (ko) 공동주택의 층간 화염차단장치
KR100838619B1 (ko) 비상사다리 기능을 가진 공동주택 실외기 거치대
KR101017078B1 (ko) 피난 사다리 장치
KR101711624B1 (ko) 접이식 탁구대
KR101195465B1 (ko) 사다리 전도방지장치
KR102114813B1 (ko) 배전선 설치가 용이한 건축물용 전기 배전선 트레이
JP2004324283A (ja) 避難用梯子
KR200420856Y1 (ko) 비상사다리
KR101922173B1 (ko) 화재 피난 장치
JP7053024B2 (ja) 建築物における緊急脱出避難装置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KR20070073301A (ko) 화염확산 방지 방화판
JP4783926B2 (ja) 建築防災システム
KR102227143B1 (ko) 책상형 안전 사다리
CN213432643U (zh) 外立面逃生装置及外立面逃生系统
KR20200077923A (ko) 수납식 관람석 자동 절첩장치
JP7464316B2 (ja) 耐震懸架天井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