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861A - 도장장치 - Google Patents

도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861A
KR20120038861A KR1020100100549A KR20100100549A KR20120038861A KR 20120038861 A KR20120038861 A KR 20120038861A KR 1020100100549 A KR1020100100549 A KR 1020100100549A KR 20100100549 A KR20100100549 A KR 20100100549A KR 20120038861 A KR20120038861 A KR 20120038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ortion
circumferential surface
gear
seating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중
Original Assignee
(주)나래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래플랜 filed Critical (주)나래플랜
Priority to KR1020100100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8861A/ko
Publication of KR20120038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3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the movement of the objects being a combination of rotation and linea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도장장치를 통하여 작업자가 제어부의 조작을 통해 도장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승/하강 및 좌/우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을 시키면서 상기 대상물의 도장을 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세척장치를 통하여 도장에 사용되는 도료에 의하여 이물질이 발생하거나 장치에 손상이 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는 하부가 지면에 지지 고정되되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게 베어링이 구비된 지지몸체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 둘레에 제1 기어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원기둥 형상으로 하향되게 연장형성되되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와 결합되는 연결축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개방공이 형성된 관 형상의 삽입관이 돌출형성된 기어몸체로 이루어진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되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하여 신장/신축 가능한 실린더 축이 내측에 구비된 실린더 몸체와 상기 실린더 축의 상부에서 연장 형성된 기둥으로 이루어진 실린더 및 상기 기둥과 암수형태로 결합되는 끼움관과 상기 끼움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안착판이 구비된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상부와 결합되도록 하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하향되게 흐름판이 구비되고 내주면 일측에는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된 사각함 형상의 세척통 및 상기 세척통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 직수를 제공하되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수관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수관에서 제공된 직수를 다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관이 구비된 세척부재 및 상기 세척부재의 상부와 결합되며 상/하부가 천공되되 사각틀 형상을 갖는 안착몸체와 상기 안착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되 대상물이 안착되는 그물망이 구비되는 안착부재로 이루어진 거치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일측에는 다수개의 결합수단이 구비된 함 형상의 제어몸체 및 상기 제어몸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되 일측에 제2 기어가 구비된 모터부재, 상기 제어몸체와 연결되기 위한 발판케이블이 일측에 구비되되 타측에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인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인입구와 인접하게 다수개의 조작수단이 구비된 발판몸체로 이루어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장장치{CO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도장장치를 이용하여 스프레이 건으로 도료를 분사하여 도색하는 도장작업시에 높낮이 조절 및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여러 각도에서 도장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확인하며 작업 가능한 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장장치는 주로 금속으로 제조되는 표면을 보호하거나 수려한 외관을 위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표출하면서 그 외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미적 감각을 표출할 수 있도록 도료를 분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도장장치는 그 활용도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선박 또는 자동차와 같은 큰 면적을 갖는 대상물에는 작업자가 도장작업에 필요한 자동화 시설이 갖추어진 일정 공간에 상기 대상물을 유입시켜 다각도에서 분사되는 도료로 적은 시간에 많은 대상물을 도장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그 설치비용이 비싸고 작은 대상물의 도장에는 불필요하게 도료를 낭비하게 되어 작업자가 직접 분사방식으로 이루어진 스프레이 건으로 직접 대상물을 도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레이 건으로 도장작업을 실시할 경우에는 상부에 철망(4)이 구비된 선반(2)과 상기 선반(2)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면에 지지 고정되는 고정부(3)로 이루어져 있는 도장용 선반(1)에 작업자가 도장을 하기 위한 대상물(D)을 중심으로 일일이 이동하여 도장을 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스프레이 건으로 방법은 작업자가 일정공간 바닥에 고정 설치된 선반(2) 상부에 대상물(D)을 거치하여 상기 대상물(D)의 주위를 일일이 이동하여 도장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별도의 세척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도장하고자 하는 대상물(D) 이외에 선반(2)에 도료가 그대로 굳어지게 되므로 일일이 작업자가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분사방식의 스프레이 건으로 인하여 선반(2)에 점성재질을 가진 도료가 묻어 이물질이 생기거나 상기 선반(2)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도료가 분사되어 도장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스프레이 건을 사용한 대상물의 도장작업시에, 작업자가 상기 대상물을 스위치로 조작하여 상/하/좌/우 이동 가능한 도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세척장치를 구비하여 대상물을 도장시에 도료로 인하여 도장장치에 이물질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도장장치를 제공하고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장하고자 하는 대상물 이외에 도장장치에 도료에 의한 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도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부가 지면에 지지 고정되되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게 베어링이 구비된 지지몸체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 둘레에 제1 기어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원기둥 형상으로 하향되게 연장형성되되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와 결합되는 연결축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개방공이 형성된 관 형상의 삽입관이 돌출형성된 기어몸체로 이루어진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되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하여 신장/신축 가능한 실린더 축이 내측에 구비된 실린더 몸체와 상기 실린더 축의 상부에서 연장 형성된 기둥으로 이루어진 실린더 및 상기 기둥과 암수형태로 결합되는 끼움관과 상기 끼움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안착판이 구비된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상부와 결합되도록 하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하향되게 흐름판이 구비되고 내주면 일측에는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된 사각함 형상의 세척통 및 상기 세척통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 직수를 제공하되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수관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수관에서 제공된 직수를 다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관이 구비된 세척부재 및 상기 세척부재의 상부와 결합되며 상/하부가 천공되되 사각틀 형상을 갖는 안착몸체와 상기 안착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되 대상물이 안착되는 그물망이 구비되는 안착부재로 이루어진 거치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일측에는 다수개의 결합수단이 구비된 함 형상의 제어몸체 및 상기 제어몸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되 일측에 제2 기어가 구비된 모터부재, 상기 제어몸체와 연결되기 위한 발판케이블이 일측에 구비되되 타측에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인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인입구와 인접하게 다수개의 조작수단이 구비된 발판몸체로 이루어진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 몸체의 하부 지름은 삽입관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공에 결합되도록 상기 개방공의 내주면 지름과 대응되는 지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관 및 실린더 몸체는 각각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결합공과 제1 체결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 결합공은 삽입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제1 체결공은 실린더 몸체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조임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둥 및 끼움관에는 각각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결합공과 제2 체결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2 결합공은 기둥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공은 끼움관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조임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판의 상부에는 상기 세척부재와 결합시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기 위하여 상부로 돌출형성된 돌출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커넥터, 연결관 결합구 및 케이블 결합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넥터는 발판몸체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 결합구는 실린더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결합구는 모터부재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작수단은 발판스위치, 제1 및 제2 회전스위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판스위치는 발판몸체의 내측 바닥면에 구비되며 제1 및 제2회전스위치는 상기 발판몸체의 내주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기 안착부재는 고리 및 상부에 다수개의 천공이 형성된 가림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리는 안착부재의 외주면에 다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가림막은 상부에 형성된 천공을 상기 고리에 체결하여 하부 방향으로 지면까지 늘어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는 지지부에 형성된 제1기어와 모터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제2기어로 좌/우 회전이 가능함은 물론, 유압 또는 기압으로 동작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진 승강부를 이용하여 도장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자가 상기 대상물의 주위를 일일이 이동하지 않고도 도장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거치부의 세척부재를 통하여 외부 직수를 공급받아 대상물을 도장시에 상기 대장물에서 하부로 흘러내릴 수 있는 도료를 토출관을 통해 외부로 흘러보내 청결한 상태의 도장장치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대상물을 스프레이 건으로 도료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도장시에 도장장치에 점성이 있는 페인트가 묻지 않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가림막을 사용하여 상기 도장장치에 도료에 의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도색선반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지지부 및 제어부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승강부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승강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거치부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거치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승강부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지지부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세척부재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장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지지부 및 제어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승강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승강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거치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거치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100)는 크게 지면에 지지 고정되며 좌/우 회전을 하기 위한 지지부(110),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승강부(120), 상기 승강부(120)의 상부에 결합되어 도장하고자 하는 대상물(D)이 안착되는 안착부재(320) 및 세척부재(310)를 이용하여 대상물(D)에서 흘러내릴 수 있는 도료를 세척부재(310)에 의해 세척 가능한 거치부(130) 및 상기 지지부(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120) 및 지지부(110)에 전기신호를 인가하며 작업자가 제어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의 도장용 선반(10)과는 차별적으로, 작업자가 직접 이동하지 않아도 제어부(140)의 제어를 통해 도장하고자 하는 대상물(D)을 지지부(110)를 이용하여 좌/우 로 회전 및 승강부(120)를 통하여 상/하 높낮이 조절을 자동으로 할 수 있어 더욱 효율적인 도장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세척부재(310)를 통하여 도장작업시에 대상물(D)에서 흘러내리는 도료를 씻어낼 수 있게 되어 더욱 청결한 도장장치(10)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00)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게 함은 물론, 도장을 위한 대상물(D)을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지지몸체(110) 및 기어몸체(12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몸체(110)는 하부가 지면에 지지되어 설치되게 하고 후술하는 제어부(400)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에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개구부(111)와 인접하게 내측에 베어링(113)이 결합되되 수직방향으로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개구부(111)는 좌/우 회전을 위한 기어몸체(120)의 하부와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어링(113)은 기어몸체(120)와 결합 후에, 회전의 마찰력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한 것으로, 개구부(111)와 인접하게 지지몸체(110)의 내측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기어몸체(120)는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우러져 도장을 위한 대상물(D)의 좌/우 회전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기어몸체(120)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제1기어(121), 상기 기어몸체(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결축(123) 및 상기 기어몸체(120)의 상부에 내측에 공간을 갖는 원통형의 관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삽입관(125)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제1기어(121)는 기어몸체(120)가 좌/우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모터부재(420)의 제2기어(423)와 베벨기어 형식으로 맞물릴 수 있게 한다.
또한, 연결축(123)은 기어몸체(120)가 마찰력 없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기어몸체(120)의 하부에서 원통형으로 연장형성되되 개구부(111)를 통하여 외주면이 베어링(113)과 접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축(123)의 지름은 베어링(113)의 외주면과 접촉될 수 있을 정도의 지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관(125)은 승강부(200)와 고정설치되기 위한 것으로, 기어몸체(120)의 상부에서 연장형성되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방공(127)이 형성된 관 형상의 원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삽입관(125)의 외주면 상부측에는 승강부(200)의 실린더 몸체(211)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기 위하여,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결합공(125a)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관(125)에 결합되는 실린더 몸체(211)를 조임나사(500)에 의해 고정설치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승강부(2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장을 위한 대상물(D)을 상/하로 높낮이 조절을 하기 위한 것으로, 유압 또는 기압으로 동작 가능한 실린더(210) 및 고정부재(220)로 이루어져 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실린더(210)는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하여 상/하로 신장 및 신축되는 것으로, 실린더 몸체(211) 및 기둥(217)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실린더 몸체(211)는 지지부(100)와 결합되어 도장하고자 하는 대상물(D)을 상/하로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내측에 실린더 축(213)이 구비된 것으로, 하부가 삽입관(125)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공(127)을 통하여 삽입되며 삽입된 후에, 상기 삽입관(125)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결합공(125a)과 대응되는 위치에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제1 체결공(211a)이 형성되어 조임나사(500)에 의해 결합하게 된다.
즉, 삽입관(125)의 상부로 통하여 삽입되는 실린더 몸체(211)는 대상물(D)을 상/하로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기어몸체(120)가 좌/우 회전 운동시에 상기 대상물(D)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임나사(50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관(125)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결합공(125a)에 대응되는 위치의 실린더 몸체(211)의 외주면에 제1 체결공(211a)을 형성하여 상기 조임나사(500)에 의해 고정 결합하게 되므로, 실린더(210)가 상/하 운동시나 기어몸체(120)가 좌/우로 회전 시에도 상기 대상물(D)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실린더 몸체(211)의 타측에는 연결관 체결구(215)가 구비되어 후술되는 제어부(400)를 통하여 외부 신호를 인가받아 실린더 몸체(211)의 내측에 구비되는 실린더 축(213)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둥(217)은 고정부재(220)와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실린더 축(213)의 상부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기둥(217)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결합공(125a)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결합공(217a)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재(220)는 후술되는 거치부(300)와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끼움관(221) 및 안착판(223)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끼움관(221)은 고정부재(220)를 실린더 축(213)과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기둥(217)의 상부 지름과 대응되게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둥(217)의 상부와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끼움관(221)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체결공(211a)과 동일한 형상의 제2 체결공(221a)이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기둥(217)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결합공(217a)과 상기 끼움관(22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체결공(221a)은 전술한 제1 결합공(125a)과 제1 체결공(211a)과 같은 형식으로 조임나사(500)에 의해 결합하게 되어 기둥(217)의 상부로 삽입되는 끼움관(221)이 고정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안착판(223)은 거치부(300)가 상기 고정부재(220)에 용이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끼움관(221)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원판의 형상으로 연장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착판(223)의 상부에는 거치부(300)와 결합시에 더욱 용이하게 거치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재(225)가 더 형성되어 거치부(300)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승강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하고자 하는 대상물(D)의 무게에 맞게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승강부(200)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다수개의 승강부(200)를 구비시에는 기어몸체(12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관(125)도 상기 승강부(200)의 숫자에 맞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거치부(3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장 되고자 하는 대상물(D)이 상부에 거치하고 스프레이 건(미도시)으로 도료를 분사시에 상기 대상물(D) 이외에 외부에 묻을 수 있는 도료를 일부 씻어내기 위한 것으로, 세척부재(310) 및 안착부재(320)로 이루어져 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세척부재(310)는 도장하고자 하는 대상물(D)이 스프레이 건으로 인하여 상기 대상물(D) 이외에 도장장치(10) 내부 또는 외부에 묻을 수 있는 도료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통(311), 결합홈(313), 수관(317) 및 토출관(319)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세척통(311)은 대상물(D)을 도장시에 하부로 일부 흘러내릴 수 있는 도료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되 하부에는 전술한 고정부재(220)의 안착판(223)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313)이 상기 안착판(223)의 형상 및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함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세척통(311)의 내측 바닥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기울어지도록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흐름판(3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세척통(311)의 내주면 일측에는 다수개의 배출공(311a)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수관(317)에 의하여 제공되는 직수가 흐름판(315) 상부 전체면에 골고루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관(317)은 외부 직수를 인입시켜 세척통(311)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세척통(311)의 일측에 속이 빈 파이프 등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관(317)과 세척통(311) 사이에는 별도의 밸브(317a)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제공되는 직수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토출관(319)은 수관(317)에서 제공되는 직수가 배출공(311a)을 통하여 흐름판(315)의 상부면에 묻은 도료를 씻어낸 후에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관(317)이 구비된 위치의 대칭되는 곳에 세척통(311)의 내측과 연통되게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안착부재(320)는 도장하고자 하는 대상물(D)이 안착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안착몸체(321) 및 그물망(323)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안착몸체(321)는 세척부재(310)의 상부와 결합 되기 위한 것으로,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틀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세척통(311)의 개방된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안착몸체(321)의 하부에는 세척통(311)의 상부와 견고하게 설치되기 위하여 하부에 상기 세척통(311)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지름을 갖는 끼움부재(3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몸체(321)의 상부에는 도장하고자 하는 대상물(D)이 안착되기 위한 격자형상의 그물망(325)이 구비되게 된다.
즉, 안착몸체(321)의 하부에 하향되게 돌출 형성된 끼움부재(323)가 형성됨으로써, 세척통(311)의 개방된 상부 내주면에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하여 지지부(100) 및 승강부(200)의 동작에 의한 진동에 대상물(D)이 용이하게 안착되게 하고 상기 대상물(D)이 안착되는 위치에는 격자형상으로 천공된 그물망(325)을 구비하여 대상물(D)에서 흘러내릴 수 있는 도료를 바로 세척부재(310)의 흐름판(315)으로 인입시켜 수관(317)을 통하여 배출공(311a)으로 배출되는 직수와 혼합시켜 토출관(31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여 청결한 상태의 도장장치(10)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사각틀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안착몸체(321)의 외주면에는 고리(321a) 및 상부에 다수개의 천공이 형성된 가림막(327)이 더 구비되어 전술한 지지부(100) 및 승강부(200)와 후술되는 제어부(400)의 일부를 차단시켜 스프레이 건으로 도장시에 도료가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10)는 스프레이 건과 같은 분사 형식으로 대상물(D)을 도장하기에 대기중에 분사된 도료가 일부 지지부(100), 승강부(200) 및 제어부(400)와 접촉되어 이물질이 발생 될 수 있기 때문에 방수효과가 있는 비닐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가림막(327)을 설치하여 대기중의 도료가 도장장치(10)에 접촉되어 이물질로 변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지지부(100) 및 승강부(200)에 전기신호를 인가하며 사용자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몸체(410), 모터부재(420) 및 발판몸체(430)로 이루어져 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몸체(410)는 외부전원을 통하여 전원 공급이 필요한 구성물에 전원을 인가하며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몸체(110)의 일측에서 연장되되 사각함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에 결합수단(4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411)에는 발판몸체(430)를 제어하기 위한 커넥터(411a), 실린더 몸체(211)를 제어하기 위한 연결관 결합구(411b), 모터부재(420)를 제어하기 위한 케이블 결합구(411c) 및 외부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케이블(411d)로 각각 구성된다.
또한, 모터부재(420)는 지지부(100)에 형성된 제1 기어(121)와 맞물려 좌/우 회전을 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어몸체(410)의 상부에 구비되되 일측에 상기 제1 기어(121)와 맞물리게 중심측에 구비된 모터축(421)으로 연결된 제2 기어(423)가 구비되되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모터부재(420)를 사용한다.
이때, 연결관 결합구(411b)는 실린더 몸체(2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연결관 체결구(215)와 연결관(413)으로 연결되며 케이블 결합구(411c)는 모터 케이블(415)을 통하여 모터부재(420)의 내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또한, 발판몸체(430)는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지지부(100) 및 승강부(200)를 제어몸체(410)를 통하여 대상물(D)을 상/하/좌/우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수단(431)이 구비된 것으로, 전체적으로 사각함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에 사용자가 조작시키기 위한 인입구(433)가 형성되되 타측에는 제어몸체(410)의 커넥터(41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발판케이블(435)이 구비되며 내측에는 다수개의 스위치들로 이루어진 조작수단(43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작수단(431)에는 상기 발판몸체(430)의 내측 바닥면에 구비되어 승강부(200)를 상/하 운동시키기 위한 완충부재(S)가 하부에 구비된 발판스위치(431a) 및 상기 발판몸체(430)의 내주면에 서로 대칭되게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 회전스위치(431b,431c)가 모터부재(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발판케이블(433)은 제어몸체(41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발판몸체(430)의 일측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발판케이블(433)은 조작수단(431)의 스위치들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입구(435)는 작업자가 발을 사용하여 조작수단(431)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발판몸체(430)의 일측에 형성되되 내측과 연통되게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발판몸체(430)의 하부에는 작업자가 조작시에 지면과의 마찰력을 높여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드(437)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설치 및 작용관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승강부 사용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지지부 사용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의 세척부재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10)를 설치하기 위해 지지부(100), 승강부(200), 거치부(300) 및 제어부(400)를 각각 준비한다.
그 다음, 지지부(100)의 지지몸체(110)를 지면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11)에 기어몸체(120)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축(123)을 삽입하여 상기 기어몸체(120)를 결합한다.
이때, 연결축(123)의 외주면과 지지몸체(110)의 내측에 구비된 베어링(113)의 외주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결합 방법이 된다.
그 다음, 기어몸체(12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관(125)의 상부 개방공(127)을 통해 승강부(200)의 실린더 몸체(211) 하부를 통하여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때, 삽입관(125)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결합공(125a)과 실린더 몸체(2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체결공(211a)이 서로 맞닿게 결합하여 조임나사(500)를 통하여 상기 삽입관(125)에 결합된 실린더 몸체(211)를 고정 설치하게 된다.
그 다음, 실린더 몸체(211)의 상부에 구비된 고정부재(220)의 끼움관(221)을 상기 실린더 몸체(211)의 상부에 형성된 기둥(217)과 결합하게 된다.
이때, 끼움관(22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체결공(221a)과 기둥(217)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결합공(217a)이 서로 맞닿게 결합하여 조임나사(500)를 통해 고정 설치하게 된다.
그 다음, 고정부재(220)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판(223)을 거치부(300)인 세척부재(31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313)과 결합하여 상기 세척부재(310)를 결합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세척부재(310)의 상부에 그물망(325)이 구비된 안착부재(320)를 끼워 결합하고 도장하고자 하는 대상물(D)을 상기 그물망(325)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그 다음, 상기 세척부재(310)의 일측에 구비된 수관(317)에 외부 직수를 연결하고 타측에 구비된 토출관(319)을 하수구와 연통되게 연결설치하게 된다.
그 다음, 지지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되 결합수단(411)이 형성된 제어몸체(410)의 상부에 일측에 제2 기어(423)가 형성된 모터부재(420)를 고정설치하게 된다.
이때, 제1 기어(121)와 제2 기어(423)가 서로 베벨기어 형식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설치 방법이 된다.
그 다음, 일측에 발판케이블(433)이 구비된 발판몸체(430)를 설치된 지지부(100)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지면 위에 고정하게 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10)의 설치가 끝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10)의 설치되면 작업자는 거치부(300)의 상부에 안착된 대상물(D)에 스프레이 건으로 도료를 상기 대상물(D)에 도장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작업에 따라 대상물(D)을 상승시키고자 하면 발판몸체(430)의 내부에 구비된 발판스위치(431a)를 발로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상기 발판스위치(431a)는 발판케이블(433)을 통하여 제어몸체(410)의 커넥터(411a)를 통해 전기신호를 인가하고 이 인가받은 전기신호는 다시 연결관(413)을 통하여 실린더 몸체(211)에 전달되어 상기 실린더 몸체(211)의 내측에 구비된 실린더 축(213)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대상물(D)을 다시 하강시키고자 하면 가압된 발판스위치(431a)의 가압을 해제하게 되어 실린더 축(213)에 인가된 전기신호를 단락시켜 원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발판스위치(431a)는 하부에 구비된 완충부재(S)를 통하여 가압 전의 상태로 원위치 되게 된다.
또한, 대상물(D)을 좌/우로 회전시키고자 하면 발판몸체(430)의 내측에 구비된 제1 및 제2회전스위치(431b,431c)를 통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일 예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스위치(431b)를 작업자가 가압하면 발판케이블(433)을 통하여 제어몸체(410)의 커넥터(411a)를 통해 상기 제어몸체(410)의 내부에서 케이블 결합구(411c)로 전기신호가 전달되고 이 전달된 전기신호는 다시 모터케이블(415)을 통하여 모터부재(420)에 그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모터부재(420)의 일측에 구비된 제2 기어(423)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제2 기어(423)와 맞물린 제1 기어(121)가 같이 회전하게 되면서 기어몸체(120) 전체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대상물(D)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제2 회전스위치(431c)를 가압하게 되면 제1 회전스위치(431b)와 같은 경로를 통하여 모터부재(420)에 전기신호가 전달되는데 이때, 상기 모터부재(420)는 상기 제1 회전스위치(431b)를 동작시에 회전된 방향과 반대로 작동되게 된다.
계속하여, 대상물(D)에 도장시에 액체 상태의 도료로 인하여 일부가 지면 또는 도장장치(10)에 인입되지 않도록 세척통(311)의 내부로 바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물(D)을 통하여 도장시에 사용되는 도료의 일부가 세척통(311)의 내부로 흘러들어오게 되면 수관(317) 및 배출공(311a)을 통하여 흐름판(315)에 항상 직수가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세척통(311)의 내부로 인입되는 도료를 토출관(31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되어 청결한 상태의 도장장치(10)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도장장치 100: 지지부
110: 지지몸체 120: 기어몸체
200: 승강부 210: 실린더
220: 고정부재 300: 거치부
310: 세척부재 320: 안착부재
400: 제어부 410: 제어몸체
420: 모터부재 430: 발판몸체
D: 대상물 S: 완충부재

Claims (8)

  1. 하부가 지면에 지지 고정되되 상부에는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개구부(111)와 인접하게 베어링(113)이 구비된 지지몸체(110)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 둘레에 제1 기어(12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원기둥 형상으로 하향되게 연장형성되되 상기 지지몸체(110)의 상부와 결합되는 연결축(123)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개방공(127)이 형성된 관 형상의 삽입관(125)이 돌출형성된 기어몸체(120)로 이루어진 지지부(100);와
    상기 지지부(100)와 결합되되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하여 신장/신축 가능한 실린더 축(213)이 내측에 구비된 실린더 몸체(211)와 상기 실린더 축(213)의 상부에서 연장 형성된 기둥(217)으로 이루어진 실린더(210) 및 상기 기둥(217)과 암수형태로 결합되는 끼움관(221)과 상기 끼움관(221)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안착판(223)이 구비된 고정부재(220)로 이루어진 승강부(200);와
    상기 승강부(200)의 상부와 결합되도록 하부에 결합홈(313)이 형성되고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하향되게 흐름판(315)이 구비되고 내주면 일측에는 다수개의 배출공(311a)이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된 사각함 형상의 세척통(311) 및 상기 세척통(311)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 직수를 제공하되 상기 배출공(311a)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수관(317)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수관(317)에서 제공된 직수를 다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관(319)이 구비된 세척부재(310) 및 상기 세척부재(310)의 상부와 결합되며 상/하부가 천공되되 사각틀 형상을 갖는 안착몸체(321)와 상기 안착몸체(311)의 상부에 형성되되 대상물(D)이 안착되는 그물망(325)이 구비되는 안착부재(320)로 이루어진 거치부(300);와
    상기 지지부(100)의 일측에 구비되되 일측에는 다수개의 결합수단(411)이 구비된 함 형상의 제어몸체(410) 및 상기 제어몸체(4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되 일측에 제2 기어(423)가 구비된 모터부재(420), 상기 제어몸체(410)와 연결되기 위한 발판케이블(433)이 일측에 구비되되 타측에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인입구(435)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인입구(435)와 인접하게 다수개의 스위치들로 이루어진 조작수단(431)이 구비된 발판몸체(430)로 이루어진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몸체(211)의 하부 지름은 삽입관(125)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공(127)에 결합되도록 상기 개방공(127)의 내주면 지름과 대응되는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125) 및 실린더 몸체(211)는 각각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결합공(125a)과 제1 체결공(211a)이 형성되되 상기 제1 결합공(125a)은 삽입관(125)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제1 체결공(211a)은 실린더 몸체(211)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조임나사(50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217) 및 끼움관(221)에는 각각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결합공(217a)과 제2 체결공(221a)이 형성되되 상기 제2 결합공(217a)은 기둥(217)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공(221a)은 끼움관(221)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조임나사(50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223)의 상부에는 상기 세척부재(310)와 결합시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기 위하여 상부로 돌출형성된 돌출부재(22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411)은 커넥터(411a), 연결관 결합구(411b), 케이블 결합구(411c) 및 전원케이블(411d)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넥터(411a)는 발판케이블(433)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 결합구(411b)는 실린더 몸체(211)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결합구(411c)는 모터부재(42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431)은 발판스위치(431a), 제1 및 제2 회전스위치(431b,431c)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판스위치(431a)는 발판몸체(430)의 내측 바닥면에 구비되며 제1 및 제2회전스위치(431b,431c)는 상기 발판몸체(430)의 내주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320)는 고리(321a) 및 상부에 다수개의 천공이 형성된 가림막(327)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리(321a)는 안착부재(320)의 외주면에 다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가림막(327)은 상부에 형성된 천공을 상기 고리(321a)에 체결하여 하부 방향으로 지면까지 늘어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장치.
KR1020100100549A 2010-10-14 2010-10-14 도장장치 KR201200388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549A KR20120038861A (ko) 2010-10-14 2010-10-14 도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549A KR20120038861A (ko) 2010-10-14 2010-10-14 도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861A true KR20120038861A (ko) 2012-04-24

Family

ID=46139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549A KR20120038861A (ko) 2010-10-14 2010-10-14 도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88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144B1 (ko) * 2020-09-21 2021-01-12 이흥열 도장 부스
KR102340768B1 (ko) * 2020-10-28 2021-12-16 노시성 헤라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색 방법
KR102340767B1 (ko) * 2020-10-28 2021-12-16 노시성 헤라 도색 장치 및 헤라 도색 방법
KR20220043398A (ko) *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화신 부품 도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144B1 (ko) * 2020-09-21 2021-01-12 이흥열 도장 부스
KR20220043398A (ko) *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화신 부품 도포장치
KR102340768B1 (ko) * 2020-10-28 2021-12-16 노시성 헤라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색 방법
KR102340767B1 (ko) * 2020-10-28 2021-12-16 노시성 헤라 도색 장치 및 헤라 도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8861A (ko) 도장장치
JP2021065878A (ja) 自転車フレームの吹付塗装装置
CN205431340U (zh) 一种新型园林喷洒装置
CN110743871B (zh) 一种用于水利工程管道的内部清堵装置
CN108496759B (zh) 道路绿化带浇水装置
KR101796703B1 (ko)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
KR101532977B1 (ko) 변전설비의 낙뢰방지장치
KR20130084438A (ko) 건물 외벽 청소장치
KR101275781B1 (ko) 가이드레일 자동 세척장치
KR101533921B1 (ko) 천정형 에어컨 실내기 세척용 오염수 비산방지 장치
JP6835640B2 (ja) タンク内吹付け装置及びタンクの内面に吹付け剤を吹付ける方法
CN204411544U (zh) 一种升降式灭火喷头
CN209983255U (zh) 一种用于农业的灌溉喷洒器
CN210177437U (zh) 一种基坑除尘系统
CN204996599U (zh) 一种离心雾化喷头
CN205338605U (zh) 一种压力锅
CN206455147U (zh) 一种铸造模型外表喷涂设备
CN214580770U (zh) 一种用于农业观光的景观灯
CN211149178U (zh) 一种舞台水幕装置
CN209452085U (zh) 一种涂料喷涂装置
CN2441306Y (zh) 喷灌支管系统整体移动装置
ITTO20130573A1 (it) Dispositivo irroratore di liquido, particolarmente per macchina lavastoviglie
KR102565267B1 (ko) 돔형 카메라 세척장치
CN205599407U (zh) 一种内喷机
CN215648574U (zh) 立体景观喷水浇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