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683B1 -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683B1
KR100925683B1 KR1020080007348A KR20080007348A KR100925683B1 KR 100925683 B1 KR100925683 B1 KR 100925683B1 KR 1020080007348 A KR1020080007348 A KR 1020080007348A KR 20080007348 A KR20080007348 A KR 20080007348A KR 100925683 B1 KR100925683 B1 KR 100925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hinge
distribution line
fixing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1474A (ko
Inventor
김삼남
김동회
백창원
조인섭
Original Assignee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80007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6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81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면이 ㄷ형상으로 상하단날개를 갖는 좌측벽이 형성되고, 좌측벽과 대칭되는 상하단날개를 갖는 우측벽이 형성되며, 양측하단날개를 일정간격으로 결합고정시키는 저면이음대가 형성되어 내측에 케이블이 안착되는 배전선로틀과; 상기 배전선로틀 하단에 횡방향으로 위치되는 직사각관체인 지지받침관이 형성되고, 하단은 지지받침관 양측단을 배전선로틀 외측에서 수직관통되어 고정너트로 고정되고 상단은 수직기립되어 천장의 앵커공에 나사결합되는 좌우측앵커장볼트가 각각 형성되며, 지지받침관의 일단에 삽입고정되는 고정안내마개를 갖되 고정안내마개의 양측단에는 지지받침관의 전후방면과 밀착되어 연장되는 전후방레일이 각각 형성되고, 지지받침관의 타단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마개를 갖되 고정마개 양측단에는 전후방레일이 각각 삽입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배전선로틀 상측에서 양단이 좌우측앵커장볼트에 높이조절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고정바가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천장에 고정설치되는 선로고정틀과; 원통형상의 힌지로 중심에는 힌지축이 삽입되는 힌지공이 형성되고, 좌측으로 좌측체결편이 돌출되어 내측면에 도전성페인트층이 도포형성된 좌측차폐판 우측상단이 체결고정되는 중심힌지가 형성되며, 중심힌지 전후방에는 힌지축이 삽입되는 전후방힌지가 각각 형성되되 판스프링에 의해 중심힌지와 반대방향으로 축회동되고 우측으로 우측체결편이 돌출되어 내측면에 도전성페인트층이 도포형성된 우측차폐판 좌측상단이 체결고정되고, 중심힌지와 전후방힌지가 없는 좌우측차폐판에 양단이 고정되어 선단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 는 주름연결판이 형성되며, 상기 배전선로틀의 양측 상단날개와 상기 고정바 사이에 위치되어 케이블 상부로의 전자파 방출을 차단시키는 상단차폐틀과; 도전성 액체가 도포된 차폐천을 사면에서 지지고정시키는 사각프레임이 형성되되 사각프레임 선단 중심에는 상기 선로고정틀의 고정안내마개 전후방레일이 각각 삽입되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지지받침관에 고정된 고정안내마개와 인접된 다른 고정안내마개의 전후방레일에 삽입되어 케이블 하부로의 전자파 방출을 차단시키는 바닥차폐판을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력선 케이블의 배전선로에 이용되는 트레이의 상부에는 탄성에 의해 접철되고 펼쳐지지고 도전성폐인트층을 갖는 상단차폐틀을 설치하고, 트레이 하부에는 도전성액체도포천을 갖는 바닥차폐판을 설치하여 전자파의 유출을 차단시키며, 유지보수나 관리 등이 요구될 때에는 손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전선로틀, 선로고정틀, 산단차폐틀, 바닥차폐판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Structure for isolating electromagnetic waves of electric supply line i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선 케이블의 배전선로에 이용되는 트레이의 상부에는 탄성에 의해 접철되고 펼쳐지지고 도전성폐인트층을 갖는 상단차폐틀을 설치하고, 트레이 하부에는 도전성액체도포천을 갖는 바닥차폐판을 설치하여 전자파의 유출을 차단시키며, 유지보수나 관리 등이 요구될 때에는 손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파의 일종인 X선이나 감마선은 강한 에너지를 갖고 있어 많이 쏘였을 경우 태아 기형 등 세포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레이더 기지나 전자레인지에 사용하는 마이크로파도 세기를 강하게 하면 음식물이 익을 정도이다.
그래서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 시비는 전자파의 세기가 약한 휴대폰·TV·컴퓨터·고압송전선 등에 장기간 노출됐을 때 인체가 어떤 영향을 받는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전자파 유해성 논란에 불을 지핀 고압 송전선의 경우는 50∼60Hz(전자레인지용은 25억Hz)에 불과한 극저주파이다.
유해론자들은 전자파를 구성하는 전기장과 자기장을 주범으로 보고 있는바, 전기장은 전압이 높을수록, 자기장은 전류가 높을수록 많이 생긴다. 전기장은 전기가 통하는 구리 등 금속, 또 식물이나 생체에 의해 상당부분 흡수·차단되지만, 자기장은 자석의 힘처럼 거의 모든 물질을 통과한다. 자기장은 일반인들이 막기가 어렵다.
인체에 유해하다는 가장 설득력 있는 이론은 ‘유도 전류론’인데, 인체는 물이 70%로 전기가 잘 통하기 때문에 고압 송전선 가까이 있으면 몸에 송전선에 흐르는 유도전류가 흐르고, 이 전류는 인체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칼륨·나트륨 등 중요한 이온들의 정상적인 흐름을 방해한다는 것이다. 고압 송전선 밑에 있으면 몸을 쥐어짜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고 주장하는 것도 유도 전류에 의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자기장은 자석이 쇳가루를 잡아당기듯 몸 안의 철 성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는데, 유해론자들은 고압 송전선뿐 아니라, 각종 가전제품에서 나오는 이런 전기장과 자기장에 장기간 노출됐을 경우 호르몬·면역체계가 깨져 백혈병·림프암·뇌암·기형아 등을 일으킨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전자파의 인체 영향은 아직 과학적으로 규명되지 않고 있다. 다만, 역학조사나 경험적 관찰에 의해 추정될 뿐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단지 등의 공동주택에는 전력선과 통신선 등의 많은 케이블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케이블은 통상 건물의 지하층 등에 배선된다. 이 경우 케이블을 공중으로 배선할 경우 자체의 하중으로 인해 아래로 처질 뿐 아니라 다른 구조물과 간섭되어 손상될 우려가 높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상기의 케이블을 수용하는 트레이를 슬래브 아래로 설치된 행거에 안착시켜 케이블을 지지하는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트레이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고전압을 수송하는 케이블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가 슬래브를 통하여 거주지역까지 미치게 되어 인체 및 전자기기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력선 케이블의 배전선로에 이용되는 트레이의 상부에는 탄성에 의해 접철되고 펼쳐지지고 도전성폐인트층을 갖는 상단차폐틀을 설치하고, 트레이 하부에는 도전성액체도포천을 갖는 바닥차폐판을 설치하여 전자파의 유출을 차단시키며, 유지보수나 관리 등이 요구될 때에는 손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면이 ㄷ형상으로 상하단날개를 갖는 좌측벽이 형성되고, 좌측벽과 대칭되는 상하단날개를 갖는 우측벽이 형성되며, 양측하단날개를 일정간격으로 결합고정시키는 저면이음대가 형성되어 내측에 케이블이 안착되는 배전선로틀과;
상기 배전선로틀 하단에 횡방향으로 위치되는 직사각관체인 지지받침관이 형성되고, 하단은 지지받침관 양측단을 배전선로틀 외측에서 수직관통되어 고정너트로 고정되고 상단은 수직기립되어 천장의 앵커공에 나사결합되는 좌우측앵커장볼트가 각각 형성되며, 지지받침관의 일단에 삽입고정되는 고정안내마개를 갖되 고정안내마개의 양측단에는 지지받침관의 전후방면과 밀착되어 연장되는 전후방레일이 각각 형성되고, 지지받침관의 타단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마개를 갖되 고정마개 양측단에는 전후방레일이 각각 삽입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배전선로틀 상측에서 양단이 좌우측앵커장볼트에 높이조절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고정바가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천장에 고정설치되는 선로고정틀과;
원통형상의 힌지로 중심에는 힌지축이 삽입되는 힌지공이 형성되고, 좌측으로 좌측체결편이 돌출되어 내측면에 도전성페인트층이 도포형성된 좌측차폐판 우측상단이 체결고정되는 중심힌지가 형성되며, 중심힌지 전후방에는 힌지축이 삽입되는 전후방힌지가 각각 형성되되 판스프링에 의해 중심힌지와 반대방향으로 축회동되고 우측으로 우측체결편이 돌출되어 내측면에 도전성페인트층이 도포형성된 우측차폐판 좌측상단이 체결고정되고, 중심힌지와 전후방힌지가 없는 좌우측차폐판에 양단이 고정되어 선단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주름연결판이 형성되며, 상기 배전선로틀의 양측 상단날개와 상기 고정바 사이에 위치되어 케이블 상부로의 전자파 방출을 차단시키는 상단차폐틀과;
도전성 액체가 도포된 차폐천을 사면에서 지지고정시키는 사각프레임이 형성되되 사각프레임 선단 중심에는 상기 선로고정틀의 고정안내마개 전후방레일이 각각 삽입되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지지받침관에 고정된 고정안내마개와 인접된 다른 고정안내마개의 전후방레일에 삽입되어 케이블 하부로의 전자파 방출을 차단시키는 바닥차폐판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력선 케이블의 배전선로에 이용되는 트레이의 상부에는 탄성에 의해 접철되고 펼쳐지지고 도전성폐인트층을 갖는 상단차폐틀을 설치하고, 트레이 하부에는 도전성액체도포천을 갖는 바닥차폐판을 설치하여 전자파의 유출을 차단시키며, 유지보수나 관리 등이 요구될 때에는 손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 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는, 선로고정틀(20)에 의해 천장(50)에서 일정거리로 고정되어 내측에 케이블(14)이 배열되는 배전선로틀(10)과, 배전선로틀(10)을 천장(50)에 고정지지하는 선로고정틀(20)과, 케이블(14)의 상부측 전자파 방출을 차단하는 상단차폐틀(30)과, 케이블(14)의 하부측 전자파 방출을 차단하는 바닥차폐판(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전선로틀(10)은 선로고정틀(20)에 의해 천장(50)에서 일정거리로 고정되어 내측에 케이블(14)이 배열되는 틀체로, 정면이 ㄷ형상으로 수평을 이루는 상하단날개(11a,11b)를 갖는 좌측벽(11)이 형성되고, 좌측벽(11)과 대칭되는 상하단날개(12a,12b)를 갖는 우측벽(12)이 형성되며, 양측하단날개(11b,12b)를 일정간격으로 결합고정시키는 저면이음대(13)가 형성되어 내측에 케이블(14)이 안착된다.
상기 선로고정틀(20)은 배전선로틀(10)을 천장(50)에 고정지지하는 틀체로, 상기 배전선로틀(10) 하단에 횡방향으로 위치되는 직사각관체인 지지받침관(21)이 형성되고, 하단은 지지받침관(21) 양측단을 배전선로틀(10) 외측에서 수직관통되어 고정너트(22b)로 고정되고 상단은 수직기립되어 천장(50)의 앵커공(51,51a)에 나사결합되는 좌우측앵커장볼트(22,22a)가 각각 형성되며, 지지받침관(21)의 일단에 삽입고정되는 고정안내마개(23)를 갖되 고정안내마개(23)의 양측단에는 지지받침관(21)의 전후방면과 밀착되어 연장되는 전후방레일(23a,23b)이 각각 형성되고, 지지받침관(21)의 타단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마개(24)를 갖되 고정마개(24) 양측단에는 전후방레일(23a,23b)이 각각 삽입되는 고정공(24a,24b)이 형성되며, 배전선로 틀(10) 상측에서 양단이 좌우측앵커장볼트(22,22a)에 높이조절너트(25a)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고정바(25)가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천장(50)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상단차폐틀(30)은 케이블(14)의 상부측 전자파 방출을 차단하는 틀체로, 원통형상의 힌지로 중심에는 힌지축(31b)이 삽입되는 힌지공(31a)이 형성되고, 좌측으로 좌측체결편(31c)이 돌출되어 내측면에 도전성페인트층(32a)이 도포형성된 좌측차폐판(32) 우측상단이 체결고정되는 중심힌지(31)가 형성되며, 중심힌지(31) 전후방에는 힌지축(31b)이 삽입되는 전후방힌지(33,33a)가 각각 형성되되 판스프링(35)에 의해 중심힌지(31)와 반대방향으로 축회동되고 우측으로 우측체결편(34,34a)이 돌출되어 내측면에 도전성페인트층(36a)이 도포형성된 우측차폐판(36) 좌측상단이 체결고정되고, 중심힌지(31)와 전후방힌지(33,33a)가 없는 좌우측차폐판(32,36)에 양단이 고정되어 선단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주름연결판(37)이 형성되며, 상기 배전선로틀(10)의 양측 상단날개(11a,12a)와 상기 고정바(25) 사이에 위치되어 케이블(14) 상부로의 전자파 방출을 차단시킨다.
상기 바닥차폐판(40)은 케이블(14)의 하부측 전자파 방출을 차단하는 틀체로, 도전성 액체가 도포된 차폐천(41)을 사면에서 지지고정시키는 사각프레임(42)이 형성되되 사각프레임(42) 선단 중심에는 상기 선로고정틀(10)의 고정안내마개(23) 전후방레일(23a,23b)이 각각 삽입되는 레일홈(43)이 형성되어 지지받침관(21)에 고정된 고정안내마개(23)와 인접된 다른 고정안내마개(23)의 전후방레일(23a,23b)에 삽입되어 케이블(14) 하부로의 전자파 방출을 차단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배전선로틀(10)의 상부에 위치되어 판스프링(35)의 탄 성으로 좌우측차폐판(32,36)이 상측으로 올라가려 해도 좌우측차폐판(32,36)각 하단이 걸림되는 좌우측 상단날개(11a,12a)와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바(25)에 의해서 그 위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배전선로틀(10) 저면이음대(13) 상면에 배치된 케이블(14) 상측으로의 전자파를 도전선페인트층(32a,36a)에서 차단하게 된다,
또한, 선로고정틀(20)의 지지받침관(21)에 고정된 고정안내마개(23)의 전후방레일(23a,23b)에는 바닥차폐판(40)의 사각프레임(42)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배전선로틀(10) 저면이음대(13) 상면에 배치된 케이블(14) 하측으로의 전자파를 도전성 액체가 도포된 차폐천(41)에 의해 차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전선로틀 11,12 : 좌우측벽
11a,12a : 상단날개 11b,12b : 하단날개
13 : 저면이음대 14 : 케이블
20 : 선로고정틀 21 : 지지받침관
22,22a : 좌우측앵커장볼트 22b : 고정너트
23 : 고정안내마개 23a,23b : 전후방레일
24 : 고정마개 24a,24b : 고정공
25 : 고정바 25a : 높이조절너트
30 : 상단차폐틀 31 : 중심힌지
31a : 힌지공 31b : 힌지축
31c : 좌측체결판 32 : 좌측차폐판
32a : 도전성페인트층 33,33a : 전후방힌지
34,34a : 우측체결편 35 : 판스프링
36 : 우측차폐판 36a : 도전성페인트층
37 : 주름연결판
40 : 바닥차폐판 41 : 차폐천
42 : 사각프레임 43 : 레일홈
50 : 천장 51,51a : 앵커공

Claims (1)

  1. 정면이 ㄷ형상으로 상하단날개를 갖는 좌측벽이 형성되고, 좌측벽과 대칭되는 상하단날개를 갖는 우측벽이 형성되며, 양측하단날개를 일정간격으로 결합고정시키는 저면이음대가 형성되어 내측에 케이블이 안착되는 배전선로틀과;
    상기 배전선로틀 하단에 횡방향으로 위치되는 직사각관체인 지지받침관이 형성되고, 하단은 지지받침관 양측단을 배전선로틀 외측에서 수직관통되어 고정너트로 고정되고 상단은 수직기립되어 천장의 앵커공에 나사결합되는 좌우측앵커장볼트가 각각 형성되며, 지지받침관의 일단에 삽입고정되는 고정안내마개를 갖되 고정안내마개의 양측단에는 지지받침관의 전후방면과 밀착되어 연장되는 전후방레일이 각각 형성되고, 지지받침관의 타단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마개를 갖되 고정마개 양측단에는 전후방레일이 각각 삽입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배전선로틀 상측에서 양단이 좌우측앵커장볼트에 높이조절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고정바가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천장에 고정설치되는 선로고정틀과;
    원통형상의 힌지로 중심에는 힌지축이 삽입되는 힌지공이 형성되고, 좌측으로 좌측체결편이 돌출되어 내측면에 도전성페인트층이 도포형성된 좌측차폐판 우측상단이 체결고정되는 중심힌지가 형성되며, 중심힌지 전후방에는 힌지축이 삽입되는 전후방힌지가 각각 형성되되 판스프링에 의해 중심힌지와 반대방향으로 축회동되고 우측으로 우측체결편이 돌출되어 내측면에 도전성페인트층이 도포형성된 우측차폐판 좌측상단이 체결고정되고, 중심힌지와 전후방힌지가 없는 좌우측차폐판에 양단이 고정되어 선단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주름연결판이 형성되며, 상기 배전선로틀의 양측 상단날개와 상기 고정바 사이에 위치되어 케이블 상부로의 전자파 방출을 차단시키는 상단차폐틀과;
    도전성 액체가 도포된 차폐천을 사면에서 지지고정시키는 사각프레임이 형성되되 사각프레임 선단 중심에는 상기 선로고정틀의 고정안내마개 전후방레일이 각각 삽입되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지지받침관에 고정된 고정안내마개와 인접된 다른 고정안내마개의 전후방레일에 삽입되어 케이블 하부로의 전자파 방출을 차단시키는 바닥차폐판을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
KR1020080007348A 2008-01-24 2008-01-24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 KR100925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348A KR100925683B1 (ko) 2008-01-24 2008-01-24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348A KR100925683B1 (ko) 2008-01-24 2008-01-24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474A KR20090081474A (ko) 2009-07-29
KR100925683B1 true KR100925683B1 (ko) 2009-11-11

Family

ID=4129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348A KR100925683B1 (ko) 2008-01-24 2008-01-24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6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548B1 (ko) 2010-03-22 2010-05-18 (주)케이아이씨 공동주택의 분리 수납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20180072095A (ko) * 2016-12-21 2018-06-29 김용민 앵커 연결유닛을 구비한 조명레일 시스템
KR102114814B1 (ko) * 2019-12-10 2020-05-25 (주) 여명기술단 감전사고 방지용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기구
KR102114816B1 (ko) * 2019-12-10 2020-05-25 (주) 여명기술단 화재방지기능을 갖춘 건축물용 배전선 트렌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830B1 (ko) * 2019-09-19 2020-01-29 주식회사 현이엔지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
KR102072977B1 (ko) * 2019-10-04 2020-02-04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 전기케이블 보호를 위한 구부러짐 방지시설
KR102277790B1 (ko) * 2020-07-09 2021-07-15 주식회사 대성사 가공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단장치
KR102278295B1 (ko) * 2020-11-20 2021-07-16 (주)대광기술 주택가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단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900B1 (ko) 2006-07-04 2006-10-02 (주)원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단 케이블트레이 구조
KR100646349B1 (ko) 2006-06-07 2006-11-23 (주)미동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
KR100838148B1 (ko) 2008-01-21 2008-06-13 (주)영탑전기감리단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349B1 (ko) 2006-06-07 2006-11-23 (주)미동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
KR100629900B1 (ko) 2006-07-04 2006-10-02 (주)원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단 케이블트레이 구조
KR100838148B1 (ko) 2008-01-21 2008-06-13 (주)영탑전기감리단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548B1 (ko) 2010-03-22 2010-05-18 (주)케이아이씨 공동주택의 분리 수납이 가능한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20180072095A (ko) * 2016-12-21 2018-06-29 김용민 앵커 연결유닛을 구비한 조명레일 시스템
KR101884646B1 (ko) 2016-12-21 2018-08-02 김용민 앵커 연결유닛을 구비한 조명레일 시스템
KR102114814B1 (ko) * 2019-12-10 2020-05-25 (주) 여명기술단 감전사고 방지용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기구
KR102114816B1 (ko) * 2019-12-10 2020-05-25 (주) 여명기술단 화재방지기능을 갖춘 건축물용 배전선 트렌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474A (ko)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683B1 (ko)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
KR100838148B1 (ko)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
KR100646349B1 (ko)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
AU2013395206B2 (en) A preassembled transformer substation
CN101428242A (zh) 一种洁净室
KR100835587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 분전함
CN204349263U (zh) 一种配电柜
CN204258067U (zh) 一种具有电磁屏蔽功能的配电柜
KR102278295B1 (ko) 주택가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단시스템
KR100838147B1 (ko) 공동주택용 노출형 콘센트 박스
CN204259359U (zh) 一种具有防涡流功能的电磁屏蔽电气柜
CN211859279U (zh) 一种便于拆装的箱式变电站用箱门
CN204258039U (zh) 一种电气柜柜体
CN113675731A (zh) 一种电力噪声抑制装置及海缆供电系统
CN204633169U (zh) 户外集中接地端子箱
KR100345734B1 (ko) 강자기장차폐용가드장치
KR102277790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단장치
JP6249235B2 (ja) 直流電気鉄道車両の直流磁界シールド装置
CN208142611U (zh) 可调节全防护嵌入式配电箱
CN209029742U (zh) 一种配变终端的安置箱
CN204258066U (zh) 一种具有抽拉面板的电磁屏蔽电气柜
CN108320887A (zh) 一种用于变压器的减震降噪底座
CN207589318U (zh) 一种多层可调节的电气设备安装柜
CN204609380U (zh) 一体化基站
CN209571740U (zh) 具有底板结构的安装配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