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691Y1 - 현등의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현등의 승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691Y1
KR0117691Y1 KR2019940017848U KR19940017848U KR0117691Y1 KR 0117691 Y1 KR0117691 Y1 KR 0117691Y1 KR 2019940017848 U KR2019940017848 U KR 2019940017848U KR 19940017848 U KR19940017848 U KR 19940017848U KR 0117691 Y1 KR0117691 Y1 KR 01176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guide mechanism
gearbox
gui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7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5659U (ko
Inventor
석승교
Original Assignee
석승교
주식회사우진씨엔드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승교, 주식회사우진씨엔드씨 filed Critical 석승교
Priority to KR2019940017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691Y1/ko
Publication of KR9600056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6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6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6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6Adjustable mountings using wires or 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장건물이나 프로트홀등의 천정에 매달아 설치한 현등(懸燈)을 수리 및 관리하기 위해 이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한 승강장치에 대한 것으로 특징적인 구성으로는 한쌍의 와이어로우프와 그 사이에서 같이 이동되는 전선으로 구성한 견인줄과, 그 후단의 조명기구와 선단의 플러그, 연결핀에 의해 하나로 마무리된 고리선과 상기 고리선을 걸어줄 수 있은 걸이봉과, 그아래의 가이드봉과, 일측의 콘센트가 구비되고, 핸들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셋트와 고리선이 감긴 그 축상의 로우프드럼으로 구비된 기어박스와, 상기한 기어박스로 부터 나간 견인줄을 안내하기 위한 협지기구와, 받침로울러기구와, 상하가이드기구와, 전후가이드기구와, 좌우가이드기구로 구성하여 상기의 기어박스내에 있은 로우프드럼을 회전시켰을때 각각의 가이드기구를 따라 배열된 견인줄을 늦추고, 당겨 조명기구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등의 승강장치.

Description

현등(懸燈)의 승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건물의 내부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제3도는 제1도 A부분의 구성을 보인 내부 정면도
제4도는 제1도 A부분의 구성을 보인 내부 측면도
제5도는 제1도 B부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측단면도
제7도는 제1도 C부분의 구성을 보인 사용상태의 정단면도와 그 측면도
제8도는 제1도 D부분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와 측면도
제9도는 제1도 E부분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와 측면도
제10도는 제1도 G부분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와 측면도
제11도는 제1도 H부분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와 정단면도
제12도는 제1도 I부분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와 평단면도
제13도는 제1도 J부분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와 정단면도
제14도는 제1도 F부분과 K부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15도는 본 고안의 조명기구를 보인 정면도
제1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정단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X-X부분 단면도
제19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제20도는 제19도 L부분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3홈로울러12: 휠로울러
13: 핀로울러14: 받침판
20: 협지기구22: 협지로울러
30a, 30b, 30c, 30d: 상하가이드기구
40: 전후가이드기구50: 좌우가이드기구
60: 견인가이드기구70a, 70b,70c: 받침로울러기구
80: 견인줄90: 조명기구
100: 기어박스110: 걸이봉
120: 가이드봉 130: 콘센트
140: 핸들150: 원동기어
160: 종동기어170: 드럼
180: 래칫기어190: 닥트
본 고안은 공장건물이나 프로트홀등의 천정에 매달아 설치한 현등(懸燈)을 수리 및 관리하기 위해 이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한 승강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등은 높이가 높은 실내의 천정에 매단 조명장치로서 매우 높은 위치이기 때문에 전등을 갈아 끼운다든가 수리를 하기 위해서는 필히 사다리등 별도의 장비를 동원해서 사람이 올라 가야만 하는 단점이 있은 것이었다.
그러나 근래에는 이러한 수리방법이 매우 위험하고, 비능률적이기 때문에 사람이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현등자체가 하강될 수 있도록 승강기를 동시에 설치하게 되었고, 이는 선고안에서 이미 실시가 되고 있다.
선고안에서는 안정기박스와 등(燈)을 포함하는 등갓으로 조명기구를 구성하고, 이 조명기구를 승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는 건물의 벽체 또는 기둥에 마련한 기어박스로부터 천정을 통해 상기의 조명기구에 까지 연결한 체인기구로써 상기한 등을 오르내리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선고안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기어박스로부터 천정의 조명기구에 까지 체인기구를 사용해 연결하였는바, 체인(어태치먼트체인포함)과 체인기어등이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크다.
둘째, 체인은 작동시 소음이 많고, 또 자주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녹이슬거나 먼지가쌓이게 되면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셋째, 그 체인과 함께 전선을 배선하였던 관계로 제작이 어려우면서 사후관리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넷째, 체인은 연결되는 상, 하로는 방향전환이 자유로워도 좌, 우측편으로는 방향전환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현가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방향, 위치등에 구애를 받는다.
다섯째, 조명기구가 하강하게 될때 그 하강거리에 따른 전선길이의 보상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기 대문에 조명기구의 상부에 그리고 천정에 각각 전기 접점을 마련해 조명기구가 하강하면 접점이 떨어지고, 다시 조명기구가 상승하면 접점이 상접하도록 구성하였는바 이는 먼지가 많이 쌓이는 공장등에서 사용할 경우 접점이 노출되어 있기 대문에 스파크로 인한 화재의 염려가 있고, 특히 장기간 매달려 있으므로해서 체인이 인장되면 접점이 단락돼 사용불가능하게 된다.
여섯째, 조명기구를 승강시킬때 급작스런 낙하를 예방할 장치가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선고안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조명기구를 매달고, 또 승강시키기 위한 현가수단으로써 와이어 로우프를 사용하여 가격을 대폭 낮추고, 설치작업 및 유지, 보수가 간단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좌, 우 상, 하로 방향전환이 용이한 와이어로프용 로울러를 이용하므로써 현가장치의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상기한 와이어로우프와 함께 전선이 같이 움직이도록하여 전선을 조명기구에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또 한편으로는 안전장치를 두어 이 조명기구를 하강 및 상승시키는 조작시에 급격한 낙하사고가 예방되도록 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으로는 천정을 따라 배선하되 등간격으로 이동되는 한쌍의 와이어로우프와 그 사이에서 같이 이동되는 전선으로 이루어진채 그 선단에는 콘트롤박스와 램프와 등갓으로 이루어진 조명기구가 연결되고, 후단에는 연결핀에 의해 하나의 고리선으로 마무리된채 기어박스내로 이어질 견인줄과, 견인줄끝단의 고리선을 걸어줄 수 있은 걸이봉과, 그아래의 가이드봉과, 일측의 콘센트가 구비되며, 견인줄 보호용 수직닥트를 가지고, 그 아래로 핸들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셋트와 고리선이 감긴 그 축상의 로우프드럼으로 구비된 기어박스와, 상기한 기어박스로 부터 나간 견인줄을 수직으로 구비된 기어박스와, 상기한 기어박스로부터 나간 견인줄을 수직으로 안내하기 위한 한쌍의 상접한 로울러로 이루어진 협지기구와 멀리이동하는 상기 견인줄을 받쳐주기위해 양단의 와이어로우프홈과 중단의 전선홈을 갖는 받침로울러기구와, 상기의 견인줄을 상, 하방으로 방향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양단의 와이어로우프홈과 중단의 전선홈을 갖는 상하가이드기구와, 상기의 견인줄을 전,후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각선방향으로 양측의 와이어로우프로울러와, 그 사이의 전선용 핀로울러를 갖는 전후가이드기구와, 상기의 견인줄을 좌, 우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해 상하로 와이어로우프 로울러가 그 사이의 전선용 핀로울러를 갖는 좌우가이드기구들로 구성하여 상기의 기어박스내에 있은 로우프드럼을 회전시켰을때 각각의 가이드기구를 따라 배열된 견인줄을 늦추고, 당겨 조명기구를 승강시킬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개진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시설상태를 보인 전체도로서 건물은 기둥(b)과, 천정(a)과, 천정을 가로지르는 보(c)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한 일측의 기둥(b)에는 도면의 A부분에서 보듯이 기어박스(10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상방(기둥의 중간부분)에는 B부분에서 보듯이 협지기구(20)가 있으며, 그 기둥의 상단부에는 C부분에서 보듯이 상하가이드기구의 일종인 분할형의 상하가이드기구(30a)가 있고, 상기한 분할형 상하가이드기구(30a)로 부터 임의의 거리만큼 떨어진 보(C)의 아래에는 D, E부분에서 보듯이 상하가이드기구(30b)(30c)가 있다.
또한 상기한 상하가이드기구(30c)의 직상방에는 H부분에서 보듯이 보(C)의 측면에 전후가이드기구(40)가 있고, 그 뒷쪽에는 부분에서 보듯이 보(C)의 측면에 좌우가이드기구(50)가 있으며, 천정에는 J부분에서 보듯이 견인가이드기구(60)가 있고, 중간중간에는 F, K부분에서 보듯이 받침로울러기구(70a)(70b)가 있다.
이들 각부분의 특성을 보이기 위한 것이 제2도도면이며, 이를 참고로 각부분의 구성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서 볼 수 있은 견인줄(80)은 한쌍의 와이어로우프(81)와 그 사이에서 동일 간격을 유지할 전선(82)으로 이루어지며, 이 견인줄의 선단에는 연결핀(83)으로 이들의 끝단을 처리하고, 다시 이 연결핀으로부터 고리선(84)과 플러그(85)를 연결하며, 견인줄의 후단에는 차후에 설명하는바와 같이 조명기구(90)를 연결할 것이다.
A부분인 기어박스(100)는 정단면도인 제3도와 측단면도인 제4도를 통해 볼 수 있다.
박스의 내부 상측에 다수의 걸이봉(110)을 돌설하여 견인줄(80)의 고리선(84)을 걸어둘 수 있도록 하고, 그 직하방에는 상기한 걸이봉과 동일한 갯수로 가이드봉(120)을 돌설하여 견인줄이 늦추고 당겨질때 마찰이 없도록 하며, 이들 걸이봉과 가이드봉의 좌, 우양측으로는 다수의 콘센트(130)를 마련한다.
이들의 아래에는 제4도에서 보듯이 핸들(140)에 의해 회전하는 원동기어(150)와 그 아래에서 맞물려 돌아가는 종동기어(160)가 있어 종동기어(160)의 종동축(161)에는 드럼(170)이 축설되어 있어 끝에 걸고리(171)가 달린 로우프(172)가 감겨잇으며, 원동기어(150)의 원동축(151)에는 래칫기어(180)가 같이 축설되어 있고, 여기에는 래칫폴(181)이 있어 일방향으로는 회전이 억제된다.
이때, 상기한 걸이봉과 가이드봉과 콘센트의 수는 천정에 매달고자하는 조명기구의 수에 맞추어 구비되는 것이며, 드럼(170)의 로우프(172)는 하나의 견인줄(80)을 걸고리(171)로써 연결하여 하나씩 개별적으로 견인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B부분의 협지기구(20)는 제5도 및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어박스의 닥트(190)중단에서 견인줄(80)이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한 것으로 전후의 지지부재(21)사이에 한쌍씩의 협지로울러(22)를 축설하되 상기한 걸이봉(110)의 수만큼 축설한 것이다.
C부분의 상하가이드기구(30a)는 제7도의 정단면도와 측면도에서 보듯이 다수의 견인줄(80)을 좌반부와 우반부로 나누어 배열하기 위한 것이고, D부분의 상하가이드기구(30b)는 제8도의 정단면도와 측면도에서 보듯이 2열로 배열되고 있는 견인줄을 위한 것이며, G부분의 상하가이드기구(30d)는 제10도의 부분정단면도와 측면도에서 보듯이 1열로 배열되고 있는 견인줄을 위한 것이며, 이들은 3홈로울러(11)의 갯수가 견인줄에 따라 서로 따른 외에는 모두 대동소이 하다.
H부분의 전후가이드기구(40)는 제11도의 측단면도와 정단면도에서 보듯이 견인줄의 배열방향을 전, 후로 바꿀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각선방향으로 축설된 두개의 휠로울러(12)와 그 사이의 핀로울러(13)로 이루어지며, I부분의 좌우가이드기구(50)는 제12도의 평단면도와 정단면도에서 보듯이 견인줄의 배열방향을 좌, 우로 바꿀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 두개의 휠로울러(12)와 그 사이의 축에 끼운 받침판(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J부분의 견인가이드기구(60)는 제13도의 측단면도와 정단면도에서 보듯이 견인줄이 배열방향을 좌, 우로 바꿀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각선방향으로 축설된 두개의 휠로울러(12)와 그 사이의 핀로울러(13)로 이루어지며 하반부에는 견인줄이 통과하기에 적당한 15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고, 또 한편으로는 상기한 상하가이드기구(30d)를 견인기구로 사용할 수도 있다.
F, K부분의 받침로울러기구(70a)(70b)는 제14도의 양쪽 사시도에서 보듯이 지나가는 견인줄이 길어서 처질 염려가 있을때 그 견인줄의 수량에 맞추어서 아이들로울러(16)의 는 3홈로울러(11)와 같은 형태이다.
상기한 기어박스(100)의 걸이봉(110)에 고리선(84)이 걸린 견인줄(80)이 상기의 협지기구(20)와, 상하가이드기구(30a)와, 받침로울러기구(70b)와, 전후가이드기구(40)와, 좌우가이드기구(50)와, 견인가이드기구(60)를 통해 배열된후, 천정의 아래로 내려지면 이 견인줄(80)에 조명기구(90)가 취부되는데 이는 제15도에서 보듯이 마감구(91)로써 와이어로우프(81)를 묶고 전선(82)은 그 아래의 파이프(92)를 통해 콘트롤박스(93)로 이어지고, 콘트롤박스(93)의 아래에는 하나 이상의 조명등(94)이 부착된다.
제3도 및 제4도 도면중 미설명부호 109는 전기배선용 기기이고, 제6도의 미설명부호 23은 협지로울러용 축이며, 제7도 도면중 미설명부호 16은 보울트이다.
다음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설치에 대해 설명한다.
견인줄(80)과, 기어박스(100)내의 걸이봉(110)과 가이드봉(120), 콘센트(130)를 설치하고자 하는 조명기구의 수량에 맞게 준비한후(제1도 도면에서는 조명기구를 6셋트설치하는 예이며, 이는 더 증감될 수 있는 것임), 기어박스의 닥트(190)를 통해 수직배열하고, 이후 상하가이드기구(30)를 써서 좌반부와 우반부로 나누어 배열하며, 각각의 중간과정은 상기 구성에서 언급한 상하가이드기구(30a), 견인가이드기구(70), 전후가이드기구(40) 그리고, 좌우가이드기구(50) 및 견인가이드기구(60)를 써서 적당한 위치까지 배열한후 조명기구(90)를 현가시키되 그중 하나만을 보인것이 제2도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장치가 설치 완료되고 조명기구(90)를 하강시키고자 할때는 먼저 제3도에서 볼 수 있는 견인줄(80)줄 중에서 해당 고리선(84)을 걸이봉(110)으로 부터 빼내 드럼(170)에 감긴 로우프(172) 끝단의 걸고리(171)에 걸어주고 85를 콘센트(130)로 부터 빼준다.
이후 핸들(140)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원동기어(150)와 종동기어(160)가 맞물린 원동축(151)과 종동축(161)은 각각 반대로 외전하여 드럼(170)의 로우프(172)가 늦추어지는데 이는 가이드봉(120)에 접한채 늦추어지므로 로우프가 상하지 않고, 무리없이 이동되는 것이며, 단지 이때는 래칫기어(180)에 접해있는 래칫폴(181)을 들어올리고 핸들을 들려야 할 것이다.
이와같이 하면 견인줄(80)이 늦추어지므로 중간의 배열과정을 거쳐 조명기구(90)가 바닥가까이로 하강하게 되며,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후에는 다시 상승시켜야 하는데 이때는 앞서와 반대로 핸들을 시계방향으로 돌려 드럼(170)의 로우프(172)를 감아준다.
다시말해서 핸들(140)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드럼(17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로우프(172)를 감을 수 있는 것이며, 원래의 위치로 상승되었으면 다시 견인줄의 고리선(84)을 걸이봉(110)에 걸고 플러그(85)를 콘센트(130)에 꽂아주면 점등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안전장치에 의해 원하지 않는 조명기구의 하강은 방지된다. 즉, 견인줄을 늦추고 당기는 과정에서 만에 하나 핸들(140)을 놓쳤다 하더라도 원동축(151)에는 래칫기어(180)가 축설되어 있고, 또 그 래칫폴(181)이 있기 때문에 로우프(172)를 늦추는 방향으로는 회전이 항상 억제되어 조명기구가 떨어지지 않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제16도 내지 제18도에서와 같이 달리 실시할 수도 있다.
이는 벽체의 상부 혹은 기둥의 상부에 조명기구(90)를 설치할때 사용하는 예로써 기어박스(100)내의 원동축(151)을 핸들(140)로 돌리고, 원동축(151)과 종동축(161)은 각각 원동기어(150) 및 종동기어(160)로 맞물려 회전하며, 이들의 상측에 걸이봉(110)이 있고, 콘센트(130)가 있는 것은 앞서의 실시예와 같으며, 단지 기어박스(100)의 위로 설치된 닥트(190)의 앞부분을 절개하여 그 양쪽이 191이 되게 하고, 여기에는 좌, 우측 두쌍의 192가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구름이동하도록한 브라켓트(193)를 설치한후, 여기에 조명기구(90)를 부착하여 중간의 가이드과정없이 상기한 드럼(170)이 견인줄(80)을 늦추고, 당김에 의해 조명기구(90)가 직접 승강하도록 하여서 된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제19도 및 제20도에서와 같이 달리 실시할 수도 있다.
이는 천정에 보(C)가 없이 단조로운 실내에 설치하기 알맞으며, 제20도에서 보듯이 아이들로울러(16)가 필요한 수량만큼 축착된 받침로울러기구(70c)를 위치에 따라 사용하면 앞서와 같은 상하가이드기구(30a), 전후가이드기구(40) 그리고, 좌우가이드기구(50)를 생략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현가수단으로 와이어로우프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매우 설치비용이 저렴해질 수 있으며, 소음이 없고, 장기간 경과후에 작동시켜도 무리가 없이 원할하게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견인줄을 배열하고자 사용하는 유도수단이 받침로울러기구, 전후가이드기구, 좌우가이드기구, 현가기구등이 3홈로울러 및 휠로울러, 아이들로울러 등 로울러로만 이루어져 제작이 쉬우면서 상하, 좌우, 전후방향에 관계없이 유도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어박스와 조명기구의 설치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특히 보가 많은 천정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전선이 전선이 견인줄을 따라 직접 조명기구의 콘트롤박스까지 연결되므로 안전한 배선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좋으며, 무엇보다도 래칫과 래칫폴에 의한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어 조명기구를 낙하시키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천정을 따라 배선하되 등간격으로 이동되는 한쌍의 와이어로우프와 그 사이에서 같이 이동되는 전선으로 이루어진채 그 선단에는 콘트롤박스와 등으로 이루어진 조명기구가 연결되고, 후단에는 플러그를 갖고, 연결핀에 의해 하나의 고리선으로 마무리된채 기어박스내로 이어질 견인줄과; 견인줄 끝단의 고리선을 걸어줄 수 있는 걸이봉과, 그아래의 가이드봉과, 일측의 콘센트가 구비되며, 견인줄 보호용 수직닥트를 가지고, 그 아래로 핸들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셋트와 고리선이 감긴 그 축상의 로우프드럼으로 구비된 기어박스와; 상기한 기어박스로 부터 나간 견인줄을 수직으로 안내하기 위한 한쌍 이상의 상접한 협지로울러를 이루어진 협지기구와; 멀리이동하는 상기 견인줄을 받쳐주기위해 아이들로울러를 갖는 받침로울러기구와; 상기의 견인줄을 상, 하방으로 방향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양단의 와이어로우프홈과 중단의 전선홈으로 이루어진 3홈로울러를 갖는 상하가이드기구와; 상기의 견이줄을 전, 후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각선방향으로 양측의 휠로울러와, 그 사이의 전선용 핀로울러를 갖는 전후가이드기구와; 상기의 견인줄을 좌, 우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해 상하로 휠로울러와 그 사이의 전선용 핀로울러를 갖는 좌우가이드기구와; 상기의 기어박스내에 있는 로우프드럼을 회전시켰을때 각각의 가이드기구를 따라 배열된 견인줄을 늦추고, 당겨 조명기구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등의 승강장치.
  2. 상기한 수직닥트의 앞쪽을 수직으로 절개 개방하여 그 양쪽이 가이드레일이 되게 하고, 좌, 우측 두쌍의 바퀴가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구름이동하도록한 브라켓트에 조명기구를 부착하여 상기한 로우프드럼이 견인줄을 늦추고, 당김에 의해 승강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등의 승강장치.
KR2019940017848U 1994-07-19 1994-07-19 현등의 승강장치 KR01176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848U KR0117691Y1 (ko) 1994-07-19 1994-07-19 현등의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848U KR0117691Y1 (ko) 1994-07-19 1994-07-19 현등의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659U KR960005659U (ko) 1996-02-17
KR0117691Y1 true KR0117691Y1 (ko) 1998-07-15

Family

ID=1938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7848U KR0117691Y1 (ko) 1994-07-19 1994-07-19 현등의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6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016B1 (ko) * 2006-07-27 2006-11-23 (주)대호테크 대형공장의 냉난방 공간 축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016B1 (ko) * 2006-07-27 2006-11-23 (주)대호테크 대형공장의 냉난방 공간 축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659U (ko) 199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3032B (zh) 高處安裝設備用之升降裝置
TWI618888B (zh) 照明昇降裝置
US2907872A (en) Fluorescent lighting fixture
KR101416795B1 (ko) 연등 리프팅 장치
CN201475827U (zh) 一种升降灯
KR101566326B1 (ko)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KR0117691Y1 (ko) 현등의 승강장치
US20050104053A1 (en) Self-climbing stage light support
US3035804A (en) Fluorescent lighting fixture
US3409262A (en) Suspension system for lighting fixtures
KR100865942B1 (ko) 공동주택의 공용 조명기형 제어반
KR102096005B1 (ko) 와이어를 통하여 복수의 엘이디램프가 공간상에 지지되는 입체조명시스템의 유지보수 방법
KR200298347Y1 (ko) 무대 조명장치
KR100989152B1 (ko) 등기구 견인장치
JPS6011527Y2 (ja) 大型シヤンデリアの吊下げ構造
KR101585395B1 (ko) 벽부 승강 안전 조명시스템
RU201111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вески светильников
KR102601033B1 (ko) 야외 공간에 설치되는 입체 조명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JPH0527769Y2 (ko)
KR200279565Y1 (ko) 조명등 승강 장치
KR100507764B1 (ko) 조명등지지구 자동조절장치
RU10428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вески светильника
CN219738416U (zh) 一种吊挂形指示牌
JP4292114B2 (ja) 演出空間用給電装置および給電方法
KR101213433B1 (ko) 라이트 브릿지용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