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144B1 - 도장 부스 - Google Patents
도장 부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2144B1 KR102202144B1 KR1020200121301A KR20200121301A KR102202144B1 KR 102202144 B1 KR102202144 B1 KR 102202144B1 KR 1020200121301 A KR1020200121301 A KR 1020200121301A KR 20200121301 A KR20200121301 A KR 20200121301A KR 102202144 B1 KR102202144 B1 KR 1022021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groove
- bar
- seated
- sha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40—Construction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loors, walls or ceil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28—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the movement of the objects being rotat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85—Stands for supporting individual articles to be sprayed, e.g. doors, vehicle body parts
Landscapes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된 도장 공간 마다 피도장물 안착시킨 뒤 회전시키면서 피도장물의 표면에 고르게 도료를 분사시켜 도장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도장 부스에 관한 것으로,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부스 본체; 상기 부스 본체의 내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부스 본체의 내부 공간을 구획시켜 주는 파티션; 및 피도장물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파티션에 의해 구획된 도장 공간 마다 설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장 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독립된 도장 공간 마다 피도장물 안착시킨 뒤 회전시키면서 피도장물의 표면에 고르게 도료를 분사시켜 도장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도장 부스에 관한 것이다.
금속제품 및 부품은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부식 등으로 인한 표면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에 페인트 등을 도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도장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자동화된 도장부스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시설비가 많이 들고 대형으로 되어 설치장소에 제한을 많이 받게 되며 동일부품의 대량생산에 적합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소량다품종의 제품생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수량이 적은 물품을 도장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노출된 공간에서 작업자가 붓 등을 이용하여 제품에 직접 칠하여 도장하는 것과 스프레이건을 이용하여 분사하여 도장하는 것이 일반적인 소량 다품종 물품의 도장방법이다.
한편 종래에도 도장실의 전면이 피도장물을 투입하는 투입구로 형성되고 후면에 부직포필터와 배기팬을 가진 배기구를 형성하여서 되는 간이 도장부스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도장실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분사되는 페인트가 부직포필터를 통해 걸러져 배기되도록 한 것으로 이는 스프레이건에서 토출되는 분사량이 많으면 분체가 투입구를 통하여 도장실의 외측으로 비산하게 되고 분사량이 적으면 여 배기구로 흡입되어 도장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독립된 도장 공간 마다 피도장물 안착시킨 뒤 회전시키면서 피도장물의 표면에 고르게 도료를 분사시켜 도장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도장 부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부스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부스 본체; 상기 부스 본체의 내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부스 본체의 내부 공간을 구획시켜 주는 파티션; 및 피도장물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파티션에 의해 구획된 도장 공간 마다 설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도장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거치 플레이트;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회전 기둥; 및 피도장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기둥의 상측에 안착되는 받침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기둥은, "+"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형성되는 "+" 형태의 체결홈에 안착되는 "+"형 지지대; 및 상기 베어링에 안착되며,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형 지지대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형 지지대는, 제1 받침대, 제2 받침대, 제3 받침대 및 제4 받침대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중심으로부터 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3 지지 프레임;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4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4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 본체; 상기 지지 본체의 형태에 대응하여 "+" 형태로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형 안착홈;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형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지지홈;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형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지지홈;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형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3 지지홈; 및 상기 제4 지지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형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4 지지 프레임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4 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 바아; 상기 지지 바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홈에서 상기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제1 바아 지지부; 및 상기 제1 바아 지지부와 대칭되도록 상기 지지 바아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홈에서 상기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제2 바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바아 지지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 바아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부가 상기 지지 바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대향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 바아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하부가 상기 지지 바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하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 거치 바아와 상기 상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 거치 바아에 의해 거치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롤러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원판; 상기 지지 원판의 외측에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지지 원판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바퀴; 상기 제1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원판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지지 원판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지지 원판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경사홈; 상기 제1 경사홈에 안착된 상기 제1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경사홈에서 상기 제1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1 지지 탄성체; 상기 제2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원판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제1 경사홈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원판의 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지지 원판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2 경사홈; 및 상기 제2 경사홈에 안착된 상기 제2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경사홈에서 상기 제2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홈은, 상기 지지 바아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바아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홈; 상기 제1 바아 지지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홈의 전단에 형성되되,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 바아가 상기 수직홈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지지 롤러가 벽면을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아치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아치홈; 및 상기 제1 아치홈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수직홈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아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독립된 도장 공간 마다 피도장물 안착시킨 뒤 회전시키면서 피도장물의 표면에 고르게 도료를 분사시킴으로써, 도장 공정을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도장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피가공물의 제조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부스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회전 기둥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4의 "+"형 지지대와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지지 프레임과 제1 지지홈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바아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지지 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회전 기둥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4의 "+"형 지지대와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지지 프레임과 제1 지지홈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바아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지지 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부스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부스(10)는, 부스 본체(100), 파티션(200) 및 거치대(300)를 포함한다.
부스 본체(100)는,
전방에 있는 작업자(S)가 스프레이건(400)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 안착되어 있는 피도장물(P)로 도료를 분사시켜 피도장물(P)에 도장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이 파티션(200)에 의해 개별 공간 마다 피도장물(P)의 개별 도장 공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도장 공간(500)으로 구획된다.
파티션(200)은, 부스 본체(100)의 내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부스 본체(100)의 내부 공간을 다수 개의 도장 공간(500)으로 구획시켜 준다.
거치대(300)는, 피도장물(P)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파티션(200)에 의해 구획된 도장 공간(500) 마다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부스(10)는, 독립된 도장 공간(500) 마다 피도장물(P)을 안착시킨 뒤 회전시키면서 피도장물(P)의 표면에 고르게 도료를 분사시킴으로써, 도장 공정을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도장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피가공물(P)의 제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거치대(300)는, 거치 플레이트(310), 베어링(320), 회전 기둥(330) 및 받침 플레이트(340)를 포함한다.
거치 플레이트(310)는, 도장 공간(50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부에 베어링(320)에 연결 설치된다.
베어링(320)은, 거치 플레이트(3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홈(321)에 설치되며, 회전 기둥(330)의 하부가 체결된다.
회전 기둥(330)은, 베어링(320)에 안착되어 사용자가 회전시킴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구비된 구동 모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거치 플레이트(310)의 상측에서 회전한다.
받침 플레이트(340)는, 피도장물(P)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 기둥(330)의 상측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거치대(300)는, 각각의 도장 공간(500) 마다 설치되어 작업자의 도장 공정에 대응하여 피도장물(P)을 안정적이고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작업자의 도장 고정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피도장물(P)의 도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회전 기둥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다른 회전 기둥(600)은, "+"형 지지대(610) 및 베이스 플레이트(620)를 포함한다.
"+"형 지지대(6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 형태로 형성되어 받침 플레이트(340)의 하측에 형성되는 "+" 형태의 체결홈(341)에 안착되며, 베이스 플레이트(62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620)는, 베어링(320)에 안착되며, 상부에 안착되는 "+"형 지지대(610)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다른 회전 기둥(600)은, 받침 플레이트(340)가 고정 설치되지 않으면서도 피도장물(P)의 회전을 위한 받침 플레이트(340)의 회전에도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안정적인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도장물(P)의 도정 고정에 따라 수반되는 받침 플레이트(34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킴으로써 피도장물(P)의 안정적인 도정 공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형 지지대와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형 지지대(610)는, 지지 본체(611), 제1 지지 프레임(612), 제2 지지 프레임(613), 제3 지지 프레임(614) 및 제4 지지 프레임(615)을 포함한다.
지지 본체(611)는, "+"형 안착홈(622)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받침대(6111), 제2 받침대(6112), 제3 받침대(6113) 및 제4 받침대(6114)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중심으로부터 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 형태로 형성되며, 각 받침대의 선단부에 제1 지지 프레임(612), 제2 지지 프레임(613), 제3 지지 프레임(614) 및 제4 지지 프레임(615)의 각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지지 프레임(612)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1 받침대(6111)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지지홈(623)에 안착되어 제1 받침대(6111)를 지지한다.
즉, 제1 지지 프레임(612)은, 후술하는 제1 지지홈(623)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되어 제1 받침대(611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제1 받침대(6111)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1 받침대(6111)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킬 수 있다.
제2 지지 프레임(613)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2 받침대(6112)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지지홈에 안착되어 제2 받침대(6112)를 지지한다.
제3 지지 프레임(614)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3 받침대(6113)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3 지지홈에 안착되어 제3 받침대(6113)를 지지한다.
제4 지지 프레임(615)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4 받침대(6114)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4 지지홈에 안착되어 제4 받침대(6114)를 지지한다.
여기서, 제2 지지 프레임(613), 제3 지지 프레임(614) 및 제4 지지 프레임(615)은, 제1 지지 프레임(612)과 설치되는 위치만 다른 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620)는, 베이스 본체(621), "+"형 안착홈(622), 제1 지지홈(623), 제2 지지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제3 지지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제4 지지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베이스 본체(621)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형 안착홈(622)이 형성된다.
"+"형 안착홈(622)은, 지지 본체(611)의 형태에 대응하여 "+" 형태로 베이스 본체(621)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1 지지홈(623)은, 제1 지지 프레임(6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받침대(6111)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형 안착홈(622)의 일 단부로부터 제1 지지 프레임(612)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홈(62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홈(6231), 제1 아치홈(6232) 및 제2 아치홈(6233)을 포함한다.
수직홈(6231)은, 지지 바아(612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바아(6121)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단에 제1 아치홈(6232)이 형성되고, 후단에 제2 아치홈(6233)이 형성된다.
제1 아치홈(6232)은, 제1 바아 지지부(612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수직홈(6231)의 전단에 형성되되, 외력에 의해 지지 바아(6121)가 수직홈(6231)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후술하는 지지 롤러(730)가 벽면을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아치 형태로 형성된다.
제2 아치홈(6233)은, 제1 아치홈(6232)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수직홈(6231)의 후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프레임(612)은, 지지 바아(6121), 제1 바아 지지부(6122) 및 제2 바아 지지부(612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바아(6121)는,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1 받침대(6111)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단에 제1 바아 지지부(6122)가 연결 설치되고, 후단에 제2 바아 지지부(6123)가 연결 설치된다.
제1 바아 지지부(6122)는, 지지 바아(6121)의 전단에 설치되며, 제1 아치홈(6232)의 벽면에 밀착되어 제1 지지홈(623)에서 지지 바아(6121)를 지지한다.
제2 바아 지지부(6123)는, 제1 바아 지지부(6122)와 대칭되도록 지지 바아(6121)의 후단에 설치되며, 제2 아치홈(6233)의 벽면에 밀착되어 제1 지지홈(623)에서 지지 바아(6121)를 지지한다.
제2 지지홈은, 제2 지지 프레임(6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받침대(6112)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형 안착홈(622)의 일 단부로부터 제2 지지 프레임(613)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제3 지지홈은, 제3 지지 프레임(61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3 받침대(6113)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형 안착홈(622)의 일 단부로부터 제3 지지 프레임(614)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제4 지지홈은, 제4 지지 프레임(6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4 받침대(6114)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형 안착홈(622)의 일 단부로부터 제4 지지 프레임(615)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지지홈, 제3 지지홈, 및 제4 지지홈은, 제1 지지홈(623)과 방향만을 달리하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 바아(6121)는, 제1 지지홈(623)의 바닥면까지 하강되지 아니하고 제1 바아 지지부(6122)와 제2 바아 지지부(6123)에 의해 제1 지지홈(623)에서 부양된 상태로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제1 바아 지지부(6122)와 제2 바아 지지부(6123)가 제1 아치홈(6232) 및 제2 아치홈(6233)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됨에 따라 전달되는 외력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제1 바아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바아 지지부(700)는, 제1 지지 플레이트(710), 제2 지지 플레이트(720) 및 지지 롤러(730)를 포함한다.
제1 지지 플레이트(710)는, 제2 지지 플레이트(720)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하측으로 갈수록 지지 바아(6121)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부가 지지 바아(6121)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에 지지 롤러(7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지지 플레이트(720)는, 제1 지지 플레이트(710)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제1 지지 플레이트(710)의 하측과 대향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지지 바아(6121)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하부가 지지 바아(6121)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에 지지 롤러(7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지지 롤러(730)는, 제1 지지 플레이트(710)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711)과 제2 지지 플레이트(720)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721)에 각각 안착되며, 하부 안착홈(71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 거치 바아(712)와 상부 안착홈(72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 거치 바아(722)에 의해 거치되며, 제1 아치홈(6232)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됨에 따라 전달되는 외력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바아 지지부(700)는, 지지 롤러(730)가 제1 아치홈(6232)의 벽면을 따라 안착된 뒤, 지지 바아(6121)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이 전달되면 지지 롤러(730)가 제1 아치홈(6232)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지지 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 롤러(730)는, 지지 원판(731), 베어링(732), 바퀴(733), 제1 경사홈(734), 제1 지지 탄성체(735-1, 735-2)), 제2 경사홈(736) 및 제2 지지 탄성체(737-1, 737-2)를 포함한다.
지지 원판(731)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에 베어링(732)이 연결 설치된다.
베어링(732)은, 지지 원판(731)의 외측에 설치되고, 외측에 바퀴(733)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바퀴(733)는, 베어링(732)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지지 원판(73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경사홈(734)은, 제1 거치 바아(712)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원판(731)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지지 원판(731)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지지 원판(731)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제1 지지 탄성체(735-1, 735-2)는, 제1 경사홈(734)에 안착된 제1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제1 경사홈(734)에서 제1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제2 경사홈(736)은, 제2 거치 바아(722)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원판(731)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제1 경사홈(734)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지지 원판(731)의 후단 하측으로부터 지지 원판(731)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제2 지지 탄성체(737-1, 737-2)는, 제2 경사홈(736)에 안착된 제2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제2 경사홈(736)에서 제2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 롤러(730)는, 제1 거치 바아(712)와 제2 거치 바아(722)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아치홈(6232)의 중심 부위에 안착되어 있다가, 지지 바아(6121)를 통해 진동 또는 충격 등이 전달되면 제1 거치 바아(712) 또는 제2 거치 바아(722)를 지지하고 있는 제1 지지 탄성체(735-1, 735-2) 또는 제2 지지 탄성체(737-1, 337-2)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제1 아치홈(6232)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지지 바아(6121)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도장 부스
100: 부스 본체
200: 파티션
300: 거치대
400: 피도장물
500: 도장 공간
600: 회전 기둥
100: 부스 본체
200: 파티션
300: 거치대
400: 피도장물
500: 도장 공간
600: 회전 기둥
Claims (2)
-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부스 본체;
상기 부스 본체의 내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부스 본체의 내부 공간을 구획시켜 주는 파티션; 및
피도장물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파티션에 의해 구획된 도장 공간 마다 설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는, 상기 도장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거치 플레이트;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회전 기둥; 및 피도장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기둥의 상측에 안착되는 받침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기둥은, "+"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형성되는 "+" 형태의 체결홈에 안착되는 "+"형 지지대; 및 상기 베어링에 안착되며,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형 지지대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형 지지대는, 제1 받침대, 제2 받침대, 제3 받침대 및 제4 받침대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중심으로부터 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3 지지 프레임;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4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4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 본체; 상기 지지 본체의 형태에 대응하여 "+" 형태로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형 안착홈;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형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지지홈;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형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지지홈;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형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3 지지홈; 및 상기 제4 지지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형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4 지지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4 지지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 바아; 상기 지지 바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홈에서 상기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제1 바아 지지부; 및 상기 제1 바아 지지부와 대칭되도록 상기 지지 바아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홈에서 상기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제2 바아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아 지지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 바아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부가 상기 지지 바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대향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 바아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하부가 상기 지지 바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하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 거치 바아와 상기 상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 거치 바아에 의해 거치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롤러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원판; 상기 지지 원판의 외측에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지지 원판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바퀴; 상기 제1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원판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지지 원판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지지 원판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경사홈; 상기 제1 경사홈에 안착된 상기 제1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경사홈에서 상기 제1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1 지지 탄성체; 상기 제2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원판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제1 경사홈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원판의 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지지 원판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2 경사홈; 및 상기 제2 경사홈에 안착된 상기 제2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경사홈에서 상기 제2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홈은, 상기 지지 바아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바아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홈; 상기 제1 바아 지지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홈의 전단에 형성되되,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 바아가 상기 수직홈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지지 롤러가 벽면을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아치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아치홈; 및 상기 제1 아치홈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수직홈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아치홈이 형성되는, 도장 부스.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1301A KR102202144B1 (ko) | 2020-09-21 | 2020-09-21 | 도장 부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1301A KR102202144B1 (ko) | 2020-09-21 | 2020-09-21 | 도장 부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2144B1 true KR102202144B1 (ko) | 2021-01-12 |
Family
ID=74129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1301A KR102202144B1 (ko) | 2020-09-21 | 2020-09-21 | 도장 부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2144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4803Y2 (ja) * | 1980-08-22 | 1985-05-11 | 英夫 安岡 | 車両誘導用標示装置 |
KR20090118710A (ko) * | 2008-05-14 | 2009-11-18 | (주)양종테크 |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코팅 지그 |
KR20120038861A (ko) * | 2010-10-14 | 2012-04-24 | (주)나래플랜 | 도장장치 |
KR101578862B1 (ko) | 2014-05-21 | 2015-12-28 | 금호환경기계(주) | 도장부스 |
KR20170115231A (ko) | 2016-04-07 | 2017-10-17 | 이인옥 | 도장부스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외부 스위치 및, 내부 온도계 |
KR20170130766A (ko) * | 2016-05-19 | 2017-11-29 |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층박막 스프레이 코팅 장치 |
KR102083521B1 (ko) * | 2019-09-20 | 2020-04-24 | 정대섭 | 코팅 장치 |
-
2020
- 2020-09-21 KR KR1020200121301A patent/KR1022021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4803Y2 (ja) * | 1980-08-22 | 1985-05-11 | 英夫 安岡 | 車両誘導用標示装置 |
KR20090118710A (ko) * | 2008-05-14 | 2009-11-18 | (주)양종테크 |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코팅 지그 |
KR20120038861A (ko) * | 2010-10-14 | 2012-04-24 | (주)나래플랜 | 도장장치 |
KR101578862B1 (ko) | 2014-05-21 | 2015-12-28 | 금호환경기계(주) | 도장부스 |
KR20170115231A (ko) | 2016-04-07 | 2017-10-17 | 이인옥 | 도장부스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외부 스위치 및, 내부 온도계 |
KR20170130766A (ko) * | 2016-05-19 | 2017-11-29 |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층박막 스프레이 코팅 장치 |
KR102083521B1 (ko) * | 2019-09-20 | 2020-04-24 | 정대섭 | 코팅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2144B1 (ko) | 도장 부스 | |
JPH04290570A (ja) | 垂直レシプロ塗装装置 | |
CN108625661A (zh) | 参拜对象物的保管设备 | |
CN110465453A (zh) | 一种新型刷油机器人及其刷油工艺 | |
CN105235432B (zh) | 一种封闭无尘雕刻加工中心 | |
JP4668691B2 (ja) | 塗装機洗浄用ホッパー | |
JP7109041B2 (ja) | カッターホルダ取付構造、カッターホルダ並びにホルダジョイント | |
CN101885064B (zh) | 金属液喷射两级雾化喷嘴装置 | |
KR970052710A (ko) | 회전식 기판건조장치 | |
CN209631733U (zh) | 一种用于生产涂层喷嘴的超声波清洗槽 | |
CN209223802U (zh) | 一种关节假体抛光用自动喷蜡装置 | |
CN210496930U (zh) | 一种粉末喷涂用辅助工装夹具 | |
CN217512113U (zh) | 一种用于格栅灯配光镜喷涂的固定座 | |
CN218747139U (zh) | 一种悬链抛丸机挂架 | |
CN220294994U (zh) | 一种机器人旋转跟踪喷涂定点定位输送装置 | |
CN214454236U (zh) | 一种玻瓶喷漆运输线 | |
CN210646939U (zh) | 汽车按键涂装流水线上的涂装治具 | |
CN208912381U (zh) | 一种盘式自动喷涂机 | |
JP2500360Y2 (ja) | 塗装用バンパ―支持装置 | |
JPH06246222A (ja) | スプレーコーティング方法および装置 | |
JP3751820B2 (ja) | 塗装装置 | |
CN221602324U (zh) | 一种喷涂机器人移动轨道 | |
CN220238976U (zh) | 一种粉末喷涂装置 | |
JP7005840B2 (ja) | 塗装ブース | |
CN212702578U (zh) | 一种喷胶用支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