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703B1 -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6703B1 KR101796703B1 KR1020170083881A KR20170083881A KR101796703B1 KR 101796703 B1 KR101796703 B1 KR 101796703B1 KR 1020170083881 A KR1020170083881 A KR 1020170083881A KR 20170083881 A KR20170083881 A KR 20170083881A KR 101796703 B1 KR101796703 B1 KR 1017967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tribution line
- underground
- bending panel
- panel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4—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surface ducts; Ducts or covers therefo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02G9/065—Longitudinally split tubes or conduits therefo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에 따르면, 배전함의 지지플레이트에 지중배전선 억류부와 지중배전선 연결부 및 스위치부, 제어부, 컴프레셔를 마련하여 줌으로서, 지중배전선을 쉽고 간편 고정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고, 설치작업이 비교적 쉽고 간편하여 넓은 지역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줄 수 있어 작업이 상당히 편리하고, 배전선이 설정치 이상 하부로 이동되면 작업자의 작업 없이 승강부의 구동에 의해 배전선을 지지하는 거치파이프 및 연결봉이 상승되면서 배전선이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하여 하부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함의 지지플레이트에 지중배전선 억류부와 지중배전선 연결부 및 스위치부, 제어부, 컴프레셔를 마련하여 줌으로서, 지중배전선을 쉽고 간편 고정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고, 설치작업이 비교적 쉽고 간편하여 넓은 지역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줄 수 있어 작업이 상당히 편리하고, 배전선이 설정치 이상 하부로 이동되면 작업자의 작업 없이 승강부의 구동에 의해 배전선을 지지하는 거치파이프 및 연결봉이 상승되면서 배전선이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하여 하부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송전선로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내 주게 된다.
상기 변전소는 대체로 지상에 설비되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의 경우 고압의 전류를 이송시켜 주어야 하는바 고압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고, 외부로 노출된 고압전선은 외부간섭으로 인한 누전 및 합선이 유발되기 쉬우며, 어지럽게 가설된 고압전선으로 인해 주변의 경관을 해치 등의 문제가 있어 지하에 고압전선을 설치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지하에 고압의 전선을 설치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아 외부간섭에 따른 문제 및 주변경관 해치는 등의 문제는 해소되었지만, 이를 지상에 설치된 배전함에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중에 매설된 전선을 인출하여 배선 연결하기가 상당히 힘들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지중전선을 마땅히 고정할 만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배전함에 직접 연결할 경우 자중을 이기지 못한 지중전선이 지중관의 내부로 낙하되어 연결상태(고정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전원을 필요로 하는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 전기를 공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전함의 지지플레이트에 지중배전선 억류부와 지중배전선 연결부 및 스위치부, 제어부, 컴프레셔를 마련하여 줌으로서, 지중배전선을 쉽고 간편 고정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고, 설치작업이 비교적 쉽고 간편하여 넓은 지역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줄 수 있어 작업이 상당히 편리하고, 배전선이 설정치 이상 하부로 이동되면 작업자의 작업 없이 승강부의 구동에 의해 배전선을 지지하는 거치파이프 및 연결봉이 상승되면서 배전선이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하여 하부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는 일측으로 개구되되, 개구된 내측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등 간격을 이루며 공간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장착공이 구비된 도넛형상의 억류부바디와; 공간부에 형성되되, 장착공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한 쌍을 이루는 탄성재질의 가압링억류부재와; 가압링억류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가압링과; 억류부바디의 개구부를 밀폐하고, 전체적으로 원형관 형상을 이루는 가요성 및 탄성 재질의 팽창부재와; 일측이 장착공에 설치되고, 타측이 컴프레셔에 설치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지중배전선 억류부와;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형홈을 갖추고서, 지중배전선의 외면에 설치되어, 지중배전선 억류부의 팽창부재 또는 가압링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지중배전선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중배전선 억류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배전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중앙부를 향해 길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지지대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 벽에 수직방향으로 긴 수직장공부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장대; 한 쌍의 상기 연장대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수직장공부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에 걸림판이 형성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의 타단에 설치되고 지중배전선 억류부를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지중배전선이 통과되는 거치파이프;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연장대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지중배전선 연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중배전선 억류부의 상면에 설치되고, 지중배전선에 의해 동작되어,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와, 스위치부에 인접배치되고, 스위치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컴프레셔로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지중배전선 억류부의 연결부재에 에어를 공급하는 컴프레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에 따르면, 배전함의 지지플레이트에 지중배전선 억류부와 지중배전선 연결부 및 스위치부, 제어부, 컴프레셔를 마련하여 줌으로서, 지중배전선을 쉽고 간편 고정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고, 설치작업이 비교적 쉽고 간편하여 넓은 지역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줄 수 있어 작업이 상당히 편리하고, 배전선이 설정치 이상 하부로 이동되면 작업자의 작업 없이 승강부의 구동에 의해 배전선을 지지하는 거치파이프 및 연결봉이 상승되면서 배전선이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하여 하부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의 순차적인 설치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을 구성하는 배기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을 이루는 늘어짐을 방지하는 배전선 연결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을 이루는 늘어짐을 방지하는 배전선 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을 이루는 늘어짐을 방지하는 배전선 연결장치의 제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을 이루는 늘어짐을 방지하는 배전선 연결장치의 거치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의 순차적인 설치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을 구성하는 배기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을 이루는 늘어짐을 방지하는 배전선 연결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을 이루는 늘어짐을 방지하는 배전선 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을 이루는 늘어짐을 방지하는 배전선 연결장치의 제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을 이루는 늘어짐을 방지하는 배전선 연결장치의 거치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접속인자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중관(2)과 상호 연통되는 배전함(1)의 지지플레이트(1-1) 상면에 얹혀져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지중배전선 억류부(10)와, 지중배전선 억류부(10)의 내측에 의해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중배전선 연결부(20)와, 지중배전선 억류부(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지중배전선(L)에 의해 동작되어, 제어부(4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30)와, 스위치부(30)에 인접배치되고, 스위치부(3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컴프레셔(50)로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와, 제어부(40)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지중배전선 억류부(10)의 연결부재(15)에 에어를 공급하는 컴프레셔(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중배전선 억류부(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으로 개구되되, 개구된 내측에는 공간부(11a)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등 간격을 이루며 공간부(11a)와 연통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장착공(11b)이 구비된 도넛형상의 억류부바디(11)와, 공간부(11a)에 형성되되, 장착공(11b)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한 쌍을 이루는 탄성재질의 가압링억류부재(12)와, 가압링억류부재(12)에 의해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가압링(13)과, 억류부바디(11)의 개구부를 밀폐하고, 전체적으로 원형관 형상을 이루는 가요성 및 탄성 재질의 팽창부재(14)와, 일측이 장착공(11b)에 설치되고, 타측이 컴프레셔(50)에 설치되는 연결부재(15)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1)의 상면에 얹혀져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억류부바디(11)는, 전체적인 형상이 도넛형상(또는 중절모형상)을 이루되, 상부 외주면에는 돌편(미도시)이 마련되어 체결부재를 매개로 지지플레이트(1-1)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억류부바디(11)의 개구부 말단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고정부(11c)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11c)로 팽창부재(14)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삽입되어 열 융착되므로서 고정된다.
특히, 상기 억류부바디(11)의 개구부에 마련된 고정부(11c)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가압링(13)이 지중배전선 연결부(20)의 환형홈(21)으로 정확하게 유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공간부(11a)와 상호 연통되는 장착공(11b)의 경우 수직축을 중심으로 120ㅀ각도로 형성되며, 장착공(11b)이 형성된 부분에는 장착공(11b)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한 쌍을 이루는 탄성재질의 가압링 억류부재(13)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팽창부재(14)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요성 및 탄성 재질에 전체적으로 원형관 형상을 이룬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팽창부재(14)는 연결부재(15)를 통해 유입된 컴프레셔(50)의 에어에 의해 팽창하게 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에어(Air)가 억류부바디(11)의 공간부(11a)로 유입되면, 팽창부재(14)는 유입된 에어에 의해 팽창하게 되고, 팽창과정에 지중배전선 연결부(20)의 환형홈(21)에 맞닿게 되면, 환형홈(21)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되면서 지중배전선 연결부(20)의 둘레면을 강하게 압박해서 고정한다.
상기 연결부(20)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형홈(21)이 형성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중배전선(L)의 외면에 설치되어, 지중배전선 억류부(10)의 가압링(13) 또는 팽창부재(14)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지중배전선 억류부(10)의 상면에는 공지의 리밋스위치(limit switch)인 스위치부(30)가 설치되는데, 상기 스위치부(30)는 지중배전선 억류부(10)의 상면에 설치되되,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하로 관통된 부분을 상방향으로 통과하는 지중배전선(L)에 의해 동작되고, 이때 발생되는 감지신호가 제어부(40)로 출력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스위치부(3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컴프레셔(50)로 동작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컴프레셔(50)는 제어부(40)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작동되어 에어(Air)를 만들어 지중배전선 억류부(10)에 에어(Air)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에어(Air)를 지중배전선 억류부(10)에 무한정 공급하게 되면, 지중배전선 억류부(10)의 팽창부재(14)가 터질 수 있기 때문에, 공간부(11a)의 내측에는 압력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공급량을 제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둘레면에 지중배전선 연결부(20)가 장착된 지중배전선(L)을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배전함(1)의 지지플레이트(1-1)에 설치된 지중배전선 억류부(10)의 중앙에 마련된 구멍으로 지중배전선(L)을 밀어 넣어 준다.
그리고, 좀 더 강하게 상방향으로 밀어 넣게 되면, 구멍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된 스위치부(30)가 지중배전선(L)의 외면에 맞닿아 상측으로 젖혀져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출력된 감지신호는 제어부(40)로 전달되게 된다.
상기 스위치부(3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40)는 동작신호를 컴프레셔(5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4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은 컴프레셔(50)는 마침내 작동되어 에어(Air)를 생산하게 되며, 생산된 에어(Air)는 연결부재(15)를 통해 지중배전선 억류부(10)로 전달된다.
상기 연결부재(15)를 통해 유입된 에어(Air)는 가압링억류부재(12)에 고정된 가압링(13)을 향해 분사되는데, 이때 가압링(13)을 고정하고 있던 가압링억류부재(12)는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강한 에어(Air)를 견디지 못하고 서서히 벌어지다가 어느 순간 가압링(13)을 파지하고 있던 한 쌍의 편이 좌우로 벌어지면서 고정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해제된 가압링(13)은 순간적으로 튀어나감과 동시에 탄성 복원되어져 고정부(11c)에 마련된 경사면(미도시)을 따라 미끄러지듯 이동되고, 이동된 가압링(13)은 지중배전선 연결부(20)의 환형홈(21)에 둘레면과 팽창부재(14)를 감싸면서 압박고정하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가압링(13)에 의해 지중배전선 연결부(20)을 고정함과 동시에 에어(Air)에 의해 팽창된 팽창부재(14)가 환형홈(21)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면서 지중배전선 연결부(20)을 고정하는 2중 고정방식을 채택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둘 중 하나의 방법만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지중배전선(L)을 배전반(1)에 배선 연결하면 그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배전함(1)의 지지플레이트(1-1)에 지중배전선 억류부(10)와 지중배전선 연결부(20) 및 스위치부(30), 제어부(40), 컴프레셔(50)를 마련하여 줌으로서, 지중배전선을 쉽고 간편 고정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이 비교적 쉽고 간편하여 넓은 지역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줄 수 있어 작업이 상당히 편리하다.
아울러,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배전반(1)에는 함체에 역류방지밸브(200)가 복수로 구비된다.
각각의 역류방지밸브(200)의 내측에 배기팬(250)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역류방지밸브(200)의 구조는 다양하게 시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회전축(210)에 의해 회전 가능한 차단판(230)이 약간 경사진 상태로 배기구를 차단하고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였다.
이는 공지의 체크밸브와 유사한 기술적 구성을 갖는 것이며, 이로 인해 차단판(230) 자체 하중에 의해 배기구를 막고 있는 상태이므로, 배전반(1) 내부의 공기압력이 외부 공기압력보다 높아져 상기 차단판(230)의 하중을 이기게 되면 그때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기팬(250)이 작동하게 되면 배전반(1) 내부의 공기가 배기구로 유입되면서, 역류방지밸브(200)의 차단판(230)을 밀어내어 외부로 배출되며, 배기팬(250)의 작동이 중지되면, 차단판(230) 자체 하중에 의해 배기구를 막게 되므로, 외부 공기는 배전반(1)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분진센서 등을 통하여 배전반(1) 내에 이물질이 감지되면 배기팬(250)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배전반(1)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먼지 등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이물질로 인한 전기적 합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기팬(250)은 배전반(1)의 상/하/좌/우에 각각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배전반(1) 내부의 이물질 배출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중배전선 억류부(10)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배전반(1)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중앙부를 향해 길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지지대(310, 350)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 벽에 수직방향으로 긴 수직장공부(430)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장대(410), 한 쌍의 상기 연장대(410)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수직장공부(430)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480), 상기 이동블록(480)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에 걸림판(495)이 형성되는 연결봉(490), 상기 연결봉(490)의 타단에 설치되고 지중배전선 억류부(10)를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지중배전선(L)이 통과되는 거치파이프(700), 상기 이동블록(480)을 상기 연장대(410)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부(510)를 포함하는 지중배전선 연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라이딩블록의 양단부에는 모터(520)의 출력축(523)이 각각 돌출되어 한 쌍의 연장대(410) 내부로 삽입되고, 출력축(523) 단부에 설치되는 피니언(530)은, 연장대(410) 내벽에 설치되는 랙부(540)와 기어 연결되어 이동블록(480)이 한 쌍의 연장대(410) 사이의 간격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승강부(510)는, 이동블록(480) 내부에 설치되고 양측 방향으로 한 쌍의 출력축(523)이 돌출되는 모터(520)와, 모터(520)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출력축(523)에 각각 설치되는 피니언(530)과, 한 쌍의 연장대(410) 내부에 설치되고, 피니언(530)이 기어 연결되며, 수직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랙부(540)를 포함한다.
수평지지대(310, 350) 및 연장대(410)를 따라 연장되는 전원선이 이동블록(480) 내부로 삽입되어 모터(520)에 연결되고, 전원선이 제동부(60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면 모터(520)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530)의 회전되면서 이동블록(480)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지중배전선(L)이 하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동블록(480)의 작동이 종료되면 제동부(600)의 작동에 의해 출력축(523)의 회전이 구속되어 이동블록(480)이 승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동부(600)는, 출력축(523)에 설치되고 제동홈부(527)가 형성되는 브레이크드럼(525)과, 제동홈부(527) 측으로 돌출되는 로드(610)를 구비하고 이동블록(480)에 설치되는 실린더(610)를 포함한다.
따라서 모터(520)의 구동이 종료된 후에 제어부(40)로부터 송신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실린더(610)로부터 로드(610)가 돌출되면 로드(610) 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면(630)이 제동홈부(527)에 삽입되면서 출력축(523)의 회전운동을 구속하게 되므로 피니언(530)과 랙부(540) 사이의 기어연결에 의해 이동블록(480)이 연장대(41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거치파이프(700)는, 연장대(410)가 걸림결합되도록 관통홀부(723) 및 걸림홈부(765)가 형성되는 제1굴곡패널(720)과, 제1굴곡패널(7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굴곡패널(720)과 결합되어 지중배전선(L)을 지지하는 제2굴곡패널(740)과, 제1굴곡패널(720)과 제2굴곡패널(740)의 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760)를 포함한다.
거치파이프(700)는, 반원모양의 단면을 이루는 제1굴곡패널(720)과, 제2굴곡패널(740)의 일측 단부는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굴곡패널(720)과 제2굴곡패널(740)의 타측 단부는 착탈부(76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착탈부(760)을 해제하여 제1굴곡패널(720)과 제2굴곡패널(740)의 타측 단부를 개구시킨 후에 지중배전선(L)을 삽입하고, 착탈부(760)를 결합하여 제1굴곡패널(720)과 제2굴곡패널(740)의 타측 단부를 결합시키면 지중배전선(L)이 거치파이프(700)와 연결봉(490)에 의해 지지된다.
착탈부(760)는, 제1굴곡패널(720) 및 제2굴곡패널(740)의 타측 단부에서 돌출되는 후크부재(763)와, 후크부재(763)에 대향되도록 제1굴곡패널 및 제2굴곡패널(74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잠금홈부(765)를 포함한다.
따라서 지중배전선(L)을 거치시킬 때에 제1굴곡패널(720)과 제2굴곡패널(740)을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제1굴곡패널(7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홀부(763)에 연결봉(490)을 삽입하여 연결봉(490)과 거치파이프(700)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봉(490)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판(495)은 관통홀부(763)와 비교하여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고, 관통홀부(763) 주변에 형성되는 걸림홈부(765)에 걸림판(495)이 안착되어 거치파이프(700)이 연결봉(49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배전반(1)에 삽입되어 배선되는 지중배전선(L)이 하부로 낙하하려 하면 작업자의 작업 없이 승강부의 구동에 의해 배전선을 지지하는 거치파이프 및 연결봉이 상승되면서 배전선이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늘어짐을 방지하는 배전선 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배전함 2: 지중관
10: 지중배전선 억류부 11: 억류부바디
12: 가압류억류부재 13: 가압링
14: 팽창부재 20: 지중배전선 연결부
21: 환형홈 30: 스위치부
40: 제어부 50: 컴프레셔
10: 지중배전선 억류부 11: 억류부바디
12: 가압류억류부재 13: 가압링
14: 팽창부재 20: 지중배전선 연결부
21: 환형홈 30: 스위치부
40: 제어부 50: 컴프레셔
Claims (3)
- 일측으로 개구되되, 개구된 내측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등 간격을 이루며 공간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장착공이 구비된 도넛형상의 억류부바디와; 공간부에 형성되되, 장착공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한 쌍을 이루는 탄성재질의 가압링억류부재와; 가압링억류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가압링과; 억류부바디의 개구부를 밀폐하고, 전체적으로 원형관 형상을 이루는 가요성 및 탄성 재질의 팽창부재와; 일측이 장착공에 설치되고, 타측이 컴프레셔에 설치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지중배전선 억류부와;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형홈을 갖추고서, 지중배전선의 외면에 설치되어, 지중배전선 억류부의 팽창부재 또는 가압링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지중배전선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중배전선 억류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배전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중앙부를 향해 길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지지대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 벽에 수직방향으로 긴 수직장공부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장대; 한 쌍의 상기 연장대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수직장공부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에 걸림판이 형성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의 타단에 설치되고 지중배전선 억류부를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지중배전선이 통과되는 거치파이프;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연장대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지중배전선 연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중배전선 억류부의 상면에 설치되고, 지중배전선에 의해 동작되어,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와, 스위치부에 인접배치되고, 스위치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컴프레셔로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지중배전선 억류부의 연결부재에 에어를 공급하는 컴프레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슬라이딩블록의 양단부에는 모터의 출력축이 각각 돌출되어 한 쌍의 연장대 내부로 삽입되고, 출력축 단부에 설치되는 피니언은, 연장대 내벽에 설치되는 랙부와 기어 연결되어 이동블록이 한 쌍의 연장대 사이의 간격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부는, 이동블록 내부에 설치되고 양측 방향으로 한 쌍의 출력축이 돌출되는 모터와, 모터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출력축에 각각 설치되는 피니언과, 한 쌍의 연장대 내부에 설치되고, 피니언이 기어 연결되며, 수직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랙부를 포함하며;
수평지지대 및 연장대를 따라 연장되는 전원선이 이동블록 내부로 삽입되어 모터에 연결되고, 전원선이 제동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이 회전되면서 이동블록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지중배전선이 하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동블록의 작동이 종료되면 제동부의 작동에 의해 출력축의 회전이 구속되어 이동블록이 승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제동부는 출력축에 설치되고 제동홈부가 형성되는 브레이크드럼과, 제동홈부 측으로 돌출되는 로드를 구비하고 이동블록에 설치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모터의 구동이 종료된 후에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실린더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로드 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면이 제동홈부에 삽입되면서 출력축의 회전운동을 구속하게 되므로 피니언과 랙부 사이의 기어연결에 의해 이동블록이 연장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거치파이프는 연장대가 걸림결합되도록 관통홀부 및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제1굴곡패널과, 제1굴곡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굴곡패널과 결합되어 지중배전선을 지지하는 제2굴곡패널과, 제1굴곡패널과 제2굴곡패널의 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를 포함하며;
거치파이프는 반원모양의 단면을 이루는 제1굴곡패널과, 제2굴곡패널의 일측 단부는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굴곡패널과 제2굴곡패널의 타측 단부는 착탈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착탈부를 해제하여 제1굴곡패널과 제2굴곡패널의 타측 단부를 개구시킨 후에 지중배전선을 삽입하고, 착탈부를 결합하여 제1굴곡패널과 제2굴곡패널의 타측 단부를 결합시키면 지중배전선이 거치파이프와 연결봉에 의해 지지되며;
착탈부는 제1굴곡패널 및 제2굴곡패널의 타측 단부에서 돌출되는 후크부재와, 후크부재에 대향되도록 제1굴곡패널 및 제2굴곡패널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잠금홈부를 포함하며;
지중배전선을 거치시킬 때에 제1굴곡패널과 제2굴곡패널을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제1굴곡패널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홀부에 연결봉을 삽입하여 연결봉과 거치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게 되며;
연결봉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판은 관통홀부와 비교하여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고, 관통홀부 주변에 형성되는 걸림홈부에 걸림판이 안착되어 거치파이프가 연결봉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배전반에 삽입되어 배선되는 지중배전선이 하부로 낙하하려 하면 작업자의 작업 없이 승강부의 구동에 의해 배전선을 지지하는 거치파이프 및 연결봉이 상승되면서 배전선이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3881A KR101796703B1 (ko) | 2017-06-30 | 2017-06-30 |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3881A KR101796703B1 (ko) | 2017-06-30 | 2017-06-30 |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6703B1 true KR101796703B1 (ko) | 2017-11-10 |
Family
ID=6038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3881A KR101796703B1 (ko) | 2017-06-30 | 2017-06-30 |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670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6297B1 (ko) * | 2018-12-21 | 2019-08-29 | (주)한울이엔지 | 고압차단기의 케이블 연결장치 |
KR102313346B1 (ko) * | 2021-01-29 | 2021-10-15 | 주식회사 강남엔지니어링 |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단자 |
KR102394385B1 (ko) | 2021-06-17 | 2022-05-04 | 주식회사 세명기술단 |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2146B1 (ko) * | 2010-05-07 | 2010-11-05 | (주)서해전기 |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 |
KR101352072B1 (ko) * | 2013-11-13 | 2014-01-15 | 양정모 | 배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금 |
-
2017
- 2017-06-30 KR KR1020170083881A patent/KR10179670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2146B1 (ko) * | 2010-05-07 | 2010-11-05 | (주)서해전기 |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 |
KR101352072B1 (ko) * | 2013-11-13 | 2014-01-15 | 양정모 | 배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금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6297B1 (ko) * | 2018-12-21 | 2019-08-29 | (주)한울이엔지 | 고압차단기의 케이블 연결장치 |
KR102313346B1 (ko) * | 2021-01-29 | 2021-10-15 | 주식회사 강남엔지니어링 |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단자 |
KR102394385B1 (ko) | 2021-06-17 | 2022-05-04 | 주식회사 세명기술단 |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6703B1 (ko) |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 | |
KR101504986B1 (ko) | 가공배전선로의 전선 스페이서장치 | |
NL2020715B1 (en) | Electrically-driven window shade and its actuating mechanism | |
KR101592525B1 (ko) |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 |
US9376857B1 (en) | Vent cover system | |
KR101995483B1 (ko) | 지중 전선 보호관 구조물 | |
KR101629730B1 (ko) |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 | |
KR20190020599A (ko) | 케이블이 내장되어 있는 cctv 승강식 브라켓 구조체 | |
CN208753746U (zh) | 一种智能可移动环网柜 | |
CN110926213A (zh) | 一种无线遥控自动翻盖真空炉 | |
US20120305731A1 (en) | Fixture hoist and retractable ceiling fixture incorporating the same | |
US7189047B2 (en) | Apparatus for moving a battery | |
KR101484698B1 (ko) | 중량물 교체용 인양장치 | |
KR20120038861A (ko) | 도장장치 | |
KR102316792B1 (ko) | 공연장에 설치되는 조립용 브래킷을 이용한 조명 플라이 덕트 | |
CN215185089U (zh) | 一种便于安装内部电气元件的电气控制柜 | |
KR100820731B1 (ko) | 공동주택의 복도설치용 전기조명기구 | |
CN209071163U (zh) | 一种防水工业遥控器 | |
CN208638835U (zh) | 电气控制操作装置及电气控制操作系统 | |
KR100992146B1 (ko) |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 | |
CN114142421B (zh) | 水厂施工新供电结构 | |
KR102624109B1 (ko) | 신속한 화재발생확인이 용이한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 |
CN210034945U (zh) | 一种电子和机械双限位电动吊架 | |
TWI509179B (zh) | 用於懸吊式天花板系統之架空電氣裝置的易通達控制面板 | |
KR200390320Y1 (ko) | 전원공급기를 갖는 고소 승하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