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347Y1 - 무대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무대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347Y1
KR200298347Y1 KR2020020026848U KR20020026848U KR200298347Y1 KR 200298347 Y1 KR200298347 Y1 KR 200298347Y1 KR 2020020026848 U KR2020020026848 U KR 2020020026848U KR 20020026848 U KR20020026848 U KR 20020026848U KR 200298347 Y1 KR200298347 Y1 KR 2002983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lat cable
barton
core fla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택
Original Assignee
오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택 filed Critical 오영택
Priority to KR2020020026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3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3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347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지프레임(29)의 상부에 장착한 와이어(25)에 의해 매달린 바턴(BATTEN)(1)에 조명등(15)을 설치하고, 이 조명등(15)은 다심평형 케이블(11)에 의해서 전원이 공급되며, 다심평형 케이블(11)은 바턴(1)상에 설치된 케이블 수납틀(12)에 수납되는 무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고리형상의 절곡부(10b)를 갖도록 절곡한 다심평형 케이블(11)을 알루미늄 재질의 상,하 한쌍의 케이블밴드(10) 사이에 삽입하고 볼트(10a)체결하여 손쉽게 밴딩처리를 할수 있도록 하고, 케이블밴드(10)와 다심평형케이블(11)이 꺽여 맞닿는 부분에는 라운딩부(10c)를 두어 바턴(1)의 반복적인 승,하강운동으로 인한 케이블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 고안이다. 그리고, 바닥과 천정이 낮아서 지지프레임(29)을 설치할 수 없는 장소나, 경량의 바턴(1)을 사용할 경우, 지지프레임(29)을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현장설치작업비를 종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절감 할수 있으며, 각 와이어(25)의 도르래부(30)의 이송간격이 일정치 않아 승,하강시에 바턴(1)이 균형을 잃는 것을 감안하여, 감속기(21)의 양측에 권축(24)을 설치하고 와이어(25) 설치 위치마다 권취드럼(23)을 설치하여 바턴(1)의 승,하강시에 균형이 유지되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무대 조명장치{SUSPENSION LIGHT BATTEN}
본 고안은 본고안의 출원인 및 고안자와 동일한 명의로 이미 1986. 12. 23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1986-20901호로 선출원하여 1991. 4. 6 실용신안등록번호 제55823호로 선등록 받은 "조명장치"의 기술내용 중에서 밴드의 구조 및 조립상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바턴(BATTEN)의 구동부를 개선한 고안이다.
여기서 바턴(BATTEN)이라 함은 각종 공연 및 행사에 사용되는 기구 및 세트물이 설치되는 장치로써, 특히 조명기구 및 무대막 세트물 등을 관객의 시야에서 보이지 않도록 격납하였다가 사용하는 장치를 총칭한다. 현재는 속도 위치제어 시스템을 갖추어 연출의 효과를 살리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설치한 조명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실용신안등록번호 제55823호로 선등록 받은 "조명장치"에서 제안한 것처럼 다심평형 케이블을 고리형상으로 절곡한 후에 절곡부로 부터 4~5cm 떨어진 부위에 실로 묶어서 밴드를 형성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실로 묶는 밴드를 사용할 경우 상당한 숙련공의 인력이 필요하고 묶는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관계로 인건비과다계산으로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고있으며, 다심평형케이블의 자중이 육중하여 여러번 반복 사용할경우 실로 묶어진 밴드부분이 간혹 시공실수 내지 케이블의 자중을 못버텨서 풀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1차출원 당시만 해도 무대세트 및 조명기구의 사용량이 다양하지 않아서 다심평형케이블내의 전선이 5내지 7가닥이였고, 구동방식도 수동콘트롤방식이였으나, 현재는 무대세트 및 조명기구의 사용이 복잡 다양해지고 있는 관계로 구동방식이 컴퓨터콘트롤 방식으로 바뀌었을 뿐만 아니라, 다심평형케이블내의 전선이 15가닥까지 이르게 되어 케이블의 자중이 더욱 육중하게 되므로 실로 묶는 밴드는 그 한계에 도달하게 되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케이블 수납틀의 경우도 종래에는 다심평형케이블의 부피가 적고 가벼운 관계로 가느다란 파이프를 밴딩 및 용접하여 개방형 케이블 수납틀을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나, 이 방법 또한 케이블의 부피와 자중이 육중하여 지면서 케이블 수납틀의 개방된 부분으로 케이블이 삐져나와 중심이 바뀌어 바턴(BATTEN)이 뒤집혀지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그 위에 모터와 감속기를 연결하여 설치하며,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드럼을 감속기에 장착하여 지지프레임의 한쪽 끝에 위치시키고, 일정간격으로 설치한 와이어를 도르래부를 이용하여 쉽게 끌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모터를 구동하여 와이어를 끌어올릴때 각 와이어의 도르래부의 이송간격이 일정치 않아 승,하강시 바턴(BATTEN)이 수평균형을 잃어 한쪽으로 치우쳐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바닥과 천정간의 높이가 10여미터 이상되는 대강당이나 체육관등이 필요하였으며, 장소가 협소하고 천정높이가 낮은 소강당 등에서는 지지프레임을 설치하지 못하고 조명등 및 무대세트를 천정에 고정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유지보수를 하기 위해서는 사다리를 타고 천정에 올라가야 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심평형케이블의 절곡부에 알루미늄 재질의 케이블밴드를 구비하여 숙련공이 아닌 일반인들도 손쉽게 밴딩처리를 할수 있으며, 볼트체결방식의 견고성 때문에 케이블의 자중에도 충분히 견딜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그리고 케이블밴드와 다심평형케이블이 꺽여 맞닿는 부분에 라운딩부를 두어 바턴(BATTEN)의 반복적인 승,하강운동으로 인한 케이블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개방형 케이블 수납틀을 개선하여 상부만 개방되고 사면이 모두 막혀있는 케이블 수납틀을 구비하여 케이블이 삐져나오지 않고 차곡차곡 수납될수있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바닥과 천정이 낮아서 지지프레임을 설치할 수 없는 장소나, 경량 바턴을 사용할 경우, 지지프레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현장설치작업비를 종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으며, 각 와이어의 도르래부의 이송간격이 일정치 않아 승,하강시에 바턴이 균형을 잃는 것을 감안하여, 감속기의 양측에 권축을 설치하고 와이어 설치 위치마다 권취드럼을 설치하여 바턴의 승,하강시에 균형이 유지되도록하였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설치한 조명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설치한 조명장치의 정면도
도 3a는 본 고안 케이블밴드의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설치한 조명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바턴(BATTEN)
10 : 케이블밴드(CABLE BAND) 10a : 볼트
10b : 절곡부 10c : 라운딩부
10-1 : 기존밴드 11 : 다심평형 케이블
12 : 케이블 수납틀 12-1 : 개방형 케이블 수납틀
13 :경량 파이프(LIGHT PIPE) 14 : 플라이 덕트(FLY DCUT)
15 : 조명등 20 : 모터
21 : 감속기 22 : 지지 베어링
23 : 권취드럼 24 : 권축
25 : 와이어(WIRE) 26 : 구동장치 지지하판
27 : 구동장치 지지상판 28 : 구동장치 지지구
29 : 지지프레임 30 : 도르래부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설치한 조명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설치한 조명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a는 본 고안 케이블밴드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설치한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 2나, 도 3a,3b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기존밴드(10-1)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써, 고리형태의 절곡부(10b)를 갖도록 절곡한 다심평형 케이블(11)을 알루미늄 재질의 상,하 한쌍의 케이블밴드(10)의 사이에 삽입하고 여러개의 볼트(10a)로 체결할 수 있도록하여 숙련공이 아닌 일반인들도 손쉽게 밴딩처리를 할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육중한 다심평형 케이블(11)의 자중에 눌려 밴딩부분이 벗겨지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케이블밴드(10)와 다심평형 케이블(11)이 맞닿는 부분에 라운딩부(10c)를 두어 바턴(BATTEN)(1)의 반복적인 승,하강운동으로 인한 다심평형 케이블(11)의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였다.
다심평형 케이블(11)을 수납 할 수 있도록 케이블 수납틀(12)을 구비한다. 이 케이블 수납틀(12)은 철판재를 이용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사면이 모두 막힌 형태로 구성되어, 다심평형 케이블(11)을 차곡 차곡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2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지지프레임(29)을 사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였다.
바닥과 천정의 높이가 낮아서 지지프레임(29)을 설치할 수 없는 소형 극장이나, 경량의 바턴(1)을 사용할 경우에는 지지프레임(29)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서,구동장치 지지하판(26)위에 모터(20)와 감속기(21)를 연결하여 장착하고 감속기(21)의 양측에 권축(24)을 연결하여 모터(20)의 회전력에 의하여 권축(24)을 회전시켜 바턴(1)을 승,하강 시킬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권축(24)에는 와이어(25)를 권취 할 수 있도록 권취드럼(23)을 장착하고, 또한 지지 베어링(22)을 일정간격으로 장착 구성하였다.
구동장치 지지상판(27)은 천정에 간단한 힘받이 장치로 고정하고 구동장치 지지구(27)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장치 지지하판(26)과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이처럼 지지프레임(29)을 사용하지 않고 이송 와이어(25)마다 그 직상방에서 권취드럼(23)이 와이어(25)를 권취하여 끌어올리므로 바턴(1)이 승,하강시에 한쪽으로 기울지 않으며 현장설치 작업비 또한 지지프레임(29)을 사용할 때보다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다.
경량 파이프(LIGHT PIPE)(13)는 바턴(1)의 전체 하중을 줄이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며, 플라이 덕트(FLY DCUT)(14)는 다심평형 케이블(11)에서 나온 가닥 가닥의 전선에 조명등(15)의 전원부를 연결하는 곳이다.
결국, 본 고안의 기술요지는 지지프레임(29)의 상부에 장착한 와이어(25)에의해 매달린 바턴(BATTEN)(1)에 조명등(15)을 설치하고, 이 조명등(15)은 다심평형 케이블(11)에 의해서 전원이 공급되며, 이 다심평형 케이블(11)은 바턴(1)상에 설치된 케이블 수납틀(12)에 수납되는 무대장치에 있어서,
다심평형 케이블(11)을 고리형태로 절곡하여 상,하 한쌍의 케이블밴드(10)의 사이에 삽입하고 여러개의 볼트(10a)로 체결토록 하고, 상기 케이블밴드(10)에 다심평형 케이블(11)이 꺽여 맞닿는 부분에는 라운딩부(10c)를 두어 바턴(1)의 반복적인 승,하강으로 인한 다심평형 케이블(11)의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구성하였고,
바닥과 천정의 높이가 낮아서 지지프레임(29)을 설치할 수 없는 소형 극장이나, 경량의 바턴(1)을 사용할 경우, 천정에 구동장치 지지상판(27)을 고정하고, 구동장치 지지구(27)에 의해서 구동장치 지지하판(26)을 연결 구성하며, 구동장치 지지하판(26)위에는 모터(20)와 연결된 감속기(21)를 구성하고, 감속기(21)의 양측에 권축(24)을 연결하며, 권축(24)에는 각각의 와이어(25) 위치마다 권취드럼(23)을 구성하여, 바턴(1)이 기울어 지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무대 조명장치이다.
이상에서 살펴본와 같이 본 고안의 케이블밴드는 일반인들도 손쉽게 체결할 수 있으며 또한, 다심평형 케이블의 자중에 의하여 밴딩부분이 벗겨지는 일이 없도록 하였고 라운딩부에 의하여 케이블의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바닥과 천정의 높이가 낮은 소형 극장이나, 경량의 바턴에 지지프레임이 없는 무대 조명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각각의 와이어 위치마다 권취드럼을 설치하여 바턴의 승,하강시 기울어지는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Claims (2)

  1. 지지프레임(29)의 상부에 장착한 와이어(25)에 의해 매달린 바턴(BATTEN)(1)에 조명등(15)을 설치하고, 이 조명등(15)은 다심평형 케이블(11)에 의해서 전원이 공급되며, 이 다심평형 케이블(11)은 바턴(1)상에 설치된 케이블 수납틀(12)에 수납되는 무대장치에 있어서,
    다심평형 케이블(11)을 고리형태로 절곡하여 상,하 한쌍의 케이블밴드(10)의 사이에 삽입하고 여러개의 볼트(10a)로 체결토록 하고, 상기 케이블밴드(10)에 다심평형 케이블(11)이 꺽여 맞닿는 부분에는 라운딩부(10c)를 두어 바턴(1)의 반복적인 승,하강으로 인한 다심평형 케이블(11)의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조명장치.
  2. 지지프레임(29)의 상부에 장착한 와이어(25)에 의해 매달린 바턴(BATTEN)(1)에 조명등(15)을 설치하고, 이 조명등(15)은 다심평형 케이블(11)에 의해서 전원이 공급되며, 이 다심평형 케이블(11)은 바턴(1)상에 설치된 케이블 수납틀(12)에 수납되는 무대장치에 있어서,
    바닥과 천정의 높이가 낮아서 지지프레임(29)을 설치할 수 없는 소형 극장이나, 경량의 바턴(1)을 사용할 경우, 천정에 구동장치 지지상판(27)을 고정하고, 구동장치 지지구(27)에 의해서 구동장치 지지하판(26)을 연결 구성하며, 구동장치 지지하판(26)위에는 모터(20)와 연결된 감속기(21)를 구성하고, 감속기(21)의 양측에 권축(24)을 연결하며, 권축(24)에는 각각의 와이어(25) 위치마다 권취드럼(23)을 구성하여, 바턴(1)이 기울어 지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조명장치.
KR2020020026848U 2002-09-07 2002-09-07 무대 조명장치 KR2002983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848U KR200298347Y1 (ko) 2002-09-07 2002-09-07 무대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848U KR200298347Y1 (ko) 2002-09-07 2002-09-07 무대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347Y1 true KR200298347Y1 (ko) 2002-12-16

Family

ID=7307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848U KR200298347Y1 (ko) 2002-09-07 2002-09-07 무대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34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542B1 (ko) 2006-04-14 2007-11-08 김기찬 연등 승하강 장치
KR101059198B1 (ko) 2011-06-28 2011-08-25 (주)델타스테이지 케이블 고정장치
KR101429859B1 (ko) * 2013-08-14 2014-08-12 김병조 매달리는 부품의 균형 유지 가능한 두 줄 매다는 등기구
KR102484170B1 (ko) 2022-03-28 2023-01-03 주식회사 하미산업 무대 조명용 변각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542B1 (ko) 2006-04-14 2007-11-08 김기찬 연등 승하강 장치
KR101059198B1 (ko) 2011-06-28 2011-08-25 (주)델타스테이지 케이블 고정장치
KR101429859B1 (ko) * 2013-08-14 2014-08-12 김병조 매달리는 부품의 균형 유지 가능한 두 줄 매다는 등기구
KR102484170B1 (ko) 2022-03-28 2023-01-03 주식회사 하미산업 무대 조명용 변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8756B1 (en) Lift system
US5570546A (en) System for raising and lowering communications equipment
US10328358B2 (en) Lift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US10252895B2 (en) Solar array lifter and method
US9962620B2 (en) Loft block with aligned sheaves
KR200298347Y1 (ko) 무대 조명장치
CN1887684A (zh) 一种双升降系统
KR101441823B1 (ko) 조명장치용 전선 권취장치
CN211035118U (zh) 电力铁塔用施工材料及器械吊运装置
CN212456547U (zh) 应用于公共区域中庭的灯光系统
CN219558717U (zh) 一种舞台升降吊杆
JPS5836081Y2 (ja) 照明具の回転昇降装置
CN210118691U (zh) 一种高杆灯双层升降灯盘
KR101327759B1 (ko) 현수교의 케이블설치용 인양장치 및 그것의 설치구조
KR0117691Y1 (ko) 현등의 승강장치
KR200279709Y1 (ko) 조명등 승강 장치용 로우프 길이 조정 구조
CN2063607U (zh) 带升降机构能自动挂脱钩的灯具
CN117284917A (zh) 套管拆装工具、拆除方法及安装方法
JPH11157754A (ja) 平型キャブタイヤケーブル及びその移動装置
CN109231040A (zh) 一种便于安装的卷扬机
CN88203927U (zh) 摩擦式升降装置
JPS6346521B2 (ko)
JPS6019602B2 (ja) 照明器具の昇降装置
JPH05214817A (ja) 建築工事における外部養生方法及び外部養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